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는 셈족 문자 와우에서 유래된 문자로, F, Y, W, V와 기원을 공유한다. 그리스어에서는 웁실론에서 파생되었고, 라틴어에서는 웁실론의 변형으로 U가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u와 v의 두 가지 소문자 형태가 발전했고, 17세기까지 U와 V가 구분되어 사용되다가 1762년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두 문자를 완전히 구분했다. U는 다양한 발음을 가지며,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에서 'ㅜ'를 나타내고, 영어에서는 13번째로 자주 사용되는 문자이다. 또한, 우라늄의 원소 기호, 여러 단위, 기호 등으로 사용되며, 'you'를 대신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모음자 - Й Й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며, 15~16세기부터 사용되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이중 모음을 나타내거나 외래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U는 셈족 문자인 와우에서 유래했으며, F, Y, W, V와 기원을 공유한다. 가장 오래된 조상은 이집트 상형 문자로 거슬러 올라가며, 곤봉이나 조류의 상형 문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또는 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페니키아 문자로 차용되었고, 음을 나타냈으며, 모음 는 드물게 나타냈다.
그리스어에서는 페니키아 와우에서 두 개의 문자가 나왔다. 디감마(Ϝ)는 를, 웁실론(Υ)는 원래 를 나타냈으나 나중에 가 되었다.
라틴어에서는 서양 그리스 문자에서 직접 유래했거나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쳐 웁실론의 줄기 없는 변형이 U로 차용되었는데, 현대의 V와 같은 형태였으며, 음과 자음 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num''은 원래 ''NVM''으로 표기되었고 로 발음되었으며, ''via''는 로 발음되었다. 서기 1세기부터 속라틴어 방언에 따라 자음 가 로 발전했고(이는 스페인어에 남아 있다), 나중에 가 되었다.
후기 중세에는 두 가지 소문자 형태(v, u)가 발전했다. 뾰족한 형태 v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둥근 형태 u는 음과 관계없이 중간이나 끝에 사용되었다. 'valour'와 'excuse'는 현대와 같이 표기되었지만, 'have'와 'upon'은 'haue'와 'vpon'으로 인쇄되었다. u와 v를 별개의 문자로 처음 기록한 것은 1386년 고딕 문자였고, v가 u 앞에 나왔다. 17세기까지 대문자 U 대신 V를 사용했으며, 1762년까지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두 문자의 구분이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5] 둥근 변형이 현대 U의 형태가 되었고, 이전의 뾰족한 형태는 V가 되었다.
2. 1. 기원
와우
서양 그리스 문자 웁실론
라틴 문자 V
라틴 문자 U
40x40px
x30px
x30px
그리스어에서는 페니키아 와우에서 두 개의 문자가 나왔다. 디감마는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웁실론은 원래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지만, 나중에 가 되었다.
라틴어에서는 초기 시대에 웁실론의 줄기 없는 변형이 U로 채택되었는데, 현대의 V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으며, 서양 그리스 문자에서 직접 유래했거나 에트루리아 문자를 거쳐 음과 자음 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num'은 원래 'NVM'으로 표기되었고 로 발음되었으며, 'via'는 로 발음되었다. 서기 1세기부터는 속라틴어 방언에 따라 자음 가 로 발전했고(이는 스페인어에 남아 있다), 나중에 가 되었다.
후기 중세에는 두 가지 소문자 형태가 발전했는데, 둘 다 또는 모음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뾰족한 형태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쓰였고, 둥근 형태는 음과 관계없이 중간이나 끝에 사용되었다. 따라서 'valour'와 'excuse'는 현대 인쇄물과 같이 표기되었지만, 'have'와 'upon'은 각각 'haue'와 'vpon'으로 인쇄되었다. 와 를 별개의 문자로 처음 기록한 것은 1386년 고딕 문자로, 가 앞에 나온다. 인쇄업자들은 17세기까지 대문자 대신 를 사용했으며, 두 문자의 구분은 1762년까지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5] 둥근 변형이 현대 U의 형태가 되었고, 이전의 뾰족한 형태는 V가 되었다.
2. 2. 변천 과정
페니키아 문자 와우는 그리스 문자에서 디감마(Ϝ, w)와 웁실론(Υ, u)으로 분화되었다.[4][5] 라틴 문자에서는 초기 시대에 웁실론의 줄기 없는 변형이 U로 차용되었는데, 현대의 V와 같은 형태를 띠고 있었다. 후기 중세에는 두 가지 소문자 형태(v, u)가 발전했으며, 18세기경에 U와 V가 완전히 분리되었다.[4][5]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와우
서양 그리스 문자 웁실론
라틴 문자 V
라틴 문자 U
U는 셈족 문자 와우에서 유래하며, F, Y, W, V와 기원을 공유한다. 가장 오래된 조상은 이집트 상형 문자로, 곤봉이나 조류의 상형 문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또는 음을 나타냈다.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음을 나타냈고, 모음 는 드물게 나타냈다.
그리스어에서는 페니키아 와우에서 두 개의 문자가 만들어졌다. 디감마(Ϝ)는 를, 웁실론(Υ)는 원래 를 나타냈으나 나중에 가 되었다.
라틴어에서는 초기 시대에 웁실론의 줄기 없는 변형이 U로 차용되었는데, 현대의 V와 같은 형태였으며, 음과 자음 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num''은 원래 ''NVM''으로 표기되었고 로 발음되었으며, ''via''는 로 발음되었다. 서기 1세기부터 속라틴어 방언에 따라 자음 가 로 발전했고(이는 스페인어에 남아 있다), 나중에 가 되었다.
후기 중세에는 두 가지 소문자 형태(v, u)가 발전했다. 뾰족한 형태 v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둥근 형태 u는 음과 관계없이 중간이나 끝에 사용되었다. 'valour'와 'excuse'는 현대와 같이 표기되었지만, 'have'와 'upon'은 'haue'와 'vpon'으로 인쇄되었다. u와 v를 별개의 문자로 처음 기록한 것은 1386년 고딕 문자였고, v가 u 앞에 나왔다. 17세기까지 대문자 U 대신 V를 사용했으며, 1762년까지 프랑스 아카데미에서 두 문자의 구분이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5] 둥근 변형이 현대 U의 형태가 되었고, 이전의 뾰족한 형태는 V가 되었다.
이 글자가 나타내는 음소는 대체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또는 그와 유사한 소리이다. 하지만 드물게 단독 자음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프랑스어, 네덜란드어에서는 입술을 둥글게 말고 '이'와 같이 발음하는 소리 (전설 원순 좁은 모음, 독일어의 ü와 거의 같다)를 나타낸다. 프랑스어는 앞에 오는 모음 앞에서는 그 반모음 /ɥ/이다. /u/를 나타낼 때는 프랑스어는 ou, 네덜란드어는 oe로 표기한다.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에서는 /w/는 /u/의 이음이다.
영어에서는 대모음 이동의 결과, 강세(악센트)가 있는 경우, 장모음에서는 "유", 단모음에서는 날카로운 "아"(약간 앞으로 이동한 후설 비원순 넓은 반모음)가 된다. 하지만 후자는 읽기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o로 적는 경우가 생겼다. 순음 바로 뒤에서는 후설 원순 넓은 좁은 모음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드물게 "이"로 읽히기도 한다. 어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중국어의 한어병음에서는, /u/를 포함하는 운모의 표기에 사용된다. 하지만, 성모(초성)가 붙지 않는 경우는 w가 된다. "五", "烏" 등 주모음, 미음 없이 /u/만 있는 경우 발음은 /u/이고 반모음 /w/가 발음되는 것은 아니지만, wu로 표기한다. 그렇기 때문에 u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다.
문화관광부 2000년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모음 ㅜ를 나타낸다. 또한 ㅡ, ㅠ, ㅢ도 e'''u''', y'''u''', '''u'''i와 같이 u를 포함하는 철자로 표기한다. 하지만, 인명이나 회사명 등에서는 이 표기법을 따르지 않고 ㅓ, ㅕ를 u, yu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예: 삼성→Samsung)
3. 2. 영어
영어에서 문자 u는 "장음"과 "단음" 등 네 가지 주요 발음을 가진다. 원래 폐음절에서 발견되는 단음 u는 대부분 (duck과 같이)로 발음되지만, 일부 단어(put과 같이)에서는 입술 자음 뒤에, 그리고 때때로 다른 곳(sugar와 같이)에서도 이전 발음 을 유지한다. 원래 프랑스어 어원의 단어에서 발견되는 장음 u는 대부분 (mule과 같이)를 나타내며, r (rule과 같이), j (June과 같이) 그리고 때때로(또는 선택적으로) l (lute과 같이) 뒤에서는 로 축약되고, 미국 영어에서는 추가적인 자음 뒤에서도 그렇다 (do-dew 합병).[6] (s 뒤에서는, /sjuː, zjuː/는 일부 단어에서 /ʃuː, ʒuː/로 동화되었다.)
문자 u는 이중모음 au , ou (다양한 발음, 하지만 보통 ), 그리고 장음 u의 값을 가진 eu, ue, 그리고 소수의 단어에서 ui (fruit와 같이)에 사용된다. 이는 qu (quick과 같이), gu (anguish와 같이), su (suave와 같이) 순서에서 모음 앞에 소리를 갖는 경우가 많지만, 마지막 que (unique와 같이)와 많은 gu 단어(guard와 같이)에서는 묵음이다.[6]
또한, 문자 u는 둘 다 로 발음되는 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 인터넷 속어, 그리고 다른 서면 속어에서 'you'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영국 영어, 캐나다 영어 등 특정 영어 변종에서는 colour, labour, valour 등과 같은 단어에 u를 사용한다. 미국 영어에서는 이 문자가 사용되지 않고, 위에서 언급한 단어는 color 등으로 철자된다.[6]
이는 영어에서 13번째로 자주 사용되는 문자이며, 단어에서 약 2.8%의 빈도를 갖는다.[6]
영어에서 u영어의 발음[6]
음소
, , , , , , , , 무음
3. 3. 기타 언어
프랑스어에서 U는 전설 원순 고모음 /y/를 나타내며, /u/는 'ou'로 표기한다.[8]네덜란드어에서는 /y/ 또는 /ʏ/를 나타내며, /u/는 'oe'로 표기한다.[8]웨일스어에서는 남부 방언에서 /iː/ 또는 /ɪ/, 북부 방언에서 /ɨː/ 또는 /ɨ̞/를 나타낸다.[8]
일본어 로마자 표기에서는 훈령식, 헤본식 모두 '우'단 모음에 사용된다. 중국어한어병음에서는 /u/를 포함하는 운모 표기에 사용되지만, 성모가 붙지 않는 경우는 w로 표기한다.[6]독일어에서는 q 뒤의 u가 /v/를 나타낸다.
[1]
OED
U
[2]
서적
Merriam-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1993
[3]
서적
The institutes of English grammar
https://archive.org/[...]
New York, W. Wood & co.
1870
[4]
서적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oise
https://gallica.bnf.[...]
Chez la Veuve de Bernard Brunet, Imprimeur de l'Académie Françoiſe
1762
[5]
서적
Letter by Letter: An Alphabetical Miscellany
https://archive.org/[...]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9-06-21
[6]
웹사이트
Phonology of Mandarin Chinese: Pinyin vs. IPA
https://www.research[...]
2021-05-17
[7]
웹사이트
Indonesian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mylanguages.o[...]
2021-05-17
[8]
웹사이트
Latin
http://www.ancientsc[...]
2017-06-08
[9]
뉴스
The meaning behind Myanmar names
https://www.frontier[...]
2021-02-09
[10]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1]
웹사이트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2]
웹사이트
L2/17-076R2: Revised proposal for the encoding of an Egyptological YOD and Ugaritic characters
https://www.unicode.[...]
2019-03-08
[13]
웹사이트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4]
웹사이트
L2/16-032: Proposal to encode two Latin characters for Mazahua
https://www.unicode.[...]
2018-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