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7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70은 1970년대 초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개발된 미국의 전술 핵탄두이다. Mod 1과 Mod 2는 0.5~50kt의 가변적인 핵출력을, Mod 3은 1kt의 방사선 강화형 탄두로 개발되었다. 1973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1977년까지 Mod 1, 2가, 1981년부터 1983년까지 Mod 3이 생산되었으며, 1992년 냉전 종식 후 폐기되었다. W70은 랜스 미사일에 탑재되었으며, 대한민국은 랜스 미사일 도입을 시도했으나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 UGM-27 폴라리스
UGM-27 폴라리스는 미국 해군이 개발하고 운용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제2격 능력 확보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영국 해군에서도 운용되었으나 포세이돈과 트라이던트 I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는 195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 의해 설립되어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을 받아 국가핵안보국 산하에서 핵무기 설계 및 관리, 글로벌 안보, 에너지 및 환경 문제 등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의 국립 연구소이다. - 핵탄두 - W54
W54는 미국이 1950년대 후반에 개발한 소형 핵탄두로, 휴대성을 높이고 폭발 위력을 낮추어 전술 핵무기로 사용되었으며, 플루토늄 임플로전 방식의 핵분열 탄두로 데비 크로켓 핵대포, SADM, AIM-26 팰컨 미사일 등에 사용되었고 W72 핵탄두의 파생형이다. - 핵탄두 - W76
W76은 미국의 핵탄두로, 트라이던트 SLBM에 탑재되어 최초 버전인 W76-0에서 성능 개선을 거친 W76-1, 저위력 핵탄두인 W76-2까지 개발되었으며, 미국과 영국에서 운용되고 있다. - 수소폭탄 - B28 핵폭탄
B28 핵폭탄은 1958년부터 생산된 항공기 탑재용 수소폭탄으로, 다양한 버전과 위력을 갖추고 미국 공군과 해군, NATO 군에서 운용되었으며 1991년에 퇴역했다. - 수소폭탄 - B61 핵폭탄
B61 핵폭탄은 미국에서 개발된 항공기 탑재용 전술 및 전략 핵폭탄으로, 가변 위력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NATO 핵 공유 협정에 따라 유럽 동맹국에도 배치되어 운용되고 있고, 정밀 유도 기능을 강화한 모델이 개발되어 핵 억지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W70 | |
---|---|
개요 | |
종류 | 핵무기 |
기원 | 미국 |
설계 및 생산 | |
설계자 |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
생산 기간 | W70-1, -2: 1973년 6월 ~ 1977년 7월 W70-3: 1981년 8월 ~ 1983년 2월 |
생산 수량 | W70-1, -2: 900발 W70-3: 380발 |
변형 | 3가지 |
제원 | |
무게 | 270 파운드 (120 kg) |
길이 | 41 인치 (100 cm) |
지름 | 18 인치 (46 cm) |
핵탄두 종류 | 열핵무기 (방사선 강화 탄두, Mod 3) |
폭발력 | W70-1, -2: 0.5 ~ 50 킬로톤 W70-3: 1 킬로톤 |
사용 정보 | |
사용 국가 | 미국 |
사용 시기 | 1973년 ~ 1992년 |
전쟁 | 해당사항 없음 |
2. 개발
W70은 1970년대 초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개발되어 1973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1]
2. 1. 초기 개발
1970년대 초반 미국의 전술 핵무기로 개발되었다.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가 설계했으며, MGM-52 랜스 미사일에 탑재되었다. 1250발이 생산되었고, 1-100 kt 폭발력을 가졌으며 폭발력을 설정할 수 있다.[1]W70-3은 실전용으로 개발된 최초의 중성자탄이다. 1kt의 폭발력을 가지지만, 방사능은 엄청나게 방출한다. 1981-1983년 생산되었으며, 1992년에 퇴역했다.[1]
1973년 개발이 완료되어 생산이 시작되었다. 초기형(Mod0, 1, 2)은 1977년까지 약 900발이 생산되었다. 열핵탄두이며, 핵출력은 가변식으로 1-100kt이었다. 신관은 촉발 및 공중 폭발이 채용되었다. 크기는 직경 약 45.72cm, 길이 약 104.14cm, 무게 약 122.47kg이다.[1]
1977년 W70의 개량형인 W70 Mod3가 개발 완료되었다. 이는 전술 사용 목적인 방사선 강화형 탄두(중성자탄두)이며, 핵출력은 1kt이다. W70 Mod3는 정치적인 이유로 제조가 연기되어 1981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고, 1983년까지 380발이 생산되었다. W70은 냉전 종결 후인 1992년 미국의 지상 발사식 전술 핵무기 폐지 방침에 따라 배치가 종료되었다.[1]
2. 2. W70 Mod 3 (중성자탄)
W70-3은 실전용으로 개발된 최초의 중성자탄이다.[1] 1kt의 폭발력을 가졌지만, 방사능은 엄청나게 방출한다.[1]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생산되었으며, 1992년에 퇴역했다.[1]1977년에는 W70의 개량형인 W70 Mod3가 개발 완료되었다.[1] 이는 전술 사용 목적인 방사선 강화형 탄두(중성자탄)이며, 핵출력은 1kt이다.[1] W70 Mod3는 정치적인 이유로 제조가 연기되어 1981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1] 1983년까지 380발이 생산되었다.[1]
3. 제원
W70은 1970년대 초반 미국에서 개발된 전술 핵무기이다.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설계되었으며, MGM-52 랜스 미사일에 탑재되었다. 1250발이 생산되었으며, 폭발력은 1~100kt 사이에서 조절 가능했다.
W70-3은 실전용으로 개발된 최초의 중성자탄으로, 1kt의 폭발력을 가졌지만 방사능은 엄청나게 방출했다.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생산되었으며, 1992년에 퇴역했다.
W70은 이전에 제안된 랜스 탄두인 W63의 후속 모델이었다.[4] D등급의 Permissive Action Link(발사 통제 장치)를 사용했으며, 명령 해제 기능은 있었지만 둔감 고폭탄과 향상된 핵폭발 안전성은 갖추지 못했다.
3. 1. 크기 및 무게
W70의 무게는 약 122.47kg였으며, 길이는 약 104.14cm, 지름은 약 45.72cm였다.[4]3. 2. 핵출력
1970년대 초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개발된 W70은 MGM-52 랜스 미사일에 탑재되는 전술 핵무기였다. 핵출력은 가변식으로, 1-100 kt 사이에서 조절 가능했다. Mod 1 및 Mod 2 버전은 0.5ktTNT에서 50ktTNT 사이의 3가지 위력을 가졌으며,[2] Mod 3 강화 방사선 버전(중성자탄)은 1ktTNT의 위력을 가졌다.[3] Mod 3은 40%의 핵분열과 60%의 핵융합 비율을 보였고, 두 가지 위력 옵션을 가졌다.[4]W70-3은 실전용으로 개발된 최초의 중성자탄으로, 1ktTNT의 폭발력이지만 방사능은 엄청나게 방출했다.
새뮤얼 T. 코헨은 W70을 "중성자탄"으로 묘사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W-70이 "사람을 죽이고 건물은 살리는" 종류의 무기가 아니라, "대규모로 사람을 죽이고 물리적으로 파괴하는 무기"라고 주장했다.[5]
3. 3. 신관
기밀 해제된 영국 문서에 따르면, W70의 Mod 1 및 Mod 2 버전은 0.5ktTNT에서 50ktTNT 사이의 세 가지 위력을 가졌다.[2] Mod 3 강화 방사선 버전은 1ktTNT의 위력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었다.[3] Mod 1은 Mod 2 탄두보다 더 많은 위력 옵션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Mod 3은 40%의 핵분열과 60%의 핵융합을 보였으며, 두 가지 위력 옵션을 가지고 있었다. 이 무기는 약 122.47kg의 무게였으며, 길이는 약 104.14cm, 지름은 약 45.72cm였다.[4]W70의 신관은 촉발 및 공중 폭발 방식이 채택되었다.
4.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1960년대부터 사거리 48km의 어네스트존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신형 랜스 미사일 도입을 추진했으나, 미국의 거부로 백곰 미사일을 자체 개발했다.
주한미군은 어네스트존과 서전트 미사일을 랜스 미사일로 대체하려 했으나, 미국 국방부는 이를 부인했다. 이후 주한미군 제4미사일부대 해체 이후 중거리 미사일 전력 보강을 위해 랜스 미사일이 주한미군 2사단에 배치되었다. 1987년 INF 조약 체결 당시 랜스 미사일은 조약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중단거리 핵미사일 폐기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INF 조약 폐기를 경고하면서, 한국에 랜스 미사일이 재배치되거나 에이태킴스 미사일에 W70 핵탄두를 장착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4. 1. 도입 시도와 무산
1960년대부터 한국은 사거리 48km의 어네스트존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신형 랜스 미사일 도입을 추진했다. 그러나 미국이 이를 거부하면서 백곰 미사일을 자체 개발하게 되었다. 1975년 9월 26일, 이스라엘에 최초의 랜스 미사일이 1개월 이내에 공급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6]1976년 1월 28일에는 주한 제4유도탄 사령부가 어네스트존, 서전트 미사일을 랜스 미사일로 교체 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 랜스 미사일은 대부분 유럽에 배치되어 있었다.[7] 그러나 1976년 2월 6일, 미국 국방부 공보관 R J 오브라이엔 공군 중령은 한국 언론의 보도를 부인하며, 랜스 미사일의 한국 배치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8]
1986년 11월, 1978년 주한미군 제4미사일부대 해체 이후 약화된 중거리 미사일 체제를 보강하기 위해 랜스 미사일이 주한미군 2사단에 배치되었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 120km, 속도 마하 3으로, 저장식 액체연료를 사용해 기동성이 뛰어났다.[9]
1987년 INF 조약 체결 당시, 랜스 미사일은 사거리 500km 미만으로 조약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조약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중단거리 핵미사일을 모두 폐기하는 방향이었다.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INF 조약 폐기를 경고하면서 미국 의회가 중단거리 핵미사일 개발을 승인했다.[10] 이는 한국에 랜스 미사일이 재배치되거나, 이미 배치된 에이태킴스 미사일에 W70과 같은 핵탄두를 장착하는 것을 미국 의회가 승인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4. 2. 주한미군 배치와 INF 조약
1976년 1월 28일, 주한 제4유도탄 사령부에서 어네스트존과 서전트 미사일을 랜스 미사일로 대체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랜스 미사일은 대부분 유럽에 배치되어 있었다.[7] 그러나 1976년 2월 6일, 미국 국방부 국방뉴스 담당 공보관 R J 오브라이엔 공군 중령은 한국 언론의 보도를 부인하며, 배치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8]1960년대부터 한국은 사거리 48km의 어네스트존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신형 랜스 미사일 도입을 추진했으나, 미국의 거부로 백곰 미사일을 자체 개발했다.
1986년 11월, 주한미군 제4미사일부대 해체(1978년) 이후 약화된 중거리 미사일 체제 보강을 위해 랜스 미사일이 주한미군 2사단에 배치되었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 120km, 속도 마하 3으로 저장식 액체연료를 사용하며, 높은 기동성을 갖추었다.[9]
1987년 INF 조약 체결 당시, 랜스 미사일은 사거리 500km 미만으로 조약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중단거리 핵미사일 폐기 방향이었다.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INF 조약 폐기를 경고하면서 미국 의회는 중단거리 핵미사일 개발을 승인했다.[10] 이는 한국에 랜스 미사일이 재배치되거나, 에이태킴스 미사일에 W70 핵탄두를 장착하는 방안이 승인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3. 트럼프 행정부와 INF 조약 폐기 논란
1987년 INF 조약이 체결되었다. 랜스 미사일은 사거리가 500km가 되지 않아 제외되지만, 조약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중단거리 핵미사일을 모두 폐기하는 방향이었다.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INF 조약의 폐기를 경고한 가운데, 미국 의회가 중단거리 핵미사일 개발을 승인했다.[10] 이는 한국에 랜스 미사일이 새로 배치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미 주한미군에 배치되어 있는 에이태킴스 미사일에 W70 같은 핵탄두 장착을 미국 의회가 승인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U.S. Nuclear Weapons Stockpile, July 1996
[2]
보고서
Tactical Nuclear Weapons. 1971-1972
http://nuclear-weapo[...]
UK Ministry of Defence
[3]
웹사이트
W70
https://www.globalse[...]
2018-09-30
[4]
웹사이트
Complete List of All U.S. Nuclear Weapons
http://nuclearweapon[...]
2020-06-12
[5]
웹사이트
Check Your Facts: Cox Report Bombs
https://www.questia.[...]
Insight on the News
1999-08-09
[6]
뉴스
이스라엘에 랜스미사일 供給
동아일보
1975-09-26
[7]
뉴스
駐韓美軍 보유 誘導彈 랜스미사일로 代朁
경향신문
1976-01-28
[8]
뉴스
美 국방성 代辯人 랜스미사일 韓國 배치 否認
경향신문
1976-02-06
[9]
뉴스
韓國 전선에 랜스포대 첫 配置 地對地 미사일 장착 8軍 배속
매일경제
1986-11-14
[10]
뉴스
美 워싱턴타임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과 구금은 북한 선전선동 정보전의 결과"
미디어워치
2018-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