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바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바시어는 추바시인의 모국어이자 추바시 공화국의 공용어로, 튀르크어족의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러시아와 기타 국가에서 추바시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상반된 통계가 존재하며, 유네스코는 추바시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한다. 추바시어 문학 작품은 꾸준히 출판되고 있으며, 러시아 시인 겐나지 아이기가 추바시어와 러시아어로 시를 썼다.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족 내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지며, 훈어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추바시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라틴 문자 표기법도 존재한다. 추바시어는 상부, 하부, 중부 방언으로 나뉘며, 방언 간의 차이는 미미하다. 현재 추바시 공화국 내에서 추바시어 사용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바시 공화국 - 추바시야 공화국
추바시야 공화국은 러시아 유럽 지역 볼가강 중류에 위치하며 체복사리를 수도로 하고, 다양한 교통망과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추바시인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추바시어와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맥주 생산지로 알려진 공화국이다. - 추바시 공화국 - 체복사리
체복사리는 러시아 추바시 공화국의 수도로, 볼가 고지 지역의 체복사리 저수지 기슭에 위치하며, 8세기 말에서 9세기 초부터 추바시인의 정착지로 추정되고, 17세기 말 볼가 지역의 주요 상업 도시로 발전하여 현재는 공화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추바시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추바시어 |
로마자 표기 | Çăvašla |
다른 이름 | Chăvash Chuwash Chovash Chavash Çovaş Çuvaş Çuwaş |
사용 국가 | 러시아 |
주요 사용 지역 | 볼가 지역 (특히 추바시 공화국) |
민족 | 추바시인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약 105만 명) |
사용자 수 | 738,150명 (2020년 인구 조사)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알타이어족 |
어파 | 튀르크어족 |
어군 | 오구르어파 |
문자 |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
공용어 지위 | |
공용어 지정 국가 | 추바시 공화국 (러시아) |
언어 코드 | |
ISO 639-1 | cv |
ISO 639-2 | chv |
ISO 639-3 | chv |
Glottolog | chuv1255 |
지도 정보 | |
![]() | |
언어 보존 상태 | |
위기 정도 | 취약 (UNESCO) |
기관 | |
관련 기관 | Чăваш патшалăх гуманитари ăслăхĕсен институчĕ |
2. 분포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족 중에서 가장 독특한 언어로 평가받고, 다른 튀르크어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렵다. 이는 각 하위 그룹 내에서 서로 다른 정도의 상호 이해도를 보이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대비된다. 추바시어는 사멸된 불가르어와 함께 튀르크어족의 오구르어파(서부 고대 튀르크어)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하는 언어로 분류된다.[16]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다른 언어들(불가르어, 아마도 하자르어)의 생존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 오구르어파 내에서 추바시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추바시어는 추바시인의 모국어이며 러시아 내 추바시 공화국의 공용어이다.[5][6] 오늘날 추바시어 사용 인구에 대해서는 상반된 통계가 존재한다. 일부 자료는 러시아 내 사용자 164만 명, 기타 국가 사용자 3만 4천 명으로 추산한다.[7]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추바시 민족의 86%와 추바시 공화국에 거주하는 다른 민족의 8%가 추바시어를 구사할 줄 안다고 응답했다.[8]
그러나 다른 자료들은 추바시어 사용 인구가 2010년 약 100만 명에서 2021년 약 70만 명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감소세는 모스크바 중앙 정부가 러시아 내 소수 민족 언어 다양성 보존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다.[9] 추바시어는 학교 교육과 일부 미디어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네스코는 추바시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10][11] 이는 생활 대부분의 영역에서 러시아어가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추바시어를 배우는 어린이들이 실제 언어 사용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추바시어로 된 문학 작품은 꾸준히 창작되고 출판되고 있다. 유네스코의 ''Index Translationum'' 자료에 따르면, 1979년경 이후 추바시어에서 다른 언어(주로 러시아어)로 번역된 서적은 최소 202권에 달한다.[12] 하지만 소련 시기의 다른 소수 민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번역 활동의 대부분은 소련 해체 이전에 이루어졌다. 해당 202권 중 170권이 소련 시기에 출판되었고,[13] 1991년 이후 러시아에서 출판된 것은 17권(대부분 1990년대)에 불과하다.[14] 다른 언어(주로 러시아어)에서 추바시어로 번역된 서적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1979년경 이후 총 175권 중 1991년 이후 러시아에서 출판된 것은 18권이다).[15]
3. 분류
문법적으로는 나머지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추바시어의 발음 변화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조화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독특하여,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원시 튀르크어에서 직접 파생된 것이 아니라, 원시 튀르크어 시대에 공존했던 다른 원시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이 경우 추바시어와 나머지 튀르크어는 더 큰 언어족의 일부가 된다).[17]
이탈리아의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이고르 데 라체빌츠는 추바시어가 다른 튀르크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언급했다. 그에 따르면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와 특정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지 않아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를 튀르크어와는 별개의 분파로 간주한다. 추바시어의 튀르크어 분류는 분류 목적으로 사용된 절충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졌다.[18]
오구르어파는 나머지 튀르크어족(공통 튀르크어)과 구별되는 두 가지 주요 음운 변화 특징이 있다. 첫째는 공통 튀르크어의 ''z''에 해당하는 소리가 오구르어파에서는 ''r''로 나타나는 로타시즘이며, 둘째는 공통 튀르크어의 ''š''에 해당하는 소리가 ''l''로 나타나는 람다이즘이다.[19] 1856년 아우구스트 아흘크비스트가 추바시어를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현장 조사하여 그 적절한 관련성을 확립했다.[20]
일부 학자들은 훈족이 사용했던 훈어가 추바시어와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하며[21] 추바시어를 별도의 '훈-불가르어' 분파로 분류한다.[22] 그러나 이러한 추측은 훈족의 언어가 몇몇 증명된 단어와 고유 명사를 제외하고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적절한 언어학적 증거에 기반하지 않는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훈어를 분류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23][24][25][26]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의 주류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과거에 추바시어를 우랄어족 언어로 간주하기도 했다.[27] 반대로, 오늘날 다른 학자들은 추바시어를 핀-우고르어족의 언어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은 오구르어라고 간주한다.[28]
다음은 원시 튀르크어에서 추바시어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음운 변화와 그에 따른 음운 대응 관계이다.[29][30]음운 변화 규칙 예시 (추바시어 : 비교 언어 및 의미) */ɾʲ/ > r хӗр (hĕr) : 터키어 kız '소녀' */lʲ/ > l,
하지만 가끔 /lʲ/ > śхӗл (hĕl) : 터키어 kış ‘겨울’ *y > ǰ > č > ś çул (şul) : 터키어 yol ‘길’ *-n > -m тӗтӗм (tĕtĕm) : 터키어 tütün ‘연기’ *-ŋ > -n (때로는 -m) çӗнӗ (şĕnĕ) : 야쿠트어 саҥа, 터키어 yeni 새로운 (< 원시 튀르크어 *yaŋï, yeŋi) *-d > -ð > -z > -r ура (ura) : 투바어 адак, 터키어 ayak (< 원시 튀르크어 *adak) ‘발’ *[q] (후설 모음 환경에서의 */k/) > χ,
하지만 나중에 *y 앞에서 탈락хура (hura) : 터키어 kara 검은색 *-/k/ (즉 -[q] 또는 -[k]) 이음절 어간의 마지막: > g > γ > ∅ (탈락) пулӑ (pulă) : 터키어 balık 물고기 *-g > *-w > -v, -∅ (탈락, 또한 단모음화를 통해) ту (tu) : 터키어 dağ 산 *s > š 가끔 (뒤따르는 *y 때문?) шыв (šyv) : 고대 튀르크어 sub, 터키어 su '물' *b- > p- пӗр (pĕr) : 터키어 bir '하나' *-b > *-w > -v шыв (šyv) : 고대 튀르크어 sub, 터키어 su '물' *t 구개 환경에서 > č чӗр (çĕr) : 터키어 diz '무릎' 이중 모음화로 장모음이 /yV/ 및 /vV/ 시퀀스를 생성함 (하지만 모든 관련 어휘소에서는 아님) *ā > ja → ят (jat) : 투르크멘어 at, 터키어 ad 이름 (< 원시 튀르크어 *āt) 고모음의 감소 및 중앙 모음화 *u > ă → тӑр (tăr) : 터키어 dur 서다 저모음 변화 *a > *å > o > u (후자는 표준어가 기반으로 하는 아나트리 방언에서만) → ут (ut) : 터키어 at 말 동화 규칙 유성 자음 사이의 유성화, 구개 환경에서 자음의 구개음화, 감소된 모음에서 왼쪽으로의 강세 후퇴 등 (음운론 섹션 참조).
위에 나열된 대부분의 (비동화) 자음 변화는 10세기에 불가르족이 볼가강 지역으로 이주하기 전 시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는 ''č'' > ''ś'' 이동과 ''-d'' > ''-ð'' > ''-z'' > ''-r'' 이동의 마지막 단계인데, 이는 이후 볼가 불가르 시대(10세기 이주부터 13세기 몽골 침략까지)에서 비롯되었다. 모음 변화는 대부분 나중에, 주로 중세 추바시어 시대(침략과 17세기 사이)에 발생했으며, 이중 모음화는 볼가 불가르 시대에 일어났다. 추바시어에서 알려진 많은 음운 변화는 헝가리어로의 튀르크어 차용어(이주 전 시기부터)와 볼가 불가르 비문 또는 볼가 지역 언어(볼가 불가르 시대부터)로의 차용어에서 관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자료는 또한 이 두 시대 동안 오구르어를 사용하는 인구 내에 상당한 방언적 변이가 있었음을 나타낸다.[30]
중앙아시아에서 8~10세기에 고대 튀르크 문자 (오르혼-예니세이 문자)가 튀르크어 표기에 사용되었다. 서기 7~9세기의 튀르크 비문은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남겼다. 추바시어(오구르어파)는 다른 튀르크어파(공통 튀르크어)와 다음과 같은 주요 음운 대응 관계에서 차이를 보인다.
'''로타시즘'''
'''히타시즘'''
의미 | 오구즈 / 킵차크 | 추바시어 (상류 방언) | 추바시어 (하류 방언) |
---|---|---|---|
검정 | qara | hura | hora |
거위 | qaz | hur | hor |
소녀 | qyz | hĕr | hĕr |
주키니 | qabaq | hupah | hopah |
- ''-h-'' 소리는 음절의 마지막 소리일 경우 사라진다.
- ''Dudaq'' (입술) → ''Tuta'' (추바시어, 원래는 ''Tutah'')
- ''Ayaq'' (다리) → ''Ura'' (추바시어, 원래는 ''Urah'')
- ''Balyq'' (물고기) → ''Pulă'' (추바시어, 원래는 ''Pulăh'')
- ''Ineq'' (암소) → ''Ĕne'' (추바시어, 원래는 ''Ĕneh'')
'''기타 자음 대응'''
- 공통 튀르크어의 어두 /j-/ (오구즈) 또는 /ž-/ (킵차크) 소리는 추바시어에서 /ş-/로 대체된다.
- 예: "달걀", "뱀", "비", "집", "땅"
- 오구즈: ''yumurta, yılan, yağmur, yurt, yer'' (''turk., azerb., tat.,'')
- 킵차크: ''žumurtka, žılan, žamgyr, žort, žer'' (''kyrgyz., kazakh.'')
- 추바시어: ''çămarta, çĕlen, çумӑр (şămăr), çурт (şurt), çĕр (şĕr)''
'''람다이즘'''
- 공통 튀르크어의 /š/ 소리는 추바시어에서 /l/로 대체된다.
의미 | 오구즈 / 킵차크 | 추바시어 |
---|---|---|
겨울 | kyš | hĕl |
은 | kemeš | кӗмӗл (kĕmĕl) |
태양 | kojaš | хӗвел (hĕvel) |
'''모음 대응'''
- 첫 음절 모음 대응: 공통 튀르크어의 첫 음절 /a/는 추바시어에서 /u/ 및 /o/에 해당한다. (현대 추바시어에서는 [a]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음. 예: 타타르어 "kapka" ~ 추바시어 "hapha" (문), "''hup - 닫다''"에서 파생된 "''hupha''"여야 함)
의미 | 오구즈 / 킵차크 | 추바시어 (상류 방언) | 추바시어 (하류 방언) |
---|---|---|---|
말 | at | ut | ot |
동전 | akça | ukşa | okşa |
머리 | baš | puş | poş |
걸음 | adym | utăm | otăm |
- /u/ > /wu/ 또는 /wă/ 변화: G. F. 밀러는 공통 튀르크어의 /u/가 추바시어에서 /wu/ 또는 /wă/로 대체되는 예를 관찰했다.
의미 | 오구즈 | 추바시어 (상류 방언) | 킵차크 | 추바시어 (하류 방언) |
---|---|---|---|---|
불 | ut | wut | ot | wot |
열 | un | wun | on | won |
숲 | urman | wărman | orman | wărman |
러시아인 | urus | wyrăs | orus | wyrăs |
그 | ul | wăl | ol | wăl |
서른 | utyz | wătăr | otyz | wătăr |
- 마찰음 /g/ > /v/ 변화: 추바시어의 일부 단어에서 마찰음 /g/는 /v/에 해당한다.
의미 | 오구즈 | 추바시어 |
---|---|---|
고향의 | tugan | тӑван (tăvan) |
나무 | ağac | йывӑҫ (jyvăş) |
산 | dağ | ту (tuv) |
'''오구르어파와 오구즈어파 비교 (b < m 전환)'''
튀르크어의 오구즈는 단어 "나"를 고대 시대에 오구즈족과 오구르족은 "''bä(n)''"으로 발음하고, 나머지 튀르크족은 "''män''"으로 발음한다는 점에서 킵차크족과 다르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b < m'' 전환). 볼가 지역의 현대 튀르크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타타르어, 바슈키르어 ''Min'', 오구르/추바시어 ''Эпӗ (Epĕ)'' (< *pen), 튀르키예어 ''Ben'', 영어 «''I am''» (나)
- 타타르어, 바슈키르어 ''Mең'', 오구르/추바시어 ''Пин (Pin)'', 튀르키예어 ''Bin'', 영어 «천» (1000)
- 타타르어, 바슈키르어 ''Milәš'', 오구르/추바시어 ''Pileš'', 영어 «산사나무»
- 타타르어 ''Мәче (Mäçä)'', 오구르/추바시어 ''Pĕşi, Pĕşuk'', 아제르바이잔어 ''Pišik'', 영어 «고양이»
- 타타르어 ''Miçеү'', 오구르/추바시어 ''Piçev'', 영어 «버클»
4. 역사
가장 오래된 문자 체계인 돌궐 문자는 볼가 불가르가 이슬람교로 개종한 후 사라졌고, 이후 아랍 문자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볼가 불가르에 대한 몽골 침략 이후 문자 사용은 쇠퇴했다. 표트르 대제의 개혁 이후 추바시 엘리트 계층이 사라지고 특정 기술직이 비러시아인에게 금지되면서, 추바시인들은 러시아어로 교육받게 되었다. 이 시기 민간에서는 간단한 형태의 룬 문자가 다시 나타나기도 했다.[40][41]
추바시어의 언어 지형은 비교적 균질하며 방언 간 차이는 크지 않고, 현재 그 차이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다.[32] 연구자들은 추바시어를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눈다.
- '''상부 방언''' (Вирьял|비랼cv): 수라강 상류 지역 방언으로, "말"을 뜻하는 ''ot''처럼 단어의 /o/ 소리를 보존한다.
- '''중부 방언''': 혼합적, 과도기적 특징을 보인다.
- '''하부 방언''' (Анатри|아나트리cv): 수라강 하류 지역 방언으로, "말"을 뜻하는 ''ut''처럼 단어의 /o/ 소리를 /u/로 바꾸어 발음한다. (참고로 튀르키예어에서 "말"은 ''at''이다.)
영어 | 상부 방언 (Turi) | 오구즈어 | 하부 방언 (Anat) | 킵차크어 |
---|---|---|---|---|
ten (열) | von | on | vun | un |
forest (숲) | vorman | orman | vurman | urman |
bow (활) | ohă | ok | uhă | uk |
''Malokarachinsky 방언''은 별도의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 추바시 문학어는 하부 방언과 상부 방언 모두를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타타르어와 마리어 같은 인접 우랄어족 언어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도 추바시어 어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각 주요 방언은 고유한 특징을 가진 여러 하위 방언으로 더 세분화된다. 기본 방언 안에 하위 방언이 있는 구조이다.
- 상부 방언 하위 방언: a) Sundyrsky; b) Morgaussko-Yadrinsky; c) Krasnochetaysky; d) Cheboksary; e) Kalininsko-Alikovsky
- 중부 방언 하위 방언: a) Malocivilsky; b) Urmarsky; c) civil-marposadsky
- 하부 방언 하위 방언: a) Buin-Simbirsk; b) Nurlatsky (prichemshanye)
'''방언 간 주요 차이점'''
'''1. 음성학적 차이'''
- '''모음 /o/ vs /u/''': 상부 방언(Kalinin-Alikov 하위 그룹 제외)은 첫 음절에서 /o/ 소리를 사용하지만, 하부 방언은 /u/를 사용한다. (예: 상부 ''por'', 하부 ''pur'' (있다); 상부 ''olttă'', 하부 ''ulttă'' (여섯); 상부 ''toprăm'', 하부 ''tuprăm'' (찾았다))
- '''모음 /ö/ vs /ü/''': 상부 방언의 Sundyr 하위 방언은 다른 방언의 /ü/ 대신 /ö/ 소리를 사용한다. (예: 상부 ''pӧrt'', 하부 ''pürt'' (오두막); 상부 ''tӧrt'', 하부 ''türt'' (뒤); 상부 ''šӧrpe'', 하부 ''šürpe'' (국물))
- '''/j/ 소실 및 구개음화''': 상부 방언(대부분 하위 방언)에서는 공명음(/l/, /n/, /r/) 및 파열음(/t/) 앞의 /j/ 소리가 탈락하면서 앞선 자음이 구개음화된다. (예: 상부 ''mar'a'', 하부 ''majra'' (러시아 여자); 상부 ''sul'l'a'', 하부 ''sujla'' (선택하다))
- '''자음 중복''': 상부 방언(대부분 하위 방언)에서는 핀란드어처럼 자음 중복이 나타난다. (예: 상부 ''tottăr'', 하부 ''tutăr'' (숄); 상부 ''ĕssĕr'', 하부 ''üsĕr'' (취한); 상부 ''kokkăr'', 하부 ''kukăr'' (구부러진))
- 자음 중복 자체는 추바시어의 일반적인 특징일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많은 기본 단어에서 나타난다 (예: ''anne'' (어머니), ''atte'' (아버지), ''picche'' (형제), ''appa'' (자매), ''kukka'' (삼촌), ''pĕrre'' (하나), ''ikkĕ'' (둘), ''vişşĕ'' (셋), ''tvattă'' (넷), ''pillĕk'' (다섯), ''ulttă'' (여섯), ''şiççĕ'' (일곱), ''sakkăr'' (여덟), ''tăhhăr'' (아홉), ''vunnă'' (열)).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를 7세기경 볼가강 유역으로 이주 시 볼가 핀족의 영향으로 추정하지만,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도 있다. 반면, Trans-Kama 지역 추바시의 한 하위 그룹에서는 자음 중복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데 (예: ''Adi'' (아버지), ''Ani'' (어머니), 수사: ''pĕr, ik, viş, tvat, pül, şiç, sagăr, tăgăr, vun''), 이는 타타르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타타르어식 단어도 많이 사용한다 (예: ''kuşana'' (토끼, 타타르어 ''kuyan''), 다른 방언은 ''mulkach''; ''kujmak'' (팬케이크), 다른 방언은 ''ikerchĕ''; ''pĕşi'' (고양이), 다른 방언은 ''sash'').
- '''둥근 모음''': 중부 및 상부 방언에는 입술을 둥글게 약간 내밀며 발음하는 둥근 모음 /ă°/, /ĕ°/가 있지만, 하부 방언에는 나타나지 않고 표준 /ă/, /ĕ/에 해당한다.
- '''파찰음 /ç/ 발음''': 상부 및 중부 방언 화자는 /ç/를 러시아어 파찰음과 비슷하게 발음하지만, 하부 방언에서는 타타르어처럼 부드러운 /ç/ 소리가 난다.
'''2. 형태론적 차이'''
- '''복수 접미사''': 상부 방언은 모음 조화에 따라 ''-sam/-sem''을 모두 사용하지만, 하부 방언은 ''-sem''만 사용한다. (예: 상부 ''lašasam'', 하부 ''lašasem'' (말들); 상부 ''surăhsam'', 하부 ''surăhsem'' (양들); 상부 ''şaramsam'', 하부 ''şeremsem'' (초원들))
- '''격 접미사''': 상부 방언(대부분 하위 방언)의 소유격은 ''-jăn (-jĕn)'', 여격은 ''-ja (-je)''인 반면, 하부 방언은 ''-năn (-nĕn, -n)'', ''-na (-ne)''를 사용한다. (예: 소유격 상부 ''lašaiăn'', 하부 ''lašan(ăn)'' (말의); 여격 상부 ''lašaja'', 하부 ''lašana'' (말에게))
- '''소유 접미사''': 상부 방언에서는 3인칭 접미사 ''-i (-ĕ)''를 제외하고 소유 접미사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인칭 접미사의 경우, 상부 방언의 ''-u (-ü)''는 하부 방언의 ''-ă (-ĕ)''에 해당한다. (예: 상부 ''san puşu'', 하부 ''san puşă'' (너의 머리); 상부 ''san hĕrü'', 하부 ''san hĕrĕ'' (너의 딸)) 혼합형도 존재한다.
- '''동사 활용''': 상부 방언에서는 현재 시제 동사의 2인칭 복수형 접미사에서 시간 지표 ''-t-''와 ''-p-''의 자음 중복이 나타난다. (예: 상부 ''esĕr vulattăr'', 하부 ''esir vulatăr'' (너희는 읽는다); 상부 ''epĕr pyrappăr'', 하부 ''epir pyrapăr'' (우리는 간다)). 러시아어 영향을 받은 형태(''epir pyratpăr'')도 있다. 혼합형도 존재한다.
- '''가능성 접미사''': 상부 방언에서는 동사의 가능성 접미사 ''-aj (-ej)''가 축약되어 ''-i''로 변했다. (예: 상부 ''kalimarăm'', 하부 ''kalajmarăm'' (말할 수 없었다); 상부 ''pĕlimarăm, pĕlimerĕm'', 하부 ''pĕlejmerĕm'' (알 수 없었다))
- '''의문 접미사''': 상부 방언에서는 모음 조화형 ''-i''가 일반적이지만, 하부 방언에서는 ''-a (-e)''가 사용된다. (예: 상부 ''esĕ kajrăn-i?'', 하부 ''esĕ kajrăn-a?'' (너는 떠났니?); 상부 ''esĕ pĕletĕn-i / es pĕletni?'', 하부 ''esĕ pĕletĕn-e? / es pĕletnĕ?'' (너는 아니?))
- '''구절 축약 및 복합어''': 상부 방언에서는 구절이 축약되어 복합어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예: 상부 ''ulmuşşi (olmaşşi)'', 하부 ''ulma jyvăşşi / jyvăşĕ'' (사과나무); 상부 ''şatmari'', 하부 ''şatma avri'' (프라이팬 손잡이); 상부 ''hălhanki'', 하부 ''hălha şakki'' (귀걸이); 상부 ''upăte'', 하부 ''upa-etem'' (원숭이, 직역: 곰-사람); 상부 ''pişĕhe'', 하부 ''pilĕk şihhi'' (벨트, 직역: 허리 끈))
'''3. 구문적 차이'''
- '''부사 분사의 술어 기능''': 상부 방언(대부분 방언)에서는 부사 분사 ''-sa (-se)''가 단순 술어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중부 및 하부 방언에서는 그렇지 않다. (예: 상부 ''Ep şyrsa'', 하부 ''Epĕ şyrtăm'' (나는 썼다))
- '''분석 구문 vs 합성 구문''': 상부 방언은 하부 방언의 합성 구문 대신 분석 구문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 상부 ''Apat şima kilĕr'', 하부 ''Apata kilĕr'' (점심 먹으러 가다); 상부 ''Kaşit' şinçe şyrnă'', 하부 ''Xaşatra şyrnă'' (신문에 쓰여 있다)) 혼합형도 존재한다.
'''4. 어휘적 차이'''
- '''인칭 대명사''': 상부 방언은 ''Epĕr'' (우리), ''Esĕr'' (너희)를 사용하고, 하부 방언은 ''Epir'', ''Esir''를 사용한다. 카마강 유역의 하부 방언 화자 중 일부는 상부 방언 형태를 사용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는 ''Epĕr, Esĕr'' 형태가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단수형 ''Ep/Epĕ'' (나), ''Es/Esĕ'' (너)에 복수 접미사 ''-ĕr/-ăr''가 붙은 형태로, 구조적으로 더 타당해 보인다. (예: ''Epĕ şitrĕm'' (나는 도착했다) -> ''Epĕr şitrĕmĕr'' (우리는 도착했다), ''Ham vularăm'' (나는 읽었다) -> ''Hamăr vularămăr'' (우리는 읽었다)). 일부 방언에서는 소유격 ''Pirĕn'' (우리의), ''Sirĕn'' (너희의) 대신 ''Epĕrĕn'', ''Esĕrĕn''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 역시 더 오래된 형태일 수 있다.
- 그 외에도 방언 간 어휘 차이가 존재한다.
'''문학어에 대한 논쟁'''
현대 추바시 문학어는 하부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지만, 과거에는 상부 방언 기반의 문학어가 사용되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원래 추바시 모국어는 상부 방언이었으며, 현재의 하부 방언 기반 문학어는 여러 변화를 겪은 결과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호르데(Horde) 시대 이후 추바시족의 이주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루어졌으며, 남쪽과 동쪽으로 멀리 이동할수록 언어 변화가 심했다.
2. 킵차크어와 러시아어의 영향이 하부 방언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심비르스크(당시 체복사리보다 훨씬 큰 도시)에 러시아인들이 정착하면서 부인(Buin) 지역의 하부 방언은 러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G. F. Miller 등 초기 여행자들이 기록한 추바시어 자료에는 하부 방언이 아닌 상부 방언 단어만 포함되어 있다.
3. 하부 방언의 /u/ 발음은 킵차크어의 영향, 상부 방언의 /o/ 발음은 오구즈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4. 차용어 끝의 /t/ 소리가 탈락하는 규칙(예: ''tus'' (친구) < ''dust'', ''hĕres'' (십자가) < ''krest'')이 있는데, 특정 동사 형태(-st')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나타난 후기 현상으로 보인다(예: ''pulmast''' (일어나지 않는다)의 역사적 형태는 ''pulmas''). 이는 하부 방언에 대한 러시아어의 영향임을 시사한다.
5. 문자 'T'는 모음 E, Ĕ, Ü, I 뒤에서만 부드러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나(예: ''kilet'''), 하부 방언에서는 모든 끝 'T'가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6. 문학어에서 축약된 주소 형태(예: ''Es juratan'')가 사라지고 정중한 완전한 형태(''Esĕ juratatăn'' - 당신은 사랑합니까)만 남았다.
7. 상부 방언의 동사 어미 자음 중복(예: ''Kaja''pp''ăr'' - 우리는 간다) 대신, 러시아어 영향을 받은 하부 방언 형태(''Kaja''tp''ăr'')가 표준으로 쓰인다. 자음 중복은 ''Anne'' (엄마), ''Atte'' (아빠) 등의 단어에서 보이듯 핀란드어 영향이 아닌 추바시어 고유의 특징일 수 있다.
이 외에도, 17세기부터 20세기 전환기에 상부 및 하부 방언 화자가 함께 정착하면서 두 방언의 특징이 혼합된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5. 특징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족 내에서 가장 독특한 언어로 평가받으며,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 사용자와의 상호 이해도가 매우 낮다.[16] 이는 추바시어가 속한 오구르어파가 공통 튀르크어에서 일찍 분기하여 독자적인 발달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추바시어는 사멸한 불가르어와 함께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언어이다.[16] 오구르어파에 속했던 다른 언어들(하자르어 등)에 대한 기록이 부족하여 오구르어파 내에서 추바시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문법 구조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유사한 교착어의 특징을 보이며, 풍부한 접미사를 활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어휘나 특히 음운 면에서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대표적인 음운 특징으로는 공통 튀르크어의 'z'가 'r'로 나타나는 로타시즘과 'š'가 'l'로 나타나는 람다이즘 현상이 있다.[19] 이러한 음운적 차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원시 튀르크어에서 직접 분화된 것이 아니라, 그와 병행하여 존재했던 다른 고대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7]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이고르 데 라체빌츠 역시 추바시어가 다른 튀르크어와 공유하지 않는 특징이 많아 별개의 분파로 간주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18]
어휘 면에서도 고유한 단어가 많으며, 오랜 기간 동안 핀-우고르어족 언어들(마리어 등)과 접촉하며 영향을 받았고, 러시아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에서도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28]
추바시어의 방언 간 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으며, 크게 수라강 상류 지역의 상부 방언(Вирьял|비랼cv)과 하류 지역의 하부 방언(Анатри|아나트리cv), 그리고 그 사이의 중부 방언으로 나뉜다.[32] 현대 추바시 문학어는 주로 하부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문자는 19세기 후반 이반 야코블레비치 야코블레프가 고안한 키릴 문자 기반의 알파벳을 사용하며, 몇 차례의 수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39]
5. 1. 음운 변화
추바시어는 튀르크어족 내에서 가장 독특한 언어로 평가받으며, 다른 튀르크어 사용자와의 상호 이해도가 낮다. 이는 추바시어가 속한 오구르어파가 공통 튀르크어와 일찍 분기하여 독자적인 음운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추바시어는 사멸한 불가르어와 함께 오구르어파의 유일한 현존 언어로 분류된다.[16]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와 나머지 튀르크어족 언어들의 관계가 더 먼 조상 언어에서 갈라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17]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이고르 데 라체빌츠는 추바시어가 다른 튀르크어와 공유하지 않는 특징이 많아 별개의 분파로 간주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18]오구르어파는 공통 튀르크어와 비교했을 때 두드러진 음운 변화를 보이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공통 튀르크어의 ''z''가 ''r''로 변하는 현상(로타시즘)과 ''š''가 ''l''로 변하는 현상(람다이즘)이다.[19] 이러한 특징은 1856년 아우구스트 아흘크비스트의 현장 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규명되었다.[20]
일부 학자들은 훈어와의 연관성을 주장하며 추바시어를 별도의 훈-불가르 분파로 분류하기도 하지만,[21][22] 훈어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언어학적 증거는 미약하다.[23][24][25][26] 과거에는 우랄어족으로 분류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27] 현재는 핀-우고르어족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오구르어파 언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28]
=== 원시 튀르크어로부터의 음운 변화 ===
추바시어는 원시 튀르크어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음운 변화를 겪었다.[29][30]
원시 튀르크어 음운 변화 | 음운 대응 관계의 예 |
---|---|
*/ɾʲ/ > r | хӗр (hĕr) : 터키어 kız '소녀' |
*/lʲ/ > l, | хӗл (hĕl) : 터키어 kış ‘겨울’ пуҫ (puś) : 터키어 baş ‘머리’ |
*y > ǰ > č > ś | ҫул (śul) : 터키어 yol ‘길’ |
*-n > -m | тӗтӗм (tĕtĕm) : 터키어 tütün ‘연기’ |
*-ŋ > -n (때로는 -m) | ҫӗнӗ (śĕnĕ) : 야쿠트어 саҥа, 터키어 yeni 새로운 (< 원시 튀르크어 *yaŋï, yeŋi) |
*-d > -ð > -z > -r | ура (ura) : 투바어 адак, 터키어 ayak (< 원시 튀르크어 *adak) ‘발’ |
*[q] (후설 모음 환경의 */k/) > χ | хура (hura) : 터키어 kara 검은색 юн (jun) : 터키어 kan 피 (원시 튀르크어 *qaːn > 오구르어 *χaːn > *χyan > *yån) |
*-/k/ (이음절 어간 말음의 -[q] 또는 -[k]): > g > γ > ∅ | пула (pulă) : 터키어 balık 물고기 ӗне (ĕne) : 터키어 inek '소' |
*-g > *-w > -v, -∅ (단모음화 동반) | ту (tu) : 터키어 dağ 산 тив (tiv) : 터키어 değ 만지다 вӗрен (vĕren) : 터키어 öğren 배우다 аллӑ (allă) : 터키어 elli 오십 (< 원시 튀르크어 *ellig, ellüg) |
*s > š 가끔 (후행 *y 때문?) | шыв (šyv) : 고대 튀르크어 sub, 터키어 su '물' |
*b- > p- | пӗр (pĕr) : 터키어 bir '하나' |
*-b > *-w > -v | шыв (šyv) : 고대 튀르크어 sub, 터키어 su '물' |
*t (구개 환경) > č | чӗр (čĕr) : 터키어 diz '무릎' |
이중 모음화 (장모음 → /yV/, /vV/) | *ā > ja : ят (jat) : 터키어 ad 이름 (< 원시 튀르크어 *āt) *ō > *wo > vu : вут (vut) : 터키어 od 불 (< 원시 튀르크어 *ōt) *ȫ, ǖ > *üwä > ăva : тӑват (tăvat): 터키어 dört 넷 (< 원시 튀르크어 *tȫrt) |
고모음의 감소 및 중앙 모음화 | *u > ă : тӑр (tăr) : 터키어 dur 서다 *ï > ă 또는 ĕ : хӗр (hĕr) : 터키어 kız 소녀 *i, *ü > ĕ : пӗр (pĕr) : 터키어 bir 하나, кӗл (kĕl): 터키어 kül '재' |
저모음 변화 | *a > *å > o > u (아나트리 방언) : ут (ut) : 터키어 at 말 *a > ï : шыр (šyr) : 터키어 yaz 쓰다 *ẹ > i : кил (kil) : 터키어 gel 오다 *o > u : утӑ (ută) : 터키어 ot 풀 *ö > ü *e (즉 *ä) > a : кас (kas) : 터키어 kes '자르다' |
위에 나열된 자음 변화 대부분은 불가르족이 볼가강 유역으로 이주하기 전(10세기 이전) 시기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č'' > ''ś'' 변화와 ''-d'' > ''-ð'' > ''-z'' > ''-r'' 변화의 마지막 단계는 볼가 불가르 시대(10세기~13세기 몽골 침략)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모음 변화는 대부분 그 이후, 특히 중세 추바시어 시대(13세기~17세기)에 발생했으며, 이중 모음화는 볼가 불가르 시대에 일어났다. 이러한 음운 변화의 증거는 헝가리어로 차용된 튀르크어 어휘나 볼가 불가르 비문 등에서도 확인되지만, 당시 오구르어 사용 집단 내에 상당한 방언적 차이가 있었음도 시사한다.[30]
=== 다른 튀르크어족과의 음운 비교 ===
추바시어(오구르어파)는 다른 튀르크어파(오구즈, 카를루크, 킵차크 등)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음운 대응 관계를 보인다.
- '''로타시즘 (Rotacism)''': 공통 튀르크어의 /j/, /d/, /z/가 추바시어에서는 /r/로 나타난다.
순음 | 치경음/치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п /p/ | т /t/ | ч /t͡ɕ/ | к /k/ | |
마찰음 | в /ʋ/ | c /s/ | ш /ʃ/ | ҫ /ɕ/ | x /x/ |
비음 | м /m/ | н /n/ | |||
접근음 | л /l/ | й /j/ | |||
전동음 | p /r/ |
- /x/는 유성 환경에서 [ɣ]로 소리 날 수 있다.
==== 모음 ====

추바시어 모음 체계는 학자마다 약간 다르게 기술된다. 크루거(Krueger, 1961)와 로나-타스(Róna-Tas, 1997), 페트로프(Petrov, 2001) 등의 연구를 종합하면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IPA 기호는 연구자들의 설명을 바탕으로 추정한 것이다.
rowspan="2" | | 전설 모음 | 후설 모음 |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고모음 | и /i/ | ӳ /y/ | ы /ɯ/ | у /u/ |
중모음/저모음 | е /e/ (/ɛ/) | ӗ /ø̆/ (/ĕ/) | а /a/ | ӑ /ɤ̆/ (/ŏ/) |
모음 ӑ (/ɤ̆/ 또는 /ŏ/)와 ӗ (/ø̆/ 또는 /ĕ/)는 다른 모음보다 짧게 발음되는 축약 모음이다. 강세가 없는 위치에서는 슈와 (/ə/)처럼 발음되거나 탈락하기도 한다. 강세가 있을 때는 약간 원순화되어 /o/나 /ø/처럼 들릴 수도 있다. 러시아어 차용어에서는 강세 음절에 /ɔ/ (о)가 나타나기도 한다.
==== 강세 ====
일반적으로 단어의 마지막 완전 모음(축약되지 않은 모음: и, у, ы, ӳ, е, а)에 강세가 온다. 단어에 완전 모음이 없으면 첫 음절의 모음에 강세가 온다.[43] 강세가 있는 완전 모음 앞뒤의 축약 모음(ӑ, ӗ)은 매우 짧게 발음된다. 두 모음 모두 축약 모음인 2음절 단어에는 강세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44]
5. 2. 어휘
어휘 면에서 추바시어는 튀르크어파의 다른 언어들, 특히 오우즈어와 비교했을 때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오우즈어의 'z', 'ş', 어중·어말의 't', 'y'가 추바시어에서는 각각 'r(р)', 'l(л)', 'ç(ч)', 'ş(ç/ш?)'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오우즈(Oghuz)'와 '오구르(Oghur)'라는 명칭 자체도 어미의 자음 하나만 다른데, 이는 동일한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음을 보여주는 음운 변화의 결과이다.추바시어는 튀르크어족 내에서 가장 이질적인 언어로 평가받으며, 다른 튀르크어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16] 이는 추바시어가 사멸한 불가르어와 함께 튀르크어족의 오구르어파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언어이기 때문이다. 오구르어파의 다른 언어들(불가르어나 하자르어 등)에 대한 기록이 부족하여 오구르어파 내에서 추바시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문법적으로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유사성을 보이지만, 발음상의 큰 차이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추바시어가 원시 튀르크어에서 직접 분화된 것이 아니라, 그와 병행하여 존재했던 다른 고대 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7] 이탈리아의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이고르 데 라체빌츠는 추바시어가 다른 튀르크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들을 지적하며, 일부 학자들이 이를 튀르크어족과는 별개의 분파로 간주한다고 언급했다.[18]
오구르어파는 공통 튀르크어와 비교했을 때 두드러진 음운 변화를 보이는데, 대표적인 것이 공통 튀르크어의 ''z''에 해당하는 ''r'' (로타시즘)과 ''š''에 해당하는 ''l'' (람다이즘)이다.[19] 이러한 특징은 1856년 아우구스트 아흘크비스트의 현장 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규명되었다.[20]
일부 학자들은 훈족의 언어가 추바시어와 강한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하며[21] 추바시어를 별도의 '훈-불가르어'로 분류하기도 하지만,[22] 훈족 언어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인해 이는 언어학적 증거가 부족한 추측으로 여겨진다.[23][24][25][26] 과거에는 추바시어의 이질성 때문에 우랄어족으로 분류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27] 현재는 핀-우고르어족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오구르어파 언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28]
다음은 원시 튀르크어에서 추바시어로 변화한 주요 음운 대응 관계이다.[29][30]
원시 튀르크어 음운 변화 | 예시 (추바시어 : 터키어 의미) |
---|---|
*/ɾʲ/ > r | хӗр (hĕr) : kız '소녀' |
*/lʲ/ > l, 때로는 /lʲ/ > ś | хӗл (hĕl) : kış ‘겨울’ пуș (puş) : baş ‘머리’ |
*y > ǰ > č > ś | șул (şul) : yol ‘길’ |
*-n > -m | тӗтӗм (tĕtĕm) : tütün ‘연기’ |
*-ŋ > -n (때로는 -m) | șӗнӗ (şĕnĕ) : 야쿠트어 саҥа, 터키어 yeni 새로운 (< 원시 튀르크어 *yaŋï, yeŋi) |
*-d > -ð > -z > -r | ура (ura) : 투바어 адак, 터키어 ayak (< 원시 튀르크어 *adak) ‘발’ |
*[q] (후설 모음 환경의 */k/) > χ, *y 앞에서는 탈락 | хура (hura) : kara 검은색 юн (jun) : kan 피 (원시 튀르크어 *qaːn > 오구르어 *χaːn > *χyan > *yån) |
*-/k/ (이음절 어간 말음) > g > γ > ∅ | пулӑ (pulă) : balık 물고기 ӗне (ĕne) : inek '소' |
*-g > *-w > -v, -∅ (단모음화 동반) | ту (tu) : dağ 산 тив (tiv) : değ 만지다 вӗрен (vĕren) : öğren 배우다 аллӑ (allă) : elli 오십 (< 원시 튀르크어 *ellig, ellüg) |
*s > š (때로는 후행 *y 영향?) | шыв (šyv) : 고대 튀르크어 sub, 터키어 su '물' |
*b- > p- | пӗр (pĕr) : bir '하나' |
*-b > *-w > -v | шыв (šyv) : 고대 튀르크어 sub, 터키어 su '물' |
*t (구개 환경) > č | чӗр (çĕr) : diz '무릎' |
장모음의 이중 모음화 (/yV/, /vV/ 생성) | ят (jat) : 투르크멘어 at, 터키어 ad 이름 (< 원시 튀르크어 *āt) вут (vut) : 투르크멘어 ot, 터키어 od 불 (< 원시 튀르크어 *ōt) тӑват (tăvat): 터키어 dört 넷 (< 원시 튀르크어 *tȫrt) |
고모음의 약화 및 중앙 모음화 (*u > ă; *ï > ă/ĕ; *i, *ü > ĕ) | тӑр (tăr) : dur 서다 хӗр (hĕr) : kız 소녀 пӗр (pĕr) : bir 하나 кӗл (kĕl): kül '재' |
*a > *å > o > u (아나트리 방언); 때로는 *a > ï | ут (ut) : at 말 шыр (şyr) : yaz '쓰다' |
기타 저모음 상승 (*ẹ > i, *o > u, *ö > ü) | кил (kil) : gel 오다 утӑ (utӑ) : ot '풀' |
*e (*ä) > a | кас (kas) : kes '자르다' |
이러한 음운 변화 중 자음 변화는 대부분 10세기 불가르족의 볼가강 이주 이전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č' > 'ś' 변화나 '-d' > '-r' 변화의 마지막 단계는 볼가 불가르 시대(10세기~13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모음 변화는 주로 중세 추바시어 시대(13세기~17세기)에 발생했으며, 이중 모음화는 볼가 불가르 시대에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헝가리어로 차용된 튀르크어 어휘나 볼가 불가르 비문 등을 통해 일부 확인되지만, 당시 오구르어 사용 집단 내에 상당한 방언적 차이가 있었음도 시사한다.[30]
추바시어의 특징적인 음운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로타시즘 (Rhotacism)''': 공통 튀르크어의 /j/, /d/, /z/가 추바시어에서는 /r/로 나타난다.
- 예: "다리" - 오구즈어 ''ajaq'', 카를루크어 ''adaq'', 킵차크어 ''azaq'', 추바시어 ''ура (ura)'' / 방언 ''ora''
- 예: "놓다" - 오구즈어 ''qoj-'', 카를루크어 ''qod-'', 킵차크어 ''qoz-'', 추바시어 ''хур- (hur-)'' / 방언 ''hor-''
- '''히타시즘 (Hitacism)''': 공통 튀르크어의 /q/가 추바시어에서는 /h/로 나타난다.
의미 | 오구즈 / 킵차크 | 추바시어 (상류 방언) | 추바시어 (하류 방언) |
---|---|---|---|
검정 | qara | хура (hura) | хора (hora) |
거위 | qaz | хур (hur) | хор (hor) |
소녀 | qyz | хӗр (hĕr) | хӗр (hĕr) |
호박 | qabaq | хупах (hupah) | хопах (hopah) |
- 음절 마지막의 '-h-' 소리는 탈락하기도 한다. 예: ''Dudaq'' (입술) → ''Тута (Tuta)'', ''Ayaq'' (다리) → ''Ура (Ura)'', ''Balyq'' (물고기) → ''Пулӑ (Pulă)'', ''Ineq'' (암소) → ''Ĕне (Ĕne)''
- '''/j/, /ž/ → /ş/ 변화''': 튀르크어의 어두 /j/ (오구즈) 또는 /ž/ (킵차크)가 추바시어에서는 /ş/로 나타난다.
- 예: "달걀" - 오구즈 ''jumurta'', 킵차크 ''žumurtka'', 추바시어 ''ҫӑмарта (şămarta)''
- 예: "뱀" - 오구즈 ''jylan'', 킵차크 ''žylan'', 추바시어 ''ҫӗлен (şĕlen)''
- 예: "비" - 오구즈 ''jagmur'', 킵차크 ''žamgyr'', 추바시어 ''ҫумӑр (şămăr)''
- 예: "땅" - 오구즈 ''jer'', 킵차크 ''žer'', 추바시어 ''ҫӗр (şĕr)''
- '''람다이즘 (Lambdacism)''': 공통 튀르크어의 /š/가 추바시어에서는 /l/로 나타난다.
의미 | 오구즈 / 킵차크 | 추바시어 |
---|---|---|
겨울 | kyš | хӗл (hĕl) |
은 | kemeš | кӗмӗл (kĕmĕl) |
태양 | kojaš | хӗвел (hĕvel) |
- '''모음 변화 1 (a → u/o)''': 공통 튀르크어 첫 음절의 /a/가 추바시어에서는 /u/ 또는 /o/에 해당한다.
의미 | 오구즈 / 킵차크 | 추바시어 (상류 방언) | 추바시어 (하류 방언) |
---|---|---|---|
말 | at | ут (ut) | от (ot) |
돈 | akça | укҫа (ukşa) | окҫа (okşa) |
머리 | baš | пуҫ (puş) | поҫ (poş) |
걸음 | adym | утӑм (utăm) | отӑм (otăm) |
- 단, 현대 추바시어에서는 [a]가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예: 타타르어 "kapka" (문) ~ 추바시어 "хапха (hapha)" (문).
- '''모음 변화 2 (u → wu/wă)''': 공통 튀르크어의 /u/가 추바시어에서는 /wu/ 또는 /wă/로 나타나기도 한다.
의미 | 오구즈 | 추바시어 (상류 방언) | 킵차크 | 추바시어 (하류 방언) |
---|---|---|---|---|
불 | ut | вут (wut) | ot | вот (wot) |
열 | un | вун (wun) | on | вон (won) |
숲 | urman | вӑрман (wărman) | orman | вӑрман (wărman) |
러시아인 | urus | вырӑс (wyrăs) | orus | вырӑс (wyrăs) |
그 | ul | вӑл (wăl) | ol | вӑл (wăl) |
서른 | utyz | вӑтӑр (wătăr) | otyz | вӑтӑр (wătăr) |
- '''마찰음 변화 (g → v)''': 일부 단어에서 튀르크어의 마찰음 /g/가 추바시어에서는 /v/에 해당한다.
의미 | 오구즈 | 추바시어 |
---|---|---|
고향의 | tugan | тӑван (tăvan) |
나무 | ağac | йывӑҫ (jyvăş) |
산 | dag | ту (tuv) |
- '''오구르와 오구즈의 차이 (b/m)''': 고대 오구르족과 오구즈족은 1인칭 대명사를 "bä(n)"으로 발음한 반면, 다른 튀르크족(킵차크 등)은 "män"으로 발음했다. 이러한 'b'와 'm'의 대응 관계는 현대 볼가 지역 튀르크어에서도 나타난다.
- "나": 타타르/바슈키르어 ''Min'', 추바시어 ''Эпĕ (Epĕ)'' (< *pen), 터키어 ''Ben''
- "천": 타타르/바슈키르어 ''Мең'', 추바시어 ''Пин (Pin)'', 터키어 ''Bin''
- "산사나무": 타타르/바슈키르어 ''Milәš'', 추바시어 ''Пилеш (Pileš)''
- "고양이": 타타르어 ''Мәçә'', 추바시어 ''Пĕşi, Пĕşuk'', 아제르바이잔어 ''Pišik''
- "버클": 타타르어 ''Miçеү'', 추바시어 ''Пиçев (Piçev)''
=== 수사 ===
추바시어의 수 체계는 십진법을 따른다.
- 1-10:
- 1 – пӗрре (pĕrre), пӗр (pĕr)
- 2 – иккӗ (ikkĕ), икӗ (ikĕ), ик (ik)
- 3 – виҫҫӗ (wişşĕ), виҫӗ (wişĕ), виҫ (wiş)
- 4 – тӑваттӑ (tăwattă), тватӑ (tvată), тӑват (tăwat), тват (tvat)
- 5 – пиллӗк (pillĕk), пилӗк (pilĕk), пил (pil)
- 6 – улттӑ (ulttă), ултӑ (ultă), улт (ult)
- 7 – ҫиччӗ (şiççĕ), ҫичӗ (şiçĕ), ҫич (şiç)
- 8 – саккӑр (sakkăr), сакӑр (sakăr)
- 9 – тӑххӑр (tăhhăr), тӑхӑр (tăhăr)
- 10 – вуннӑ (wunnă), вун (wun)
- 11-19: '10 (вун, wun)' 뒤에 해당 숫자를 붙여 만든다.
- 11 – вун пӗр (wun pĕr)
- 12 – вун иккӗ (wun ikkĕ) / вун икӗ (wun ikĕ) / вун ик (wun ik)
- 13 – вун виҫҫӗ (wun wişşĕ) / вун виҫӗ (wun wişĕ) / вун виҫ (wun wiş)
- 14 – вун тӑваттӑ (wun tăwattă) / вун тватӑ (wun tvată) / вун тват (wun tvat)
- 15 – вун пиллӗк (wun pillĕk) / вун пилӗк (wun pilĕk) / вун пил (wun pil)
- 16 – вун улттӑ (wun ulttă) / вун ултӑ (wun ultă) / вун улт (wun ult)
- 17 – вун ҫиччӗ (wun şiççĕ) / вун ҫичӗ (wun şiçĕ) / вун ҫич (wun şiç)
- 18 – вун саккӑр (wun sakkăr) / вун сакӑр (wun sakăr)
- 19 – вун тӑххӑр (wun tăhhăr) / вун тӑхӑр (wun tăhăr)
- 10의 배수:
- 20 – ҫирӗм (şirĕm)
- 30 – вӑтӑр (wătăr)
- 40 – хӗрӗх (hĕrĕh)
- 50 – аллӑ (allă), алӑ (ală), ал (al)
- 60 – утмӑл (utmăl) (어간 변화 + -мӑл)
- 70 – ҫитмӗл (şitmĕl) (어간 변화 + -мӑл)
- 80 – сакӑр вуннӑ (sakăr wunnă), сакӑр вун (sakăr wun) ('8' + '10')
- 90 – тӑхӑр вуннӑ (tăhăr wunnă), тӑхӑр вун (tăhăr wun) ('9' + '10')
- 큰 수:
- 100 – ҫӗр (şĕr)
- 1000 – пин (pin)
- 예: 834,236 – сакӑр ҫӗр вӑтӑр тӑватӑ пин те ик ҫӗр вӑтӑр улттӑ (sakăr şĕr wătăr tvată pin te ik şĕr wătăr ulttă)
- 서수사: 일반적으로 '''-мӗш (-mĕš)''' 접미사를 붙여 만든다. 예: пӗрремӗш (pĕrremĕš) '첫 번째', иккӗмӗш (ikkĕmĕš) '두 번째'.
- 3부터 7까지의 숫자에 대해서는 날짜, 밤, 연도를 나타낼 때 '''-ӑм/-ĕм''' 접미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 виҫӗм (wişĕm) '세 번째', тватӑм (tvatăm), пилӗм (pilĕm), ултӑм (ultăm), ҫичӗм (şiçĕm). 10의 경우에도 вунӑм (wunăm)을 사용한다.[82]
=== 주요 접미사 ===
추바시어에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접미사들이 있다.
- '''-ҫӑ (-śă)''': 행위자 명사를 만든다. (예: вӗрентекен '선생님' → вӗрентӳҫӗ '가르치는 사람')
- '''-лӑх (-lăh)''': 추상 명사나 도구 명사를 만든다. (예: тус '친구' → туслӑх '우정')
- '''-ӑш (-ăš)''': 일부 형용사에서 파생된 추상 명사를 만든다. (예: тарӑн '깊은' → тарӑнӑш '깊이')
- '''-у (-u)''' / '''-v (-v)''': 동사에서 동작 명사를 만든다. (자음 뒤 -у, 모음 뒤 -v) (예: вула '읽다' → вулу '읽기')
- '''-ла (-la), -ал (-al), -ар (-ar), -н (-n)''': 명사에서 동사를 파생시킨다. (예: ӗҫ '일' → ӗҫле '일하다')
- 지소사(작거나 귀여움을 나타냄): '''-ашка (-aška), -(к)ка (-(k)ka), -лчӑ (-lčă), -ак/ӑк (-ak/ăk), -ача (-ača)''' 등 다양한 접미사가 사용된다.[84]
5. 3. 문법
추바시어는 모든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며, 풍부한 접미사를 가지고 있다. 부분적으로 반복되는 강세 접두사를 제외하고는 고유의 접두사나 전치사가 없다. 예를 들어: шурӑ||cv - ''하얀'', шап-шурӑ||cv - ''눈처럼 하얀'', хура||cv - ''검은'', хуп-хура||cv - ''새까만'', такӑр||cv - ''평평한'', так-такӑр||cv - ''완전히 평평한'', тулли||cv - ''가득 찬'', тӑп-тулли||cv - ''꽉 찬'' 등이 있다. (비교: 튀르키예어 beyaz||tr - ''하얀'', bem-beyaz||tr ''눈처럼 하얀'', kara||tr - ''검은'', kap-kara||tr - ''새까만'', düz||tr - ''평평한'', dümdüz||tr - ''완전히 평평한'', dolu||tr - ''가득 찬'', dopdolu||tr - ''꽉 찬''). 하나의 단어는 여러 개의 접미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명사에서 동사를 만들거나 동사 어근에서 명사를 만드는 등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어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낼 수도 있다.

현대 추바시어 알파벳은 1873년 학교 검사관 이반 야코블레비치 야코블레프에 의해 고안되었으며[39], 1938년 수정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추바시어 문법에서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규칙은 단어의 마지막 완전 모음(축약되지 않은 모음)에 강세가 있다는 것이다. 완전 모음이 없으면 첫 번째 모음에 강세가 있다.[43] 강세가 있는 완전 모음을 앞뒤에서 따르는 축약 모음은 매우 짧고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러나 두 모음 모두 축약된 2음절 단어에는 실제로 강세가 없다는 가설도 있다.[44]
=== 모음조화 ===
모음조화는 추바시어의 중요한 특징이다. 고유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후설 또는 경모음(а, ӑ, у, ы||cv)과 전설 또는 연모음(е, ӗ, ӳ, и||cv) 중 한 종류의 모음만 포함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문법적 접미사는 모음조화에 따라 전설 모음 형태와 후설 모음 형태 두 가지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처격 접미사는 -та||cv 또는 -те||cv로 나타나며(예: Шупашкар'''та'''||cv "체복사리에서", кил'''те'''||cv "집에서"), 동사 어미 -тпӗр||cv는 실제로는 -тпӑр||cv 또는 -тпӗр||cv 중 하나를 의미한다. 두 개의 모음은 연속해서 나타날 수 없다.
=== 자음 ===
자음 т||cv는 원래의 *''i''* 에서 유래한 ӗ||cv 앞에서 ч||cv와 자주 교체된다(예: ят||cv '이름' - ячӗ||cv '그의 이름'). 또한 т||cv (자음 뒤)와 р||cv (모음 뒤) 사이의 교체도 있다. 예를 들어, тетӗл||cv '그물 (주격)'의 여격은 тетӗл-те||cv이지만, пулӑ||cv '물고기 (주격)'의 여격은 пулӑ-ра||cv이다.[46]
무성 자음은 유성 자음 사이에 위치하면 유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영어 단어 | 추바시어 표기 | 발음 | |||||||||||||||||||||||||||||||||||||||||||||||||||||||||||||||||||||||||||||||||||||||||||||||||||||
---|---|---|---|---|---|---|---|---|---|---|---|---|---|---|---|---|---|---|---|---|---|---|---|---|---|---|---|---|---|---|---|---|---|---|---|---|---|---|---|---|---|---|---|---|---|---|---|---|---|---|---|---|---|---|---|---|---|---|---|---|---|---|---|---|---|---|---|---|---|---|---|---|---|---|---|---|---|---|---|---|---|---|---|---|---|---|---|---|---|---|---|---|---|---|---|---|---|---|---|---|---|---|---|
칼 | {{lang|cv|хӗҫӗ | } | } || хӗжӗ||cv
격 | 단수 | 복수 | |||||||||||||||||||||||||||||||||||||||||||||||||||||||||||||||||||||||||||||||||||||||||||||||
---|---|---|---|---|---|---|---|---|---|---|---|---|---|---|---|---|---|---|---|---|---|---|---|---|---|---|---|---|---|---|---|---|---|---|---|---|---|---|---|---|---|---|---|---|---|---|---|---|---|---|---|---|---|---|---|---|---|---|---|---|---|---|---|---|---|---|---|---|---|---|---|---|---|---|---|---|---|---|---|---|---|---|---|---|---|---|---|---|---|---|---|---|---|---|---|---|---|
주격 | -∅ | {{lang|cv|-сем | } | }
명사 격 | 단수 | 복수 | ||||||||||||||||||||||||||||||||||||||||||||||||||||||||||||||||||||||||||||||||||||||||
---|---|---|---|---|---|---|---|---|---|---|---|---|---|---|---|---|---|---|---|---|---|---|---|---|---|---|---|---|---|---|---|---|---|---|---|---|---|---|---|---|---|---|---|---|---|---|---|---|---|---|---|---|---|---|---|---|---|---|---|---|---|---|---|---|---|---|---|---|---|---|---|---|---|---|---|---|---|---|---|---|---|---|---|---|---|---|---|---|---|---|
주격 | {{lang|cv|кун | } | } || кунсем||cv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lang|cv|-(ӑ)м | } | } || -мӑр||cv
인칭 | 단수 | 복수 | |||||||||||||||||||||||||||||||||||||||||||||||||||||||||||||||||||||
---|---|---|---|---|---|---|---|---|---|---|---|---|---|---|---|---|---|---|---|---|---|---|---|---|---|---|---|---|---|---|---|---|---|---|---|---|---|---|---|---|---|---|---|---|---|---|---|---|---|---|---|---|---|---|---|---|---|---|---|---|---|---|---|---|---|---|---|---|---|---|---|
주격 | 그 외 격 어간 | 주격 | 그 외 격 어간 | ||||||||||||||||||||||||||||||||||||||||||||||||||||||||||||||||||||
1인칭 | {{lang|cv|эпӗ | } | } || ман-||cv || эпир||cv || пир-||cv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lang|cv|хам | } | } || хамӑр||cv
추바시어 | 의미 | |||||||||||||||||||||||||||||||||||||||||||||||||||||||||||
---|---|---|---|---|---|---|---|---|---|---|---|---|---|---|---|---|---|---|---|---|---|---|---|---|---|---|---|---|---|---|---|---|---|---|---|---|---|---|---|---|---|---|---|---|---|---|---|---|---|---|---|---|---|---|---|---|---|---|---|---|
{{lang|cv|кил- | } | } || 오다 (어근)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lang|cv|-(ă)п/-(ă)м | } | } || -(ă)пăр/-(ă)мăр||cv
인칭 | 단수 | 복수 | |||||||||||||||||||||||||||||||||||||||||||||||
---|---|---|---|---|---|---|---|---|---|---|---|---|---|---|---|---|---|---|---|---|---|---|---|---|---|---|---|---|---|---|---|---|---|---|---|---|---|---|---|---|---|---|---|---|---|---|---|---|---|
1인칭 | {{lang|cv|-ам | } | } || -ар||cv
시제 | 접미사 | |||||||||||||||||||||||||||||||||||||||||||
---|---|---|---|---|---|---|---|---|---|---|---|---|---|---|---|---|---|---|---|---|---|---|---|---|---|---|---|---|---|---|---|---|---|---|---|---|---|---|---|---|---|---|---|---|
현재 | {{lang|cv|-(a)т- | } | }
법 | 접미사 | ||||||||||||||||||||||||||||||||||||||
---|---|---|---|---|---|---|---|---|---|---|---|---|---|---|---|---|---|---|---|---|---|---|---|---|---|---|---|---|---|---|---|---|---|---|---|---|---|---|---|
조건[68]/희망[69] | {{lang|cv|-ăттă- | } | }
А а | Ӑ ӑ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Ӗ ӗ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Ҫ ҫ | Т т | У у |
Ӳ ӳ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이 중 Б б, Г г, Д д, Ё ё, Ж ж, З з, О о, Ф ф, Ц ц, Щ щ, Ъ ъ는 주로 러시아어 등에서 온 외래어 표기에 사용된다.
7. 2. 라틴 문자
(내용 없음)8. 현대적 상황
추바시어는 추바시인의 모국어이자 추바시 공화국의 공용어이다.[5][6] 현재 추바시어 사용자 수에 대해서는 상반된 통계가 존재한다. 일부 자료는 러시아에서 164만 명, 다른 국가에서 3만 4천 명이 추바시어를 사용한다고 추정한다.[7]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추바시 민족의 86%와 추바시 공화국에 거주하는 다른 민족의 8%가 추바시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8]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추바시어 사용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보고한다. 2010년 약 100만 명이었던 사용자 수는 2021년에는 7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감소 추세에 대해 일부 관찰자들은 모스크바 중앙 정부가 러시아 내 언어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9]
추바시어는 학교에서 교육되고 일부 미디어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유네스코는 추바시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10][11] 이는 러시아어가 일상생활의 대부분 영역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추바시어를 배우는 어린이들이 실제 언어 사용자로 성장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바시어로 된 문학 작품의 창작과 출판은 계속되고 있다. 유네스코의 ''Index Translationum'' 자료에 따르면, 1979년 이후 추바시어에서 다른 언어(주로 러시아어)로 번역된 서적이 최소 202권 출판되었다.[12] 하지만 소련 시기 다른 소수 민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번역 활동의 대부분은 소련 해체 이전에 집중되었다. 총 202권의 번역본 중 170권이 소련 시절에 출판되었고,[13] 1991년 이후 러시아에서 출판된 것은 17권에 불과하다(대부분 1990년대).[14] 다른 언어(주로 러시아어)에서 추바시어로 번역된 서적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1979년 이후 총 175권이 출판되었으나, 1991년 이후 러시아에서 출판된 것은 18권에 그친다.[15]
추바시 공화국 출신의 러시아 시인 겐나지 아이기(1934년-2006년)는 추바시어와 러시아어로 시를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추바시 공화국 내에서도 추바시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9. 관련 인물
러시아의 시인 겐나지 아이기(1934년 ~ 2006년)는 추바시 공화국 출신으로, 추바시어와 러시아어로 시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참조
[1]
웹사이트
Chuvash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7-24
[2]
백과사전
Chuva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백과사전
Chuva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4]
URL
Chuvash is the sole living representative of the Bulgharic branch, one of the two principal branches of the Turkic family.
https://oxford.unive[...]
[5]
URL
Алос-и-Фонт, Эктор. Оценка языковой политики в Чувашии
http://www.cv-haval.[...]
[6]
URL
Оценка языковой политики в Чувашии
http://cvlat.blogspo[...]
[7]
웹사이트
Chuvash
http://www.ethnologu[...]
2018-03-21
[8]
웹사이트
6.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кроме русского) населением отдель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еспубликам,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и автономным округ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perepis20[...]
2006-11-04
[9]
뉴스
Languages in Russia Disappearing Faster than Data Suggests, Activists Warn
https://www.themosco[...]
The Moscow Times
2023-03-13
[10]
웹사이트
Zheltov, Pavel. An Attribute-Sample Database System for Describing Chuvash Affixes
https://web.archive.[...]
2018-03-21
[11]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n endangered languages: Europe
http://www.helsinki.[...]
1999-09-22
[12]
URL
Index Translationum: translations from Chuvash
http://www.unesco.or[...]
[13]
URL
Index Translationum: translations from Chuvash, published in the USSR
http://www.unesco.or[...]
[14]
URL
Index Translationum: translations from Chuvash, published in Russia
http://www.unesco.or[...]
[15]
URL
Index Translationum: translations into Chuvash
http://www.unesco.or[...]
[16]
서적
West Old Turkic
Harrassowitz
[17]
서적
Encyclopedia of Linguistics
[18]
URL
Introduction to Altaic philology: Turkic, Mongolian, Manchu
http://сувары.рф/nod[...]
[19]
문서
Johanson (1998); cf. Johanson (2000, 2007) and the articles pertaining to the subject in Johanson & Csató (ed., 1998).
[20]
서적
Finno-Ugrian Language Studies in Finland 1828-1918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21]
학술지
The Hunnic Language of the Attila Clan
https://www.jstor.or[...]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1982
[22]
서적
Turkic-Bulgarian-Hungarian relations
[23]
서적
Chuvash and the Bulgharic Language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30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ethnogenesis and state-formation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asia and the Middle East
O. Harrassowitz
1992
[25]
서적
Hungarians and Europe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dx.doi.org/10[...]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3-01
[26]
서적
Studies in medieval inner Asia
Ashgate
1997
[27]
학술지
Chuvash and the Bulgharic languages
https://www.academia[...]
2020-01-01
[28]
서적
Negation in Ura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06-24
[29]
문서
Johanson (1998: 89-197).
[30]
문서
Agyagási (2019: passim)
[31]
서적
Чăваш чĕлхин этимологи словарĕ.
https://altaica.ru/L[...]
Чуваш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32]
웹사이트
Современное состояние чувашских диалектов
https://cyberleninka[...]
2024-03-11
[33]
웹사이트
Transliteration of Chuvash writing system
http://transliterati[...]
2006-10-19
[34]
웹사이트
KNAB: kohanimeandmebaasi avaleht
http://www.eki.ee/kn[...]
2021-08-04
[35]
웹사이트
ALA-LC Romanization Tables
https://www.loc.gov/[...]
2021-08-04
[36]
서적
Nationalities of the Soviet East Publications and Writing Systems
http://dx.doi.org/10[...]
1971-12-31
[37]
웹사이트
cvlat2 - СVLat
https://sites.google[...]
2021-08-04
[38]
웹사이트
Chuvash Latin Script
https://en.chuvash.o[...]
[39]
웹사이트
Telegram to the Chairman of the Simbirsk Soviet
http://www.marxists.[...]
2010-08-30
[40]
웹사이트
Древнечувашская руническая письменность
http://nasledie.nbch[...]
Национальная библиотека Чува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41]
웹사이트
Язык – основа национальной культуры
http://nasledie.nbch[...]
Национальная библиотека Чува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42]
웹사이트
Nutshell Chuvash
http://www.lingfil.u[...]
2010-08-31
[43]
문서
Dobrovolsky (1999), p. 539
[44]
문서
Dobrovolsky (1999), p. 541
[45]
문서
Rona-Tas 1997: 3
[46]
문서
Róna-Tas (1997: 4)
[47]
문서
Rona-Tas 1997: 4
[48]
문서
Chuvash manual, Unit 3
[49]
문서
Павлов 2017: 84
[50]
Youtube
Chuvash manual, Unit 2
https://en.chuvash.o[...]
[51]
문서
Павлов 2017: 62-64
[52]
웹사이트
UNIT TWO
https://en.chuvash.o[...]
2022-04-21
[53]
문서
Róna-Tas 1997: 3
[54]
웹사이트
UNIT FIVE
https://en.chuvash.o[...]
2022-04-21
[55]
Youtube
Chuvash Manual, Unit 6
https://en.chuvash.o[...]
[56]
문서
Павлов 2017: 142-145
[57]
문서
Павлов 2017: 126-127
[58]
문서
Павлов 2017: 128-129
[59]
문서
Павлов 2017: 150-151
[60]
문서
Павлов 2017: 130
[61]
문서
Павлов 2017: 146-150
[62]
문서
Павлов 2017: 110-117
[63]
문서
Павлов (2017: 251)
[64]
문서
Павлов (2017: 229), Rona-Tas (1997: 5)
[65]
문서
Róna-Tas (1997: 5); Павлов (2017: 269) about the present tense
[66]
문서
Павлов (2017: 255)
[67]
문서
Павлов 2017: passim, e.g. p. 296
[68]
문서
Róna-Tas (1997: 5)
[69]
문서
Павлов (2017: 295-296)
[70]
문서
Павлов (2017: 275)
[71]
서적
Павлов
2017
[72]
서적
Павлов
2017
[73]
서적
Павлов
2017
[74]
서적
Павлов
2017
[75]
서적
Павлов
2017
[76]
서적
Róna-Tas
1997
[77]
서적
Павлов
2017
[78]
서적
Róna-Tas
1997
[79]
서적
Павлов
2017
[80]
서적
Павлов
2017
[81]
문서
Chuvash manual, Unit 13
[82]
서적
Павлов
2017
[83]
문서
Chuvash manual, Unit 16
[84]
서적
Павлов
2017
[85]
서적
Çăлтăр çӳлти тӳпере / Звезда на небе
Шупашкар
2011
[86]
웹사이트
Chuvash
http://www.ethnologu[...]
국제SIL
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