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타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타카나는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로, 한자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9세기 초에 불경을 훈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려와 학자들이 한자의 음과 훈을 표기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외래어 표기에 널리 쓰이면서 그 활용 빈도가 높아졌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학술 용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히라가나와 함께 일본어의 중요한 문자 체계를 이룬다. 또한 아이누어 표기에도 활용되며, 유니코드에도 가타카나 관련 블록이 존재한다.
현대 일본어에서 가타카나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2. 역사
고대 일본에서 한자의 일부 획을 따서 문자로 삼은 것은 7세기부터였으나,[39] 오늘날 가타카나의 직접적 기원은 9세기 초 나라 지방의 고종파 (古宗派)에 속한 학승들이 불경에 쓰인 한문을 훈독하기 위해 만든 글자 체계에서 비롯됐다. 이들이 만든 글자는 한문 옆에 작게 붙여 쓰는 일종의 훈점 (訓点)으로, 만요가나의 일부 획을 다시금 생략하여 만든 것이었다. 예를 들어 "カ"(카)는 "加(더할 가)"의 왼쪽 부분을 따서 만들었다. 초창기에는 경전의 각 행간 여백에 오코토텐 (ヲコト点)과 같이 쓰였으나 점차 빠르고 조그맣게 적기 위해 형태가 간략화되었으며, 그 결과 지금 쓰는 가타카나의 원형이 되었고 오코토텐의 역할을 대신하여 훈독에 널리 쓰였다.
가타카나는 승려나 학자들이 한자의 음과 훈을 주기하기 위해 사용했으며, 초기부터 현대 일본어처럼 한자와 가나를 번갈아 쓴 사례도 발견된다. 나중에는 한문의 주석 역할을 벗어나 노래 가사집이나 이야기집과 같이 일상 필기에도 쓰이면서 사용 범위가 넓어졌지만, 히라가나로 쓰인 글이 미적 가치를 평가받고 감상하는 수준에 이른 것과 비교하면 아직 기호적인 성격이 강했다. 초창기 가타카나는 쓰는 사람과 집단마다 글꼴의 차이가 컸고, 10세기 중반까지도 이체자 (異体字)가 많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글꼴이 통일되었고 12세기에 이르러 오늘날의 모습에 가깝게 되었다.
가타카나가 히라가나와 같은 하나의 문자 체계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헤이안 시대 중기이다. 이때 쓰여진 <우쓰호모노가타리> (宇津保物語) '국양 상' (国譲上) 권의 '글씨의 모범' (書の手本)에 가타카나가 실려 있다.[40][41] 에도 시대 학자 반 노부토모 (伴信友)는 헤이안 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츠츠미추나곤모노가타리> (堤中納言物語)의 '무시메즈루 공주님' (虫めづる姫君) 편에 나오는, 무시메즈루 공주가 남자에게 보낸 연애편지에 "가나 (히라가나)는 아직 쓰지 못하오니 가타칸나 (가타카나)로"라는 구절을 근거로, 당시 문자를 습득하는 순서가 가타카나에서 시작해 히라가나로 나아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어학자 고마쓰 히데오 (小松英雄)는 '무시메즈루 공주님'의 서술은 허구인 이야기에서 쓰인 특수한 사례이며, 실제로는 가나 (히라가나)를 아름답게 쓰는 법을 배우는 것이 당시 여성들 사이에서 일반적이었다고 반박한다.[42]
메이지 시대에는 서양 외래어 유입으로 가타카나의 활용 빈도가 높아졌으며, J. C. 햅번이 지은 일영사전 <화영어림집성> (和英語林集成)의 도표에서 메이지 초 가타카나 글꼴을 볼 수 있다.[43] 1900년 소학교령 시행 규칙으로 한 소리 한 글자 원칙에 따라 표준 글꼴만 보급되면서 현재의 가타카나가 확립되었다.
가타카나는 히라가나에 비해 학문적으로 쓰이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일본에서는 정식 문자로 취급되어 법령과 기타 공문의 표기 문자로 쓰였고, 교육상으로도 히라가나보다 먼저 가르쳤다. 당시 교과서는 가타카나와 한자로만 서술된 것이 많았다. 그러나 신문이나 문예집 등 민간 분야에서는 가타카나 사용이 강제되지 않았다.
2. 1. 가타카나의 기원
가타카나는 9세기 초 헤이안 시대에 불교 승려들이 만요가나 문자의 일부를 속기 형태로 사용하여 만들었다.[16] 예를 들어, カ(카)는 加(더할 가)의 왼쪽 부분에서 유래했다.[16]
나카타 노리오는 기존의 자원 설명에서는 현재 활자와 같은 해서체의 한자에서 가타카나 자원을 상정했지만, 실제로는 행서체나 초서체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았고, 가타카나는 뭉개진 서체를 더욱 생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3. 용례
4. 가타카나 문자표
가타카나는 50음도, 요음, 탁음, 반탁음 등으로 구성된다.
로마자 표기는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을, 한글 표기는 외래어 표기법의 어중/어말 표기법을 따랐다.(다만, 근현대에 추가된 가타카나에 대해서는 표기법에 정해진 한글 표기가 없다.) 회색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글자들 또는 사용이 드문 글자들이다.
가타카나 문자는 기능 및 구두점을 제외하고 총 48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 5개의 핵 모음
- 42개의 코어 (초성-핵) 음절 문자 (5개의 모음 각각과 결합된 9개의 자음으로 구성되며, 3개의 조합 (''yi'', ''ye'', ''wu'')은 표준이 아님)
- 1개의 종성 자음
50음 표에는 별도의 문자, 즉 비음 ン(''n'')이 추가된다.
일부 문자는 일반적인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사용될 때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i''로 끝나는 가타카나에 ''ya'', ''yu'' 또는 ''yo''의 작은 형태(ャ, ュ 또는 ョ)를 추가하면 ''i'' 모음 소리가 ''a'', ''u'' 또는 ''o''로 구개음화되며, 이를 요음이라고 한다. 작은 ''tsu'' ッ 과 시각적으로 동일한 촉음은 뒤에 오는 자음이 중복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외래어에서는 초온푸("장모음 기호")라는 모음 확장 기호를 사용한다. 표준 및 유성 반복 부호는 각각 가타카나로 ヽ 및 ヾ로 표기된다.
아이누어 표기에는 일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아이누어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특수한 가타카나가 사용된다.
4. 1. 50음도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로마자 표기와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한글 표기를 함께 제시하였다. 근현대에 추가된 가타카나의 경우, 외래어 표기법에 정해진 한글 표기가 없다. 회색은 현대 일본어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이 드문 글자들이다.50음도 | 요음 |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ゃ | ゅ | ょ | ||||||
あ행 | ア a 아 | イ i 이 | ウ u 우 | エ e 에 | オ o 오 | ||||||||
か행 | カ ka 카 | キ ki 키 | ク ku 쿠 | ケ ke 케 | コ ko 코 | キャ kya 캬 | キュ kyu 큐 | キョ kyo 쿄 | |||||
さ행 | サ sa 사 | シ shi 시 | ス su 스 | セ se 세 | ソ so 소 | シャ sha 샤 | シュ shu 슈 | ショ sho 쇼 | |||||
た행 | タ ta 타 | チ chi 치 | ツ tsu 츠 | テ te 테 | ト to 토 | チャ cha 차 | チュ chu 추 | チョ cho 초 | |||||
な행 | ナ na 나 | ニ ni 니 | ヌ nu 누 | ネ ne 네 | ノ no 노 | ニャ nya 냐 | ニュ nyu 뉴 | ニョ nyo 뇨 | |||||
は행 | ハ ha 하 | ヒ hi 히 | フ fu 후 | ヘ he 헤 | ホ ho 호 | ヒャ hya 햐 | ヒュ hyu 휴 | ヒョ hyo 효 | |||||
ま행 | マ ma 마 | ミ mi 미 | ム mu 무 | メ me 메 | モ mo 모 | ミャ mya 먀 | ミュ myu 뮤 | ミョ myo 묘 | |||||
や행 | ヤ ya 야 | ユ yu 유 | ヨ yo 요 | ||||||||||
ら행 | ラ ra 라 | リ ri 리 | ル ru 루 | レ re 레 | ロ ro 로 | リャ rya 랴 | リュ ryu 류 | リョ ryo 료 | |||||
わ행 | ワ wa 와 | ヰ wi 이 | ヱ we 에 | ヲ wo 오 | |||||||||
ン n -ㄴ | |||||||||||||
탁음 | |||||||||||||
が행 | ガ ga 가 | ギ gi 기 | グ gu 구 | ゲ ge 게 | ゴ go 고 | ギャ gya 갸 | ギュ gyu 규 | ギョ gyo 교 | |||||
ざ행 | ザ za 자 | ジ ji 지 | ズ zu 즈 | ゼ ze 제 | ゾ zo 조 | ジャ ja 자 | ジュ ju 주 | ジョ jo 조 | |||||
だ행 | ダ da 다 | ヂ ji 지 | ヅ zu 즈 | デ de 데 | ド do 도 | ヂャ ja 자 | ヂュ ju 주 | ヂョ jo 조 | |||||
ば행 | バ ba 바 | ビ bi 비 | ブ bu 부 | ベ be 베 | ボ bo 보 | ビャ bya 뱌 | ビュ byu 뷰 | ビョ byo 뵤 | |||||
반탁음 | |||||||||||||
ぱ행 | パ pa 파 | ピ pi 피 | プ pu 푸 | ペ pe 페 | ポ po 포 | ピャ pya 퍄 | ピュ pyu 퓨 | ピョ pyo 표 | |||||
아이누어용 | |||||||||||||
か행 | ㇰk ㅋ | ||||||||||||
さ행 | ㇱ | ㇲ | |||||||||||
た행 | ㇳt 트 | ||||||||||||
ツ゜ | ト゚゜tu 투 | ||||||||||||
な행 | ㇴnu 느 | ||||||||||||
は행 | ㇵ | ㇶ | ㇷ | ㇸ | ㇹ | ||||||||
ぱ행 | ㇷ゚ | ||||||||||||
ま행 | ㇺ | ||||||||||||
ら행 | ㇻ | ㇼ | ㇽ | ㇾ | ㇿ |
4. 2. 요음
요음은 'ㅑ', 'ㅠ', 'ㅛ' 등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글자이다. 'i'로 끝나는 가타카나에 'ya', 'yu' 또는 'yo'의 작은 형태(ャ, ュ 또는 ョ)를 추가하여 ''i'' 모음 소리가 ''a'', ''u'' 또는 ''o''로 구개음화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キャ (''ki + ya'')는 /kja/로 발음된다.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ゃ | ゅ | ょ | |
---|---|---|---|---|---|---|---|---|
か행 | キ ki 키 | キャ kya 캬 | キュ kyu 큐 | キョ kyo 쿄 | ||||
さ행 | シ shi 시 | シャ sha 샤 | シュ shu 슈 | ショ sho 쇼 | ||||
た행 | チ chi 치 | チャ cha 차 | チュ chu 추 | チョ cho 초 | ||||
な행 | ニ ni 니 | ニャ nya 냐 | ニュ nyu 뉴 | ニョ nyo 뇨 | ||||
は행 | ヒ hi 히 | ヒャ hya 햐 | ヒュ hyu 휴 | ヒョ hyo 효 | ||||
ま행 | ミ mi 미 | ミャ mya 먀 | ミュ myu 뮤 | ミョ myo 묘 | ||||
ら행 | リ ri 리 | リャ rya 랴 | リュ ryu 류 | リョ ryo 료 | ||||
が행 | ギ gi 기 | ギャ gya 갸 | ギュ gyu 규 | ギョ gyo 교 | ||||
ざ행 | ジ ji 지 | ジャ ja 자 | ジュ ju 주 | ジョ jo 조 | ||||
だ행 | ヂ ji 지 | ヂャ ja 자 | ヂュ ju 주 | ヂョ jo 조 | ||||
ば행 | ビ bi 비 | ビャ bya 뱌 | ビュ byu 뷰 | ビョ byo 뵤 | ||||
ぱ행 | ピ pi 피 | ピャ pya 퍄 | ピュ pyu 퓨 | ピョ pyo 표 |
4. 3. 탁음 및 반탁음
탁음은 유성음을, 반탁음은 'ㅍ'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부호이다.아단 | 이단 | 우단 | 에단 | 오단 | 야단 | 유단 | 요단 | |
---|---|---|---|---|---|---|---|---|
が행 | ガ ga 가 | ギ gi 기 | グ gu 구 | ゲ ge 게 | ゴ go 고 | ギャ gya 갸 | ギュ gyu 규 | ギョ gyo 교 |
ざ행 | ザ za 자 | ジ ji 지 | ズ zu 즈 | ゼ ze 제 | ゾ zo 조 | ジャ ja 자 | ジュ ju 주 | ジョ jo 조 |
だ행 | ダ da 다 | ヂ ji 지 | ヅ zu 즈 | デ de 데 | ド do 도 | ヂャ ja 자 | ヂュ ju 주 | ヂョ jo 조 |
ば행 | バ ba 바 | ビ bi 비 | ブ bu 부 | ベ be 베 | ボ bo 보 | ビャ bya 뱌 | ビュ byu 뷰 | ビョ byo 뵤 |
ぱ행 | パ pa 파 | ピ pi 피 | プ pu 푸 | ペ pe 페 | ポ po 포 | ピャ pya 퍄 | ピュ pyu 퓨 | ピョ pyo 표 |
4. 4. 아이누어용 가타카나
아이누어 표기에는 일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아이누어의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특수한 가타카나가 사용된다.아이누어용 가타카나 | ||
---|---|---|
か행 | ㇰk ㅋ | |
さ행 | s ㅅ | ㇱ |
さ행 | ㇲ | |
た행 | ㇳt 트 | |
ツ゜ tu 투 | ||
た행 | ト゚゜ tu 투 | |
な행 | ㇴnu 느 | |
は행 | h ㅎ | ㇵ |
は행 | ㇶ | |
は행 | ㇷ | |
は행 | ㇸ | |
は행 | ㇹ | |
ぱ행 | p ㅍ | ㇷ゚ |
ま행 | m ㅁ | ㇺ |
ら행 | r ㄹ | ㇻ |
ら행 | ㇼ | |
ら행 | ㇽ | |
ら행 | ㇾ | |
ら행 | ㇿ |
5. 컴퓨터 인코딩
가타카나는 2바이트 문자를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 환경에서 한자와 히라가나 대신 사용되었다. 가타카나 반각 문자는 1바이트로 쓸 수 있어 대체 가능했다. (반각 가나 참고) 1988년 8월까지 일본에서 사용된 모든 전보에도 가타카나가 사용되었다.
반각 가나는 JIS X 0201 인코딩과 관련이 있으며, 당시 컴퓨터 장비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로마 문자와 동일한 픽셀 사각형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반각 가타카나는 전산화된 금전 등록기 디스플레이, 상점 영수증, 일본 디지털 텔레비전 및 DVD 자막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확장 유닉스 코드(EUC-JP), 유니코드, 시프트 JIS와 같은 일본 인코딩은 전각뿐만 아니라 반각 가타카나 코드도 가지고 있다. 반면, ISO-2022-JP에는 반각 가타카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