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막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로막다리는 허리뼈의 척추뼈몸통과 척추사이원반에서 시작하여 척주의 앞세로인대와 섞이는 힘줄성 구조물이다. 오른다리는 왼다리에 비해 크고 길며, 오른다리 안쪽 섬유는 식도구멍의 왼쪽 측면을 따라 올라간다. 가로막다리의 안쪽 경계는 앞안쪽으로 주행하여 정중선에서 만나 대동맥 앞에서 정중활꼴인대를 형성하며, 정중활꼴인대 뒤쪽에는 대동맥구멍이 위치한다. 가로막다리의 섬유는 위가쪽으로 주행하여 가로막 중심널힘줄로 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로막 - 식도구멍
식도구멍은 가로막에 있는 타원형 구멍으로, 식도, 미주신경, 혈관, 림프관 등이 지나가며, 가로막 오른쪽 다리가 조임근 역할을 하여 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식도틈새탈장과 같은 질병과 관련된다. - 가로막 - 대동맥구멍
가로막 뒤쪽에 위치한 대동맥구멍은 대동맥, 홀정맥, 가슴림프관이 지나가는 첫째 허리뼈 몸통과 대동맥다리로 경계지어진 골성건막성 개구부이다. - 인대 - 십자인대
십자인대는 무릎, 목, 손가락, 발 등에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인대로, 무릎의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는 정강이뼈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목의 환추 십자인대는 환추-축추 관절을 형성하며, 손가락에는 굴곡건 지지 십자인대와 도르래 시스템이 존재하고, 개에게는 십자인대 파열이 흔하게 발생한다. - 인대 - 앞목말종아리인대
앞목말종아리인대는 가와무라 마사야 등이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해부학적 구조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한 인대이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가로막다리 | |
---|---|
해부학 정보 | |
이름 | 가로막다리 |
영어 | crus of diaphragm |
라틴어 | crus sinistrum diaphragmatis, crus dextrum diaphragmatis |
![]() | |
상위 구조 | 가로막 |
2. 구조
가로막다리는 허리뼈의 몸통 앞쪽과 척추사이원반에서 시작하는 힘줄성 구조물로, 척주의 앞세로인대와 섞인다.
2. 1. 가로막다리의 구성
가로막다리는 좌우 두 개로 구성된다.- 오른다리는 왼다리에 비해 크고 길며 위쪽 3개의 허리뼈 몸통과 척추사이원반에서 시작한다.
- 왼다리는 위쪽 2개의 허리뼈 몸통과 사이원반에서 시작한다.
가로막다리의 안쪽 경계는 앞안쪽으로 주행하여 정중선에서 만나고, 대동맥 앞에서 정중활꼴인대를 형성한다. 정중활꼴인대는 종종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정중활꼴인대 뒤쪽에는 대동맥구멍이 위치한다. 이곳에서 가로막의 섬유는 중심널힘줄로 수렴한다.
칼돌기에서 시작하는 섬유는 매우 짧으며 종종 널힘줄로 관찰된다. 또한 안쪽활꼴인대와 가쪽활꼴인대, 특히 갈비뼈와 갈비연골에서 나오는 섬유는 더 길며 닿는곳까지 휘어져 올라가 수렴한다. 가로막다리의 섬유는 올라가며 갈라지는데, 대부분은 위가쪽으로 주행하여 중심널힘줄로 향한다.
오른다리의 안쪽 섬유는 식도구멍의 왼쪽 측면을 따라 올라가며, 가끔 왼다리의 근육다발이 대동맥을 가로질러 오른다리의 섬유를 통해 대정맥구멍을 향해 비스듬히 주행한다.
2. 2. 정중활꼴인대와 대동맥구멍
가로막다리의 안쪽 경계는 앞안쪽으로 주행하여 정중선에서 만나고, 대동맥 앞에서 정중활꼴인대를 형성한다. 정중활꼴인대는 종종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정중활꼴인대 뒤쪽에는 대동맥구멍이 있다.2. 3. 가로막다리 섬유의 주행
가로막다리의 섬유는 칼돌기에서 시작하는 매우 짧은 섬유(종종 널힘줄로 관찰됨)와, 안쪽활꼴인대, 가쪽활꼴인대, 갈비뼈, 갈비연골에서 나오는 더 긴 섬유로 나뉜다. 특히 갈비뼈와 갈비연골에서 나오는 섬유는 닿는곳까지 휘어져 올라가 수렴하며 중심널힘줄로 향한다. 가로막다리의 섬유는 올라가며 갈라지는데, 대부분 위가쪽으로 주행하여 중심널힘줄로 향한다. 오른다리의 안쪽 섬유는 식도구멍의 왼쪽 측면을 따라 올라가며, 가끔 왼다리의 근육다발이 대동맥을 가로질러 오른다리의 섬유를 통해 대정맥구멍을 향해 비스듬히 주행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