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Ӑ는 키릴 문자의 일종으로, 추바시어와 한티어에서 사용된다. 추바시어에서는 중앙 중설 모음 [ə]를, 한티어에서는 비원순 후설 저모음 [ɑ]를 표기한다. 두 언어 모두에서 알파벳의 두 번째 문자로 사용되며, 유니코드 04D0 (대문자) 및 04D1 (소문자)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자 - U
U는 라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주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u/ 소리를 내지만, 언어에 따라 /y/나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세미트 문자 와우에서 기원하여 웁실론을 거쳐 라틴 알파벳에 정착했고, V와 함께 쓰이다가 17세기 이후 분리되었으며, 우라늄 기호, 합집합 기호, 랙 유닛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 키릴 문자{{#if:{{{2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키릴 문자{{#if:{{{2 - 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어파로서, 지리적으로 동/서/남슬라브어군으로 나뉘거나 언어적 유사성에 따라 북/남슬라브어군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문자 사용과 상호 이해도에서 차이를 보이고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인터슬라브어가 존재한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Ӑ |
---|
2. 음소
추바시어에서 Ӑ는 중설 모음 [ə]를 나타내며, 영어 단어 "era"의 'a'와 소리가 같다. Ӑ는 항상 약하게 발음되며, 여러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강세를 받을 수 있다. 때로는 сӑтел(탁자, /stel/)와 같이 뒤따르는 자음과 합쳐져 들릴 정도로 약화되기도 한다. 한티어에서는 비원순 후설 저모음([ɑ])을 나타낸다.
2. 1. 추바시어
추바시어에서 Ӑ는 중설 모음 [ə]를 나타내며, "era"라는 단어의 a와 같다. Ӑ는 항상 약화되며, 다음절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강세를 받을 수 있다. 소리는 음성학적으로 약화된 /i/ 또는 [ə] (예: 영어 "sofa"에서 a의 발음)에서 영어 "all"의 입술을 둥글게 말하는 형태의 순음화된 a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때로는 сӑтел(탁자, /stel/)와 같이 뒤따르는 자음과 합쳐져 들릴 정도로 약화되기도 한다.2. 2. 한티어
비원순 후설 저모음을 나타낸다.3. 사용법
Ӑ는 추바시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로, 발음 및 사용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발음:
- 중설 모음 를 나타내며, 영어 "er'''a'''"의 'a'와 유사하다.
- (영어 "sof'''a'''"의 'a') 또는 약화된 에서 입술을 둥글게 만드는 형태의 순음화된 소리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 сӑтел(탁자, )처럼 뒤따르는 자음과 합쳐져 약하게 발음될 수 있다.
- 강세:
- 항상 약화되며, 다음절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강세를 받는다.
3. 1. 추바시어
추바시어에서 Ӑ는 중설 모음을 나타내며, "era"의 'a'와 같다. 항상 약화되며, 다음절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강세를 받을 수 있다. 소리는 음성학적으로 약화된 또는 (예: 영어 "sofa"의 'a' 발음)에서 영어 "all"의 입술을 둥글게 만드는 형태의 순음화된 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때로는 сӑтел(탁자, )와 같이 뒤따르는 자음과 합쳐져 들릴 정도로 약화되기도 한다.4. 문자 위치
4. 1. 추바시어
Ӑ는 추바시어 알파벳에서 두 번째 글자이다.4. 2. 한티어
한티어 알파벳에서 Ӑ는 두 번째 글자이다.5. 컴퓨팅 코드
코드 | 대문자 | 소문자 |
---|---|---|
유니코드 | U+04D0 | U+04D1 |
JIS X 0213 | 1-2-82 | 1-2-83 |
문자 참조 | Ӑ | ӑ |
5. 1. 유니코드
대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소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비고 |
---|---|---|---|---|---|---|---|---|
Ӑ | U+04D0 | 1-2-82 | Ӑ | ӑ | U+04D1 | 1-2-83 | ӑ |
6. 기타 정보
이 문자는 1870년경 심비르스크 출신 이반 야코블레프가 만든 새로운 문자 중 하나이다.[3]
6. 1. 이반 야코블레프
1870년경 심비르스크 출신 이반 야코블레프가 만든 새로운 문자 중 하나이다.[3]참조
[1]
서적
Slovarʹ nenecko-russkij i russko-neneckij: okolo 6500 slov ; posobie dlja učaščichsja 1 - 4-ch klassov obščeobrazovatelʹnych učreždenij
Prosveščenie
2005
[2]
웹사이트
. Български: 133-та страница на Рибния буквар English: Beron’s Primer with Various Instructions is the first modern Bulgarian primer. Used by children throughout the 19th century, it contained, in addition to the rules of grammar, general information about nature and basic arithmetic. The book is better known as the “Fish Primer” for the picture of the whale at the end. Beron is considered the father of modern Bulgarian. Beron primer page 14 Stock Photo
https://www.alamy.co[...]
2024-12-01
[3]
서적
"「言語学大辞典」第2巻"
三省堂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