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sa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Xsan은 애플에서 개발한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으로, 2004년 발표되어 2005년 출시되었다. 여러 버전의 업데이트를 거치며 macOS에 포함되었으며, 2020년 Xsan 7이 출시되었다. Xsan은 퀀텀의 StorNext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StorNext와 호환되며, Windows, Linux, UNIX 플랫폼에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Xsan은 사용자 데이터와 파일 시스템 메타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과 메타데이터 영역의 동적 확장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플의 소프트웨어 - 아이튠즈
아이튠즈는 애플이 개발한 멀티미디어 플랫폼이자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로, 초기에는 음악 재생 및 관리에 집중했으나 이후 기능이 확장되어 macOS Catalina부터는 개별 앱으로 기능이 분리되었고 윈도우에서는 'Apple 기기' 앱에 관련 기능이 통합되었다. - 애플의 소프트웨어 - 사파리 (웹 브라우저)
사파리는 애플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2003년 처음 출시되어 웹킷 엔진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와 웹 표준 지원을 제공하며, macOS, iOS, iPadOS 등에서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된다. - 파일 시스템 - 부트 섹터
부트 섹터는 시스템 부팅 코드를 담은 저장 매체의 특정 영역으로, 볼륨 부트 레코드(VBR)와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로 나뉘며, BIOS는 이를 실행하고 UEFI는 부트로더를 직접 로드하지만 바이러스 공격에 취약하다. - 파일 시스템 - ZFS
ZFS는 Jeff Bonwick 등이 설계하고 구현한 파일 시스템으로, 데이터 무결성, 스냅샷, RAID-Z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되어 OpenZFS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된다.
| Xsan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소프트웨어 정보 | |
| 이름 | 엑스산 |
| 로고 | Xsan logo.png |
| 개발사 | 애플 |
| 최초 출시일 | 2005년 1월 4일 |
| 최신 버전 | 5.0.1 (macOS 서버 5.11.1에 포함, 2020년 12월 14일 출시) |
| 운영체제 | macOS |
| 종류 |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 |
| 라이선스 | 사유 소프트웨어 |
| 웹사이트 | macOS 서버 사양 |
| 추가 정보 | |
| 발음 (영어) | /ˈɛksæn/ |
| 최신 버전 출시일 | 2024년 12월 11일 |
| 호환 운영체제 | macOS Sequoia 이상 |
2. 역사
Xsan은 애플이 퀀텀의 StorNext File System을 기반으로 개발한 SAN 파일 시스템이다.[15] 이를 통해 여러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스토리지에 직접 접근하여 파일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2005년 1월 4일, 애플은 Xsan의 첫 버전을 공식 출시했다.[8] 이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스토리지 용량 확장(2006년 1.2 버전), 인텔 기반 매킨토시 지원(2006년 1.4 버전), MultiSAN 기능 도입(2008년 2.0 버전) 등 성능과 기능이 꾸준히 향상되었다.[9][34]
2011년 Mac OS X Lion 출시와 함께 Xsan은 macOS 운영체제에 통합되기 시작했으며[11], 이후 새로운 macOS 버전에 맞춰 업데이트되고 있다. macOS Sequoia에도 포함되어 있지만, 애플 실리콘을 네이티브로 지원하지는 않는다.[33]
Xsan은 Windows, 유닉스, 리눅스 환경의 StorNext와 상호 연결이 가능하며[16][17], 주로 대규모 계산 클러스터나 파이널 컷 프로를 사용한 영상 편집 프로젝트 등에 활용된다.[18]
2. 1. 버전별 역사
Xsan은 2004년 4월 애플이 개발을 발표[19]한 이후 꾸준히 발전해왔다. 주요 버전별 출시 역사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버전 | 출시일 | 주요 변경 사항 |
|---|---|---|
| 개발 발표 | 2004년 4월[19] | 애플, Xsan 개발 발표 |
| 1.0 | 2005년 1월 4일[8] | 최초 버전 출시 |
| 1.2 | 2006년 5월 | 볼륨 지원 확장 (약 2 페타바이트) |
| 1.4 | 2006년 8월 7일 | 인텔 기반 맥 지원 (유니버설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 접근 제어 목록 지원 |
| 2.0 | 2008년 2월 19일[9][34] | 첫 주요 업데이트 (MultiSAN 도입, 관리 도구 재설계) |
| 2.3 | 2011년 7월 20일[11] | Mac OS X Lion에 포함 (OS 통합 시작) |
| 3.0 | 2012년 7월 25일[13] | OS X Mountain Lion에 포함 |
| 4.0 | 2014년 10월 17일 | OS X Yosemite에 포함 |
| 5.0 | 2016년 9월 20일 | macOS Sierra에 포함 |
| 7.0 | 2020년 11월 12일 | macOS Big Sur에 포함 |
초기에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제품이었으나, 2011년 Mac OS X Lion부터 macOS 운영체제에 기본으로 포함되기 시작했다.[11] 이후 새로운 macOS 버전에 맞춰 Xsan도 업데이트되고 있다. 각 버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1. Ver.1 (2005년 ~ 2007년)

Xsan 버전 1은 2005년 1월 처음 출시되어 2007년 10월 1.4.2 버전까지 업데이트되었다. 주요 버전별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버전 | 출시일 | 주요 변경 사항 |
|---|---|---|
| 1.0 | 2005년 1월[8][20] | 초기 버전, 16TB 스토리지 볼륨 지원[21] |
| 1.1 | 2005년 6월 | 스토리지 볼륨 지원 최대 2PB (2048TB)로 확장 |
| 1.2 | 2005년 11월 | 버그 수정, 전반적인 신뢰성 개선 (일부 자료에서는 2006년 5월 출시 및 2PB 지원 언급) |
| 1.3 | 2006년 4월 | 버그 수정, 2TB 초과 LUN 지원, 전반적인 신뢰성 개선 |
| 1.4 | 2006년 8월 7일 | 유니버설 바이너리 지원 (인텔 기반 매킨토시 지원), 파일 시스템 ACL 지원, 페일오버 및 쿼터 기능 개선 |
| 1.4.1 | 2006년 12월 5일 | 버그 수정, 페일오버 및 신뢰성 개선 |
| 1.4.2 | 2007년 10월 18일 | Mac OS X v10.5 Leopard 지원, 버그 수정, 페일오버, 호환성 및 신뢰성 개선[22] |
2. 1. 2. Ver.2 (2008년 ~ 2011년)
2008년 2월 19일, 애플은 Xsan 2를 출시했다. 이는 MultiSAN 기능을 도입한 첫 주요 버전이었으며, 관리 도구도 완전히 재설계되었다.[34][9]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Spotlight 지원, Promise VTrak E-Class RAID 공식 인증 등이 있다.[23][24][25]2008년 6월 10일, Xsan 2.1이 발표되었다. 이 버전에서는 Xsan Admin의 버그 수정, 페일오버 기능 개선, 그리고 전반적인 호환성 및 신뢰성 향상이 이루어졌다.[26]
2008년 10월 15일, Xsan 2.1.1이 출시되었다.[10] 파일 시스템과 Xsan Admin의 신뢰성이 향상되었고, 파일 시스템 성능도 개선되었다.[27]
2009년 9월 14일, Xsan 2.2가 출시되었다.[10] 이 버전은 Mac OS X v10.6 Snow Leopard (v10.5.8 이후 버전 포함)를 지원하며, 64비트로 전환되었다. 또한 확장 파일 속성 지원, 신뢰성 향상, 보안 업데이트가 포함되었다.[28][29][30] 이 버전부터 인텔 기반 맥만 지원하게 되었다.
2009년 12월, Xsan 2.2.1이 출시되어 파일 시스템 신뢰성과 cvfsck 기능이 향상되었다.[31]
2011년 7월 20일, OS X Lion 및 Lion Server에 기본으로 포함된 Xsan 2.3이 출시되었다. 이로써 Xsan은 사실상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했으며, 시스템 환경 설정에 Xsan 클라이언트용 설정 창이 추가되었다.[11]
2. 1. 3. Ver.3 (2012년 ~ 2013년)
2012년 7월 25일, 애플은 OS X 마운틴 라이언 및 마운틴 라이언 서버에 표준으로 포함된 Xsan 3을 출시했다.[13] 이후 2013년 10월에는 OS X 매버릭스 및 매버릭스 서버에 표준으로 포함된 Xsan 3.1이 출시되었다.2. 1. 4. Ver.4 (2014년 ~ 2015년)
2014년 10월 17일, 애플은 OS X 요세미티와 함께 Xsan 4를 출시했다. 이 버전은 OS X 요세미티 및 요세미티 서버 4.0에 표준으로 포함되었다.이후 2015년 9월에는 Xsan 4.1이 출시되었으며, 이는 OS X 엘 캐피탄 및 서버 5.0에 표준으로 포함되었다.
2. 1. 5. Ver.5 (2016년 ~ 2017년)
2016년 9월 20일, 애플은 macOS Sierra 및 macOS Server 5.2와 함께 Xsan 5를 출시했다. 이 버전은 해당 운영체제에 표준으로 포함되었다.2017년 9월에는 macOS High Sierra 및 macOS Server 5.4에 표준으로 포함된 Xsan 5.0.1이 출시되었다.
2. 1. 6. Ver.7 (2020년 ~ 현재)
- 2020년 11월 12일, 애플은 macOS Big Sur와 함께 Xsan 7을 출시했다. 이 버전부터는 macOS에 표준으로 포함되었으며, 명령줄 도구만 제공된다.[32]
- 2023년 9월, macOS Sonoma에 Xsan 7.1이 표준으로 포함되었다. 이 버전은 인텔 바이너리 형식이므로, Apple Silicon을 탑재한 Mac에서는 Rosetta를 통해 작동한다.[33]
- 2024년 9월, macOS Sequoia에 Xsan 7.2가 표준으로 포함될 예정이다. 이 버전 역시 인텔 바이너리 형식이므로, Apple Silicon을 탑재한 Mac에서는 Rosetta를 통해 작동한다.[33]
3. 상호 운용성
Xsan은 퀀텀(Quantum Corporationeng)이 개발한 StorNext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2][15] 두 파일 시스템은 메타데이터 서버와 통신할 때 동일한 파일 시스템 레이아웃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공유한다.[2] 또한, 두 시스템은 공통 코드 베이스를 공유하거나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개발되는 것으로 보인다.[2]
애플의 Xsan 웹사이트는 StorNext 파일 시스템과의 완전한 상호 운용성을 주장한다.[3][16][17] 해당 웹사이트에 따르면, "Xsan은 퀀텀의 StorNext 파일 시스템과 완전히 상호 운용되므로 Windows, 리눅스 및 기타 유닉스 플랫폼의 클라이언트에게 Xsan 관리 스토리지 풀의 데이터에 대한 직접적인 파이버 채널 블록 레벨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4]
퀀텀 측 역시 "애플의 Xsan 및 Promise RAID와의 완전한 상호 운용성"을 주장하며, Xsan과 Xserve RAID가 AIX, HP-UX, IRIX, Red Hat Linux, SuSE Linux, macOS, Solaris, 그리고 Windows(64비트 및 Windows Vista 포함) 클라이언트를 지원한다고 밝히고 있다.[5]
4. 데이터 표현
Xsan 파일 시스템은 정보를 분산시키기 위해 여러 논리적 저장소를 사용한다. Xsan에서 나타나는 주요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파일 등)와 파일 시스템 메타데이터(폴더, 파일 이름, 파일 할당 정보 등)의 두 가지 범주이다. 대부분의 구성은 데이터와 메타데이터에 서로 다른 저장소를 사용한다.
이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 영역과 메타데이터 영역의 동적 확장 및 분산을 지원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pple Introduces Xsan Storage Area Network File System
https://www.apple.co[...]
[2]
웹사이트
Xsan Introduction
http://www.afp548.co[...]
[3]
웹사이트
Apple Introduces Xsan Storage Area Network File System
https://www.apple.co[...]
Apple Inc.
[4]
웹사이트
Xsan 2 for traditional IT services
https://www.apple.co[...]
[5]
웹사이트
StorNext FX and FX2
http://www.quantum.c[...]
2008-11-05
[6]
웹사이트
Review Questions - Client Management in Xsan
https://www.peachpit[...]
[7]
웹사이트
TCP and UDP ports used by Apple software products
http://support.apple[...]
Apple Inc.
2017-02-14
[8]
웹사이트
Apple Ships Xsan Storage Area Network File System
https://www.apple.co[...]
Apple Inc.
[9]
웹사이트
Info-Mac: View Topic – Apple Introduces Xsan 2
http://forums.info-m[...]
2008-03-10
[10]
웹사이트
Apple Releases Xsan 2.2 Updates
http://www.macrumors[...]
[11]
웹사이트
Xsan versions included with or required by OS X
https://support.appl[...]
[12]
웹사이트
Apple Releases Xsan 2.2.2 Filesystem Update
http://www.macrumors[...]
[13]
웹사이트
OS X Server 2.2.5
https://itunes.apple[...]
2014-10-16
[14]
웹사이트
https://developer.ap[...]
[15]
웹사이트
Xsan Introduction
http://www.afp548.co[...]
2017-02-02
[16]
웹사이트
SAN クライアントと Xsan および StorNext コントローラとの互換性
https://support.appl[...]
2017-02-02
[17]
웹사이트
ストレージ分野にも本格進出を果たしたアップルコンピュータ [後編]
https://enterprise.w[...]
2021-12-15
[18]
웹사이트
アップルがSANを提供するもう一つの理由、「高解像度の映像編集」
https://cloud.watch.[...]
2021-12-15
[19]
웹사이트
アップル、Mac OS X用のSANファイルシステムを発表
https://cloud.watch.[...]
2021-12-15
[20]
웹사이트
米Apple、最大35GFLOPSの「Xserve G5」新版を発表
https://cloud.watch.[...]
2021-12-15
[21]
웹사이트
小規模SANを容易に構築できるアップルの「Xsan」
https://cloud.watch.[...]
2021-12-15
[22]
웹사이트
Xsan 1.4.2 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23]
웹사이트
アップル、Leopardに対応したSANファイルシステム「Xsan 2」
https://cloud.watch.[...]
2021-12-15
[24]
웹사이트
アップル - Server - ストレージ
http://www.apple.com[...]
[25]
웹사이트
promise mac support
http://jp.promise.co[...]
[26]
웹사이트
Xsan 2.1 のアップデート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27]
웹사이트
Xsan 2.1.1 のアップデート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28]
웹사이트
Xsan 2.2:[拡張属性を有効にする]
http://support.apple[...]
[29]
웹사이트
Xsan 2.2 のセキュリティコンテンツ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30]
웹사이트
Xsan 2.2 のアップデート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31]
웹사이트
Xsan 2.2.1 ファイルシステムアップデートについて
http://support.apple[...]
[32]
웹사이트
Xsan Management Guide For Mac v1.1.
https://developer.ap[...]
Apple
2021-12-09
[33]
문서
cvversions 参照
[34]
웹인용
Info-Mac: View Topic - Apple Introduces Xsan 2
http://forums.info-m[...]
2008-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