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드는 고대 노르드어 및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노래나 주문을 의미한다. 게르만 조어 '*galdraz'에서 파생되었으며, '노래하다'는 의미의 게르만 조어 '*galaną'과 관련이 있다. 고대 노르드어 문헌에서는 특정 운율로 작곡된 주문을 지칭하며, 출산을 돕거나 광기를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오딘과 같은 신들이 갈드를 사용했다는 언급도 있으며, 베오울프와 같은 고대 영어 문헌에서도 등장한다.

2. 어원

고대 노르드어 ''galdrnon''과 고대 영어 ''ġealdorang'' 또는 ''galdorang''는 노래나 주문을 의미하는 재구된 게르만 조어 ''*galdraz''에서 유래되었다.[2][3] 이 용어들은 또한 인도유럽어족의 ''-tro'' 접미사가 동사 ''galanon''와 ''galanang''에서 제거된 것과 관련이 있으며, 둘 다 노래하거나 주문을 외우는 것을 의미하는 게르만 조어 ''*galaną''에서 파생되었다.[4][5]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는 ''-strogoh'' 접미사가 대신 ''galstergoh''를 생성했다.[6]

독일어 형태는 고대 고지 독일어 ''galstargoh''와 중고지 독일어 ''galstergmh'' "노래, 마법" (콘라트 폰 암멘하우젠의 ''Schachzabelbuch'' 167b)이었으며, (구식 또는 방언) 현대 독일어 ''Galstereide'' (마법) 및 ''Galsterweibde'' (마녀)로 남아있다.

이러한 용어에서 파생된 단어에는 아이슬란드어 동사 ''að galais'' "노래하다, 외치다, 소리치다", ''galderenm'' "마법", 그리고 ''나이팅게일''의 구성 요소 (''nihtegaleang''에서 유래), 현대 영어 ''yell''의 조상 동사인 ''ġiellanang''과 관련이 있다.[7][8] 이 단어들은 또한 네덜란드어 ''gillennl'' "외치다, 비명 지르다"와 동계어이다.

3. 고대 문헌 기록

갈드(galdrnon)는 고대 게르만족의 주문 또는 마법적인 노래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기록은 여러 고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고대 노르드어 문헌과 고대 영어 문헌에는 갈드의 구체적인 사용 방식이나 효과에 대한 다양한 언급이 남아 있다.

3. 1. 고대 노르드어 문헌

일부 주문은 galdralagnon이라 불리는 특별한 운율로 작곡되었다.[10] 이 운율은 의식에 사용된 여섯 줄의 ljóðaháttrnon와 유사하지만, 적어도 C-줄을 하나 더 추가했다.[9] 다양한 룬 비문은 즉흥적인 방식을 시사한다. 또 다른 특징은 수행되는 평행 구절이며,[9] 아래의 Skírnismál에서 구절을 참조한다.

여성을 위한 실용적인 galdrnon는 출산을 쉽게 하는 것이었지만,[10] 다른 사람에게 광기를 불러일으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여기서 현대 스웨덴어 galensv는 "미친"을 의미하며,[21] 동사 galanon('노래하다, galdr를 수행하다')에서 파생되었다.[11] 게다가, 이 기술의 대가는 폭풍을 일으키고, 멀리 떨어진 배를 침몰시키고, 칼을 무디게 하고, 갑옷을 부드럽게 만들며, 전투에서 승리 또는 패배를 결정할 수 있다고도 했다.[21] 이러한 예는 Grógaldr와 Frithiof's Saga에서 찾을 수 있다.[21] Grógaldr에서 그로아는 아들을 돕기 위해 아홉(노르드 신화에서 중요한 숫자) 개의 galdrarnon를 부르고, Buslubœn에서는 외스테르예틀란드의 링 왕의 계략이 무효화된다.[12]

이는 또한 Poetic Edda의 여러 시에서 언급되며, 예를 들어 오딘이 18개의 galdrarnon를 알고 있다고 주장하는 Hávamál에서도 언급된다.[1] 예를 들어, 오딘은 불, 칼날, 화살, 족쇄, 폭풍에 맞서 galdrarnon를 마스터했으며, 죽은 자를 불러내어 그들과 대화할 수 있었다.[13][14] Skírnismál에도 다른 언급이 있는데,[1] 여기에서 스키르니르는 게르드를 프레이르와 결혼시키기 위해 galdrarnon를 사용한다.[12] 다음 구절은 그 예시이다.

: 34. Heyri jötnar,non

: heyri hrímþursar,non

: synir Suttungs,non

: sjalfir ásliðar,non

: hvé ek fyrbýð,non

: hvé ek fyrirbannanon

: manna glaum mani,non

: manna nyt mani.non[15]

:: 34. "주의하라, 서리 지배자들아,

:: 들어라, 거인들아.

:: 수퉁의 아들들아,

:: 그리고 신들이여, 너희도,

:: 내가 어떻게 금지하는지

:: 그리고 내가 어떻게 금지하는지

:: 여자와의 남자의 만남을,

:: (여자와의 남자의 기쁨.)[16]

galdrarnon 사용에 대한 주목할 만한 언급은 에다 시 Oddrúnargrátr이며, 여기에서 보르니(Borgny)는 오드룬(Oddrún)이 "물어뜯는 galdrarnon"를 부르기 전에는 출산할 수 없었다.[10] (하지만 이들은 아래에서 헨리 아담스 벨로우스에 의해 '강력한 매력'으로 번역된다.)

: 7. Þær hykk mæltunon

: þvígit fleira,non

: gekk mild fyr knénon

: meyju at sitja;non

: ríkt gól Oddrún,non

: rammt gól Oddrún,non

: '''bitra galdra'''non

: at Borgnýju.non

: 8. Knátti mær ok mögrnon

: moldveg sporna,non

: börn þau in blíðunon

: við bana Högna;non

: þat nam at mælanon

: mær fjörsjúka,non

: svá at hon ekki kvaðnon

: orð it fyrra:non

: 9. "Svá hjalpi þérnon

: hollar véttir,non

: Frigg ok Freyjanon

: ok fleiri goð,non

: sem þú feldir mérnon

: fár af höndum."non[17]

:: 6. 그때 더 이상

:: 그들은 말하지 않았다, 내 생각에;

:: 그녀는 무릎으로 갔다

:: 여인에게 앉아;

:: 마법으로 Oddrun

:: 그리고 강력하게 Oddrun

:: Borgny를 위해 불렀다

:: '''강력한 매력'''.

:: 7. 마침내 태어났네

:: 사내아이와 계집아이,

:: 호그니의 살해자의 아들과 딸;

:: 그러자 여자가 말을 시작했다.

:: 너무 약해서,

:: 이전에 말한 것을 말하지 않았다.

:: 8. "그러니 거룩한 이들이

:: 당신을 도울 것이다,

:: Frigg과 프레이야

:: 그리고 호의적인 신들,

:: 당신이 나를 구했듯이

:: 지금 슬픔으로부터."[18]

3. 2. 고대 영어 문헌

베오울프에서 ġealdruang는 용의 무덤에 묻힌 고분 속 보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시에서는 이 마법이 걸린 보물에 아무도 손댈 수 없도록 묘사하고 있다.

'''고대 영어 원문'''[19]

:Him big stódan bunan ond orcasang

:discas lágon ond dýre swyrdang

:ómige þurhetone swá híe wið eorðan fæðmang

:þúsend wintra þaér eardodon,ang

:þonne wæs þæt yrfe éacencræftig,ang

:iúmonna gold '''galdre bewunden'''ang

:þæt ðám hringsele hrínan ne mósteang

:gumena aénig nefne god sylfaang

:sigora sóðcyning sealde þám ðe hé woldeang

:--hé is manna gehyld-- hord openian·ang

:efne swá hwylcum manna swá him gemet ðúhte.ang

'''톨킨 번역'''[20]

:그들 곁에는 잔과 물병이 놓여 있었고,

:접시와 귀중한 칼들이 놓여 있었네.

:녹슬고 썩어 들어갔으니, 마치 천 년 동안 땅의 품에 머물렀던 것 같네.

:그날, 그 유산은 강력한 힘으로 채워졌네.

:옛 사람들의 금은 '''마법으로 감싸여'''

:그 고리 홀에 아무도 손을 댈 수 없게 되었네.

:오직 승리의 참된 왕이신 신만이

:그가 선택한 자에게 마법의 비밀과 보물을 열 수 있도록 허락했네.

:그에게 합당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4. 해석 및 논의

갈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 의해 수행되었다.[10] 일부 학자들은 이들이 ''가성'' (gala|갈라non)으로 불렀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0][21]

참조

[1] 간행물 Galder Nationalencyklopedin 1992
[2] 웹사이트 galdr https://en.wiktionar[...] 2022-07-24
[3] 웹사이트 gealdor https://en.wiktionar[...] 2022-07-24
[4] 웹사이트 gala https://en.wiktionar[...] 2022-07-24
[5] 웹사이트 galan https://en.wiktionar[...] 2022-07-24
[6] 웹사이트 Svensk etymologisk ordbok https://runeberg.org[...] C. W. K. Gleerups förlag, Lund 1922
[7] 웹사이트 galder https://en.wiktionar[...] 2022-07-24
[8] 웹사이트 nightingale https://en.wiktionar[...] 2022-07-24
[9] 간행물 Galdralag Nationalencyklopedin 1992
[10] 문서 1998
[11] 웹사이트 Svenska Akademiens Ordbok: galen https://www.saob.se/[...]
[12] 간행물 galder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1908
[13] 서적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the Religion of Ancient Scandinavia Holt, Rinehart and Wilson
[14] 문서 2004
[15] 웹사이트 Skírnismál http://www.heimskrin[...]
[16] 웹사이트 Skirnismol http://www.sacred-te[...]
[17] 웹사이트 Oddrúnarkviða http://wayback.vefsa[...]
[18] 웹사이트 The Lament of Oddrun http://www.sacred-te[...]
[19] 웹사이트 Beowulf https://www.sacred-t[...] 2022-07-24
[20] 서적 Beowulf : a translation and commentary, together with Sellic spell Harper Collins Publishers 2014
[21] 간행물 Stora mythologiska uppslagsboken 1998
[22] 간행물 Galder Nationalencyklopedin 1992
[23] 문서 1998
[24] 간행물 Stora mythologiska uppslagsboken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