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WE 위민스 챔피언십 (1956년~201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1956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프로레슬링 여성 챔피언십이다. 1956년 NWA 월드 여성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WWF를 거쳐 WWE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더 패뷸러스 물라가 초대 챔피언으로, 10년 이상 타이틀을 보유하며 최장 기간 재위 기록을 세웠지만, WWE는 1956년에서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경을 인정하지 않아 28년으로 간주한다.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쳐 총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으며, 2010년 WWE 디바스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WWE 디바스 통합 챔피언십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WWE 디바스 챔피언십
    WWE 디바스 챔피언십은 2008년 스맥다운에서 창설된 여성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위민스 챔피언십과 통합 후 디바스 챔피언십 명칭으로 유지되다가 2016년 위민스 챔피언십으로 대체되며 폐지되었다.
  • 여자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FCW 디바스 챔피언십
    FCW 디바스 챔피언십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FCW에서 진행된 여성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며, 나오미 나이트가 초대 챔피언으로 총 6명의 챔피언이 존재했고, 2012년 FCW가 NXT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E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이스턴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시작하여 익스트림 챔피언십 레슬링으로 변경 후 명칭이 바뀌었고, ECW 폐쇄까지 다양한 팀들이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WWE 인수 후에도 부활하지 않은 프로레슬링 태그팀 챔피언십입니다.
  • 폐지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 -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E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92년 이스트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처음 도입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단체명 변경에 따라 타이틀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2001년 ECW 폐쇄와 함께 폐지되었고, WWE가 ECW를 인수했음에도 2006년 ECW 브랜드 재런칭 시 부활하지 않았으며, 2022년 게임 체인저 레슬링에서 비공식적인 타이틀 변경이 있었습니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WWE 위민스 챔피언십 (1956년~2010년)
기본 정보
WWE 위민스 챔피언십 (1956-2010) 벨트 디자인
WWE 위민스 챔피언십 최종 벨트 디자인 (2002–2010)
프로모션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1956–1984)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1984–2010)
창설일1956년 9월 18일
폐지일2010년 9월 19일 (WWE 디바스 챔피언십과 통합)
초대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
마지막 챔피언레일라 엘
최다 챔피언트리쉬 스트라터스 (7회)
최장 기간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 (1회, 3,651일)
최단 기간 챔피언미키 제임스 (3회, 1시간 미만)
최고령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 ()
최연소 챔피언웬디 리히터 ()
이전 명칭NWA 위민스 챔피언십(1956–1984)
WWF 위민스 챔피언십 (1984–2002)
WWE 위민스 챔피언십 (2002–2010)

2. 역사

WWE 위민스 디비전은 1980년대 이전에는 미비하게 존재했으나, 1984년 당시 NWA 위민스 챔피언이자 챔피언십을 소유하고 있었던 더 패뷸러스 물라가 타이틀의 소유권을 WWE 회장 빈스 맥맨에게 팔면서 WWE에도 위민스 디비전이 생성되었다.

초대 WWE 위민스 챔피언은 더 패뷸러스 물라로 추대되었다. WWE에서는 물라가 1956년 5월 16일에 첫 NWA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한 시기를 공인했으나, 1966년 9월 17일부터 1978년 10월 10일까지의 기간은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WWE는 물라가 1956년 첫 챔피언에 오른 시기부터 1984년 6월 23일까지의 기간만 인정하며, 공식적으로 물라의 28년 재위 기간이 탄생하게 되었다.

WWE 위민스 디비전은 1990년대에 타이틀이 폐지되었다가, 알룬드라 블레이즈의 등장으로 1993년 후반에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블레이즈는 1993년 12월 13일, WWE ALL American Wrestling에서 하이디 리 모건을 상대로 토너먼트 결승에 우승하면서 WWE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하게 되었다. 하지만 2년 뒤, 블레이즈와 WWE의 계약이 종료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WWE는 블레이즈와 재계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블레이즈는 라이벌 단체인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과 계약을 체결했다. 블레이즈는 WCW 나이트로에서 데뷔하면서, 가지고 있던 WWE 위민스 챔피언십 벨트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장면을 연출했고, 이는 WWE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 후, WWE에서 위민스 챔피언십은 다시 한번 폐지되었다.

알룬드라 블레이즈가 사라진 뒤, WWE에서는 여성 레슬러보다는 매니저와 각본에 여성을 투입시켰고, 그 시기에 써니와 세이블이 탑 디바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이후, WWE는 WCW에서 활동했던 재클린 무어(재클린)을 영입하여 세이블의 라이벌로 각본에 투입시켰고, 세이블과 재클린, 마크 메로의 3각 대립이 인정받아 다시 한번 여성 디비전이 부활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1998년 9월 15일, 당시 WWE 커미셔너였던 서전 슬로터는 재클린과 세이블의 WWE 위민스 챔피언십 경기를 주선했고, 이 경기에서 재클린이 승리하며 WWE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함과 동시에 최초의 흑인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잭클린 무어(잭클린), 세이블, 데브라, 아이보리, 더 패뷸러스 물라, 더 캣, 하비나, 스테파니 맥맨, 리타, 차이나 등이 WWE 위민스 디비전에서 활약했으나, WWE는 위민스 챔피언 차이나와의 계약을 놓고 의견 충돌을 보이기 시작했다. 차이나는 자신의 봉급을 올려달라고 제안했지만 WWE는 이를 거절했고, 결국 차이나와의 재계약이 불발되면서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주인을 잃게 되었다.

하지만 2001년 11월, 당시 연합군 소속의 윌리엄 리걸은 WWE 소속 트리시 스트래터스, 잭클린 무어(재클린), 리타와 연합군 소속의 아이보리, 마이티 몰리, 재즈를 투입시켜 6팩 챌린지 방식의 WWE 위민스 타이틀 경기를 주선했고, 이 경기에서는 트리시 스트래터스가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역사가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2002년 브랜드 분리 이후,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스맥다운의 디바들도 참여하면서 공동 소속으로 각본이 이행되었으나, 2002년 하반기부터는 자연스럽게 RAW에 소속되었다. 스맥다운 디바들은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드래프트 혹은 이적을 해야 했으며, 위민스 챔피언십 디비전이 RAW에 소속되면서, 자연스럽게 RAW쪽에서는 기량이 뛰어난 디바들이 그리고 스맥다운쪽에서는 미모의 디바들이 브랜드에 소속되면서 서로 다른 스토리라인이 진행되어왔다.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2008년 6월 당시 스맥다운 단장 비키 게레로의 결정으로 스맥다운에 WWE 디바스 챔피언십이 신설되기 전까지 6년간 홀로 군림했다. 2009년 드래프트를 통해 7년간 RAW에 속해있던 위민스 타이틀이 스맥다운으로, 신설되어 자리를 잡아가던 디바스 타이틀이 RAW로 이동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디비전은 베스 피닉스의 부상, 티파니의 부재로 점점 힘을 잃어가기 시작했고, 결국 2010년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레일라와 미쉘 맥쿨이 멜리나를 꺽고 통합 디바스 챔피언십에 오르면서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54년 만에 폐지되었다.

2016년 레슬매니아 32 이후 WWE에서 디바스 디비전을 위민스 디비전으로 개편하기로 하면서, WWE 디바스 타이틀이 폐지되고 명칭만 동일한 타이틀이 창설된다.

타이틀 명칭연도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1956년 ~ 1983년
WWF 위민스 챔피언십1983년 ~ 2002년
WWE 위민스 챔피언십2002년 ~ 2010년


2. 1.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시대 (1956년 ~ 1983년)

1956년 9월 18일, 더 패뷸러스 물라는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 토너먼트에서 우승하며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3] 이는 WWE 위민스 챔피언십의 기원으로, WWE는 물라의 NWA 챔피언 등극 시기를 초대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있다.[4]

당시 WWE는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의 회원사였던 캐피톨 레슬링 코퍼레이션이 1963년 NWA에서 탈퇴하여 월드 와이드 레슬링 페더레이션(WWWF)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 챔피언십 권리를 구매한 물라는 1984년까지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으로서 타이틀을 방어했다.[4]

1983년 WWF는 NWA와 결별했고, 물라는 1984년 챔피언십 권리를 WWF에 판매했다. WWF는 물라를 WWF 위민스 챔피언으로 인정하고, 1956년 챔피언 등극 시점부터의 통치를 주장했다.[4] WWE는 1956년부터 물라가 1984년 타이틀을 잃을 때까지의 기간만 인정하고, 그 이전의 챔피언들과 타이틀 변동은 인정하지 않는다.[5] 그 결과, 더 패뷸러스 물라의 첫 번째 통치는 WWE에서 28년으로 간주된다.[6]

더 패뷸러스 물라, WWE가 28년(1956년~1984년) 동안 타이틀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한 초대이자 최장수 여성 챔피언; 그녀는 오리지널 챔피언십 벨트를 들고 있다

2. 2. WWF 위민스 챔피언십 시대 (1983년 ~ 2002년)

1983년 더 패뷸러스 물라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의 권리를 빈스 맥맨에게 판매하면서 WWF 위민스 챔피언십이 탄생했다. WWF는 물라가 1956년 9월 18일에 초대 챔피언에 등극한 것을 인정했지만, 1966년부터 1978년 사이의 기간은 인정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물라는 28년간 챔피언 자리를 유지한 것으로 기록되었다.[6]

1984년 7월 23일, 웬디 리히터가 물라를 꺾고 새로운 WWF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후 레일라니 카이,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등이 챔피언 벨트를 차지하며 WWF 위민스 디비전의 초기 역사를 장식했다.

1990년 로킹 로빈이 WWF를 떠나면서 챔피언십은 일시적으로 폐지되었으나, 1993년 알룬드라 블레이즈가 등장하면서 다시 부활했다. 블레이즈는 토너먼트 결승에서 하이디 리 모건을 꺾고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했다.

하지만 1995년 블레이즈가 WWF와의 재계약에 실패하고 라이벌 단체인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으로 이적하면서, ''

이후 WWF 위민스 챔피언십은 다시 폐지되었다가 1998년 잭클린 무어(재클린)와 세이블(세이블)의 대립을 통해 부활했다. 잭클린은 세이블을 꺾고 새로운 챔피언에 등극함과 동시에 최초의 흑인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데브라, 아이보리, 차이나 등 여러 여성 레슬러들이 챔피언 벨트를 차지하며 경쟁을 벌였다. 특히 차이나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던 선수로, 그녀의 챔피언 등극과 WWE와의 계약 분쟁은 한국 팬들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2002년 WWF가 WWE로 명칭을 변경한 후, 위민스 챔피언십은 WWE 브랜드 확장에 따라 Raw와 SmackDown에서 공동으로 방어되다가, 같은 해 하반기부터는 Raw 브랜드에 소속되었다.

타이틀 명칭연도
NWA 월드 위민스 챔피언십1956년 ~ 1983년
WWF 위민스 챔피언십1983년 ~ 2002년
WWE 위민스 챔피언십2002년 ~ 2010년


2. 3. WWE 위민스 챔피언십 시대 (2002년 ~ 2010년)

2008년에는 위민스 챔피언십에 대한 대응책으로 WWE 디바스 챔피언십SmackDown을 위해 설립되었다.2009년 4월 13일SmackDown여성 챔피언 멜리나가 2009년 WWE 드래프트에서 SmackDown으로 드래프트되었다.2010년 9월 19일N/A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미셸 맥쿨이 디바스 챔피언십을 위민스 챔피언십과 통합했다. 위민스 챔피언십은 폐지되었고, 디바스 챔피언십은 잠시 통합 WWE 디바스 챔피언십으로 알려졌으며, RawSmackDown에서 모두 방어되었다.


3. 역대 챔피언

WWE 위민스 챔피언십을 획득한 모든 레슬러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레일라는 2010년 타이틀이 폐지되기 전 마지막 챔피언이었다.


이 챔피언십은 56년 역사 동안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치며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다(WWE에서 인정하지 않는 6번의 재위와 3명은 제외).[16] WWE 공식 기록에 따르면, 초대 챔피언은 1956년 9월 18일 주디 그레이블을 꺾고 승리한 더 패뷸러스 물라였다.[16] 트리쉬 스트래터스는 7번으로 최다 챔피언에 올랐다. 미키 제임스의 세 번째 챔피언 기간은 1시간 미만으로 최단 기록이다.[17] 더 패뷸러스 물라(6회),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트리쉬 스트래터스 단 4명만이 1년(365일) 이상 연속으로 챔피언십을 보유했다.[18]

이 타이틀은 주로 여성 레슬러들이 경쟁했지만, "허비나"라는 이름으로 남성인 하비 위플먼이 한 번 차지하기도 했다.[19]

레슬러획득 횟수획득 날짜프로그램경기 형식
※NWA 세계 여자 챔피언십으로 창설. 1984년 챔피언십 인수까지의 챔피언십은 해당 챔피언십의 초대부터 10대까지를 참조
패뷸러스 물라11956년 9월 18일-토너먼트 결승전
※챔피언십 권리를 WWF가 인수하여 WWF 세계 여자 챔피언십이 됨
웬디 리히터11984년 7월 23일-원 폴
레일라니 카이11985년 2월 18일-원 폴
웬디 리히터21985년 3월 31일레슬매니아원 폴
패뷸러스 물라21985년 11월 25일-원 폴
벨벳 매킨타이어11986년 7월 3일-원 폴
패뷸러스 물라31986년 7월 9일-원 폴
센세이셔널 셰리11987년 7월 24일-원 폴
로킹 로빈11988년 10월 7일-원 폴
※로킹 로빈이 1990년 2월 21일에 WWF를 떠남에 따라 반납. 1993년 12월 13일까지 공석
알런드라 블레이즈11993년 12월 13일RAW토너먼트 결승전
불 나카노11994년 11월 27일-원 폴
알런드라 블레이즈21995년 4월 3일-원 폴
버사 페이11995년 8월 27일서머슬램 1995원 폴
알런드라 블레이즈31995년 10월 23일-원 폴
※앤드라 블레이즈가 챔피언십을 보유한 채 WCW로 이적하면서 챔피언십이 1998년 9월 15일까지 동결
재클린11998년 9월 15일RAW Is WAR원 폴
세이블11998년 11월 15일서바이버 시리즈 1998원 폴
데브라11999년 5월 10일RAW Is WAR이브닝 가운
아이보리11999년 6월 14일RAW Is WAR원 폴
패뷸러스 물라41999년 10월 17일노 머시 1999원 폴
아이보리21999년 10월 25일RAW Is WAR원 폴
더 캣11999년 12월 12일아머게돈 1999이브닝 가운 인 더 풀
하비나12000년 1월 31일RAW Is WAR원 폴
재클린22000년 2월 1일SmackDown!원 폴
스테파니 맥마흔 헬름슬리12000년 3월 28일SmackDown!원 폴
리타12000년 8월 21일RAW Is WAR원 폴
아이보리32000년 11월 2일SmackDown!페이탈 포 웨이
차이나12001년 4월 1일레슬매니아 X-세븐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12001년 11월 18일서바이버 시리즈 20016-우먼 챌린지
재즈12002년 2월 4일RAW원 폴
※단체명 변경에 따라, 5월 6일부터 WWE 세계 여자 챔피언십으로 개칭
트리쉬 스트래터스22002년 5월 13일RAW혼성 태그팀
몰리 할리12002년 6월 23일킹 오브 더 링 2002원 폴
※2 브랜드 제도로 이행하여 RAW 소속이므로 RAW 관할이 됨
트리쉬 스트래터스32002년 9월 22일언포기븐 2002원 폴
빅토리아12002년 11월 17일서바이버 시리즈 2002하드코어
트리쉬 스트래터스42003년 3월 30일레슬매니아 XIX트리플 쓰렛
재즈22003년 4월 27일백래쉬 2003원 폴
게일 킴12003년 6월 30일RAW7-우먼 배틀 로열
몰리 할리22003년 7월 28일RAW원 폴
빅토리아22004년 2월 23일RAW포 웨이 엘리미네이션
트리쉬 스트래터스52004년 6월 13일배드 블러드 2004페이탈 포 웨이
리타22004년 12월 6일RAW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62005년 1월 9일뉴 이어스 레볼루션 2005원 폴
미키 제임스12006년 4월 2일레슬매니아 22원 폴
리타32006년 8월 14일RAW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72006년 9월 17일언포기븐 2006원 폴
리타42006년 11월 5일사이버 선데이 2006디바스 럼버잭 (토너먼트 결승전)
미키 제임스22006년 11월 26일서바이버 시리즈 2006원 폴
멜리나12007년 2월 19일RAW원 폴
미키 제임스32007년 4월 24일-트리플 쓰렛
멜리나22007년 4월 24일-원 폴
캔디스 미셸12007년 6월 24일벤전스 2007원 폴
베스 피닉스12007년 10월 7일노 머시 2007원 폴
미키 제임스42008년 4월 14일RAW원 폴
베스 피닉스22008년 8월 17일서머슬램 2008인터젠더 태그팀
멜리나32009년 1월 25일로열 럼블 2009원 폴
※드래프트에 의해 SmackDown!로 이적하여 SmackDown 관할이 됨
미셸 맥쿨12009년 6월 28일더 배시 2009원 폴
미키 제임스52010년 1월 31일로열 럼블 2010원 폴
미셸 맥쿨22010년 2월 26일SmackDown원 폴
베스 피닉스32010년 4월 25일익스트림 룰즈익스트림 메이크오버
레일라12010년 5월 14일SmackDown핸디캡
※미셸 맥쿨과의 태그팀 "레이 쿨"로 챔피언십을 공동 보유
WWE 디바스 챔피언십과 통합하여 WWE 디바스 통합 챔피언십으로 개칭되어 소멸


3. 1. 주요 챔피언



WWE 위민스 챔피언십(1956년~2010년)은 56년 역사 동안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치며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다(WWE에서 인정하지 않는 6번의 재위와 3명은 제외). WWE 공식 기록에 따르면, 초대 챔피언은 1956년 9월 18일 주디 그레이블을 꺾고 승리한 더 패뷸러스 물라였다.[16]

더 패뷸러스 물라는 여러 차례 챔피언에 올랐으며, WWE는 1956년과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동을 공식 인정하지 않지만, 그녀의 통산 챔피언 기간은 매우 길었다. 트리쉬 스트래터스는 WWE가 인정한 최다 챔피언(7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8] 미키 제임스의 세 번째 챔피언 기간은 1시간 미만으로 가장 짧았다.[17]

더 패뷸러스 물라(6회),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트리쉬 스트래터스는 1년(365일) 이상 연속으로 챔피언십을 보유한 선수들이다.[18]

하비 위플먼은 "허비나"라는 이름으로 이 챔피언십을 차지한 유일한 남성 레슬러였다.[19]

레슬러획득 횟수획득 날짜프로그램경기 형식
패뷸러스 물라11956년 9월 18일-토너먼트 결승전
웬디 리히터11984년 7월 23일-원 폴
레일라니 카이11985년 2월 18일-원 폴
웬디 리히터21985년 3월 31일레슬매니아원 폴
패뷸러스 물라21985년 11월 25일-원 폴
벨벳 매킨타이어11986년 7월 3일-원 폴
패뷸러스 물라31986년 7월 9일-원 폴
센세이셔널 셰리11987년 7월 24일-원 폴
로킹 로빈11988년 10월 7일-원 폴
알런드라 블레이즈11993년 12월 13일RAW토너먼트 결승전
불 나카노11994년 11월 27일-원 폴
알런드라 블레이즈21995년 4월 3일-원 폴
버사 페이11995년 8월 27일서머슬램 1995원 폴
알런드라 블레이즈31995년 10월 23일-원 폴
재클린11998년 9월 15일RAW Is WAR원 폴
세이블11998년 11월 15일서바이버 시리즈 1998원 폴
데브라11999년 5월 10일RAW Is WAR이브닝 가운
아이보리11999년 6월 14일RAW Is WAR원 폴
패뷸러스 물라41999년 10월 17일노 머시 1999원 폴
아이보리21999년 10월 25일RAW Is WAR원 폴
더 캣11999년 12월 12일아머게돈 1999이브닝 가운 인 더 풀
하비나12000년 1월 31일RAW Is WAR원 폴
재클린22000년 2월 1일SmackDown!원 폴
스테파니 맥마흔 헬름슬리12000년 3월 28일SmackDown!원 폴
리타12000년 8월 21일RAW Is WAR원 폴
아이보리32000년 11월 2일SmackDown!페이탈 포 웨이
차이나12001년 4월 1일레슬매니아 X-세븐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12001년 11월 18일서바이버 시리즈 20016-우먼 챌린지
재즈12002년 2월 4일RAW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22002년 5월 13일RAW혼성 태그팀
몰리 할리12002년 6월 23일킹 오브 더 링 2002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32002년 9월 22일언포기븐 2002원 폴
빅토리아12002년 11월 17일서바이버 시리즈 2002하드코어
트리쉬 스트래터스42003년 3월 30일레슬매니아 XIX트리플 쓰렛
재즈22003년 4월 27일백래쉬 2003원 폴
게일 킴12003년 6월 30일RAW7-우먼 배틀 로열
몰리 할리22003년 7월 28일RAW원 폴
빅토리아22004년 2월 23일RAW포 웨이 엘리미네이션
트리쉬 스트래터스52004년 6월 13일배드 블러드 2004페이탈 포 웨이
리타22004년 12월 6일RAW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62005년 1월 9일뉴 이어스 레볼루션 2005원 폴
미키 제임스12006년 4월 2일레슬매니아 22원 폴
리타32006년 8월 14일RAW원 폴
트리쉬 스트래터스72006년 9월 17일언포기븐 2006원 폴
리타42006년 11월 5일사이버 선데이 2006디바스 럼버잭 (토너먼트 결승전)
미키 제임스22006년 11월 26일서바이버 시리즈 2006원 폴
멜리나12007년 2월 19일RAW원 폴
미키 제임스32007년 4월 24일-트리플 쓰렛
멜리나22007년 4월 24일-원 폴
캔디스 미셸12007년 6월 24일벤전스 2007원 폴
베스 피닉스12007년 10월 7일노 머시 2007원 폴
미키 제임스42008년 4월 14일RAW원 폴
베스 피닉스22008년 8월 17일서머슬램 2008인터젠더 태그팀
멜리나32009년 1월 25일로열 럼블 2009원 폴
미셸 맥쿨12009년 6월 28일더 배시 2009원 폴
미키 제임스52010년 1월 31일로열 럼블 2010원 폴
미셸 맥쿨22010년 2월 26일SmackDown원 폴
베스 피닉스32010년 4월 25일익스트림 룰즈익스트림 메이크오버
레일라12010년 5월 14일SmackDown핸디캡


3. 2. 특이 기록 보유 챔피언



WWE 위민스 챔피언십(1956년~2010년)은 56년의 역사 동안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쳐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다. (WWE에서 인정하지 않는 6번의 재위와 3명의 챔피언은 제외)

더 패뷸러스 물라,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트리쉬 스트래터스 단 4명만이 1년(365일) 이상 연속으로 챔피언십을 보유했다.[18]

이 타이틀은 주로 여성 레슬러들이 경쟁했지만, 예외적으로 남성인 하비 위플먼이 "허비나"라는 이름으로 챔피언에 등극한 적이 있다.[19]

4. 기록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56년 역사 동안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치며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다(프로모션에서 인정하지 않는 6번의 재위와 3명은 제외). WWE는 1956년과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경을 인정하지 않아 더 패뷸러스 물라의 최장수 챔피언 기록(10,770일)은 28년으로 간주한다. 또한, 더 패뷸러스 물라는 트리시 스트래터스와 함께 7번의 최다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지만, WWE의 기록 인정 문제로 인해 물라는 4번, 스트래터스는 7번으로 기록된다. 미키 제임스의 세 번째 재위는 1시간 미만으로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이다.[17] 더 패뷸러스 물라(6번),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트리쉬 스트래터스까지 단 4명의 여성만이 1년(365일) 이상 연속으로 챔피언십을 보유했다.[18]

이 타이틀은 주로 여성 레슬러들이 경쟁했지만, "허비나"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남성 레슬러 하비 위플먼이 챔피언에 오른 적도 있다.[19]

4. 1. 챔피언십 관련 기록



챔피언십의 56년 역사 동안,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 사이에서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다(프로모션에서 인정하지 않는 6번의 재위와 3명이 있다).[16]

기록선수내용
초대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1956년 9월 18일
마지막 챔피언레일라2010년 5월 14일
최장수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10,770일
최단 기간 챔피언미키 제임스1시간[17]
최다 챔피언트리시 스트래터스7회
최중량급 챔피언버샤 페이120kg
최경량급 챔피언미스 키티48kg
최고령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76세 106일
최연소 챔피언웬디 릭터22세 321일



WWE 공식 타이틀 역사에 따르면, 초대 챔피언은 1956년 9월 18일 주디 그레이블을 꺾고 승리한 더 패뷸러스 물라였다.[16] 물라는 10년 동안 타이틀을 보유하여 최장기간 재위했지만, WWE는 1956년과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경을 프로모션에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28년으로 간주한다. 더 패뷸러스 물라는 기술적으로 트리쉬 스트래터스와 7번의 최다 재위로 동률이지만, WWE가 1956년과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경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물라는 4번만 가지고 있고 스트래터스는 7번으로 최다 재위를 기록했다. 미키 제임스의 세 번째 재위는 1시간 미만으로 최단 기록이다.[17] 더 패뷸러스 물라(6번의 개별적인 경우에 이 기록을 달성),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트리쉬 스트래터스 단 4명의 여성만이 1년(365일) 이상 연속으로 챔피언십을 보유했다.[18]

이 타이틀은 주로 여성 레슬러들이 경쟁했지만, "허비나"라는 이름으로 남성인 하비 위플먼이 한 번 차지하기도 했다.[19]

4. 2. 기타 기록

기록내용
초대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 (1956년 9월 18일)[16]
마지막 챔피언레일라 (2010년 5월 14일)
최장수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 (10,770일)
최단 기간 챔피언미키 제임스 (1시간)[17]
최다 챔피언트리시 스트래터스 (7회)
최중량급 챔피언버샤 페이 (120kg)
최경량급 챔피언미스 키티 (48kg)
최고령 챔피언더 패뷸러스 물라 (76세 106일)
최연소 챔피언웬디 릭터 (22세 321일)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56년 역사 동안 29명의 챔피언과 4번의 공석을 거치며 59번의 챔피언십 재위가 있었다(프로모션에서 인정하지 않는 6번의 재위와 3명은 제외). WWE 공식 타이틀 역사에 따르면, 초대 챔피언은 1956년 9월 18일 주디 그레이블을 꺾고 승리한 더 패뷸러스 물라였다.[16] 더 패뷸러스 물라는 WWE가 1956년과 1984년 사이의 타이틀 변경을 인정하지 않아 공식적으로는 4회 챔피언이지만, 실제로는 트리시 스트래터스와 함께 최다인 7회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미키 제임스의 세 번째 재위는 1시간 미만으로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이다.[17] 1년(365일) 이상 연속으로 챔피언십을 보유한 여성은 더 패뷸러스 물라(6번), 센세이셔널 셰리, 로킹 로빈, 트리쉬 스트래터스까지 단 4명뿐이다.[18]

이 타이틀은 주로 여성 레슬러들이 경쟁했지만, "허비나"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남성 레슬러 하비 위플먼이 챔피언에 오른 적도 있다.[19]

5. 의미와 유산

WWE 위민스 챔피언십은 WWE 여성 레슬링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ickie's third Reign http://www.wwe.com/i[...] WWE.com 2007-10-23
[2] 웹사이트 Flawless mark on history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10-09-24
[3] 웹사이트 Moolah: Twenty-eight years was the reign http://www.canoe.ca/[...] SLAM! Wrestling 1998-10-05
[4] 웹사이트 The Professional Wrestling Hall of Fame: Fabulous Moolah http://www.wrestling[...] The Ring Chronicle 2007-10-26
[5] 웹사이트 NWA World Women's Championship http://www.eccw.com/[...] Extreme Canadian Championship Wrestling 2009-03-26
[6] 웹사이트 WWE: Inside WWE > Title History > Women's > 19560918 – Fabulous Moolah http://www.wwe.com/i[...] WWE.com 2007-10-06
[7] 웹사이트 Women's Championship reign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7-11-24
[8] 서적 The Fabulous Moolah: First Goddess of the Squared Circle ReaganBooks
[9] 웹사이트 Alundra Blayze's first reign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09-03-22
[10] 뉴스 Rena enjoys home life Miami Herald 2007-10-20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fied Divas Championship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10-09-21
[12] 웹사이트 19931213 – Alundra Blayze http://www.wwe.com/c[...] WWE.com 2015-12-18
[13] 웹사이트 WWE Title Tournaments http://www.prowrestl[...] Prowrestlinghistory.com 2015-12-18
[14] 웹사이트 WWF 1993 http://www.thehistor[...] The History of WWE
[15] 웹사이트 20061105 – Lita http://www.wwe.com/c[...] WWE.com 2015-12-18
[16] 웹사이트 The Fabulous Moolah's first reign http://www.wwe.com/i[...] WWE 2016-04-04
[17] 웹사이트 Melina's second reign http://www.wwe.com/i[...] WWE 2016-04-04
[18] 웹사이트 WWE Women's Championship Title History https://www.wwe.com/[...] WWE 2008-10-17
[19] 웹사이트 Hervina's first reign http://www.wwe.com/i[...] WWE 2016-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