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나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매나무과는 장미목에 속하는 식물 과로, 분자 계통학에 기반한 분류를 따른다. 갈매나무족, 갯대추나무족, 고우아니아족, 도이르프펠디아족 등 11개의 족과 분류 불확실한 속들을 포함하며, 갈매나무아족, 포도갈매나무아족, 대추나무아족으로 나뉜다. 화석 기록은 백악기 후기부터 나타나며, 콜롬비아와 멕시코에서 발견되었고, 현존하는 속의 가장 초기의 화석은 에오세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매나무과 - 상동나무
상동나무는 1~3m의 키에 녹색 잎과 다채로운 줄기를 가진 상록수로, 작은 꽃과 식용 가능한 핵과 열매를 맺는다. - 갈매나무과 - 헛개나무
헛개나무는 동아시아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단맛이 있는 열매자루는 식용 및 한약재로 사용되고 목재는 건축 재료로 쓰이며 재조림 수종으로도 활용된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갈매나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류 정보 | |
학명 | Rhamnaceae Juss. |
이명 | Frangulaceae DC. Phylicaceae J.Agardh Ziziphaceae Adans. ex Post & Kuntze |
모식 속 | 갈매나무속 (Rhamnus) |
모식 속 명명자 | L. |
특징 | |
화석 범위 | 백악기 후기 - 현재 |
속 | |
하위 속 | 본문 참조 |
계통 정보 | |
관련 연구 | 월터 S. 주드와 리처드 G. 올름스테드의 연구 (https://doi.org/10.3732/ajb.91.10.1627 91(10): 1627–1644) |
기타 | |
질소 고정 | 솔채나무속(Ceanothus) 뿌리에서 공생적 질소 고정이 일어남 (https://doi.org/10.1002/j.1537-2197.1978.tb10836.x 65(1): 63–69) |
분포도 | |
![]() |
2. 분류
갈매나무과는 크게 갈매나무아족, 포도갈매나무아족, 대추나무아족으로 나뉘며, 그 외에도 여러 족과 속에 속하는 식물들이 있다.
아족 | 족 | 주요 속 |
---|---|---|
갈매나무아족 | 갈매나무족 | 갈매나무속, 까마귀베개속, 망개나무속, 상동나무속, 오리갈매나무속 |
벤틸라고족 | Smythea|시미테아la, Ventilago|벤틸라고la | |
마이솝시스족 | Maesopsisla | |
암펠로지지푸스족 | 암펠로지지푸스속 | |
바티오람누스족 | 바티오람누스속 | |
도이르프펠디아족 | Doerpfeldiala | |
갯대추나무족, 고우아니아족, 콜레티아족, 포마데리스족, 필리카족 | ||
대추나무아족 | 갯대추나무족 | 갯대추나무속, 대추나무속, 헛개나무속, Sarcomphalusla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Alphitoniala, Araracuarala, Ceanothusla, Colubrinala, Emmenospermala, Granititesla, Jaffreala, Lasiodiscusla, Schistocarpaeala |
2. 1. 갈매나무아족 (Rhamnoids)
갈매나무아족(Rhamnoids)은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여러 족들을 포함한다.족(Tribe) | 주요 속(Genus) |
---|---|
갈매나무족(Rhamneae) | 갈매나무속, 까마귀베개속, 망개나무속, 상동나무속, 오리갈매나무속 등 |
벤틸라고족(Ventilagineae) | Smythea|시미테아la, Ventilago|벤틸라고la 등 |
마이솝시스족(Maesopsideae) | Maesopsis |
갯대추나무족(Paliureae) | |
고우아니아족(Gouanieae) | |
도이르프펠디아족(Doerpfeldieae) | |
바티오람누스족(Bathiorhamneae) | |
암펠로지지푸스족(Ampelozizipheae) | |
콜레티아족(Colletieae) | |
포마데리스족(Pomaderreae) | |
필리카족(Phyliceae) |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위 표에 언급된 족 외에도 갯대추나무족, 고우아니아족, 도이르프펠디아족, 바티오람누스족, 암펠로지지푸스족, 콜레티아족, 포마데리스족, 필리카족 등이 있으며, 어느 족에 속하는지 분류가 불확실한(''incertae sedis'') 속도 있다.
2. 1. 1. 갈매나무족 (Rhamneae)
- 갈매나무속(''Rhamnus'' L.)[22]
- 까마귀베개속(''Rhamnella'' Miq.)
- 망개나무속(''Berchemia'' Neck. ex DC.)
- 상동나무속(''Sageretia'' Brongn.)
- 오리갈매나무속(''Frangula'' Mill.)
- ''Auerodendron'' Urb.
- ''Berchemiella'' Nakai
- ''Condalia'' Cav.
- ''Karwinskia'' Zucc.
- ''Krugiodendron'' Urb.
- ''Oreorhamnus'' Ridl.
- ''Reynosia'' Griseb.
- ''Rhamnidium'' Reissek
- ''Scutia'' (Comm. ex DC.) Brongn.
2. 1. 2. 벤틸라고족 (Ventilagineae)
2. 1. 3. 마이솝시스족 (Maesopsideae)
2. 2. 포도갈매나무아족 (Ampeloziziphoids)
'''포도갈매나무아족'''(podo-galmaenamu-亞族, 학명: Ampelozizipheae)은 갈매나무과의 아족이다.[29]족(Tribus) |
---|
암펠로지지푸스족(Ampelozizipheae) |
바티오람누스족(Bathiorhamneae) |
도이르프펠디아족(Doerpfeldieae) |
2. 2. 1. 암펠로지지푸스족 (Ampelozizipheae)
2. 2. 2. 바티오람누스족 (Bathiorhamneae)
바티오람누스속(Bathiorhamnus)Capuronla[27]2. 2. 3. 도이르프펠디아족 (Doerpfeldieae)
2. 3. 대추나무아족 (Ziziphoids)
대추나무아족(Ziziphoids)은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갯대추나무족, 고우아니아족, 필리카족, 콜레티아족, 포마데리스족 등 여러 족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여러 족이 존재하며, 특정 족에 속하지 않는 속(incertae sedis)도 있다.2. 3. 1. 갯대추나무족 (Paliureae)
- 갯대추나무속(''Paliurus'' Mill.)[23]
- 대추나무속(''Ziziphus'' Mill.)[23]
- 헛개나무속(''Hovenia'' Thunb.)[23]
- ''Sarcomphalus'' P.Browne[23]
2. 3. 2. 고우아니아족 (Gouanieae)
- ''Alvimiantha'' Grey-Wilson
- ''Crumenaria'' Mart.
- ''Gouania'' Jacq.
- ''Helinus'' E.Mey. ex Endl.
- ''Johnstonalia'' Tortosa
- ''Reissekia'' Endl.[24]
2. 3. 3. 필리카족 (Phyliceae)
2. 3. 4. 콜레티아족 (Colletieae)
- ''Adolphia'' Meisn.
- ''Colletia'' Comm. ex Juss.
- ''Discaria'' Hook.
- ''Kentrothamnus'' Suess. & Overkott
- ''Ochetophila'' Poepp. ex Reissek
- ''Retanilla'' (DC.) Brongn.
- ''Trevoa'' Miers ex Hook.[30]
2. 3. 5. 포마데리스족 (Pomaderreae)
- ''Blackallia'' C.A.Gardner
- ''Cryptandra'' Sm.
- ''Papistylus'' Kellermann, Rye & K.R.Thiele
- ''Polianthion'' K.R.Thiele
- ''Pomaderris'' Labill.
- ''Serichonus'' K.R.Thiele
- ''Siegfriedia'' C.A.Gardner
- ''Spyridium'' Fenzl
- ''Stenanthemum'' Reissek
- ''Trymalium'' Fenzl[31]
2. 4.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 ''Alphitonia'' Endl.
- ''Araracuara'' Fern.Alonso
- ''Ceanothus'' L.
- ''Colubrina'' Rich. ex Brongn.
- ''Emmenosperma'' F.Muell.
- ''Granitites'' Rye
- ''Jaffrea'' H.C.Hopkins & Pillon
- ''Lasiodiscus'' Hook.f.
- ''Schistocarpaea'' F.Muell.
3. 계통 분류
최근의 분자 계통학은 갈매나무과의 다음 분기군 기반 분류를 권장한다.[10]
포도갈매나무아족 | 갈매나무아족 | 대추나무아족 |
---|---|---|
갈매나무과 |
---|
4. 화석 기록
갈매나무과의 화석 기록은 백악기 후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콜롬비아[11]와 멕시코[12]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미얀마의 버마의 호박에서 발견된 중생대 백악기 화석은 일부 연구자들이 이 과에 속하는 것으로 제안했지만[13][14], 다른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15] 현대 속의 가장 초기의 화석은 에오세에 해당한다.[16]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Rhamnaceae'' Juss.,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2]
논문
A survey of tricolpate (eudicot) phylogenetic relationships
[3]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4]
논문
Flowering after disaster: Early Danian buckthorn (Rhamnaceae) flowers and leaves from Patagonia
2017-05-10
[5]
서적
Flowering Plants of the Santa Monica Mountains
[6]
논문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Ceanothus Roots
1978-01
[7]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cosmopolitan buckthorn family (Rhamnaceae) support the resurrection of ''Sarcomphalus'' and the description of ''Pseudoziziphus'' gen. nov.
2016
[8]
FloraBase
[9]
웹사이트
GRIN Genera of ''Rhamnaceae''
http://www.ars-grin.[...]
United
[10]
논문
Phylogeny of the Rosidae: A dense taxon sampling analysis
[11]
논문
A fruit and leaves of Rhamnaceous affinities from the late Cretaceous (Maastrichtian) of Colombia
https://bsapubs.onli[...]
2010-01
[12]
논문
Reproductive structures of Rhamnaceae from the Cerro del Pueblo (Late Cretaceous, Coahuila) and Coatzingo (Oligocene, Puebla) Formations, Mexico
https://bsapubs.onli[...]
2007-10
[13]
논문
Fire-prone Rhamnaceae with South African affinities in Cretaceous Myanmar amber
http://dx.doi.org/10[...]
2022-01-31
[14]
논문
Flowers from Myanmar amber confirm the Cretaceous age of Rhamnaceae but not of the extant genus ''Phylica''
[15]
논문
Novel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s of presumed ''Phylica'' (Rhamnaceae) from Cretaceous amber suggest Lauralean affinities
[16]
논문
Flowering after disaster: Early Danian buckthorn (Rhamnaceae) flowers and leaves from Patagonia
2017-05-10
[17]
웹사이트
Family: ''Rhamnaceae'' Juss.,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18]
웹사이트
GRIN Genera of ''Rhamnaceae''
http://www.ars-grin.[...]
United
[19]
웹사이트
Granitites in florabase
http://florabase.dpa[...]
[20]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Rhamnaceae using rbcL and trnL-F plastid DNA sequences
http://www.amjbot.or[...]
[21]
간행물
Genera Plantarum
[22]
간행물
Characteres Essentiales Familiarum
[23]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24]
간행물
Handbuch des Naturlichen Pflanzensystems
[25]
간행물
Kew Bulletin
[26]
간행물
In: Engler, Heinrich Gustav Adolf & Prantl, Karl Anton Eugen.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27]
간행물
Kew Bulletin
[28]
간행물
Genera Plantarum
[29]
간행물
Kew Bulletin
[30]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31]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32]
간행물
Genera Plantarum (Endlicher)
[33]
저널
Multi-gene analysis provides a well-supported phylogeny of Rosales
July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