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P-15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ASP-15b는 2009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켄타우루스자리에 위치한 F형 별 WASP-15를 공전한다. 이 행성은 슈퍼WASP 프로젝트를 통해 처음 관측되었으며, 칠레 라 실라 천문대의 관측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 WASP-15b는 목성 질량의 약 0.54배, 반지름은 약 1.43배이며, 밀도는 매우 낮다. 3.75일 주기로 항성을 공전하며, 궤도는 역행 운동을 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코트디부아르의 학생들이 명명한 Asye라는 공식 명칭을 갖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발견한 외계 행성 - MOA-2007-BLG-192Lb
궁수자리에 위치한 적색 왜성 MOA-2007-BLG-192L은 지구로부터 약 704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0.24배이다. - 2008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R 8799 c
HR 8799 c는 HR 8799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2008년에 발견되었으며, 궤도 긴반지름은 42.9 AU이고, 공전 주기는 약 231.7년이며, 목성보다 크고 표면 온도는 약 820℃이다. - 200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0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글리제 581 e
글리제 581 e는 2009년 미셸 마요르 연구진이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한 글리제 581 항성계의 행성으로, 지구 질량의 약 1.9배이며 항성과의 매우 가까운 거리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낮다. - 뜨거운 목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뜨거운 목성 - WASP-3b
| WASP-15b | |
|---|---|
| 기본 정보 | |
![]() | |
| 발견자 | West 외 (슈퍼WASP) |
| 발견 장소 | 남아프리카 천문대 |
| 발견 날짜 | 2009년 4월 29일 (발표일) |
| 발견 방법 | 트랜싯 |
| 별자리 | 바다뱀자리 |
| 다른 이름 | Asye, 2MASS J13554270-3209345 b, 1SWASP J135542.70-320934.6 b, WISE J135542.71-320934.8 b |
| 궤도 정보 | |
| 궤도 장반축 | 0.0499 ± 0.0018 천문단위(au) |
| 공전 주기 | 3.7520656 ± 0.0000028일 |
| 궤도 이심률 | 0 |
| 궤도 경사각 | 85.5 ± 0.5 도 |
| 통과 시각 | BJD 2454584.69823 ± 0.00029 |
| 섭동 진폭 | 63.4 ± 3.8 m/s |
| 모항성 | WASP-15 |
| 위치 정보 | |
| 기준 좌표계 | J2000.0 |
| 거리 | 927 광년 (284 파섹) |
| 물리적 특징 | |
| 질량 | 0.542 ± 0.050 목성 질량 |
| 반지름 | 1.428 ± 0.077 목성 반지름 |
| 평균 밀도 | 0.247 ± 0.035 g/cm2 |
| 표면 중력 | 6.08+0.65⁄-0.59 m/s2 |
| 표면 온도 | 1652 ± 28 켈빈(K) |
2. 발견
WASP-15는 2006년 5월 4일부터 2006년 7월 17일까지 남아프리카 천문대에서 운영되는 슈퍼WASP 프로젝트의 WASP-South 분과에 의해 처음 관측되었다. 이후 2007년 1월 31일부터 2007년 7월 17일까지, 2008년 1월 31일부터 2008년 5월 29일까지 WASP-South에 의해 다시 관측되었다. 수집된 24,943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분석한 결과, 11개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통과 현상이 나타났다.
WASP-15는 F형 별로 켄타우루스자리에 위치해 있다. 지구로부터 약 290 파섹 (90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겉보기 등급은 10.9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 별은 태양보다 1.18배 더 무겁고, 반지름은 태양보다 1.477배 더 커서 밀도가 낮다. WASP-15는 유효 온도가 6300 켈빈으로, 태양보다 더 뜨겁지만, 39억 년으로 더 젊다. WASP-15의 금속 함량 [Fe/H]는 -0.17로, 태양에서 발견되는 철의 68%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WASP-15b는 목성 질량의 0.542배, 목성 반지름의 1.428배에 해당하는 질량과 반지름을 가지고 있다. 모항성과의 거리가 0.0499 AU(7,500,000 km)로 매우 가까워, 밀도는 0.247 g/cm3으로 매우 낮고 부풀어 있다. 내부 열원과 같은 다른 요인이 이러한 극도로 높은 반지름과 극도로 낮은 밀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WASP-15b는 3.7520656일마다 모항성을 공전하며, 궤도 경사는 85.5º로 지구에서 볼 때 거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보인다.
칠레 라 실라 천문대에 있는 1.2m 레온하르트 오일러 망원경에서 유럽과 미국의 과학팀에 의해 후속 관측이 수행되었으며, 이는 WASP-15 궤도에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더욱 높였다. 2008년 3월 6일부터 2008년 7월 17일 사이에 오일러 망원경의 CORALIE 분광기를 사용하여 방사 속도 측정의 변화가 식쌍성 시스템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밝혀냈다.
CORALIE와 고분해능 에셸 분광기(HIRES)는 WASP-15의 스펙트럼을 보여주었고, 이를 사용하여 별의 특성을 도출했다. WASP-15를 연구한 과학팀은 최적의 모델을 실행한 결과, WASP-15의 방사 속도와 통과 이동이 행성의 존재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WASP-15b는 발견 당시 외계 행성들 중에서 가장 낮은 밀도 중 하나를 가지고 있었다. 이 행성의 발견 논문은 2009년 4월 29일 미국 천문 학회에 의해 ''천문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3. 모항성
4. 물리적 특징
4. 1. 역행 운동
2012년 로시터-맥러플린 효과를 이용한 연구에서 WASP-15b 행성 궤도가 별의 적도면과 -139.6° 어긋나 있음이 밝혀졌다. 이 스핀-궤도 각도는 WASP-15b의 궤도를 역행 운동으로 만들고 있다.[1]
5. 명칭
2019년, 국제천문연맹(IAU)은 NameExoWorld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WASP-15와 그 행성 WASP-15b에 코트디부아르의 학생들이 선택한 공식 명칭을 부여한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천문 연맹 100주년 사업"의 하나로, 코트디부아르에서 선정하여 국제천문연맹(IAU)에 제안, 승인되었다. 2019년 12월 17일, IAU에서 최종 결과가 발표되어, WASP-15b는 '''Asye'''로 명명되었다. Asye는 코트디부아르에 거주하는 Akan|아칸족ak의 전승에서 대지를 관장하는 여신을 나타낸다.
참조
[1]
논문
Obliquities of Hot Jupiter Host Stars: Evidence for Tidal Interactions and Primordial Misalignments
[2]
웹사이트
WASP-15 b
https://exoplanetarc[...]
NASA Exoplanet Science Institute
2020-10-27
[3]
웹사이트
Approved names
http://www.nameexowo[...]
IAU
2020-10-27
[4]
웹사이트
List of stars and planets
http://www.nameexowo[...]
IAU
2020-10-27
[5]
웹사이트
Methodology
http://www.nameexowo[...]
IAU
2020-10-27
[6]
간행물
The Low Density Transiting Exoplanet WASP-15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