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ee1은 1978년 폴 너스에 의해 발견된 유전자이며,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 패밀리에 속한다. Wee1은 Cdk1을 인산화하여 억제하며, G2/M 검문 지점, 세포 크기 검문 지점, DNA 손상 검문 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에게는 WEE1 (WEE1A)과 WEE2 (WEE1B) 두 가지 상동 유전자가 존재하며, Wee1의 조절은 인산화와 단백질 분해를 통해 이루어진다. Wee1은 암세포의 DNA 손상 유도 세포 자멸사에 대한 저항성을 조절하며, Wee1 억제제는 항암 치료의 새로운 타겟으로 연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아다보세르팁(AZD1775)을 포함한 여러 Wee1 억제제가 임상 시험을 거쳤지만, 독성 문제로 인해 개발이 중단되거나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주기 - 감수분열
감수분열은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배우자를 형성하는 세포분열 과정으로, 염색체 수를 줄여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며, 감수분열 I과 II 두 단계로 구성되어 상동염색체 및 자매염색분체 분리, 독립적 분리 및 교차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지만, 염색체 비분리 오류는 염색체 이상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진핵생물 유성생식과 진화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 세포 주기 - 사이클린
사이클린은 세포 주기 조절에 중요한 단백질로,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아제(Cdk)와 결합하여 세포 주기 단계에 따라 농도가 변하며 Cdk의 활성을 조절하고, 2001년 발견자들이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EC 2.7.11 - 포토트로핀
포토트로핀은 식물에서 청색광을 감지하는 단백질로, 빛을 받으면 활성화되어 광굴성, 잎 펼침, 기공 개폐, 엽록체 이동과 같은 다양한 반응을 조절한다. - EC 2.7.11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네이스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네이스(PDK)는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PDC)를 인산화하여 비활성화시키는 효소로, 사람에게는 4가지 동질효소가 있으며, ATP, NADH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ADP, NAD+ 등에 의해 저해되며, 비만, 당뇨병, 암과 같은 질병과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다.
Wee1 | |
---|---|
기본 정보 | |
![]() | |
상징 | 유사분열 억제제 단백질 인산화효소 Wee1 |
다른 상징 | wee1 이중특이성 단백질 인산화효소 Wee1 |
EntrezGene | 2539123 |
UniProt | P07527 |
EC 번호 | 2.7.11.1 |
2. 역사
Wee1 유전자는 1978년 폴 너스가 분열 효모(''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처음 발견했다. 너스는 초기 실험에서 Wee1이 유사분열의 음성 조절자임을 입증했다. Wee1+ 활성은 Cdc25+ (유사분열 유도 인자) 효모 세포에서 조기 유사분열을 방지하며, Wee1+ 발현 증가는 세포 주기 진행을 지연시켜 세포 크기를 증가시켰다.[4] 너스는 피에르 튀리아와 함께 유사분열을 겪는 52개의 Wee 돌연변이를 분석했고, Wee1이 없는 돌연변이들은 비교적 작았다. 이를 바탕으로 Wee1이 세포의 M 단계 진입에 필요한 Cdc2의 용량 의존적 억제자라는 모델을 제시했다.[5][3] 이러한 발견과 세포 주기 조절 연구에 대한 공헌으로 폴 너스는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리 하트웰, 팀 헌트와 공동 수상했다.[6]
Wee1은 Cdk1을 Tyr15와 Thr14라는 두 아미노산 잔기에서 인산화하여 억제한다.[39] Cdk1은 다양한 세포 주기 검문 지점의 사이클린 의존적 통과에 있어 중요하다. Wee1에 의한 Cdk1의 억제는 적어도 다음 세 곳의 검문 지점에 중요하다.
3. 기능
또한 Wee1 인산화효소의 후생유전학적 기능이 보고됐다. Wee1은 히스톤의 전체적 발현을 조절하는 타이로신 37 잔기에서 히스톤 H2B를 인산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4]
4. 인간 상동체
WEE1 유전자는 인간에게 WEE1 (WEE1A)과 WEE2 (WEE1B) 두 가지 상동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단백질은 Wee1 유사 단백질 인산화효소와 WEE1 유사 단백질 인산화효소 2이며, 인간 Cdk1 상동체인 Cdk1에 작용한다.[3][4][5]
출아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Wee1 상동체는 Swe1이다.
5. 조절
Wee1의 조절은 생물 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S. pombe''에서는 인산화를 통해 조절되는 반면, 고등 진핵생물에서는 인산화와 단백질 분해를 통해 조절된다. ''S. cerevisiae''에서는 Wee1의 동족체인 Swe1이 인산화 및 분해를 통해 조절된다.
5. 1. ''S. pombe''에서의 조절
Cdk1과 사이클린 B는 성숙 촉진 인자(MPF)를 구성하며, 이는 Wee1에 의해 인산화되면 비활성화되고, 인산 가수 분해 효소 Cdc25C에 의해 활성화된다. Cdc25C는 폴로 인산화효소에 의해 활성화되고 Chk1에 의해 비활성화된다.[42] ''S. pombe''에서 Wee1 조절은 주로 Pom1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Cdr2와 Cdr1이 관여한다.[46][47][48][49]G2/M 전환기에 Cdk1은 Tyr15의 탈인산화를 통해 Cdc25에 의해 활성화된다. 같은 시점에서 Wee1은 Nim1/Cdr1에 의해 C 말단 촉매 도메인에서 인산화가 일어나 비활성화된다.[48] 활성 MPF는 Cdc25를 활성화하고 Wee1을 비활성화하는 양성 피드백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 과정은 아직 자세히 이해되지 않았다.[42]
5. 2. 고등 진핵생물에서의 조절
고등 진핵생물에서 Wee1의 비활성화는 인산화와 단백질 분해를 통해 일어난다.[50] SCFβ-TrCP1/2 복합체는 E3 유비퀴틴 리가아제로, Wee1A 유비퀴틴화에 관여한다. M기 인산화효소인 폴로 유사 키나아제(Plk1)와 Cdc2는 Wee1A의 특정 잔기를 인산화하여 SCFβ-TrCP1/2에 의한 인식을 유도한다.[23]5. 3. ''S. cerevisiae''에서의 조절
''S. cerevisiae''에서 사이클린 의존성 인산화효소 Cdc28 (Cdk1 동족체)은 Swe1 (Wee1 동족체)에 의해 인산화되고 Mih1 (Cdc25 동족체)에 의해 탈인산화된다. ''S. cerevisiae''의 Nim1/Cdr1 동족체 Hsl1은 연관된 인산화효소 Gin4, Kcc4와 함께 Swe1을 출아 경부에 국소화시킨다.[53] 출아 경부 관련 인산화효소 Cla4와 Cdc5 (폴로 인산화효소 동족체)는 세포 주기의 다른 단계에서 Swe1을 인산화한다. Swe1은 Clb2-Cdc28에 의해 인산화되어 Cdc5에 의한 추가 인산화 표지가 된다.[53]''S. cerevisiae'' 단백질 Swe1은 분해를 통해서도 조절된다. Swe1은 고등 진핵생물에서와 같이 Clb2-Cdc28과 Cdc5에 의해 과인산화되며, 이는 SCF E3 유비퀴틴 연결 효소 복합체에 의한 유비퀴틴화와 분해 신호일 수 있다.[53]
6. 암과의 관련성
난성숙촉진인자(MPF)는 DNA 손상 유도 세포 자멸사를 조절한다. WEE1에 의한 MPF의 음성 조절은 비정상적인 유사분열을 유발하여 DNA 손상 유도 세포 자멸사에 대한 저항성을 일으킨다.[54] 크루펠 유사 인자 2(KLF2)는 인간 WEE1을 음성 조절하여 암세포에서 DNA 손상 유도 세포 자멸사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킨다.[54]
Wee1과 암 발생 및 치료 반응과의 관계는 복합적이다. Wee1이 암 조직에서 종양 유전자 또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없다. 교모세포종, 간세포암종, 흑색종 등과 같은 고형 종양에서 Wee1의 과발현이 관찰되고, 증가된 Wee1 발현과 화학 요법/방사선 요법 저항성 또는 기타 증식 바이오마커와 같은 부정적인 예후 인자 간의 연관성이 보고되기도 한다. p53 기능 상실이 있는 경우 Wee1의 상향 조절 빈도가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비소세포폐암(NSCLC), 결장암 등과 같은 암 조직에서 Wee1의 하향 조절(또는 완전한 부재)이 발생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보고도 있으며, 유방암과 같은 특정 암에서는 상반되거나 논란이 있는 보고가 존재한다.[26][7][27]
Wee1 변이는 암 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약 1.2%), 변이가 종양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다.[7]
7. Wee1 억제제 개발
Wee1 억제는 항암 치료 분야에서 새로운 타겟으로 주목받고 있다. Wee1 억제제는 S/G2 검문소를 방해하여 세포의 조기 유사분열을 유도하고, "유사분열 재앙"을 통해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28] 세포 수준에서 Wee1을 억제하면 Tyr15의 존재가 현저히 감소하여 Cdk1 키나아제 활성이 증가하고 유사 분열 진입을 유발한다.[7]
현재 임상 단계에서 개발된 Wee1 억제제는 많지 않다.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아다보세르팁(AZD1775, MK1755)은 소분자 Wee1 억제제이며, 임상 시험에 들어간 최초의 약물이었다.[29] 2022년에 회사가 이 약물을 파이프라인에서 제외했지만, 아다보세르팁 단독 요법 또는 병용 요법을 테스트하는 여러 임상 시험이 수행되었다. 무작위 2상 임상 시험 FOCUS4-C 결과, 아다보세르팁 단독 투여군에서 약 2개월의 무진행 생존 기간(PFS) 개선이 나타났다.[30] 고형 종양 및 맑은 세포 신장 세포 암종 환자 대상 임상 시험에서는 객관적인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31] 다른 연구에서 아다보세르팁을 다른 치료법(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등)과 병용했을 때 다양한 수준의 영향을 보였으며, 가장 유망한 데이터는 부인과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에서 나왔다. p53 돌연변이 난소암 환자에서 Wee1 억제제를 카보플라틴(화학 요법 약물)과 병용하는 2상 임상 시험에서 전체 반응률은 41%, 중앙 PFS는 5.6개월이었다.[32]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서 젬시타빈(화학 요법 약물)과 아다보세르팁 병용 시 PFS가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치료군 4.6개월, 위약군 3.0개월).[33] 아다보세르팁의 개발 중단/제한의 주요 원인은 독성으로 보이며, 여러 연구에서 빈혈, 위장관 독성,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등 3등급 이상의 이상 반응을 경험한 환자들이 보고되었다.
ZN-c3, Debio-0123, SY-4835, ACR-2316, IMP7086 등 5개의 다른 Wee1 억제제가 여전히 임상 평가를 받고 있다. ZN-c3(azenosertib, Zentalis Therapeutics 개발)의 1상 데이터는 임상 활성의 초기 징후와 내약성을 보여준다.[34] 그러나 2024년 6월과 9월 사이에 환자 2명이 사망한 후, 여러 azenosertib 임상 시험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일시적으로 임상 보류되었다.[35]
8. 돌연변이 표현형
Wee1은 유전자 용량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유사분열 억제 인자로 작용한다.[36] 따라서 Wee1 단백질의 양은 세포의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다.
분열 효모 돌연변이 ''wee1''(''wee1−'')은 야생형 세포보다 현저히 작은 세포 크기에서 분열한다. Wee1은 유사분열 진입을 억제하므로, Wee1이 없으면 조기에 분열이 일어나고 세포 크기가 정상 이하로 작아진다. 반대로, Wee1 발현이 증가하면 유사분열이 지연되고 세포는 분열하기 전에 큰 크기로 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 wee1 / SPCC18B5.03
https://www.pombase.[...]
[2]
논문
Wee beasties
2004-12
[3]
논문
Regulatory genes controlling mitosis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1980-11
[4]
논문
Negative regulation of mitosis by wee1+, a gene encoding a protein kinase homolog
1987-05
[5]
논문
Paul Nurse and Pierre Thuriaux on wee Mutants and Cell Cycle Control
2016-12
[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01
https://www.nobelpri[...]
[7]
논문
A WEE1 family business: regulation of mitosis, cancer progression, and therapeutic target
2020-12
[8]
웹사이트
PKMYT1 in Cell Cycle Regulation and Cancer Therapeutics
https://bellbrooklab[...]
2024-03-05
[9]
논문
Wee1 Kinase: A Potential Target to Overcome Tumor Resistance to Therapy
2021-10
[10]
논문
The Wee1 protein kinase regulates T14 phosphorylation of fission yeast Cdc2
[11]
논문
Substrate Competition as a Source of Ultrasensitivity in the Inactivation of Wee1
2007-03
[12]
논문
Cdc2 regulatory factors
1994-12
[13]
논문
Wee1-dependent mechanisms required for coordination of cell growth and cell division
[14]
논문
The wee1 protein kinase is required for radiation-induced mitotic delay
[15]
논문
H2B Tyr37 phosphorylation suppresses expression of replication-dependent core histone genes.
[16]
논문
WEE1 tyrosine kinase, a novel epigenetic modifier.
[17]
논문
Replication checkpoint enforced by kinases Cds1 and Chk1
1998-05
[18]
논문
Nim1 kinase promotes mitosis by inactivating Wee1 tyrosine kinase
1993-06
[19]
논문
Negative regulation of the wee1 protein kinase by direct action of the nim1/cdr1 mitotic inducer
1993-03
[20]
논문
Two distinct mechanisms for negative regulation of the Wee1 protein kinase
1993-09
[21]
논문
Regulation of the human WEE1Hu CDK tyrosine 15-kinase during the cell cycle
1995-05
[22]
문서
BTRC (gene)|β-transducin repeat-containing protein 1/2 (β-TrCP1/2) F-box protein-containing SKP1/Cul1/F-box protein complex
[23]
논문
M-phase kinases induce phospho-dependent ubiquitination of somatic Wee1 by SCFbeta-TrCP
2004-03
[24]
논문
Monitoring the Cell Cycle by Multi-Kinase-Dependent Regulation of Swe1/Wee1 in Budding Yeast
2005-10-23
[25]
논문
Transcriptional repression of WEE1 by Kruppel-like factor 2 is involved in DNA damage-induced apoptosis
2005-06
[26]
논문
An update of predictive biomarkers related to WEE1 inhibition in cancer therapy
2024-01
[27]
논문
Wee1 kinase as a target for cancer therapy
2013-10
[28]
논문
Adavosertib and beyond: Biomarkers, drug combination and toxicity of WEE1 inhibitors
2024-01
[29]
웹사이트
https://www.cancer.g[...]
2024-12
[30]
논문
Inhibition of WEE1 Is Effective in TP53 - and RAS -Mutant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 Randomized Trial (FOCUS4-C) Comparing Adavosertib (AZD1775) With Active Monitoring
2021-11-20
[31]
논문
A Phase II Trial of the WEE1 Inhibitor Adavosertib in SETD2 - Altered Advanced Solid Tumor Malignancies (NCI 10170)
https://escholarship[...]
2024-07
[32]
논문
WEE1 inhibitor adavosertib in combination with carboplatin in advanced TP53 mutated ovarian cancer: A biomarker-enriched phase II study
https://pure.rug.nl/[...]
2023-07
[33]
논문
Adavosertib plus gemcitabine for platinum-resistant or platinum-refractory recurrent ovarian cancer: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phase 2 trial
2021-01
[34]
논문
Abstract CT016: Clinical activity of single-agent ZN-c3, an oral WEE1 inhibitor, in a phase 1 dose-escalation trial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tumors
2021-07
[35]
웹사이트
https://ir.zentalis.[...]
2024-12
[36]
논문
Negative regulation of mitosis by wee1+, a gene encoding a protein kinase homolog
1987-05
[37]
논문
Wee beasties
2004-12
[38]
논문
Regulatory genes controlling mitosis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http://www.genetics.[...]
1980-11
[39]
논문
The Wee1 protein kinase regulates T14 phosphorylation of fission yeast Cdc2
[40]
논문
Substrate competition as a source of ultrasensitivity in the inactivation of Wee1.
2007-03-23
[41]
논문
Cdc2 regulatory factors
[42]
논문
Wee1-dependent mechanisms required for coordination of cell growth and cell division
[43]
논문
The wee1 protein kinase is required for radiation-induced mitotic delay
[44]
논문
H2B Tyr37 phosphorylation suppresses expression of replication-dependent core histone genes.
[45]
논문
WEE1 tyrosine kinase, a novel epigenetic modifier.
[46]
논문
Replication checkpoint enforced by kinases Cds1 and Chk1
1998-05
[47]
논문
Nim1 kinase promotes mitosis by inactivating Wee1 tyrosine kinase
1993-06
[48]
논문
Negative regulation of the wee1 protein kinase by direct action of the nim1/cdr1 mitotic inducer
1993-03
[49]
논문
Two distinct mechanisms for negative regulation of the Wee1 protein kinase
1993-09
[50]
논문
Regulation of the human WEE1Hu CDK tyrosine 15-kinase during the cell cycle
1995-05
[51]
문서
β-transducin repeat-containing protein 1/2 (β-TrCP1/2) F-box protein-containing SKP1/Cul1/F-box protein complex
[52]
논문
M-phase kinases induce phospho-dependent ubiquitination of somatic Wee1 by SCFbeta-TrCP
2004-03
[53]
논문
Monitoring the cell cycle by multi-kinase-dependent regulation of Swe1/Wee1 in budding yeast
http://www.landesbio[...]
2005-10
[54]
논문
Transcriptional repression of WEE1 by Kruppel-like factor 2 is involved in DNA damage-induced apoptosis
2005-06
[55]
논문
Negative regulation of mitosis by wee1+, a gene encoding a protein kinase homolog
198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