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반 (소프트웨어 개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반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이자 도구로, 작업 흐름을 시각화하고 관리하는 데 활용된다.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은 데이비드 J. 앤더슨에 의해 정리되었으며, WIP(Work-in-Progress) 제한을 통해 풀(pull)형 시스템을 구현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한다. 도구로서의 칸반은 칸반 보드라고 불리며, 작업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WIP 제한, 흐름 관리, 명확한 정책 수립 등을 통해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관리를 돕는다. 칸반은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저술과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개인, 소규모 팀, 대규모 조직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개발 철학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은 1990년대에 등장하여 개인과 상호작용,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고객과의 협력, 변화에 대한 대응을 핵심 가치로 삼고 적응형 계획과 반복적 실행을 통해 시장 출시 속도와 위험 완화를 추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 소프트웨어 개발 철학 - 유닉스 철학
유닉스 철학은 단순성, 모듈성, 재사용성을 중시하며, 한 가지 일을 잘하는 프로그램, 협력적인 프로그램, 텍스트 스트림 처리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으로, 현대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설계에 영향을 주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일본어 낱말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어 낱말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의 전통 속옷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가 존재하며, 전통 행사, 스모, 연극 등에서 사용되고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간반 (소프트웨어 개발) | |
|---|---|
| 개요 | |
| 종류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 특징 | 점진적 개선 가시성 유연성 |
| 관련 개념 | 린 소프트웨어 개발 스크럼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
| 역사 | |
| 기원 | 도요타 생산 방식의 칸반 시스템 |
| 소프트웨어 개발 적용 | 데이비드 J. 앤더슨 |
| 핵심 원칙 | |
| 시각화 | 작업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 |
| 진행 중인 작업 제한 (WIP 제한) | 동시에 진행하는 작업 수를 제한하여 병목 현상 감소 |
| 흐름 관리 | 작업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개선 |
| 정책 명확화 | 프로세스 규칙과 정책을 명확하게 정의 |
| 피드백 루프 | 정기적인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 추구 |
| 협력적 개선 및 실험적 진화 | 팀 협력을 통해 점진적인 개선을 도모 |
| 주요 구성 요소 | |
| 칸반 보드 | 작업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보드 |
| 칸반 카드 | 작업 항목을 나타내는 카드 |
| 작업 흐름 | 작업이 진행되는 단계 |
| WIP 제한 | 각 단계별로 허용되는 최대 작업 수 |
| 장점 | |
| 유연성 |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응 |
| 가시성 향상 | 작업 흐름과 병목 현상을 쉽게 파악 |
| 지속적인 개선 | 피드백 루프를 통해 꾸준히 프로세스 개선 |
| 팀 협업 강화 |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 |
| 단점 | |
| 엄격한 규칙 부재 | 자체적인 규칙과 가이드라인 필요 |
| 팀 의존성 | 팀원 간의 협력과 소통 중요 |
| 측정 어려움 | 정량적인 성과 측정의 어려움 |
| 관련 도구 | |
| 종류 | Jira Trello Asana Azure DevOps |
| 활용 분야 | |
| 적용 분야 | 소프트웨어 개발 IT 운영 인사 마케팅 고객 지원 |
| 같이 보기 | |
| 관련 항목 | 스크럼 린 스타트업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
2. 칸반의 정의 및 유형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간반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 방법론으로서의 간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간반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는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며, 조직의 상황에 맞게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이다.
- 도구로서의 간반: 작업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통해 개발할 내용, 개발 시점, 예상 비용 등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영어권에서는 방법론으로서의 간반을 'Kanban'과 같이 대문자로 시작하여 표기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신호 역할을 하는 카드는 'kanban', 이 카드를 활용한 풀(pull) 방식 시스템은 'kanban system'으로 소문자로 시작하여 구분하기도 한다.[17]
3. 방법론으로서의 칸반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은 데이비드 J. 앤더슨(David J. Anderson)에 의해 정리된 이론이다.[17][18] 이는 작업 진행 상황에 따라 변화하며 프로세스를 진화시키는 접근 방식이며, 조직에 맞춰 시스템(구조)을 변화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칸반 방법론의 핵심은 WIP(Work-in-progress, 아직 완성되지 않은 작업으로 제조업의 반제품과 유사한 개념)를 제한하는 풀(pull)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풀 시스템은 시스템 운영과 프로세스의 문제를 명확히 드러내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칸반 시스템은 바로 이 WIP 제한 풀 시스템의 한 예시이다.[6][7][3][14]
칸반 방법론은 몇 가지 핵심적인 실천 방법을 강조한다.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작업을 시각화하는 것과 진행 중인 작업(WIP)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정책을 명확히 하고, 작업 흐름을 관리하며, 피드백 과정을 만들고, 협력적인 개선을 추구하는 것 등이 주요 실천 방법으로 제시된다.[14] 이러한 실천 방법들은 칸반 시스템을 효율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6]
3. 1. 기본 원칙
데이비드 J. 앤더슨(David J. Anderson)에 의해 정리된 이론으로서의 칸반 방법론은[17][18] 작업 진행 상황에 따라 변화하며 프로세스를 진화시키는 접근 방식이자, 조직에 맞춰 시스템(구조)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칸반에서는 진행 중인 작업(WIP; Work-in-progress, 제조업의 반제품에 해당)을 제한하는 풀(pull)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 풀 시스템의 핵심 메커니즘은 시스템 운영과 프로세스의 문제를 명확히 하고,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에 필요한 협력을 촉진한다. 이 풀 시스템의 한 예가 칸반 시스템이며, WIP 제한 풀 시스템이라는 일반적인 형태를 거쳐 칸반 시스템이 되었다.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들이 칸반 방법론의 근간을 이룬다.
;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 칸반은 특정 역할이나 프로세스 형태를 미리 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칸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나 '칸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과 같은 정해진 틀은 존재하지 않는다. 칸반은 현재 개발 현장의 역할과 프로세스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이고 점진적으로 개선을 유도하며 현장 시스템의 진화와 변화를 이끌어낸다.
; 점진적으로 진화시키고, 변화를 추구해 나간다
: 조직(또는 팀)은 칸반을 통해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진화와 변화를 추구하는 데 동의해야 한다. 이러한 합의는 시스템 개선으로 이어지고 개선 노력을 뒷받침한다. 때로는 광범위한 변화가 더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조직 내 저항이나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실패할 가능성도 커진다. 칸반은 지속적이고 작은, 점진적인 진화를 통해 현장 시스템의 변화를 촉진한다.
; 현행 프로세스, 역할, 책임, 직위를 존중한다
: 현재 조직에는 이미 인정받는 필요한 작업 방식이나 유지해야 할 가치들이 존재한다. 조직 구성원들은 미래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칸반은 현재의 역할, 책임, 직위를 존중함으로써 변화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불안감을 줄여준다. 이를 통해 칸반 도입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접근법과 달리, 칸반은 처음부터 역할, 직위, 책임을 바꾸라고 요구하지 않으며, 점진적인 변화 과정 속에서 개개인이 칸반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돕는다.
; 모든 지위에서의 리더십을 요구한다
: 개인 기여자부터 고위 관리자까지, 조직 내 모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리더십을 발휘하고 이를 장려해야 한다.
3. 2. 핵심 실천 방법
칸반 방법론은 데이비드 J. 앤더슨에 의해 체계화된 접근 방식으로[17][18], 작업 진행 상황에 따라 변화하며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조직에 맞게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방법론의 핵심은 WIP(Work-in-Progress, 아직 완료되지 않은 작업으로 제조업의 반제품과 유사한 개념)를 제한하는 풀(pull)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풀 시스템은 시스템 운영상의 문제점을 명확히 드러내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협력을 촉진한다. 칸반 방법론은 이러한 WIP 제한 풀 시스템의 한 예시이다.[14]데이비드 앤더슨은 칸반 방법론의 성공 사례들을 관찰하여 초기 5가지 핵심 특성을 정의했으며, 이후 6번째 특성이 추가되어 다음과 같은 6가지 핵심 실천 방법이 제시되었다.[14]
# 시각화하기: 지식 노동의 작업 흐름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작업 흐름을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면 올바른 개선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칸반 보드와 같은 시각적 도구를 사용하여 벽이나 보드를 여러 단계(세로 열)로 나누고, 각 단계를 나타내는 열에 작업 항목(카드 등)을 배치하여 작업 흐름을 시각화한다.
# WIP 제한하기: 작업 흐름의 특정 단계 또는 전체에 걸쳐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작업의 양을 제한하는 것은 풀 시스템의 필수 요소이다. WIP 제한은 시스템의 과부하를 막고, 작업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돕는다. WIP 제한이 있는 풀 시스템은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개선을 위한 핵심 동력이 된다. 중요한 것은 각 작업 단계별 WIP 제한을 설정하고, WIP 제한 내에서 여유가 생겼을 때 새로운 작업을 "끌어오는(pull)" 것이다.
# 흐름 관리하기: 작업 항목이 작업 흐름의 각 단계를 통과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측정하며 보고해야 한다. 작업 흐름을 적극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개선할 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목 현상을 발견하고 해결하여 전체적인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명확한 정책 만들기: 작업이 실제로 어떻게 완료되는지에 대한 규칙과 기준(정책)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공유해야 한다. 프로세스 정책이 명확하지 않으면 문제에 대한 논의가 감정적이거나 주관적인 방향으로 흐르기 쉽다. 명확한 정책은 팀 구성원 모두가 프로세스를 동일하게 이해하고, 문제 해결 및 개선 제안에 대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다음 단계로 작업을 넘길 수 있는지 등을 명확히 정의한다.
# 피드백 루프 구현하기: 정기적으로 작업 흐름을 검토하고, 성과 지표를 측정하며, 중요한 사건들에 대해 논의하는 피드백 과정을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정기적인 운영 검토 회의 등을 통해 팀은 현재 상황을 공유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루프는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을 가능하게 하며, 팀 전체의 성장을 촉진한다.
# 협업적으로 개선하고, 실험적으로 진화하기 (모델이나 과학적 방법 이용): 칸반 방법론은 작고 지속적이며 점진적인 개선을 추구한다. 팀이 작업, 작업 흐름, 프로세스, 위험 요소 등에 대해 공통의 이해를 갖추면,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합의된 개선안을 도출할 수 있다. 칸반은 특정한 과학적 방법을 규정하지는 않지만, 제약 이론(TOC), 심오한 지식(Profound Knowledge™), 린(Lean) 원칙과 같은 모델이나 과학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가설을 세우고 실험하며 개선해 나가는 것을 권장한다.
4. 도구로서의 칸반 (칸반 보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간반'''은 크게 방법론으로서의 칸반과 도구로서의 칸반 두 부분으로 나뉜다.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조직에 맞게 진화시키는 접근 방식을 의미하며, 영어권에서는 주로 대문자 "Kanban"으로 표기한다. 반면, 신호 역할을 하는 카드 자체는 "kanban", 이 카드를 이용한 풀(pull) 시스템은 "kanban system"으로 소문자로 구분하여 표기하기도 한다.[17]
'''도구로서의 칸반'''은 시각화된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을 말하며, 무엇을 개발할지, 언제 개발할지, 어느 정도의 비용으로 개발할지를 알리는 데 사용된다. 이는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을 통해 조직(시스템)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된다. 칸반 보드는 이러한 도구로서의 칸반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형태이다.
4. 1. 칸반 보드의 구성 요소
칸반 보드는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우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이다.[4] 사용되는 상황에 맞게 설계되며, 작업 항목 유형(사용자 스토리 등), 워크플로우 활동을 나타내는 열, 명시적 정책, 스윔레인(swimlane, 여러 열에 걸쳐 특정 작업 항목을 그룹화하는 행)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4] 칸반 보드의 목표는 전체 워크플로우와 개별 항목의 진행 상황을 참가자와 이해 관계자에게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4]
칸반 보드는 시스템의 워크플로우를 정의하며[5], 최소한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 워크플로우를 통해 이동하는 개별 가치 단위인 작업 항목(item)의 정의.
- 워크플로우 내에서 작업 항목이 시작되고 완료되는 시점의 정의. 워크플로우는 작업 항목에 따라 시작 또는 완료 지점이 여러 개 있을 수 있다.
- 시작 지점에서 완료 지점까지 작업 항목이 거치는 하나 이상의 정의된 상태(state). 시작 지점과 완료 지점 사이의 모든 작업 항목은 진행 중인 작업(WIP, Work In Progress)으로 간주된다.
- 시작부터 완료까지 WIP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정의.
- 작업 항목이 시작부터 완료까지 각 상태를 통과하는 방법에 대한 명시적 정책(policy).
- 서비스 수준 기대치(SLE, Service Level Expectation). 이는 작업 항목이 시작부터 완료까지 걸리는 예상 시간이다.


도구로서의 칸반은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에 의해 조직(시스템)을 변화시키고,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시 생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칸반은 전(前) 공정으로의 신호 역할을 하는 물리적인 카드를 의미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칸반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업(워크 아이템)을 카드로 만들어 운영하기 때문에 가상 칸반 시스템(Virtual kanban system)이라고도 불린다.[17] 해외에서는 "사인보드(signboard)"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으나[19], 국내에서는 칸반, 칸반 보드[20], 태스크 칸반, 태스크 보드[21], 카드월[17], 애자일 칸반[22]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단순히 작업 상태를 "할 일(TODO)", "진행 중(DOING)", "완료(DONE)" 세 단계로 나누어 표시하는 보드는 칸반 시스템이라고 보기 어렵다.[17][22]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에서 사용되는 칸반 보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에 주목한다.
- WIP 제한을 통해 각 단계의 작업량을 제어한다.
- 작업을 필요할 때 가져오는 풀(pull) 방식의 구조를 가진다.
- 개발을 통해 만들어내고자 하는 사용자 가치(기능 등)의 흐름을 시각화한다.
4. 2. 칸반 보드의 활용
칸반 보드는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우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4] 목표는 전반적인 워크플로우와 개별 작업 항목의 진행 상황을 참가자와 이해 관계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칸반 보드는 사용되는 상황에 맞게 설계되며, 작업 항목 유형(예: "기능", "사용자 스토리"), 워크플로우 활동을 나타내는 열, 명시적 정책, 스윔레인(여러 열에 걸쳐 특정 작업을 그룹화하는 행)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칸반 보드는 시스템의 워크플로우 정의를 나타내며[5], 다음과 같은 최소 요소를 포함한다:
- 워크플로우를 따라 이동하는 개별 가치 단위 (''작업 항목'' 또는 ''항목'') 정의
- 작업 항목이 워크플로우 내에서 ''시작''되고 ''완료''되는 시점 정의
- 작업 항목이 시작부터 완료까지 거치는 하나 이상의 정의된 상태 (이 사이의 항목은 ''진행 중인 작업''(WIP)으로 간주)
- 시작부터 완료까지 WIP를 제어하는 방법 정의
- 작업 항목이 각 상태를 통과하는 방법에 대한 명시적 정책
- ''서비스 수준 기대치''(SLE): 작업 항목이 시작부터 완료까지 걸리는 예상 시간
칸반의 핵심 실천 방법은 다음과 같다:[6]
- 워크플로우 정의 및 시각화
- 워크플로우에서 항목을 적극적으로 관리
- 워크플로우 개선
칸반 방법은 이러한 실천 방법을 보다 전문적이고 상세하게 확장한 것이다. 작업을 시각화하고 진행 중인 작업(WIP)을 제한하는 것을 두 가지 주요 실천 방법으로 강조한다.[7][3] 추가적으로 정책 명확화, 흐름 관리, 피드백 루프 구현, 공동 개선 등의 실천 방법이 있다.[14]
칸반 보드는 이러한 실천 방법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보드는 다음을 수행한다:
- 개발팀의 작업(기능, 사용자 스토리 등)을 시각화한다.
- 개발 단계별 WIP 제한을 설정하고 표시한다 (보통 열 상단에 숫자로 표시). 이는 해당 단계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작업 항목 수를 제한한다.
- 완료 규칙과 같은 정책을 명시적으로 문서화한다.[12]
- "진행 중"과 "준비" 같은 하위 열을 두어 칸반 흐름 관리를 지원한다. 각 단계의 WIP 제한은 하위 열 전체에 적용되어 작업 흐름이 특정 단계에 몰리는 것을 방지한다.
칸반 보드를 통해 워크플로우를 직접 관리하며, WIP 제한은 팀에게 워크플로우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7][12] 예를 들어, 특정 단계("배포" 단계)의 WIP 제한이 5개이고 현재 5개의 에픽이 있다면, 항목 중 하나가 완료되어 다음 단계("전달됨")로 이동하기 전까지는 새로운 항목을 해당 단계로 가져올 수 없다. 이는 해당 단계의 과부하를 막고, 이전 단계("기능 수용") 작업자는 병목 현상을 즉시 인지하고 배포 작업을 도울 수 있게 한다. 반대로, 배포 단계의 항목이 모두 완료되었지만 이전 단계에서 넘어올 준비된 항목이 없다면, 배포 담당자는 다음 작업을 기다리는 대신 이전 단계의 작업을 도울 수 있다.
칸반 보드 설정에서 스윔레인은 작업을 시각적으로 구성하여 명확성과 집중력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요구 사항, 개발, 테스트, 완료 등 주요 단계별로 뚜렷한 스윔레인을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관리에 중요하다. 특히 테스트 관련 스토리는 지정된 "테스트" 스윔레인에 배치하여 다른 단계의 작업과 혼동되지 않도록 하고 추적을 용이하게 한다. 이를 통해 팀은 병목 현상을 신속하게 식별하고, 테스트 프로세스의 무결성을 유지하며 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워크플로우 제어는 모든 단계에서 유사하게 작동한다. 문제는 시각적으로 즉시 명확해지며, 지속적인 재계획이 가능하다. 작업 관리는 팀원이 항상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 중인 작업을 제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구로서의 칸반'''은 방법론으로서의 칸반에 의해 조직(시스템)을 변화시키고,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시 생산 시스템(JIT)에서 사용되는 물리적인 신호 카드로서의 칸반과 달리,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업(워크 아이템)을 카드로 만들어 운영하기 때문에 가상 칸반 시스템(Virtual kanban system)이라고도 불린다.[17]
해외에서는 "사인보드(signboard)"로 번역되기도 하지만[19], 국내에서는 칸반, 칸반 보드[20], 태스크 칸반, 태스크 보드[21], 카드월[17], 애자일 칸반[22]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도구로서의 칸반은 다음과 같은 특징에 주목한다:[22]
- WIP(Work In Progress, 진행 중인 작업) 제한을 통해 각 단계(스테이지)의 작업량을 제어한다.
- 작업을 필요한 시점에 가져오는 풀(pull) 방식 구조를 가진다.
- 개발을 통해 만들어내고자 하는 사용자 가치(기능 등)의 흐름을 시각화한다.
5. 칸반의 진화와 발전
데이비드 앤더슨은 2010년에 출간한 저서 『간반』[7]에서 간반 방법론의 발전 과정을 설명했다. 이 방법론은 2004년 마이크로소프트[8]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제약 이론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드럼-버퍼-로프 방식(이는 간반 풀 시스템과 유사하다)을 통합했다. 이후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코비스에서 간반 방법이 구체화되었다.
다른 전문가들도 간반의 발전에 기여했다. 2009년 돈 라이너슨은 2세대 린 제품 개발에 관한 책[9]을 출판하며 간반 시스템의 도입과 관리 결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경제 모델 활용을 다루었다. 코리 라다스는 2008년 저서 『스크럼반』[3]을 통해 간반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인 스크럼을 개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라다스는 스크럼반을 스크럼에서 간반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2011년에는 짐 벤슨과 토니앤 데마리아 배리가 『개인 간반』[10]을 출판하여, 개인이나 소규모 팀이 간반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후 간반 방법론은 더욱 확장되고 구체화되었다. 마이크 버로우는 2014년 『내부에서 본 간반』[11]에서 간반의 원칙, 실천 방법, 핵심 가치를 설명하고 이를 기존 이론 및 모델과 연결했다. 에릭 브레크너는 2015년 『간반을 활용한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12]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Xbox에서의 실제 간반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같은 해 클라우스 레오폴드와 지그프리드 칼테네커는 『간반 변화 리더십』[13]을 통해 변화 관리 관점에서 간반을 설명하고 변화 추진을 위한 지침을 제공했다. 2016년에는 Lean Kanban University Press가 초기 간반 프로젝트의 개선 사항과 확장된 내용을 통합한 요약 가이드[14]를 출판했다.
최근에는 간반 시스템 운영과 실무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들이 제시되었다. 2020년 존 콜먼과 다니엘 바칸티는 간반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최소 요건을 설명하는 『간반 가이드』[6]를 출판했다. 2022년에는 콜린 존슨, 다니엘 바칸티, 프라테크 싱이 실무자들이 간반 실천 방법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간반 포켓 가이드』[15]를 출판했다. 같은 해 윌 실레와 다니엘 바칸티는 스크럼 팀이 간반에서 흔히 사용되는 지표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스크럼 팀을 위한 흐름 지표』[16]를 출판했다.
참조
[1]
서적
The Machine That Changed the World
Simon & Schuster
[2]
서적
Toyota Production System: Beyond Large-Scale Production
[3]
서적
Scrumban and other essays on Kanban System for Lean Software development
Modus Cooperandi Press
2008
[4]
웹사이트
Priming Kanban
http://www.infoq.com[...]
InfoQ
2014-02-17
[5]
웹사이트
Kanban Guide - Definition of Workflow
https://kanbanguides[...]
2023-08-17
[6]
웹사이트
Kanban Guide
https://kanbanguides[...]
2023-08-17
[7]
서적
Kanban: Successful Evolutionary Change for Your Technology Business
Blue Hole Press
2010-04
[8]
간행물
From Worst to Best in 9 Months: Implementing a Drum-Buffer-Rope Solution at Microsoft's IT Department
http://images.itrevo[...]
Microsoft Corporation
2020-09-24
[9]
서적
The Principles of Product Development Flow: Second Generation Lean Product Development
Celeritas Publishing
2009-05
[10]
서적
Personal Kanban: Mapping Work, Navigating Life
Modus Cooperandi Press
2011-01
[11]
서적
Kanban From The Inside
Blue Hole Press
[12]
서적
Agile Project Management with Kanban
Microsoft Press
[13]
서적
Kanban Change Leadership
John Wiley & Sons
[14]
서적
Essential Kanban Condensed
Lean Kanban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The Kanban Pocket Guide
https://prokanban.or[...]
2023-08-17
[16]
웹사이트
Flow Metrics for Scrum Teams
https://prokanban.or[...]
2023-08-17
[17]
서적
Kanban - Successful Evolutionary Change for your Technology Business
Blue Hole Press
[18]
서적
Agile Management for Software Engineering: Applying the Theory of Constraints for Business Results
Prentice Hall
[19]
citation
Kanban (development)
Wikipedia
2013-05-15
[20]
웹사이트
かんばんボードによるプロジェクトの見える化
http://www.infoq.com[...]
オブラブ
2013-01-10
[21]
웹사이트
プロジェクトファシリテーション実践編:見える化ガイド
http://objectclub.jp[...]
infoq.com
2010-05-09
[22]
웹사이트
"「かんばん」をソフトウェア開発に適用する: アジャイルからリーンへ"
http://www.infoq.com[...]
infoq.com
2010-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