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6년은 다양한 정치, 사회, 문화적 사건이 발생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소련의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비판하는 연설을 했으며, 모로코, 튀니지가 독립했다. 또한, 헝가리 혁명이 일어났고, 수에즈 운하 국유화로 수에즈 전쟁이 발발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승만이 대통령에 재선되었고, 조선로동당 제3차 당대회가 열렸다. 문화적으로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하트브레이크 호텔"로 차트에 진입하고, 영화 《왕과 나》가 개봉했으며, 일본에서는 미나마타병이 발견되었다. 이 해에는 1월 3일 알렉산더 그레차니노프, 9월 6일 이중섭 등 많은 인물이 사망했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멜 깁슨, 톰 행크스 등 많은 유명 인사가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56년 | |
---|---|
연도별 사건 | |
1월 | 1956년 1월 |
2월 | 1956년 2월 |
3월 | 1956년 3월 |
4월 | 1956년 4월 |
5월 | 1956년 5월 |
6월 | 1956년 6월 |
7월 | 1956년 7월 |
8월 | 1956년 8월 |
9월 | 1956년 9월 |
10월 | 1956년 10월 |
11월 | 1956년 11월 |
12월 | 1956년 12월 |
분야별 1956년 | |
애니메이션 | 1956년 애니메이션 |
고고학 | 1956년 고고학 |
건축 | 1956년 건축 |
미술 | 1956년 미술 |
항공 | 1956년 항공 |
만화 | 1956년 만화 |
영화 | 1956년 영화 |
문학 | 1956년 문학 |
시 | 1956년 시 |
기상학 | :분류:1956년 기상학 |
음악 | 1956년 음악 |
컨트리 음악 | 1956년 컨트리 음악 |
재즈 | 1956년 재즈 |
라틴 음악 | 1956년 라틴 음악 |
철도 운송 | 1956년 철도 운송 |
라디오 | 1956년 라디오 |
과학 | 1956년 과학 |
우주 비행 | 1956년 우주 비행 |
스포츠 | 1956년 스포츠 |
축구 | 1956년 축구 |
텔레비전 | 1956년 텔레비전 |
미국 텔레비전 | 1956년 미국 텔레비전 |
오스트레일리아 텔레비전 | 1956년 오스트레일리아 텔레비전 |
벨기에 텔레비전 | 1956년 벨기에 텔레비전 |
브라질 텔레비전 | 1956년 브라질 텔레비전 |
영국 텔레비전 | 1956년 영국 텔레비전 |
스코틀랜드 텔레비전 | 1956년 스코틀랜드 텔레비전 |
캐나다 텔레비전 | 1956년 캐나다 텔레비전 |
덴마크 텔레비전 | 1956년 덴마크 텔레비전 |
아일랜드 텔레비전 | 1956년 아일랜드 텔레비전 |
이탈리아 텔레비전 | 1956년 이탈리아 텔레비전 |
국가별 1956년 | |
아프가니스탄 | 1956년 아프가니스탄 |
아르헨티나 | 1956년 아르헨티나 |
오스트레일리아 | 1956년 오스트레일리아 |
방글라데시 | 1956년 방글라데시 |
벨기에 | 1956년 벨기에 |
브라질 | 1956년 브라질 |
불가리아 | 1956년 불가리아 |
캐나다 | 1956년 캐나다 |
중국 | 1956년 중국 |
콜롬비아 | 1956년 콜롬비아 |
덴마크 | 1956년 덴마크 |
에콰도르 | 1956년 에콰도르 |
핀란드 | 1956년 핀란드 |
프랑스 | 1956년 프랑스 |
독일 | 1956년 독일 |
그리스 | 1956년 그리스 |
헝가리 | 1956년 헝가리 |
인도 | 1956년 인도 |
인도네시아 | 1956년 인도네시아 |
아일랜드 | 1956년 아일랜드 |
이란 | 1956년 이란 |
이스라엘 | 1956년 이스라엘 |
이탈리아 | 1956년 이탈리아 |
일본 | 1956년 일본 |
쿠웨이트 | 1956년 쿠웨이트 |
룩셈부르크 | 1956년 룩셈부르크 |
말라야 | 1956년 말라야 |
말레이시아 | 1956년 말레이시아 |
멕시코 | 1956년 멕시코 |
네덜란드 | 1956년 네덜란드 |
뉴질랜드 | 1956년 뉴질랜드 |
노르웨이 | 1956년 노르웨이 |
파키스탄 | 1956년 파키스탄 |
페루 | 1956년 페루 |
필리핀 | 1956년 필리핀 |
포르투갈 | 1956년 포르투갈 |
러시아 | 1956년 러시아 |
싱가포르 | 1956년 싱가포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5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
대한민국 | 1956년 대한민국 |
소련 | 1956년 소련 |
스페인 | 1956년 스페인 |
스웨덴 | 1956년 스웨덴 |
스위스 | 1956년 스위스 |
태국 | 1956년 태국 |
터키 | 1956년 터키 |
우크라이나 | 1956년 우크라이나 |
영국 | 1956년 영국 |
미국 | 1956년 미국 |
베네수엘라 | 1956년 베네수엘라 |
짐바브웨 | 1956년 짐바브웨 |
지도자 목록 | |
주권 국가 | 1956년 주권 국가 목록 |
주권 국가 지도자 | 1956년 주권 국가 지도자 목록 |
속령 총독 | 20세기 속령 총독 목록 |
종교 지도자 | 20세기 종교 지도자 목록 |
법 | :분류:1956년 법 |
출생 및 사망 분류 | |
출생 | :분류:1956년 출생 |
사망 | :분류:1956년 사망 |
설립 및 해체 분류 | |
설립 | :분류:1956년 설립 |
해체 | :분류:1956년 해체 |
작품 분류 | |
작품 | :분류:1956년 작품 |
도입 | :분류:1956년 도입 |
2. 주요 사건
1월 12일 - 태신호 화재 발생.
2월 11일 - 아관파천 60주년.
2월 25일 -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 비밀 회의에서 행한 연설 "개인숭배와 그 결과에 관하여"에서 요셉 스탈린에 대한 숭배를 비판하다. 이는 당시 소련에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6월에 서방에서 알려지게 된다.
3월 1일 - 동독 인민군이 창설되다.
3월 2일 - 모로코가 프랑스와 에스파냐로부터 독립하다.[3]
3월 9일
- * 영국이 키프로스의 마카리오스 대주교를 세이셸로 추방함.
- * 소련군이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에 대한 반응으로 조지아에서 발생한 대규모 시위를 진압함.(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3월 20일 - 튀니지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3월 23일 - 파키스탄이 최초의 이슬람 공화국이 되고, 국경일이 동파키스탄을 포함한 전국적으로 지정됨.
4월 28일 - 조선로동당 제3차당대회.
6월 28일 - 1956년 포즈난 폭동: 폴란드 포즈난에서 발생한 노동 폭동이 많은 사상자를 내며 진압되다. 높은 물가에 항의하는 군중에게 소비에트 연방군이 발포하여 53명이 사망하다.
7월 26일 -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야기하다.
8월 15일 - 이승만 3대 대통령 임기 시작
8월 30일 - 북한에서 8월 종파 사건이 발생하여 간부들이 최고 지도자 김일성의 인격 숭배와 산업 정책을 비판함.[52]
9월 7일 - 제네바에서 노예제도 폐지를 위한 국제조약 조인
9월 28일 - 장면 부통령, 민주당 전당대회서 김상봉에게 피격되어 경상을 입음.
9월 29일 - 한국전쟁 참전 16개국 휴전감시위원단 한반도 철수 결정.
10월 6일 - 대한민국과 미국, 한미우호통상조약 체결.
10월 19일 - 1956년 소련-일본 공동 선언이 체결되어 소련과 일본 간의 법적 전쟁 상태가 종식되고 (12월 12일 발효) 두 국가 간 외교 관계 회복이 가능해지다.[13]
10월 23일 - 헝가리에서 스탈린주의에 반대하는 유럽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남.
10월 24일 -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 간의 비밀 협정인 세브르 의정서가 체결되어 이스라엘이 다른 두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를 침략하고 수에즈 운하를 점령할 수 있게 되어 수에즈 위기를 야기하다.[14]
10월 29일 - 수에즈 전쟁이 터지다.
11월 6일 -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에 재선.
11월 12일 - 모로코, 수단, 튀니지 유엔 가입.
12월 18일 - 일본, 유엔 가입.
국제형사경찰기구의 설립.
1956년 1월 1일 - 57년간 지속된 영국-이집트 수단 공동통치가 수단에서 종식됨.
1956년 1월 16일 - 이집트 지도자 감마르 압델 나세르가 팔레스타인을 재정복할 것을 서약함.
2. 1. 정치 및 국제 관계
1월 12일 - 태신호 화재 발생.2월 11일 - 아관파천 60주년.
3월 1일 - 동독 인민군이 창설되다.
3월 2일 - 모로코가 프랑스와 에스파냐로부터 독립하다.[3]
3월 20일 - 튀니지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4월 28일 - 조선로동당 제3차당대회.
8월 15일 - 이승만 3대 대통령 임기 시작
8월 30일 - 북한에서 8월 종파 사건이 발생하여 간부들이 최고 지도자 김일성의 인격 숭배와 산업 정책을 비판함.[52]
9월 7일 - 제네바에서 노예제도 폐지를 위한 국제조약 조인
9월 28일 - 장면 부통령, 민주당 전당대회서 김상봉에게 피격되어 경상을 입음.
9월 29일 - 한국전쟁 참전 16개국 휴전감시위원단 한반도 철수 결정.
10월 6일 - 대한민국과 미국, 한미우호통상조약 체결.
10월 19일 - 1956년 소련-일본 공동 선언이 체결되어 소련과 일본 간의 법적 전쟁 상태가 종식되고 (12월 12일 발효) 두 국가 간 외교 관계 회복이 가능해지다.[13]
10월 23일 - 헝가리에서 스탈린주의에 반대하는 유럽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남.
10월 24일 -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 간의 비밀 협정인 세브르 의정서가 체결되어 이스라엘이 다른 두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를 침략하고 수에즈 운하를 점령할 수 있게 되어 수에즈 위기를 야기하다.[14]
10월 29일 - 수에즈 전쟁이 터지다.
11월 6일 -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에 재선.
11월 12일 - 모로코, 수단, 튀니지 유엔 가입.
12월 18일 - 일본, 유엔 가입.
- 국제형사경찰기구의 설립.
1956년 1월 1일 – 57년간 지속된 영국-이집트 수단 공동통치가 수단에서 종식됨.
1956년 1월 16일 – 이집트 지도자 감마르 압델 나세르가 팔레스타인을 재정복할 것을 서약함.
2월 25일 –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 공산당 제20차 대회 비밀 회의에서 행한 연설 "개인숭배와 그 결과에 관하여"에서 요셉 스탈린에 대한 숭배를 비판하다. 이는 당시 소련에서는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지만 6월에 서방에서 알려지게 된다.
1956년 3월 9일
- * 영국이 키프로스의 마카리오스 대주교를 세이셸로 추방함.
- * 소련군이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에 대한 반응으로 조지아에서 발생한 대규모 시위를 진압함.(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56년 3월 23일 – 파키스탄이 최초의 이슬람 공화국이 되고, 국경일이 동파키스탄을 포함한 전국적으로 지정됨.
7월 26일 –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야기하다.
1956년 6월 28일 - 1956년 포즈난 폭동: 폴란드 포즈난에서 발생한 노동 폭동이 많은 사상자를 내며 진압되다. 높은 물가에 항의하는 군중에게 소비에트 연방군이 발포하여 53명이 사망하다.
2. 2. 사회 및 경제
1956년 사회 및 경제 분야에서는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4월에는 여러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4월 7일 스페인이 모로코 보호령을 포기했다.[4] 4월 9일에는 하비브 부르기바가 튀니지 왕국의 국민입헌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4월 15일에는 총리가 되었다.[4] 4월 14일, 암펙스는 시카고에서 열린 1956년 NARTB(현재 NAB) 컨벤션에서 비디오테이프를 최초로 시연했다. 이 비디오테이프는 2인치 쿼드러플렉스로 알려진 최초의 실용적이고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형식이었다. 4월 18일에는 마리아 데실라-카포디스트리아가 코르푸의 시장으로 선출되어 그리스 최초의 여성 시장이 되었다. 4월 19일에는 미국 여배우 그레이스 켈리가 모나코의 라니에르 3세와 결혼했다. 4월 27일에는 헤비급 권투 챔피언 로키 마르시아노가 프로 권투 경기에서 한 번도 패하지 않고 은퇴했다.

5월에도 여러 사건이 있었다. 1956년 5월 1일에는 일본에서 미나마타병이 발견되었다. 1956년 5월 2일에는 미국의 미합중국 감리교회가 총회에서 여성에게 정식 성직자 지위를 부여하기로 결정하고, 교파 내의 인종 차별 종식을 촉구했다. 1956년 5월 8일에는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 간의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연합이 해체되었다. 1956년 5월 9일에는 일본 원정대가 마나슬루(네팔 히말라야)에 첫 등정했다. 1956년 5월 24일에는 스위스 루가노에서 첫 번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방송되었다.
6월에는 1956년 6월 8일 제너럴 일렉트릭/텔레크론이 최초의 스누즈 알람 시계인 7H241 모델 "스누즈 알람"을 출시했다.[6] 1956년 6월 29일에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1956년 연방 지원 고속도로법에 서명하여 미국의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을 건설했다. 1956년 6월 30일에는 1956년 그랜드 캐니언 공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128명이 사망했다.
9월에는 9월 13일 IBM 팀이 레이놀드 비. 존슨의 주도하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발명했다. 9월 16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9월 25일에는 잠수함 대서양 횡단 전화 케이블이 개통되었다.
11월에는 1956년 11월 14일 캔자스주 토피카 서쪽에 8마일 길이의 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미국 최초의 미국간 고속도로 시스템 구간이자 1956년 연방 지원 고속도로 법 자금으로 완공된 최초의 고속도로가 되었다.[16] 11월 1일에는 인도의 인도 주 재편성 법에 따라 인도 주의 경계와 이름이 개정되었다.
12월에는 12월 3일 미국 브루클린에서 1956년 부시 터미널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1월 28일 만국 저작권 조약이 공포되어 (C) 마크가 제정되었고,[51] 2월 1일에는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이 시행되어 자동차손해배상보험의 강제가입이 실시되었다. 5월 1일에는 미나마타병 첫 환자가 공식 확인되었다. 9월 1일에는 요코하마시, 나고야시, 교토시, 오사카시, 고베시가 최초로 정령지정도시가 되었다. 11월 28일에는 일본 최초의 만화 주간지 「주간 만화 타임즈」가 창간되었다.
2. 3. 문화
1956년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중요한 발전이 있었던 해였다. 대한민국에서는 5월 8일에 국회에서 어머니날이 제정되었고, 5월 12일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TV 방송국인 대한방송이 개국했다. 또한, 극동방송이 12월 23일에 개국하였다. 기업 대상에서는 미원을 출시했다.미국 메이저 리그 월드시리즈에서는 돈 라슨이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2월 22일에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하트브레이크 호텔"로 미국 음악 차트에 처음 진입했으며,[1] 노르마 진 모텐슨은 법적으로 자신의 이름을 마릴린 먼로로 변경했다.[2] 도리스 데이는 "Que Sera, Sera (Whatever Will Be, Will Be)"를 녹음했는데,[3] 이 노래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영화 ''현혹''에 수록되었다. 5월 24일에는 스위스 루가노에서 첫 번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방송되었으며, 스위스의 리스 아시아가 부른 ''Refrain''이 수상했다.[4] 6월 28일에는 로저스와 해머스타인의 ''왕과 나'' 영화판이 개봉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9]
일본에서는 미나마타병이 5월 1일에 발견되었다.[10] 9월 16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11]
1956년에 개봉된 영화로는 왕과 나, 자이언츠(감독: 조지 스티븐스), 십계(감독: 세실 B. 드밀), 전쟁과 평화, 수색자(감독: 존 포드) 등이 있다. 일본 영화로는 우주인 도쿄에 나타나다, 미친 과실(감독: 나카히라 야스시, 각본: 이시하라 신타로, 주연: 이시하라 유지로), 공중의 대괴수 라돈, 대낮의 암흑(감독: 이마이 타다시) 등이 있다.
문학 부문에서는 아쿠타가와상 제35회 수상작으로 콘도 케이타로의 『바다사람 배』(海人舟)가 선정되었고, 제36회는 수상작이 없었다. 나오키상 제35회 수상작은 난죠 노리오의 『등대귀신』(燈台鬼)과 이마칸 이치의 『벽의 꽃』(壁の花)이었고, 제36회는 이마 히가루의 『오긴 님』(お吟さま)과 호즈미 오도로의 『이긴 까마귀』(勝烏)였다.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즐거운 찬(悦ちゃん), 금어루극장·오토라씨, 치로린 마을과 호두나무(チロリン村とくるみの木), 마사나리 군이 통과한다(正成君罷り通る), 비·바람·흐림(雨・風・曇)(후에 '춘하추동'으로 개제), 나는 꽃씨씨(わが輩ははなばな氏), 교양특집, 도탄바(どたんば), 도시바 일요극장 제1회 / 돌아오는 다리(戻橋) 등이 방송되었다. 주부일본방송(中部日本放送)텔레비전(현CBC텔레비전(CBCテレビ)), 오사카텔레비방송(大阪テレビ放送)(현아사히방송텔레비전(朝日放送テレビ))이 개국했다.
라디오 부문에서는 4월 1일에 라디오 야마구치(현 山口放送)가 개국했다.
캐치프레이즈 등 | 상품명 등 | 제조사 | 출연자 | 음악 |
---|---|---|---|---|
♪집안에서 모두 기린, 기린 | 기린맥주・기린레몬 | 기린맥주(麒麟麦酒) | - | 미키 토리오(三木鶏郎) |
2. 4. 탄생
1월 1일에는 프랑스의 법률가이자 정치인이며, IMF 총재인 크리스틴 라가르드와[20][21] 일본의 배우 야쿠쇼 코지가 태어났다.[57] 1월 3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미국의 배우 멜 깁슨이,[22] 1월 5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평론가 강준만과 독일의 정치인이자 제12대 대통령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가 태어났다.[23] 1월 7일에는 미국의 배우 데이비드 카루소가,[24] 1월 8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유해무가 태어났다. 1월 9일에는 영국의 배우 이멜다 스탠턴이,[25] 1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명규가 태어났다.1월 13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선택이, 1월 16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연극연출가 윤석화가 태어났다. 1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경철이, 1월 2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도현과 미국의 배우 지나 데이비스가[26] 태어났다. 1월 22일에는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정치인 최병국이, 1월 23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곽대홍이 태어났다. 1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유지인이, 1월 31일에는 네덜란드의 프로그래머 귀도 반 로섬이 태어났다.
2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정수현이, 2월 3일에는 미국의 배우 네이선 레인과[27] 대한민국의 동화작가 박상재가 태어났다. 2월 4일에는 대한민국 강원도지사 최문순이, 2월 8일에는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 김종수가 태어났다. 2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백성호가, 2월 14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박인숙(~2015년)이 태어났다. 2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박용수와 미국의 모델 폴리나 포리스코바가, 2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구성애가 태어났다.
2월 21일에는 대한민국의 가수 장현(~1990년)이, 2월 23일에는 일본의 가수 노구치 고로가[28] 태어났다. 2월 24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식이, 2월 26일에는 일본의 가수 구와타 게이스케와[29] 대한민국의 성우 장승길이 태어났다. 2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정영기와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류종현이 태어났다.
3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형열(~2020년)이, 3월 3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정종준,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미선이 태어났다. 3월 7일에는 미국의 배우 브라이언 크랜스턴이,[30] 3월 9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유지인이 태어났다. 3월 11일에는 미국의 성우 롭 폴슨이,[31] 3월 12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철순과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핌 페르베이크(~2019년)가 태어났다.
3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김익태가, 3월 18일에는 대한민국의 희극인 서세원(~2023년)이 태어났다. 3월 2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기춘이, 3월 28일에는 대한민국의 종교인 전광훈이 태어났다. 4월 3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손상득이, 4월 5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순동운이 태어났다. 4월 6일에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박선영이, 4월 9일에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지영서가 태어났다.
4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권희덕(~2018년)과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이응진이, 4월 12일에는 미국의 배우 앤디 가르시아가[32] 태어났다. 4월 13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박규점이, 4월 14일에는 미국의 소프라노 가수 바바라 보니가 태어났다. 4월 16일에는 미국의 우주인 데이비드 맥도월 브라운(~2003년)이, 4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윤갑수가 태어났다. 4월 28일에는 미국의 배우 폴 길포일이, 4월 30일에는 덴마크의 영화 감독 라르스 폰 트리어가[33] 태어났다.
5월 1일에는 미국의 만화가 팀 세일(~2022년)이, 5월 2일에는 일본의 방송 작가 아키모토 야스시가 태어났다. 5월 7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현숙희가, 5월 9일에는 미국의 배우 웬디 크루슨이 태어났다. 5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용달이, 5월 12일에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클라우스 알로프스가 태어났다. 5월 16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장기용이, 5월 17일에는 미국의 권투 선수 슈거 레이 레너드와[34] 미국의 희극인 밥 서겟(~2022년)이 태어났다.
5월 23일에는 마크 벙커가, 5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상수와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주세페 토르나토레가[35] 태어났다. 5월 3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병용이 태어났다. 6월 5일에는 미국의 색소폰 연주가 케니 지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영화 감독 로저 미첼(~2021년)이, 6월 6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한수경이 태어났다. 6월 7일에는 잉글랜드의 배우 마크 라이언이, 6월 9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은경이 태어났다.
6월 12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권은아가, 6월 13일에는 아르메니아의 역도 선수 유리 바르다냔(~2018년)이 태어났다. 6월 18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유동근이, 6월 23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최순실이 태어났다. 6월 25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최성우와 미국의 요리사 앤서니 보데인(~2018년)이,[36] 6월 27일에는 일본의 야구 선수 니시모토 다카시가 태어났다.
7월 3일에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영만이, 7월 4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안경진이 태어났다. 7월 8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이, 7월 9일에는 미국의 영화배우 톰 행크스가[37] 태어났다. 7월 14일에는 대한민국의 통계학자 박중양이, 7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장영주가 태어났다. 7월 20일에는 카메룬의 전 축구 선수 토마스 은코노가, 7월 21일에는 대한민국의 성우 박영화가 태어났다.
7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전직 아나운서 손석희가, 7월 28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원종례가 태어났다. 7월 31일에는 미국의 배우 마이클 빈이 태어났다. 8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골퍼 구옥희(~2013년)가, 8월 2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종혁과 대한민국의 경찰 공무원 이성한이 태어났다. 8월 4일에는 미국의 해군 예비역 대장 해리 해리스가, 8월 5일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진성이 태어났다.
8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권투 선수 김득구(~1982년)가, 8월 11일에는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루이 리옹이 태어났다. 8월 13일에는 영국의 기업인 제러미 피스가, 8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임정혁이 태어났다. 8월 20일에는 미국의 배우 조앤 앨런이, 8월 21일에는 영국계 캐나다 배우 킴 커트랠이[38] 태어났다. 8월 25일에는 대한민국의 교수 전용일이, 8월 3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노회찬(~2018년), 일본의 배우 다시로 마사시, 중화민국의 총통 차이잉원이 태어났다.
9월 2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재형과 대한민국의 군인 황기철이, 9월 5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성회가 태어났다. 9월 9일에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서유열과 대한민국 정치인 김성수가, 9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배숙과 프랑스의 영화 감독 에릭 종카가 태어났다. 9월 12일에는 홍콩의 영화 배우 장국영(~2003년)이, 9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의원 박은수가 태어났다.
9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일권이, 9월 23일에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파올로 로시(~2020년)와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란이 태어났다. 9월 24일에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 이하원(~2016년)이, 9월 25일에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장해랑이 태어났다. 9월 26일에는 미국의 배우 린다 해밀턴이,[39] 9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문창근(~2005년)이 태어났다.
10월 1일에는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밴스 로가, 10월 2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진이 태어났다. 10월 4일에는 오스트리아의 배우 크리스토프 발츠가, 10월 6일에는 대한민국의 교육인 조희연이 태어났다. 10월 7일에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상돈이, 10월 15일에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송재박이 태어났다. 10월 16일에는 대한민국의 공무원 배국환이, 10월 19일에는 인도의 배우 써니 데올이 태어났다.
10월 20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정성모와 영국의 영화 감독 대니 보일이, 10월 21일에는 미국의 배우 캐리 피셔(~2016년)와 대한민국의 성우 기경옥이 태어났다. 10월 23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이성용이, 10월 24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민호가 태어났다. 10월 25일에는 대한민국의 방송인 이영돈이, 10월 26일에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백이 태어났다. 10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두열(~2016년)이 태어났다.
11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국악인 이호연이, 11월 6일에는 벨기에의 살인자 마르크 뒤트루가 태어났다. 11월 7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동섭이, 11월 8일에는 영국의 영화 감독 리처드 커티스가 태어났다. 11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이영하(~2019년)와 일본의 전 야구 선수 다카하시 미치타케가, 11월 14일에는 네덜란드의 범죄 기자 페터르 R. 더프리스(~2021년)가 태어났다.
11월 22일에는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페르난두 고메스(~2022년)가, 11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김원배(~2024년)가 태어났다. 11월 30일에는 대한민국의 요리연구가 이혜정이, 12월 1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태희가 태어났다. 12월 5일에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클라우스 알로프스와 대한민국의 가수 문준영이, 12월 7일에는 대한민국의 국악음악가 정은하(~2023년)와 대한민국의 만화가 정형기가 태어났다.
12월 8일에는 뉴질랜드의 축구 선수 키스 맥카이가, 12월 19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선이 태어났다. 12월 10일에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덕현이, 12월 20일에는 미국의 음악가 애니타 워드가 태어났다. 12월 24일에는 대한민국의 교육인 심화진이, 12월 27일에는 대한민국의 배우 정승호가 태어났다. 12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안희재와 미국의 기업인 데이브 체케츠가 태어났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의 언론학자 심재철과 대한민국의 배우 봉두개가 1956년에 태어났다.














2. 5. 사망

- 1월 5일 – 미스탱게트, 프랑스 가수 및 배우 (출생 1875년)
- 1월 6일 - 미스탱게트(ミスタンゲット), 샹송 가수, 배우 (1873년)
- 1월 7일 - 송종익,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1887년~)
- 1월 9일 – 매리언 레너드, 미국 배우 (출생 1881년)
- 1월 11일 - 리오넬 파이닝거(リオネル・ファイニンガー), 화가(1871년)
- 1월 11일 - 이시다 이치마쓰(石田一松), 엔카 가수(1902년)
- 1월 12일 – 노먼 케리, 미국 배우 (출생 1894년)
- 1월 18일 – 콘스탄틴 뻬츠, 에스토니아 초대 대통령 (출생 1874년)
- 1월 19일 - 니콜라이 파닌(ニコライ・パニン), 피겨 스케이팅 선수(1871년)
- 1월 23일
- * 알렉산더 코르다, 헝가리 태생 영화 감독 (출생 1893년)
- * 빌리 에반스(ビリー・エバンス), 메이저리그 심판(1884년)
- 1월 25일 - 사노 쓰네하(佐野常羽), 대일본제국 해군 소장, 보이스카우트 지도자(1871년)
- 1월 26일 - 고가네이 키미코(小金井喜美子), 가인, 번역가(1871년)
- 1월 27일 – 에리히 클라이버, 독일 지휘자 (출생 1890년)
- 1월 28일 - 오가타 타케토라(緒方竹虎), 저널리스트, 정치가, 자유당(일본 1950-1955) 총재(1888년)
- 1월 29일
- * H. L. 멘켄, 미국 작가 (출생 1880년)
- * 히노 소시(日野草城), 하이쿠 시인(1901년)
- 1월 31일
- * A. A. 밀른, 영국 작가 (''곰돌이 푸'' 저자) (출생 1882년)
- * 오키노 이와사부로(沖野岩三郎), 소설가, 목사(1876년)
- 2월 2일
- *밥 번즈(Bob Burns), 미국의 코미디언 (1890년 출생)
- *찰리 그레이프윈(Charley Grapewin), 미국의 배우 (1869년 출생)
- * 오노 미치마로, 야구 선수 (* 1897년)
- 2월 3일 – 로버트 예르케스(Robert Yerkes),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 (1876년 출생)
- 2월 8일 - 코니 맥(コニー・マック), 메이저 리그 야구(MLB) 팀 감독 (* 1862년)
- 2월 10일 – 휴 트렌차드(Hugh Trenchard), 제1대 트렌차드 자작, 영국의 왕립 공군 원수 (1873년 출생)
- 2월 13일 - 얀 우카셰비치, 논리학자·철학자 (* 1878년)
- 2월 14일 - 미요시 히데유키(美吉秀行), 정치가 (* 1885년)
- 2월 16일 - 메그나드 사하, 물리학자 (* 1893년)
- 2월 18일 – 귀스타브 샤르팡티에(Gustave Charpentier), 프랑스의 작곡가 (1860년 출생)
- 2월 20일
- * 하인리히 바르크하우젠(Heinrich Barkhausen), 독일의 물리학자 (1881년 출생)
- * 초대 도쿠다 야소키치(徳田八十吉), 도예가 (* 1873년)
- 2월 26일 – 엘시 재니스(Elsie Janis),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1889년 출생)
- 2월 28일 – 프리제시 리에시(Frigyes Riesz), 헝가리의 수학자 (1880년 출생)[40]
- 2월 29일 – 엘피디오 키리노(Elpidio Quirino), 필리핀의 제6대 대통령 (1890년 출생)

- 3월 2일 - 프레드 마클(Fred Merkle), 메이저리거 (* 1888년)
- 3월 12일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폴란드의 공산당 정치인이자 국무원, 전 폴란드 총리이자 대통령 (1892년생)
- 3월 14일
- * 데이비드 브라우닝, 미국의 올림픽 다이빙 선수 (1931년생)
- * 요시다 타카코(吉田隆子), 작곡가 (* 1910년)
- 3월 15일 - 오스틴 오스만 스퍼(Austin Osman Spare), 화가 (* 1886년)
- 3월 17일
- * 프레드 앨런, 미국의 코미디언 (1894년생)
- * 이렌 졸리오퀴리, 프랑스의 물리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1897년생)

- 3월 18일 – 루이 브롬필드, 미국의 작가 (1896년생)
- 3월 20일
- * 박인환, 대한민국의 모더니즘 시인. (1926년~)
- * 패니 두락, 호주의 수영 선수 (1889년생)
- * 빌헬름 미클라스, 오스트리아 제3대 대통령 (1872년생)

- 3월 22일
- * 에두아르도 로나르디, 아르헨티나 제30대 대통령 (1896년생)
- * 조르주 사르통, 벨기에계 미국인 화학자이자 역사가 (1884년생)
- 3월 25일 – 로버트 뉴턴, 잉글랜드의 배우 (1905년생)
- 3월 28일 – 토마스 드 하트만, 러시아의 작곡가 (1885년생)
- 3월 30일 – 에드먼드 클레리휴 벤트리, 잉글랜드의 작가 (1875년생)
- 3월 31일 – 랠프 드팔마, 이탈리아계 미국인 자동차 경주 선수 (1884년생)
- 4월 2일 - 고무라 고타로(高村光太郎), 시인·가인 (* 1883년)
- 4월 10일 - 진저 뷰몬(ジンジャー・ビューモン), 메이저리거 (* 1876년)
- 4월 13일 – 에밀 놀데(Emil Nolde), 독일-덴마크 화가 (출생 1867년)
- 4월 15일 – 캐슬린 하워드(Kathleen Howard), 캐나다 태생 미국 배우이자 오페라 가수 (출생 1884년)
- 4월 19일 – 에른스트 로베르트 쿠르티우스(Ernst Robert Curtius), 알자스 출신 언어학자 (출생 1886년)
- 4월 21일
- * 찰스 맥아더(Charles MacArthur), 미국 극작가이자 각본가 (출생 1895년)
- * 요시다 겐지로(吉田絃二郎), 소설가 (* 1886년)
- 4월 24일 – 헨리 스티븐슨(Henry Stephenson), 영국 배우 (출생 1871년)
- 4월 26일 – 에드워드 아놀드(Edward Arnold), 미국 배우 (출생 1890년)
- 4월 29일
- * 해럴드 브라이드(Harold Bride), 영국 태생 RMS 타이타닉호의 무선 통신사 (출생 1890년)
- * 빌헬름 리터 폰 레브(Wilhelm Ritter von Leeb), 독일 원수 (출생 1876년)
- * 나카야마 헤이지로(中山平次郎), 고고학자 (* 1871년)
- 4월 30일
- * 앨번 워커 바클리(Alben W. Barkley), 제35대 미국 부통령 (출생 1877년)
- * 우가키 카즈나리(宇垣一成), 정치가·육군군인·육군대장 (* 1868년)

- 5월 5일 - 신익희,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
- 5월 6일 – 퍼거스 앤더슨(Fergus Anderson), 영국 모터사이클 경주 선수 (출생 1909년)
- 5월 11일 - 마쓰모토 타카시(松本たかし), 하이쿠 시인 (* 1906년)
- 5월 12일 – 루이스 캘헌(Louis Calhern), 미국 배우 (출생 1895년)
- 5월 15일
- * 오스틴 오스만 스페어(Austin Osman Spare), 영국 화가이자 오컬티스트 (출생 1886년)
- * 오다카 아사오(尾高朝雄), 법학자·도쿄대학교 교수 (* 1899년)
- 5월 20일
- * 맥스 비어봄(Max Beerbohm), 영국 수필가, 패러디스트, 캐리커처리스트 (출생 1872년)
- * 졸탄 할마이(Zoltán Halmay), 헝가리 올림픽 수영 선수 (출생 1881년)
- 5월 23일 – 구스타프 수이츠(Gustav Suits), 에스토니아 시인 (출생 1883년)
- 5월 24일
- * 가이 키비(Guy Kibbee), 미국 배우 (출생 1882년)
- * 오로치야마 유스케(大蛇山酉之助), 대일본상권 스모 선수 (* 1897년)
- 5월 26일 – 앨 시먼스(Al Simmons), 미국 야구 선수 (출생 1902년)
- 5월 29일
- * 헤르만 아벤트로트, 독일의 지휘자. (1883년~)
- * 프랭크 보레페어(Frank Beaurepaire),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수영 선수 (출생 1891년)
- 5월 30일 – 조지 머레이 레빅(George Murray Levick), 영국 남극 탐험가이자 해군 외과의 (출생 1876년)[41][42]
- 5월 31일 – 디드리히 헤르만 베스터만(Diedrich Hermann Westermann), 독일 언어학자 (출생 1875년)
- 6월 2일 – 장 에르솔트(Jean Hersholt), 덴마크 태생 미국 배우 (출생: 1886년)
- 6월 4일 – 캐서린 맥도널드(Katherine MacDonald), 미국 배우 (출생: 1891년)
- 6월 6일
- * 히람 빙엄 3세(Hiram Bingham III), 미국의 탐험가, 마추픽추(Machu Picchu) 발견자 (출생: 1875년)
- * 마가렛 와이처리(Margaret Wycherly), 영국 배우 (출생: 1881년)
- 6월 7일 – 쥘리앙 벤다(Julien Benda), 프랑스 철학자이자 소설가 (출생: 1867년)[43]
- 6월 8일 -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 화가·조각가(*1883년)
- 6월 11일
- * 프랭크 브랭윈(Frank Brangwyn), 영국-웨일스계 예술가 (출생: 1867년)
- * 랄프 모건(Ralph Morgan), 미국 배우 (출생: 1883년)
- * 량세 쵸타로(梁瀬長太郎), 실업가·야나세(ヤナセ) 창업자(*1879년)
- 6월 17일 – 아르투르 뻬이토이아누(Artur Văitoianu), 루마니아 장군이자 정치인, 루마니아 제27대 총리 (출생: 1864년)

- 6월 19일 – 토마스 J. 왓슨(Thomas J. Watson), 미국의 컴퓨터 개척자 (출생: 1874년)[44]
- 6월 22일 - 월터 드 라 메어(Walter de la Mare), 소설가·시인(*1873년)
- 6월 23일 – 레인홀트 글리에르(Reinhold Glière), 러시아 작곡가 (출생: 1875년)
- 6월 25일
- * 어니스트 킹(Ernest King), 미 해군 함대 사령관 겸 최고 사령관 (출생: 1878년)
- * 미야기 미치오(宮城道雄), 13현 가곡 연주자·작곡가(*1894년)

- 6월 26일
- * 클리포드 브라운(Clifford Brown),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출생: 1930년)
- * 클리포드 브라운(Clifford Brown), 재즈 음악가(*1930년)
- 6월 30일 - 알프레도 페라리(Alfredo Ferrari), 자동차 기술자(*1932년)
- 7월 1일 – 타우피크 아부 알후다(Tawfik Abu al-Huda), 요르단의 4선 총리(1895년 출생)
- 7월 4일 - 미키 무네키치(三木武吉), 정치가 (* 1884년)
- 7월 5일 - 하타 요네키치(秦豊吉), 번역가·연출가 (* 1892년)
- 7월 7일 – 고트프리트 벤(Gottfried Benn), 독일 시인 (1886년 출생)
- 7월 8일 – 조반니 파피니(Giovanni Papini), 이탈리아 수필가, 시인, 소설가 (1881년 출생)
- 7월 29일 - 에드워드 간틀렛(エドワード・ガントレット), 언어학자 (* 1868년)
- 8월 1일 – 조니 머레이(Johnny Murray), 미국의 성우 (생년: 1904년)
- 8월 2일 - 호우지 칸지(邦枝完二), 소설가 (* 1892년)
- 8월 11일
- *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미국의 화가 (생년: 1912년)
- * 민초 네이체프(Mincho Neychev), 불가리아 국민의회 의장(국가원수) (생년: 1887년)
- 8월 14일
- *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 독일의 극작가 (생년: 1898년)
-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Konstantin von Neurath), 나치 독일의 외교관이자 외무장관 (생년: 1873년)

- 8월 16일 – 벨라 루고시(Bela Lugosi), 헝가리 태생 미국 영화 배우 (''드라큘라'') (생년: 1882년)
- 8월 19일 – 버나드 그리핀(Bernard Griffin), 잉글랜드 추기경 (생년: 1899년)
- 8월 24일
- * 미조구치 겐지(Kenji Mizoguchi), 일본 영화 감독 (생년: 1898년)
- * 히다 하루미치(肥田春充), 히다식 강건술(肥田式強健術) 창시자 (* 1883년)
- 8월 25일 – 알프레드 킨제이(Alfred Kinsey), 미국의 성 연구가 (생년: 1894년)
- 8월 26일 – 양궈(Yeung Kwo), 말레이시아 정치인이자 말레이시아 공산당 부서기장 (생년: 1919년)
- 8월 31일
- * 이브 나트(イヴ・ナット), 피아니스트 (* 1890년)
- * 마사키 진자부로(真崎甚三郎), 육군 군인·육군 대장 (* 1876년)
- 9월 6일 - 이중섭, 대한민국의 화가. (1916년~)
- 9월 7일 – C. B. 프라이(C. B. Fry), 잉글랜드의 스포츠맨이자 작가 (출생: 1872년)
- 9월 8일 - 임헌당(林献堂), 타이완의 정치가 (* 1881년 출생)
- 9월 11일
- * 빌리 비숍(Billy Bishop), 캐나다의 제1차 세계 대전 비행 에이스 (출생: 1894년)
- * 카를로스 불로산(Carlos Bulosan), 필리핀계 미국인 소설가이자 시인 (출생: 1913년)[45]
- * 뤼시앵 푸브르(Lucien Febvre), 프랑스 역사학자 (출생: 1878년)
- 9월 17일 - 이와사키 테루야(岩崎輝弥), 실업가·일본의 철도 팬 선구자 (* 1887년 출생)
- 9월 20일 – 플로라 엘더쇼(Flora Eldershaw), 오스트레일리아의 소설가, 비평가, 역사학자 (출생: 1897년)[46]
- 9월 22일 – 프레더릭 소디(Frederick Soddy), 잉글랜드의 화학자, 노벨상 수상자 (출생: 1877년)
- 9월 27일
- * 베이브 디드릭슨 자하리아스(Babe Didrikson Zaharias), 미국의 골퍼 (출생: 1911년)
- * 뤼시앵 페브르(リュシアン・フェーヴル), 역사학자 (* 1878년 출생)
- 9월 28일 – 윌리엄 E. 보잉(William E. Boeing), 미국의 엔지니어이자 항공기 제조업체 (출생: 1881년)[47]
- 9월 29일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Anastasio Somoza García), 니카라과 제29대 니카라과 대통령 (출생: 1896년)
|thumb|100px|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Anastasio Somoza García)
- 10월 2일 – 조지 뱅크로프트(George Bancroft), 미국 배우 (출생: 1882년)
- 10월 6일 – 찰스 E. 메릴(Charles E. Merrill), 미국 은행가, 메릴린치(Merrill Lynch) 공동 창업자 (출생: 1885년)[48]
- 10월 9일 – 마리 도로(Marie Doro), 미국 배우 (출생: 1882년)
- 10월 12일 – 로렌초 페로시(Lorenzo Perosi), 이탈리아 작곡가 (출생: 1872년)
- 10월 14일 – 줄 르리샤르(Jules Richard), 프랑스 수학자 (출생: 1862년)
- 10월 15일 - 시가노야 단코(滋野谷淡交), 희극 배우 (* 1883년)
- 10월 16일 – 쥘 리메(Jules Rimet), 프랑스 축구 행정가, 제3대 FIFA 회장 (출생: 1873년)
- 10월 17일 – 앤 크로포드(Anne Crawford), 영국 배우 (출생: 1920년)
- 10월 19일 – 이샴 존스(Isham Jones), 미국 음악가 (출생: 1894년)
- 10월 22일 – 한나 미첼(Hannah Mitchell), 영국 사회주의자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 (출생: 1872년)
- 10월 24일 - 미우라 미쓰오(三浦光雄), 촬영기사 (* 1902년)
- 10월 25일 – 리스토 뤼티(Risto Ryti), 제23대 핀란드 총리 및 제5대 핀란드 대통령 (출생: 1889년)

- 10월 26일 – 발터 기제킹(Walter Gieseking), 프랑스 출신 독일 피아니스트 (출생: 1895년)
- 10월 30일 – 피오 바로하(Pío Baroja), 스페인 소설가 (출생: 1872년)
- 11월 1일
- * 피에트로 바돌리오(Pietro Badoglio), 이탈리아의 원수이자 제28대 이탈리아 총리 (출생: 1871년)
- * 토미 존슨(Tommy Johnson), 미국의 음악가 (출생: 1896년)

- 11월 2일 – 레오 바이크(Leo Baeck), 독일의 랍비, 학자이자 신학자 (출생: 1873년)
- 11월 3일 - 장 메트상제(Jean Metzinger), 프랑스의 화가, 이론가이자 비평가 (출생: 1883년)
- 11월 5일 – 아트 테이텀(Art Tatum),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출생: 1909년)
- 11월 6일 – 폴 켈리(Paul Kelly), 미국의 무대 및 영화 배우 (출생: 1899년)
- 11월 10일 – 빅터 영(Victor Young), 미국의 작곡가 (출생: 1900년)
- 11월 12일 – 후안 네그린(Juan Negrín), 스페인의 제67대 총리 (출생: 1892년)

- 11월 16일 - 호우코쿠 고로(鳳谷五郎), 제24대 요코즈나 (* 1887년)
- 11월 19일 – 프랜시스 L. 설리반(Francis L. Sullivan), 영국의 배우 (출생: 1903년)
- 11월 21일 - 아이즈 하치이치(会津八一), 가인·미술사가·서예가 (* 1881년)
- 11월 22일 – 테오도어 코슬로프(Theodore Kosloff), 러시아 태생의 발레 무용수, 안무가이자 배우 (출생: 1882년)
- 11월 23일 – 앙드레 마르티(André Marty),
3. 노벨상
참조
[1]
서적
The Bulletin, volumes 4-5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2]
잡지
How Did Marilyn Monroe Get Her Name? This Photo Reveals the Story
https://time.com/536[...]
2022-07-03
[3]
뉴스
Morocco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2022-07-03
[4]
서적
Bourguiba
Elyzad
[5]
웹사이트
Browder v. Gayle, 142 F. Supp. 707 (M.D. Ala. 1956)
https://law.justia.c[...]
2020-06-23
[6]
웹사이트
7H241 The Snooz-Alarm
http://www.telechron[...]
[7]
웹사이트
US Army Flag
http://www.worldflag[...]
2009-04-06
[8]
뉴스
Stadiums
http://russianfootba[...]
2018-01-19
[9]
웹사이트
La Explosión de Cali: Agosto 7 de 1956
http://www.revistacr[...]
2019-03-21
[10]
웹사이트
How the inter-faith 'spirit of Toumliline' lives on 50 years after Moroccan monastery closed
https://capacity4dev[...]
European Union
2023-12-18
[11]
웹사이트
Domestic Grosses, Adjusted for Ticket Price Inflation
http://www.boxoffice[...]
2013-01-11
[12]
뉴스
1956: Queen switches on nuclear power
http://news.bbc.co.u[...]
BBC
1956-10-17
[13]
웹사이트
Preface
https://www.mofa.go.[...]
2023-04-02
[14]
뉴스
Secrets and lies at the heart of Britain's Middle Eastern folly
https://www.theguard[...]
2005-07-11
[15]
서적
One Day That Shook the Communist World: The 1956 Hungarian Uprising and Its Leg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뉴스
Superhighway System, in 20 Years, Has Tied a Vast Nation Together
1976-11-14
[17]
간행물
"We Will Bury You!"
http://www.time.com/[...]
1956-11-26
[18]
뉴스
1956: Motorists panic as petrol rations loom
http://news.bbc.co.u[...]
BBC
1956-11-29
[19]
간행물
Cinema: BB
https://content.time[...]
1957-11-11
[20]
뉴스
Брезвін Анатолій Іванович
https://lb.ua/file/p[...]
Gorshenin Institute
2016-12-14
[21]
웹사이트
Брезвін Анатолій Івановича
https://logos-ukrain[...]
2024-09-08
[22]
웹사이트
Imelda Staunton
https://www2.bfi.org[...]
2022-06-10
[23]
웹사이트
Susan Solomon
https://www.pas.va/e[...]
2024-11-11
[24]
웹사이트
Dalia Grybauskaite
https://www.britanni[...]
2021-07-29
[25]
웹사이트
Andrea Levy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9-02-15
[26]
웹사이트
Yegor Gaidar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1-07-29
[27]
서적
Jewish Sports Legends: The International Jewish Sports Hall of Fame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20-08-01
[28]
간행물
The Luxembourg Grand Ducal Family
Grand Duchy of Luxembourg Ministry of State, Press and Information Service
1986
[29]
웹사이트
Muere El Risitas, Juan Joya Borja, víctima de una larga enfermedad
https://www.lavangua[...]
2024-03-06
[30]
웹사이트
Christopher Darden 1957–
https://www.encyclop[...]
2023-12-13
[31]
웹사이트
http://www.lenta.ru/[...]
2009-11-26
[32]
뉴스
Anthony Bourdain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8-06-09
[33]
웹사이트
Amitav Ghosh
https://www.britanni[...]
[34]
웹사이트
Dianne Fromholtz (balestrat)
https://www.wtatenni[...]
Women's Tennis Association
[35]
웹사이트
Comics Industry Birthdays
http://cbgxtra.com/k[...]
2005-06-10
[36]
웹사이트
Lord Sebastian Coe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0-02-29
[37]
웹사이트
Carrie Fisher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4-02-25
[38]
웹사이트
Peter de Vries, award-winning Dutch investigative journalist renowned for his probes into the criminal underworld – obituary
https://www.telegrap[...]
2024-11-11
[39]
서적
Angelika Machinek – Eine Segelfliegerin der Weltklasse
Grin-Verl
[40]
웹사이트
Frigyes Riesz | Hungarian mathematicia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0-28
[41]
웹사이트
Life story: George Murray Levick | Lives of the First World War
https://livesofthefi[...]
[42]
웹사이트
https://www.christie[...]
[43]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French Though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4]
웹사이트
Thomas J. Watson
https://www.ibm.com/[...]
2003-01-23
[45]
서적
Notable Asian Americans
https://archive.org/[...]
Gale Research
1995
[46]
웹사이트
Flora Sydney Eldershaw (1897–1956)
https://adb.anu.edu.[...]
[47]
웹사이트
Boeing, William Edward (1881–1956)
https://www.historyl[...]
2022-10-28
[48]
웹사이트
Charles E. Merrill | American businessma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15
[49]
웹사이트
André Marty
https://spartacus-ed[...]
[50]
웹사이트
These Nobel Prize Winners Weren't Always Noble
https://web.archive.[...]
2021-01-19
[51]
서적
獄中三十二年 「死刑囚」平沢と共に生きて
現代史出版会(発売:徳間書店)
1980-09-30
[52]
학술지
昭和30年代におけるスーパーマーケットの誕生と「主婦の店」運動 ─吉田日出男と中内㓛を中心にして─
https://doi.org/10.1[...]
同志社大学人文科学研究所
2021-08-17
[53]
간행물
碧南一家連載50年記念特集
http://www.city.heki[...]
碧南市
2017-02-01
[54]
기타
[55]
기타
[56]
기타
[57]
웹사이트
PLASTICS中西俊夫、食道がんのため61歳で逝去
https://natalie.mu/m[...]
音楽ナタリー
2020-10-25
[58]
웹사이트
突然すぎる…キャンディーズ「スーちゃん」死去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芸能
2020-11-21
[59]
웹사이트
俳優の岡江久美子さんが肺炎で死去 63歳 新型コロナに感染
https://www3.nhk.or.[...]
NHKニュース
2020-10-24
[60]
웹사이트
米女優キャリー・フィッシャーさん死去 「レイア姫」
http://www.asahi.com[...]
2020-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