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윈도 매니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X 윈도 매니저는 X 윈도 시스템에서 창의 위치와 모양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X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 작용을 중개하며, 창의 초기 위치 결정, 창 장식, 아이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윈도 매니저는 스태킹, 타일링, 컴포지팅 방식으로 분류되며, 각 방식에 따라 창을 관리하는 방식과 시각 효과가 달라진다. 또한, 사용자 스크립트를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윈도 매니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X 윈도 매니저 - 공통 데스크톱 환경
공통 데스크톱 환경(CDE)은 1990년대 초 여러 회사가 공동 개발한 유닉스용 데스크톱 환경으로,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데스크톱으로 사용되었으나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의 등장으로 쇠퇴 후 오픈 소스화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X 윈도 시스템 - 데스크톱 환경
데스크톱 환경은 아이콘, 창, 메뉴 등으로 컴퓨터 화면을 책상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창 관리자, 파일 관리자 등으로 구성되어 파일 관리 및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 X 윈도 시스템 - 오픈 그룹
오픈 그룹은 다양한 기술 공급업체, 구매자, 정부 기관을 포함하는 국제 컨소시엄으로, 표준 개발, 인증 프로그램 운영, TOGAF와 같은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제공 및 UNIX 상표 권리 보유를 통해 개방형 IT 표준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한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메트로 (디자인 언어)
마이크로소프트가 스위스 그래픽 디자인과 런던 지하철 표지판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메트로 디자인 언어는 큰 텍스트, 간결한 타이포그래피, 라이브 타일 등의 특징을 가지며 Windows, Xbox, Microsoft Office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었고, 상표권 문제와 함께 명칭 변경 및 MDL2로 진화하며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작업 표시줄
작업 표시줄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화면 하단에 위치하여 프로그램 실행, 창 관리, 시스템 상태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이며, 윈도우 95부터 도입되어 다양한 사용자 정의 설정을 지원하며 발전해 왔다.
| X 윈도 매니저 | |
|---|---|
| 개요 | |
![]() | |
| 유형 | 창 관리자 |
| 상세 정보 | |
| 개발자 | X.Org Foundation |
| 운영 체제 |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
| 종류 | 타일링 창 관리자, 스태킹 창 관리자, 합성 창 관리자 |
| 라이선스 | MIT 라이선스 |
| 인터페이스 | X 윈도 시스템 |
| 추가 정보 | |
| 프로젝트 상태 | 활발히 개발 중 |
| 관련 정보 | |
| 관련 항목 | X 윈도 시스템 |
2. X 윈도 매니저의 작동 방식
윈도 매니저가 실행 중일 때, X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일부 상호 작용은 윈도 매니저를 통해 리디렉션된다. 특히, 새로운 창을 표시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마다 이 요청은 윈도 매니저로 리디렉션되어 창의 초기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대부분의 최신 윈도 매니저는 재부모화를 사용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창 상단에 배너가 배치되고 창 주변에 장식 프레임이 그려지는 결과를 낳는다. 이 두 요소는 프로그램이 아닌 윈도 매니저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요소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할 때 적절한 작업(예: 창 이동 또는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것은 윈도 매니저이다.
윈도 매니저는 크게 스태킹, 타일링, 컴포지팅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윈도 매니저는 아이콘 또한 담당한다. 실제로 아이콘은 X 윈도 시스템 코어 프로토콜 수준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창을 아이콘화하도록 요청하면 윈도 매니저는 해당 창을 언맵(비표시)하고 그 자리에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적절한 작업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최신 윈도 매니저는 더 이상 아이콘화된 창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그대로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는다. 종종, 보조 툴바 프로그램이 아이콘화된 창에 대한 접근을 허용한다.
일반 클라이언트가 윈도 매니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원래는 클라이언트 간 통신 규칙 매뉴얼 (ICCCM)이었지만, 이는 확장된 윈도우 매니저 힌트 (EWMH)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창 및 아이콘의 제목을 요청하고, 창이 도킹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는지, 아이콘화되었는지 확인하며, 창 장식, 창이 차지하는 가상 데스크톱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다.[1]
3. 윈도 매니저의 종류


3. 1. 스태킹 윈도 매니저
스태킹 윈도 매니저는 특정 좌표에 창을 하나씩 화면에 렌더링한다. 한 창의 영역이 다른 창과 겹치면 "위에" 있는 창이 다른 창의 보이는 부분을 덮어쓴다. 이로 인해 많은 사용자들이 익숙하게 느끼는, 창이 데스크톱 위의 종이 조각처럼 움직이고 겹쳐질 수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합성 윈도 매니저와는 대조적으로, 별도의 오프 스크린 버퍼가 없다는 것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반투명 효과와 같은 기능은 불가능하다.
다음은 스택형 윈도 매니저 목록이다.
| 스택형 윈도 매니저 |
|---|
3. 2. 타일링 윈도 매니저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는 타일링이라는 이름처럼 서로 겹치지 않는 프레임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윈도우 매니저이다. 기존의 윈도우 매니저들이 책상 패러다임을 모방하여 좌표 기반 객체(창)를 쌓는 방식을 사용한 것과는 대조적이다.타일링 윈도우 매니저에는 Awesome, dwm, ion, larswm, ratpoison, Stumpwm, wmii, i3, xmonad, XWEM 등이 있다.
3. 3. 컴포지팅 윈도 매니저
컴포지팅 윈도 매니저는 사용자에게 스태킹 윈도 매니저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창은 먼저 개별 버퍼에 렌더링된 다음 해당 이미지가 화면 버퍼에 합성된다. 이 2단계 프로세스는 그림자, 반투명도와 같은 시각 효과를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컴포지팅 윈도 매니저는 동등한 성능의 스태킹 윈도 매니저보다 리소스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Openbox와 같이 X용 일부 윈도 매니저는 기본적으로 컴포지팅을 지원하지 않는다.역사적으로, 1985년의 아미가, 2001년의 OSX, 2003년의 Java Looking Glass, 2003년의 Windows Longhorn 데모(2007년 Vista까지 연기됨)는 X11에서 컴포지팅 작업보다 앞섰다. X용 컴포지팅 윈도 매니저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compton''과 같은 컴포지터를 사용하여 비 컴포지팅 윈도 매니저에 컴포지팅 지원을 추가할 수 있다.
3. 4. 가상 윈도 매니저
가상 윈도 매니저는 가상 화면을 사용하는 윈도 매니저로,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여 뷰포트가 있는 2차원 가상 데스크톱과 유사하다. 이 환경은 많은 수의 창을 동시에 열어두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하다. FVWM, Tvtwm, HaZe[2]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가상 윈도 매니저가 만들어졌다.3. 5. 확장 가능한 윈도 매니저
사용자 스크립트를 통해 기능을 확장하거나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윈도 매니저이다. 창 크기/위치 변경, 창 생성/삭제, 키/마우스 입력, 타이머 등 다양한 이벤트에 대한 동작을 정의하거나 재정의할 수 있다.[3]이러한 윈도 매니저와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윈도 매니저 | 프로그래밍 언어 |
|---|---|
| 어썸 | Lua |
| KWin | ECMAScript |
| Qtile | 파이썬 |
| 소피시 | "rep", Lisp 방언 |
| Xmonad | 하스켈 |
| StumpWM | Common Lisp |
| GWM | "WOOL", Lisp 방언 |
| Bspwm | C |
4.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윈도우 매니저
한국 사용자들은 주로 GNOME, KDE, Xfce와 같은 데스크톱 환경을 선호하며, 이에 포함된 윈도우 매니저(Mutter, KWin, Xfwm)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지원 정책을 통해 이러한 데스크톱 환경 및 윈도우 매니저의 발전을 간접적으로 지원해왔다. 리눅스 배포판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윈도우 매니저를 경험하는 사용자층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xtended Window Manager Hints
https://web.archive.[...]
2018-09-16
[2]
웹사이트
HaZe - a real B&W; window manager
http://geocities.com[...]
2024-08-31
[3]
웹사이트
home
https://awesomewm.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