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벨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벨라는 에티오피아에 위치한 도시로, 바로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1902년 영국은 이 지역에 항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고, 1907년에는 항구와 세관이 설립되었다. 감벨라는 한때 수단 철도와 연결되어 하르툼과 연결되었으며, 영국은 서부 에티오피아의 상업적 잠재력을 활용하고 지부티-아디스아바바 철도의 상업적 독점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36년 이탈리아의 점령 이후, 감벨라는 이탈리아로부터 탈환되었으며, 이후 영국은 감벨라 앙클라브를 유지하며 에티오피아 정부의 통제를 점차 강화했다. 현대에는 데르그 시대에 항구가 폐쇄되었으며, 2003년과 2012년에 폭력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감벨라의 경제는 농업, 축산업, 어업 및 광물 자원에 의해 주도되며, 감벨라 공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도시 - 악숨
    악숨은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 위치한 고대 악숨 왕국의 수도로, 독자적인 문자와 건축 양식을 발전시키고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하여 번성했으며, 웅장한 유적과 역사적인 종교적 장소들을 통해 그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역사적인 지역이다.
  • 에티오피아의 도시 - 곤다르
    곤다르는 17세기 파시다스 황제에 의해 에티오피아의 수도로 건설되어 파질 게비 왕궁을 중심으로 발전, "아비시니아의 파리"로 불리며 한때 중심지였으나 쇠퇴 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 도시로, 현재는 에티오피아 정부의 통제하에 있다.
감벨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감벨라
로마자 표기Gambela
위치에티오피아 감벨라 주
종류주도
감벨라의 바 로 강
감벨라의 바 로 강
지리
좌표8°15′N 34°35′E
해발 고도526m
기후열대 사바나 기후(Aw)
인구 통계
인구 (2022년)97,643명
행정
국가에티오피아
감벨라 주
구역아누악 구역
기타 정보
시간대동아프리카 시간(EAT)
UTC 오프셋+3

2. 역사

감벨라는 나일강 지류인 바로강에 위치해 있어,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생산된 커피와 기타 상품을 수단이집트로 수출하는 데 중요한 통로로 여겨졌다. 1902년 5월 15일 메넬리크 2세 황제는 영국에 바로 강을 따라 항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했고, 1907년 감벨라에 항구와 세관이 설립되었다.

수단 철도에서 운영하는 해운 서비스는 하르툼과 감벨라를 연결했으며, 거리는 1,366킬로미터였다. 1930년대 중반까지 배는 우기 동안 한 달에 두 번 운항했으며, 하류로 7일, 상류로 11일이 걸렸다.[2]

영국은 서부 에티오피아의 상업적 잠재력을 활용하고, 지부티-아디스아바바 철도가 에티오피아에서 상업적 패권을 차지하는 것을 막고자 했다. 에티오피아는 단일 유럽 강대국이 경제를 통제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메넬리크 2세는 식민 지배국들이 서로 경쟁하도록 하여 이익을 얻었다. 1911년에서 1917년 사이에 에티오피아의 대외 무역의 70% 이상이 지부티 항구를 통과했지만, 감벨라를 통과하는 상품의 점유율은 이탈리아 정복까지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다.

영국은 사요와 고르의 에티오피아 총독들과 협력해야 했는데, 그들은 국경 간 무역에서 얻을 수 있는 돈에 큰 관심을 보였다.[3] 영-이집트 수단의 명목상 공동 통치에서 파견된 소규모 병력이 감벨라에 배치되어 질서와 안보를 유지했다.

1927년 7월 9일, 섭정 ''라스'' 타파리(나중에 에티오피아의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T. 제르보스와 A. 다날리스에게 감벨라와 메투 및 고르를 연결하는 길이 180km의 도로 건설에 대한 특권을 부여했다.[4]

1936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을 때, 에티오피아의 특권은 만료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해운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증기선과 영국 거주자가 10월 14일 감벨라를 떠났다. 강을 이용한 교통이 사라지자, 이탈리아는 1936년에서 1940년 사이에 감벨라에서 네켐테까지 도로를 건설했다. 감벨라는 1941년 2월 3일 2/6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에 의해 이탈리아로부터 탈환되었다.[5]

1941년 5월, 리야수 5세의 아들 리지 테오드로스는 감벨라 지역에서 스스로 황제라고 선언하며 나타났으나, 벨기에 콩고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5]

1944년 12월 19일, 새로운 영-에티오피아 조약이 체결되어 영국의 특권이 사실상 제거되었지만, 감벨라 앙클라브는 계속 유지되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앙클라브에 대한 통제를 점차 강화했고, 1956년 10월 15일 앙클라브는 에티오피아에 반환되었다.[5]

항구는 데르그 시대에 폐쇄되었으며, 현재까지 수단 인민해방군과 에티오피아 정부 간의 긴장으로 인해 폐쇄된 상태로 남아있지만, 항구를 재개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은 1991년 5월 27일 감벨라를 장악했다고 발표했다.[5]

2003년 12월 13일, 에티오피아 군인과 고지대 민간인이 감벨라의 아누악족을 상대로 잔혹한 공격을 감행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이 사건으로 424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6] 2005년 10월 30일에는 감벨라 인민 해방 운동으로 추정되는 무장 아누악족이 수도의 교도소를 공격하여 수감자들을 석방하고 경찰서장을 살해했다.[7]

2012년 3월에는 버스 공격이 발생하여 탑승자 19명이 총에 맞아 사망했다.[8]

2. 1. 영국령 시대 (1902-1956)

메넬리크 2세 황제는 1902년 5월 15일 영국에 바로강을 따라 항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했고, 1907년 감벨라에 항구와 세관이 설립되었다.[2] 수단 철도에서 운영하는 해운 서비스는 하르툼과 감벨라를 연결했으며, 거리는 1,366킬로미터였다. 리처드 팽크허스트에 따르면, 1930년대 중반까지 배는 우기 동안 한 달에 두 번 운항했으며, 하류로 7일, 상류로 11일이 걸렸다.[2]

바흐루 제우데에 따르면, 영국이 이 특권에 관심을 가진 것은 부분적으로 "서부 에티오피아의 엄청난 상업적 잠재력을 활용하고 이 지역 전체를 수단의 경제적 궤도에 끌어들이는 것"의 매력 때문이었지만, "프랑스에 약속한 지부티-아디스아바바 철도가 에티오피아에서 가상적인 상업적 패권을 막기 위한 훌륭한 영국의 반격"을 의도한 것이기도 했다. 압시니아인들은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 단일 유럽 강대국이 경제를 통제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메넬리크는 식민 지배국들이 서로 경쟁하도록 현명하게 이용하여 무역과 기술의 혜택을 누리면서, 단일 국가가 독점하는 것을 막고, 근대화의 주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자신의 나라를 개방하는 현명한 게임을 하고 있었다. 1911년에서 1917년 사이에 에티오피아의 대외 무역의 70% 이상이 지부티 항구를 통과했지만, 감벨라를 통과하는 상품의 점유율은 이탈리아 정복까지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다.

영국은 사요와 고르의 에티오피아 총독들과 협력해야 했는데, 그들은 국경 간 무역에서 얻을 수 있는 돈에 큰 관심을 보였다.[3] 영-이집트 수단의 명목상 공동 통치에서 파견된 소규모 병력이 감벨라에 배치되어 특권 내에서 질서와 안보를 유지하고, 수많은 이집트, 이슬람주의자, 영국, 이탈리아의 개입과 그에 따른 민간 권력 붕괴 이후, 여전히 법의 지배가 거의 없는 국가에서 외부의 이익으로부터 특권을 방어했다.

섭정 ''라스'' 타파리(나중에 에티오피아의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1927년 7월 9일부터 T. 제르보스와 A. 다날리스에게 감벨라와 메투 및 고르를 연결하는 길이 180km의 도로 건설에 대한 여러 특권을 부여했다.[4]

영국의 특권은 1935년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1936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을 때, 에티오피아의 특권은 만료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해운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증기선과 영국 거주자가 10월 14일 감벨라를 떠났다. 강을 이용한 교통이 사라지자, 이탈리아는 1936년에서 1940년 사이에 감벨라에서 네켐테까지 또 다른 도로를 건설하여 이 지역에 대한 대체 연결을 제공했다. 감벨라는 1941년 2월 3일 2/6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에 의해 이탈리아로부터 탈환되었다.[5] 영국 건물들은 평시 및 전시 이탈리아 행정 기간 동안 존중받고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초대 거주자가 돌아왔지만, 특권은 더 이상 독특하지 않았는데, 이는 에티오피아 행정가가 충분히 훈련될 때까지 몇 년 동안 국가 전체가 점령 적국 영토 행정 (OETA)에 의해 영국 행정 하에 있었기 때문이다.

리야수 5세의 아들 리지 테오드로스는 1941년 5월 감벨라 지역에서 스스로 황제라고 선언하며 나타났다. 그의 반란은 벨기에 콩고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그들은 1942년 2월 그 지역을 떠났다.[5]

1944년 12월 19일에 새로운 영-에티오피아 조약이 체결되어 영국의 특권이 사실상 제거되었지만, 감벨라 앙클라브는 계속 유지되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앙클라브에 대한 통제를 점차 강화했다: 마리아 테레지아 탈러를 법정 통화로 금지하고, 모든 상인에게 아디스아바바에서 직접 여권을 취득하도록 요구했으며, 1951년에는 영국 거주자 드라이블 대위에게 더 이상 누구도 재판하거나 투옥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그가 1954년 10월 30일에 떠났을 때, 앙클라브의 종말이 눈앞에 다가왔다. 앙클라브는 수단이 독립을 달성했을 때 여전히 수단에 의해 유지되었지만, 그들은 1956년 10월 15일까지 앙클라브를 에티오피아에 반환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다.[5]

2. 2. 현대

감벨라는 나일강 지류인 바로강에 위치해 있어,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생산된 커피와 기타 상품을 수단이집트로 수출하는 데 중요한 통로로 여겨졌다. 항구는 데르그 시대에 폐쇄되었으며, 현재까지 수단 인민해방군과 에티오피아 정부 간의 긴장으로 인해 폐쇄된 상태로 남아있지만, 항구를 재개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은 1991년 5월 27일 감벨라를 장악했다고 발표했다.[5]

2003년 12월 13일, 에티오피아 군인 30명과 고지대 민간인이 감벨라의 아누악족을 상대로 잔혹한 공격을 감행했다. 이는 고지대 민간인에 대한 일련의 매복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추정된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이 사건으로 424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6] 2005년 10월 30일에는 감벨라 인민 해방 운동으로 추정되는 무장 아누악족이 수도의 교도소를 공격하여 수감자들을 석방하고 경찰서장을 살해했다.[7]

2012년 3월에는 버스 공격이 발생하여 탑승자 19명이 총에 맞아 사망했다.[8]

3. 지리

마을은 바로 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4. 주민

에티오피아 중앙 통계청이 2007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감벨라의 총 인구는 39,022명(남성 20,790명, 여성 18,232명)으로, 1994년 인구 조사에 비해 113.67% 증가했다.[9] 총 10,152가구가 있으며 가구당 평균 3.8명, 9,595개의 주거 단위가 있다.[9] 주민 대다수는 개신교 신자(57.04%)이며, 에티오피아 정교회 30.39%, 이슬람교 9%, 가톨릭 4.08% 순이다.[9]

1994년 전국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 18,263명(남성 9,852명, 여성 8,411명)이었다.[10] 민족 구성은 누에르족 33.8%, 아누악족 26.1%, 오로모족 14%, 암하라족 7.4%, 티그라이족 6.5%, 캄바타족 4.3%, 기타 4.9%였다.[10]

5. 경제

감벨라의 경제는 농업, 축산업, 어업 및 광물 자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자급 농업이 일반적이지만, 카루투리 글로벌(Karuturi Global)과 같은 상업 농장들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식량 가격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다.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지역 농부들은 옥수수와 수수를 재배하여 도시 시장에 판매한다.[11]

아코보(Akobo)와 지카와(Jikawo) 등지에서 널리 이루어지는 축산업은 가뭄, 제한된 방목지, 남수단으로부터의 가축 절도 등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여전히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광물 자원이 풍부한 감벨라에는 디마(Dimma)에 오랜 역사를 가진 금광이 있으며, 최근 새롭게 발견된 유전은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11]

아코보강(Akobo), 바로강(Baro), 길로강(Gilo) 등의 강과 수많은 호수에서 얻을 수 있는 풍부한 수자원은 어업을 활성화시켜 많은 주민들에게 중요한 소득원이 되고 있다.[11]

6. 교통

감벨라에는 감벨라 공항이 있다.Gambela Airport|감벨라 에어포트영어

6. 1. 공항

감벨라에는 감벨라 공항Gambela Airport|감벨라 에어포트영어이 있다.

7. 기후

감벨라의 기후는 해발 480m에서 1971년부터 2000년까지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1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C)37.8°C38.4°C38.9°C37.3°C34.5°C32.5°C31.7°C31.6°C32.9°C33.9°C32.9°C35.6°C
최저 기온 (°C)18.2°C20°C22°C22.1°C20.2°C20.7°C21.9°C20.9°C20.5°C20.1°C19.3°C18.8°C
강수량 (mm)5mm8mm27mm56mm156mm150mm239mm228mm155mm133mm48mm12mm
습도 (%)464345516171797973685754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by Sex, Area and Density by Region, Zone and Wereda: July 2022. http://www.statsethi[...] 2023-05-22
[2]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Ethiopia Haile Selassie University Press 1968
[3] 논문 An Overview and Assessment of Gambella Trade (1904-1935) https://www.jstor.or[...] 1987
[4] 서적 Economic History
[5] 웹사이트 Local History in Ethiopia http://130.238.24.99[...] 2008-01-29
[6] 웹사이트 Ethiopia: Targeting the Anuak: The December 2003 Massacre https://www.hrw.org/[...] 2023-05-22
[7] 간행물 Armed Groups along Sudan's Eastern Frontier: An overview and analysis http://www.smallarms[...] Small Arms Survey, 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2007
[8] 뉴스 Gunmen kill 19 on Ethiopian bus in Gambella region https://www.bbc.co.u[...] 2012-03-12
[9] 웹사이트 Census 2007 Tables: Gambela Region http://www.csa.gov.e[...]
[10] 웹사이트 The 1994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Ethiopia: Results for Gambela Region http://www.csa.gov.e[...]
[11] 웹사이트 Economy of Gambella https://www.gambella[...] 2024-08-04
[12] 웹사이트 CLIMWAT climatic database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United Nations 2024-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