も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も'는 일본어의 음절 중 하나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표기를 모두 가지며, 로마자로는 'mo'로 표기된다. 현대 표준 일본어에서 /mo/로 발음되며, 오십음 순에서는 35번째, 이로하 순에서는 45번째에 위치한다. 히라가나 'も'는 초서에서, 가타카나 'モ'는 '毛'의 아랫부분에서 유래했다. 또한, 'も'는 전동차의 동력차, 모델의 약칭 등으로 사용되며, 점자, 모스 부호, 수기 신호 등으로도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も | |
|---|---|
| 기본 정보 | |
| 히라가나 | も |
| 가타카나 | モ |
| 로마자 표기 | mo |
| 히라가나 만요가나 | 毛 |
| 가타카나 만요가나 | 毛 |
| 기타 만요가나 | 毛, 畝, 蒙, 木, 問, 聞, 方, 面, 忘, 母, 文, 茂, 記, 勿, 物, 望, 門, 喪, 裳, 藻 |
| 브라유 | [[File:Japanese Mo Braille.svg|32px|⠾]] |
| 유니코드 | U+3082, U+30E2 |
| 플래그 | 6, 7 |
| 각주 | 이 만요가나는 원래 서로 다른 두 모음 소리를 가진 모라를 나타냈으며, 나중에 발음이 합쳐졌다. |
| 철자 | もみじのモ Momiji no mo |
| 음성 | /mo/ |
| 추가 정보 | |
| 히라가나 자원 | 毛의 초서체 |
| 유니코드 (히라가나) | 3082 |
| JIS (히라가나) | 1-4-66 |
| 가타카나 자원 | 毛의 부분 |
| 유니코드 (가타카나) | 30E2 |
| JIS (가타카나) | 1-5-66 |
| 헤본식 로마자 표기 | mo |
| 훈령식 로마자 표기 | mo |
| JIS X 4063 | mo |
| 아이누어 | mo |
| 언어 | ja, ain |
| 국제 음성 기호 | mo̞ |
| 소리 | 청음 |
2. 획순
현대 표준어 음운은 1자음과 1모음으로 이루어진 소리 /mo/이다. 양 입술을 닫고 코에서 소리를 내는 유성자음 /m/과 오로 이루어진 소리이다.
mo



3. 음운
4. 문자 정보
もう / モー
mō점자에 기반한 다른 가나 も みょ / ミョ
myoみょう / ミョー
my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