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 위민스 챔피언십 (1956년~201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1956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프로레슬링 여성 챔피언십이다. 1956년 NWA 월드 여성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WWF를 거쳐 WWE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더 패뷸러스 물라가 초대 챔피언으로, 10년 이상 타이틀을 보유하며 최장 기간 재위 기록을 세웠지만, WWE는 1956년에서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경을 인정하지 않아 28년으로 간주한다.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쳐 총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으며, 2010년 WWE 디바스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WWE 디바스 통합 챔피언십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WWE 디바스 챔피언십
WWE 디바스 챔피언십은 2008년 스맥다운에서 창설된 여성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위민스 챔피언십과 통합 후 디바스 챔피언십 명칭으로 유지되다가 2016년 위민스 챔피언십으로 대체되며 폐지되었다. - 여자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FCW 디바스 챔피언십
FCW 디바스 챔피언십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FCW에서 진행된 여성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며, 나오미 나이트가 초대 챔피언으로 총 6명의 챔피언이 존재했고, 2012년 FCW가 NXT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시작하여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으로 변경 후 명칭이 바뀌었고, ECW 폐쇄까지 다양한 팀들이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WWE 인수 후에도 부활하지 않은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십입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92년 이스트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처음 도입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단체명 변경에 따라 타이틀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2001년 ECW 폐쇄와 함께 폐지되었고, WWE가 ECW를 인수했음에도 2006년 ECW 브랜드 재런칭 시 부활하지 않았으며, 2022년 게임 체인저 레슬링에서 비공식적인 타이틀 변경이 있었습니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 WWE 위민스 챔피언십 (1956년~2010년) | |
|---|---|
| 기본 정보 | |
![]() | |
| 프로모션 |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1956–1984)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1984–2010) |
| 창설일 | 1956년 9월 18일 |
| 폐지일 | 2010년 9월 19일 (WWE 디바스 챔피언십과 통합) |
| 초대 챔피언 | 더 패뷸러스 물라 |
| 마지막 챔피언 | 레일라 엘 |
| 최다 챔피언 | 트리쉬 스트라터스 (7회) |
| 최장 기간 챔피언 | 더 패뷸러스 물라 (1회, 3,651일) |
| 최단 기간 챔피언 | 미키 제임스 (3회, 1시간 미만) |
| 최고령 챔피언 | 더 패뷸러스 물라 () |
| 최연소 챔피언 | 웬디 리히터 () |
| 이전 명칭 | NWA 위민스 챔피언십(1956–1984) WWF 위민스 챔피언십 (1984–2002) WWE 위민스 챔피언십 (2002–2010) |
2. 역사
WWE 위민스 디비전은 1980년대 이전에는 미비하게 존재했으나, 1984년 당시 NWA 위민스 챔피언이자 챔피언십을 소유하고 있었던 더 패뷸러스 물라가 타이틀의 소유권을 WWE 회장 빈스 맥맨에게 팔면서 WWE에도 위민스 디비전이 생성되었다.
초대 WWE 위민스 챔피언은 더 패뷸러스 물라로 추대되었다. WWE에서는 물라가 1956년 5월 16일에 첫 NWA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한 시기를 공인했으나, 1966년 9월 17일부터 1978년 10월 10일까지의 기간은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WWE는 물라가 1956년 첫 챔피언에 오른 시기부터 1984년 6월 23일까지의 기간만 인정하며, 공식적으로 물라의 28년 재위 기간이 탄생하게 되었다.
WWE 위민스 디비전은 1990년대에 타이틀이 폐지되었다가, 알룬드라 블레이즈의 등장으로 1993년 후반에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블레이즈는 1993년 12월 13일, WWE ALL American Wrestling에서 하이디 리 모건을 상대로 토너먼트 결승에 우승하면서 WWE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하게 되었다. 하지만 2년 뒤, 블레이즈와 WWE의 계약이 종료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WWE는 블레이즈와 재계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블레이즈는 라이벌 단체인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과 계약을 체결했다. 블레이즈는 WCW 나이트로에서 데뷔하면서, 가지고 있던 WWE 위민스 챔피언십 벨트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장면을 연출했고, 이는 WWE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 후, WWE에서 위민스 챔피언십은 다시 한번 폐지되었다.
알룬드라 블레이즈가 사라진 뒤, WWE에서는 여성 레슬러보다는 매니저와 각본에 여성을 투입시켰고, 그 시기에 써니와 세이블이 탑 디바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이후, WWE는 WCW에서 활동했던 재클린 무어(재클린)을 영입하여 세이블의 라이벌로 각본에 투입시켰고, 세이블과 재클린, 마크 메로의 3각 대립이 인정받아 다시 한번 여성 디비전이 부활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8년 9월 15일, 당시 WWE 커미셔너였던 서전 슬로터는 재클린과 세이블의 WWE 위민스 챔피언십 경기를 주선했고, 이 경기에서 재클린이 승리하며 WWE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함과 동시에 최초의 흑인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잭클린 무어(잭클린), 세이블, 데브라, 아이보리, 더 패뷸러스 물라, 더 캣, 하비나, 스테파니 맥맨, 리타, 차이나 등이 WWE 위민스 디비전에서 활약했으나, WWE는 위민스 챔피언 차이나와의 계약을 놓고 의견 충돌을 보이기 시작했다. 차이나는 자신의 봉급을 올려달라고 제안했지만 WWE는 이를 거절했고, 결국 차이나와의 재계약이 불발되면서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주인을 잃게 되었다.
하지만 2001년 11월, 당시 연합군 소속의 윌리엄 리걸은 WWE 소속 트리시 스트래터스, 잭클린 무어(재클린), 리타와 연합군 소속의 아이보리, 마이티 몰리, 재즈를 투입시켜 6팩 챌린지 방식의 WWE 위민스 타이틀 경기를 주선했고, 이 경기에서는 트리시 스트래터스가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역사가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2002년 브랜드 분리 이후,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스맥다운의 디바들도 참여하면서 공동 소속으로 각본이 이행되었으나, 2002년 하반기부터는 자연스럽게 RAW에 소속되었다. 스맥다운 디바들은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드래프트 혹은 이적을 해야 했으며, 위민스 챔피언십 디비전이 RAW에 소속되면서, 자연스럽게 RAW쪽에서는 기량이 뛰어난 디바들이 그리고 스맥다운쪽에서는 미모의 디바들이 브랜드에 소속되면서 서로 다른 스토리라인이 진행되어왔다.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2008년 6월 당시 스맥다운 단장 비키 게레로의 결정으로 스맥다운에 WWE 디바스 챔피언십이 신설되기 전까지 6년간 홀로 군림했다. 2009년 드래프트를 통해 7년간 RAW에 속해있던 위민스 타이틀이 스맥다운으로, 신설되어 자리를 잡아가던 디바스 타이틀이 RAW로 이동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디비전은 베스 피닉스의 부상, 티파니의 부재로 점점 힘을 잃어가기 시작했고, 결국 2010년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레일라와 미쉘 맥쿨이 멜리나를 꺽고 통합 디바스 챔피언십에 오르면서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54년 만에 폐지되었다.
2016년 레슬매니아 32 이후 WWE에서 디바스 디비전을 위민스 디비전으로 개편하기로 하면서, WWE 디바스 타이틀이 폐지되고 명칭만 동일한 타이틀이 창설된다.
| 타이틀 명칭 | 연도 |
|---|---|
|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 1956년 ~ 1983년 |
| WWF 위민스 챔피언십 | 1983년 ~ 2002년 |
| WWE 위민스 챔피언십 | 2002년 ~ 2010년 |
2. 1.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시대 (1956년 ~ 1983년)
1956년 9월 18일, 더 패뷸러스 물라는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며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3] 이는 WWE 위민스 챔피언십의 기원으로, WWE는 물라의 NWA 챔피언 등극 시기를 초대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있다.[4]당시 WWE는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의 회원사였던 캐피톨 레슬링 코퍼레이션이 1963년 NWA에서 탈퇴하여 월드 와이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WF)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 챔피언십 권리를 구매한 물라는 1984년까지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으로서 타이틀을 방어했다.[4]
1983년 WWF는 NWA와 결별했고, 물라는 1984년 챔피언십 권리를 WWF에 판매했다. WWF는 물라를 WWF 위민스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1956년 챔피언 등극 시점부터의 통치를 주장했다.[4] WWE는 1956년부터 물라가 1984년 타이틀을 잃을 때까지의 기간만 인정하고, 그 이전의 챔피언들과 타이틀 변동은 인정하지 않는다.[5] 그 결과, 더 패뷸러스 물라의 첫 번째 통치는 WWE에서 28년으로 간주된다.[6]

2. 2. WWF 위민스 챔피언십 시대 (1983년 ~ 2002년)
1983년 더 패뷸러스 물라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의 권리를 빈스 맥맨에게 판매하면서 WWF 위민스 챔피언십이 탄생했다. WWF는 물라가 1956년 9월 18일에 초대 챔피언에 등극한 것을 인정했지만, 1966년부터 1978년 사이의 기간은 인정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물라는 28년간 챔피언 자리를 유지한 것으로 기록되었다.[6]1984년 7월 23일, 웬디 리히터가 물라를 꺾고 새로운 WWF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레일라니 카이,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등이 챔피언 벨트를 차지하며 WWF 위민스 디비전의 초기 역사를 장식했다.
1990년 로킹 로빈이 WWF를 떠나면서 챔피언십은 일시적으로 폐지되었으나, 1993년 알룬드라 블레이즈가 등장하면서 다시 부활했다. 블레이즈는 토너먼트 결승에서 하이디 리 모건을 꺾고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했다.
하지만 1995년 블레이즈가 WWF와의 재계약에 실패하고 라이벌 단체인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으로 이적하면서, ''
이후 WWF 위민스 챔피언십은 다시 폐지되었다가 1998년 잭클린 무어(재클린)와 세이블(세이블)의 대립을 통해 부활했다. 잭클린은 세이블을 꺾고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함과 동시에 최초의 흑인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데브라, 아이보리, 차이나 등 여러 여성 레슬러들이 챔피언 벨트를 차지하며 경쟁을 벌였다. 특히 차이나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던 선수로, 그녀의 챔피언 등극과 WWE와의 계약 분쟁은 한국 팬들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2002년 WWF가 WWE로 명칭을 변경한 후, 위민스 챔피언십은 WWE 브랜드 확장에 따라 Raw와 SmackDown에서 공동으로 방어되다가, 같은 해 하반기부터는 Raw 브랜드에 소속되었다.
| 타이틀 명칭 | 연도 |
|---|---|
|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 1956년 ~ 1983년 |
| WWF 위민스 챔피언십 | 1983년 ~ 2002년 |
| WWE 위민스 챔피언십 | 2002년 ~ 2010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