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3C 마크업 유효성 검사 서비스는 웹 페이지의 마크업이 W3C 표준을 준수하는지 검사하는 도구이다. 제럴드 오스코보이니의 '더 친절하고 부드러운 HTML 유효성 검사기'를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며, HTML, CSS, XML 스키마, MathML 등 다양한 웹 기술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제공한다. 마크업 검사기는 DOCTYPE 선언을 인식하고, 태그 누락, 따옴표 오류 등을 검사하여 오류 및 경고를 보고한다. 하지만 웹 페이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지 못하며, 모든 브라우저에서 의도한 대로 표시되도록 보장하지는 않으므로,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디자인 - 웹 접근성
웹 접근성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및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며, 웹 콘텐츠, 저작 도구,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과 법률,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접근성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웹 디자인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 |
---|---|
서비스 정보 | |
이름 | W3C 마크업 검사 서비스 |
종류 | 유효성 검사 서비스 |
개발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W3C) |
URL | W3C 마크업 검사 서비스 소개 Nu HTML 검사기 |
설명 | 웹 페이지의 마크업 유효성을 검사하는 서비스이다. |
![]() | |
![]() |
2. 역사
마크업 유효성 검사 서비스는 제럴드 오스코보이니(Gerald Oskoboiny)의 프로젝트인 '더 친절하고 부드러운 HTML 유효성 검사기(The Kinder, Gentler HTML Validator)'로 시작되었다.[12] 이 서비스는 댄 코놀리(Dan Connolly)와 마크 게이더(Mark Gaither)가 작성한 최초의 온라인 HTML 유효성 검사기보다 더 직관적인 버전으로, 1994년 7월 13일에 발표되었다.[14]
HTML Validator는 웹 페이지의 마크업을 W3C의 표준과 비교하여 얼마나 잘 지켰는지 판단한다. 선언된 버전에 따라 표준이 달라지므로, HTML Validator는 DOCTYPE 선언을 읽고 어떤 표준을 적용할지 결정한다.[8]
1997년 9월, 오스코보이니는 W3C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1997년 12월 18일 W3C는 그의 작업을 기반으로 W3C HTML 유효성 검사기를 발표했다.[15] 2008년 11월, W3C는 validator.nu HTML5 엔진과 문서가 HTML5를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출시했다.[16]
3. 작동 방식
검증 시스템은 페이지를 읽고 적용할 표준을 결정하면, 시작 태그, 종료 태그, 따옴표 누락 및 수기 오류 등을 검사한다.[8]
이후에는 문법이 타당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고서를 표시한다. 오류는 목록으로 표시되는데, 종료 태그 누락과 같은 오류는 페이지 전체에 걸쳐 여러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페이지 작성자가 첫 번째 오류를 고치면 관련된 다른 오류들도 함께 해결될 수 있다.[8]
3. 1. DOCTYPE 인식
HTML Validator는 웹 페이지의 마크업을 W3C의 표준과 비교하여 준수 정도를 판정한다. 선언된 버전에 따라 표준이 변화하므로, HTML Validator는 DOCTYPE 선언을 읽고 어떤 표준을 적용할지를 판단한 후 작동한다.[8]
3. 2. 마크업 검사
HTML Validator는 웹 페이지의 마크업을 W3C의 표준과 비교하여 준수 정도를 판정한다. 선언된 버전에 따라 표준이 변화하므로, HTML Validator는 DOCTYPE 선언을 읽고 어떤 표준을 적용할지를 판단한 후 작동한다.[8]
검증 시스템이 페이지를 읽고 적용할 표준을 결정하면, 시작 태그·종료 태그 누락, 따옴표 누락 및 수기 오류를 검사한다.[8]
이후, 검증 시스템은 문법이 타당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고서를 표시한다. 오류는 목록으로 표시된다. 종료 태그 누락과 같은 오류는 페이지 전체에 걸쳐 일련의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페이지 작성자가 첫 번째 오류를 제거하면 일련의 오류도 해결될 것이다.[8]
3. 3. 결과 보고
HTML Validator는 웹 페이지의 마크업을 W3C의 표준과 비교하여 준수 정도를 판정한다. 선언된 버전에 따라 표준이 변화하므로, HTML Validator는 DOCTYPE 선언을 읽고 어떤 표준을 적용할지를 판단한 후 작동한다.[8]
일단 검증 시스템이 페이지를 읽고 적용할 표준을 결정하면, 시작 태그·종료 태그 누락, 따옴표 누락 및 수기 오류를 검사한다.[8]
이후, 검증 시스템은 문법이 타당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고서를 표시한다. 오류는 목록으로 표시된다. 종료 태그 누락과 같은 오류는 페이지 전체에 걸쳐 일련의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페이지 작성자가 첫 번째 오류를 제거하면 일련의 오류도 해결될 것이다.[8]
4. 한계
마크업 검사기는 웹 페이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놓친 닫는 태그 및 기타 기술적인 문제점을 찾아내는 데는 능숙하다.[6][7]
DTD 기반 검사기는 또한 많은 명세 문서에 따라 속성 값을 검사하는 능력에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HTML 4.01 DOCTYPE을 사용하는 경우, `bgcolor="fffff"`는 값 "fffff"가 앞에 '#' 문자가 없고 16진수 숫자 6자리 중 5자리만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body" 요소에 대해 유효한 값으로 허용된다. 또한, "img" 요소의 경우, width="really wide"도 유효한 값으로 허용된다. DTD 기반 검사기는 기술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속성 값 문제를 테스트할 수 없다.
페이지는 유효성 검사 오류가 없고 다른 브라우저에서 성공적으로 표시되더라도 모든 브라우저에서 의도한 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페이지가 항상 의도한 대로 표시되도록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은 페이지를 올바르게 렌더링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하는 것이다.[7]
5. 브라우저 호환성
대부분의 주요 웹 브라우저는 종종 특정 유형의 오류에 관대하며, 구문적으로 올바르지 않더라도 문서를 성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1] 특정 XML 문서도 내부 또는 외부 DTD를 참조하는 경우 유효성 검사를 받을 수 있다.[1]
6. CSS 유효성 검사
W3C 및 기타 HTML 및 XHTML 검사기는 해당 형식으로 코딩된 페이지를 평가하지만, W3C CSS 검사기와 같은 별도의 검사기를 사용하여 연결된 CSS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 CSS 검사기는 참조된 CSS 문서에 현재 CSS 표준을 적용한다.[7] W3C 및 기타 HTML/XHTML 검증 도구가 HTML/XHTML 문서를 검증하는 반면, 별도의 검증 도구는 관련 CSS 문서에 오류가 없는지 검증하는 데 필요하다. HTML/XHTML 검증 도구가 관련 CSS를 CSS 표준에 따라 검사하는 것처럼 CSS 검증 도구는 HTML/XHTML 검증 도구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8]
2009년 11월 25일에 여러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CSS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 검사 통과 여부 | 오류 수 | 경고 수 |
---|---|---|---|
구글 | 아니오 | 39 | 2 |
구글.co.uk | 아니오 | 41 | 2 |
야후 | 아니오 | 118 | 27 |
MSN | 아니오 | 1 | 0 |
AOL | 아니오 | 644 | 441 |
Ask.com | 아니오 | 111 | 23 |
아마존닷컴 | 아니오 | 1195 | 1 |
아마존.co.uk | 아니오 | 1124 | 102 |
애플 | 아니오 | 7 | 1 |
유튜브 | 아니오 | 207 | 62 |
페이스북 | 아니오 | 39 | 0 |
마이스페이스 | 아니오 | 63 | 20 |
트위터 | 아니오 | 61 | 0 |
위키백과 | 아니오 | 9 | 2 |
BBC | 아니오 | 27 | 24 |
인터넷 익스플로러 | 아니오 | 80 | 60 |
모질라 파이어폭스 | 예 | 0 | 2 |
오페라 | 예 | 0 | 0 |
사파리 | 아니오 | 12 | 1 |
구글 크롬 | 아니오 | 21 | 11 |
7. 비판
모든 마크업 검증 시스템은 웹 페이지의 전체 모습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종료 태그 누락 및 기타 전문적인 오류를 지적하는 데는 뛰어나다.[8] 이는 페이지가 모든 브라우저에서 작성자의 의도대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문법적으로 유효하다고 판단되더라도, 검증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고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모든 웹 페이지는 가능한 많은 브라우저에서 테스트되어야 한다.
8. 한국 웹 환경과 유효성 검사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웹 환경과 유효성 검사' 섹션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http://validator.w3.[...]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1-05-20
[2]
웹사이트
Ready to check - Nu Html Checker
https://validator.w3[...]
[3]
간행물
ANNOUNCE: HaL Interactive HTML Validation Service
"//lists.w3.org/Arch[...]
1994-07-13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inder, Gentler HTML Validator
http://impressive.ne[...]
2003-03-22
[5]
웹사이트
What's New at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https://validator.w3[...]
2016-05-31
[6]
웹사이트
About the CSS Validator
http://jigsaw.w3.org[...]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2-06-24
[7]
서적
'HTML, XHTML & CSS, Sixth Edition'
Peachpit Press
2007
[8]
서적
'HTML, XHTML & CSS, Sixth Edition'
Peachpit Press
2007
[9]
웹사이트
About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http://validator.w3.[...]
World Wide Web Consortium
2008-06-28
[10]
간행물
ANNOUNCE: HaL Interactive HTML Validation Service
http://lists.w3.org/[...]
1994-07-13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inder, Gentler HTML Validator
http://impressive.ne[...]
2003-03-22
[12]
웹인용
About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http://validator.w3.[...]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1-05-20
[13]
웹인용
Ready to check - Nu Html Checker
https://validator.w3[...]
[14]
간행물
ANNOUNCE: HaL Interactive HTML Validation Service
"//lists.w3.org/Arch[...]
1994-07-13
[15]
웹인용
History of the Kinder, Gentler HTML Validator
http://impressive.ne[...]
2003-03-22
[16]
웹인용
What's New at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
https://validator.w3[...]
2016-05-31
[17]
웹인용
About the CSS Validator
http://jigsaw.w3.org[...]
World Wide Web Consortium
2012-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