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2.1. 솔로몬 왕조의 성립과 발전 (1270년 ~ 16세기)
- 2.2. 포르투갈과의 교류 및 오로모족 이동 (16세기)
- 2.3. 아달 술탄국의 침입과 극복 (16세기)
- 2.4. 가톨릭 선교와 내전 (16세기 ~ 17세기)
- 2.5. 곤다르 시대 (17세기 ~ 18세기)
- 2.6. 왕자들의 시대 (18세기 중반 ~ 19세기 중반)
- 2.7. 테오드로스 2세의 통일과 근대화 시도
- 2.8. 이탈리아의 침략과 격퇴 (19세기 말)
- 2.9. 메넬리크 2세의 영토 확장과 근대화 (19세기 말 ~ 20세기 초)
- 2.10. 이탈리아의 재침과 일시적 점령 (1935년 ~ 1941년)
- 2.11.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복귀와 근대화 (1941년 ~ 1974년)
- 2.12. 제정의 붕괴와 사회주의 정권 수립 (1974년)
- 3. 역대 황제
- 4. 정치
- 5. 군사
- 6. 경제
- 7. 사회
- 참조
1. 개요
에티오피아 제국은 1270년 예쿠노 암라크가 솔로몬 왕조를 세우면서 시작되어 1974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의 쿠데타로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폐위될 때까지 존속한 국가이다. 솔로몬 왕조는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중심으로 기독교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이슬람 세력과의 전쟁, 포르투갈과의 교류, 오로모족의 이동 등 다양한 사건들을 겪었다. 19세기 말에는 이탈리아의 침략을 격퇴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메넬리크 2세 시대에 근대화를 추진했다. 20세기에는 이탈리아의 재침으로 점령당하기도 했으나,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복귀와 함께 유엔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그러나 봉건적 잔재와 개혁의 어려움 속에서 1974년 군사 쿠데타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 제국 -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가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가는 암하라어 가사로 구성되어 에티오피아의 긍지와 영광을 찬양하며 단결과 평화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고, 영어 번역본도 존재한다. - 에티오피아의 역사 - 에티오피아 내전
에티오피아 내전은 1974년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 전복 후 1991년까지 이어진 무장 갈등으로, 군부 데르그 정권의 탄압과 독립운동, 반군 세력과의 전쟁으로 수백만 명의 사망자와 인도적 재앙을 초래했으며,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에 의해 데르그 정권이 붕괴되며 종식되었다. - 에티오피아의 역사 - 자그웨 왕조
자그웨 왕조는 10세기에서 13세기까지 에티오피아를 통치했으며, 구디트 여왕 이후 등장하여 솔로몬 왕조로 대체되기 전까지 이집트 및 예루살렘과 관계를 유지했다. - 아프리카의 옛 제국 - 송가이 제국
송가이 제국은 서아프리카 니제르 강 유역에서 번성했던 제국으로, 손니 왕조를 거쳐 아스키아 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모로코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 후에도 여러 소왕국으로 이어졌다. - 아프리카의 옛 제국 - 아샨티 제국
아샨티 제국은 17세기 오세이 투투 1세의 지휘 아래 가나 남부 내륙에서 건국되었으며, 군사적 연합에서 시작하여 '황금 의자'를 중심으로 종교적 연합의 성격을 띠었고, 영국과의 전쟁 끝에 1901년 병합되었으며, 가나 독립 후 입헌 군주제 왕국으로 인정받아 현재 아샨티 국왕이 존재한다.
에티오피아 제국 | |
---|---|
지도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에티오피아 제국 |
존속 기간 | 1270년–1974년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단일 의회 입헌군주제 |
수도 | }} 곤다르 데브레 타보르 메켈레 아디스아바바 |
국가 표어 | (에티오피아가 하느님께 손을 내밀다) (시편 68:31) |
국가 | (에티오피아, 행복하라) |
공용어 | 암하라어 (왕조, 공용어, 궁정) 게에즈어 (전례 언어, 문학) 기타 여러 언어 |
종교 | 국교: 기독교 정교회 가톨릭교회 비공식: 펜테이 복음주의 수니파 이슬람교 유대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
통화 | 금 세금 소금 블록 (아몰레) 디나르 마리아 테레사 탈러 에티오피아 비르, 탈러 또는 달러 |
국왕 | 예쿠노 암라크 하일레 셀라시에 |
총리 | 하브테 기요르기스 미카엘 임루 |
입법부 | 없음 (칙령 통치) 의회 |
상원 | 상원 |
하원 | 하원 |
국가 수호 성인 | 성 조지 (성 조지의 수호) |
현재 국가 |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
데모님 | 내부 명칭: 에티오피아인 외부 명칭: 아비시니아인 |
역사 | |
시작 사건 | 예쿠노 암라크의 즉위 |
시작 날짜 | 1270년 |
사건 1 | 암다 세욘 1세의 정복 |
날짜 1 | 1314–1344년 |
사건 2 |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
날짜 2 | 1529–1543년 |
사건 3 | 곤다르 시대 |
날짜 3 | 1632–1769년 |
사건 4 | 제메네 메사핀트 |
날짜 4 | 1769–1855년 |
사건 5 | 메넬리크 2세의 정복 |
날짜 5 | 1878–1904년 |
사건 6 |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날짜 6 | 1895–1896년 |
사건 7 | 헌법 채택 |
날짜 7 | 1931년 7월 16일 |
사건 8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 합병) |
날짜 8 | 1935년 10월 3일 |
사건 9 | 주권 회복 |
날짜 9 | 1941년 5월 5일 |
사건 10 |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연방 |
날짜 10 | 1952년 9월 11일 |
종료 사건 | 데르그의 쿠데타 |
종료 날짜 | 1974년 9월 12일 |
군주제 폐지 | 군주제 폐지 |
폐지 날짜 | 1975년 3월 21일 |
면적 | |
면적 | 1,221,900 km² (1954년) |
2. 역사
악숨 왕국과 자그웨 왕조를 계승하여 1270년 예쿠노 암라크가 솔로몬 왕조를 건국하고 에티오피아 제국의 첫 황제가 되었다. 솔로몬 왕조는 성경 속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의 아들 메넬리크 1세를 시조로 칭하며, 초기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국교로 삼았다. 16세기에는 이슬람 세력과의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에서 승리하며 독자성을 지켰으나, 세력이 약화되었다.
18세기에는 황제의 권력이 약화되고 지방 호족들이 난립하는 혼란기("Zemene Mesafintam")를 겪었다. 1855년 테오드로스 2세가 즉위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요하네스 4세 역시 통일 정책을 이어갔다. 1874년에는 이집트의 침략을 격퇴했다. 메넬리크 2세는 1889년 즉위하여 수도를 아디스 아바바로 옮기고 근대화를 추진했으며,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9세기 말 이탈리아의 침략을 받았으나, 1896년 아드와 전투에서 승리하며 독립을 지켰다.
1930년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즉위하여 1931년 성문 헌법과 부분적 입헌 군주제를 도입했다. 그러나 1935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가 침공하여 1936년 수도가 함락되고 황제는 망명했다. 1941년 영국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수복하고 황제가 복위했으며, 1952년 에리트레아와 연방을 수립했다가 1962년 흡수했다.
1970년대 초 기근과 경제난으로 민중의 불만이 커졌고, 1974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의 군사 쿠데타로 제정이 붕괴되고 황제는 폐위, 암살당했다. 이후 에티오피아는 공화국이 되었다.
2. 1. 솔로몬 왕조의 성립과 발전 (1270년 ~ 16세기)
예쿠노 암라크는 1270년경 자그웨 왕조를 무너뜨리고 솔로몬 왕조를 건국했다. 그는 악숨 왕국의 마지막 왕 딜 나오드의 후손이자, 성서 속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의 아들 메넬리크 1세를 시조로 칭하며 정통성을 주장했다.[32] 예쿠노 암라크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으며, 이웃 이슬람 마크주미 왕조의 지원도 받았다. 그는 이집트의 마므루크 술탄국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게네타 마리아(Genneta Maryam) 교회 건설을 명했다.[32][33]
1285년, 예쿠노 암라크의 아들 야그베우 세욘이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에게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위한 대주교 파견을 요청했지만, 이집트 기독교 신도들에 대한 술탄의 처우에 항의하기도 했다.[34] 그의 아들들이 1년씩 번갈아 통치하는 합의는 곧 깨졌고, 1299년 웨뎀 아라드가 왕위를 찬탈했다. 그는 동부 쇼와(Shewa)로 확장하려는 이파트 술탄국과 갈등을 빚었다.[35]

웨뎀 아라드의 뒤를 이은 암다 세욘 1세 치세에는 왕실 연대기가 작성되어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중세 시대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제공했다. 또한, 성서적 원칙을 기반으로 한 국가 법전 페타 나가스트(Fetha Nagast)가 만들어져 20세기 초까지 사용되었다.[33]
전사 황제 암다 세욘 1세는 고잠, 다못, 에리트레아 등에서 전투를 벌였지만, 가장 중요한 전투는 동쪽의 이슬람 세력과의 전투였다. 1320년경, 마물루크 술탄국의 술탄 안-나시르 무함마드가 콥트교도를 박해하자, 암다 세욘은 나일 강의 흐름을 바꾸겠다고 위협했다. 하크 아드-딘 1세 이파트 술탄이 에티오피아 사절을 투옥하자, 암다 세욘은 이파트 술탄국을 침략하여 술탄을 죽이고 수도를 약탈했다.[36]
사브르 아드-딘 1세는 무슬림들을 결집시켜 반란을 일으켰지만, 암다 세욘은 그를 죽이고 아달, 다와로, 발레 주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암다 세욘의 정복으로 에티오피아 제국의 영토는 크게 확장되었고, 이 시대 이후 제국과 뿔 지역 무슬림들과의 관계는 완전히 깨졌다.[37][38]
1445년, 자라 야곱 황제는 홍해와의 통상 루트를 둘러싼 전쟁에서 아달 술탄국에 승리하며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2. 2. 포르투갈과의 교류 및 오로모족 이동 (16세기)
1493년, 인도양 진출에 성공한 포르투갈에서 에티오피아로 사절이 파견되었고, 1509년에는 에티오피아에서도 포르투갈로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유럽 국가들과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중반부터 에티오피아 남부에 거주하는 오로모족이 이동을 시작하여 사회 불안정화의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44]2. 3. 아달 술탄국의 침입과 극복 (16세기)
1526년, 아달 술탄국의 군인 아흐마드 그란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에티오피아에 대해 "성전"을 선포하고, 한때 에티오피아 영토의 대부분을 점령하였다.[45] 이로 인해 에티오피아는 큰 위기를 맞았다.당시 에티오피아 황제 갈라오디오스는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아 1543년 타나 호수 부근에서 아달-터키 연합군을 격파하고 아흐마드 그란을 전사시켜 승리하였다.[48]
2. 4. 가톨릭 선교와 내전 (16세기 ~ 17세기)
1493년, 인도양 진출에 성공한 포르투갈에서 에티오피아로 사절이 파견되었고, 1509년에는 에티오피아에서도 포르투갈로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유럽 국가들과의 교류가 시작되었다. 1526년, 아달의 군인 아흐마드 그란은 에티오피아에 대해 "성전"을 선포하고,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한때 에티오피아 영토의 대부분을 점령하였다. 당시 에티오피아 황제 갈라오디오스는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아 1543년 타나 호수 부근에서 아달-터키 연합군을 격파하고 아흐마드 그란을 전사시켜 승리하였다. 전승 후 포르투갈은 에티오피아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꾀하며 가톨릭 선교단을 파견하여 에티오피아 국민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 하였다. 왕족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가톨릭으로 개종하였으나, 그 결과 종파 대립에 의한 내전이 발발하였다. 1596년, 후계자 다툼으로 왕족·귀족의 대립이 심화되어, 가톨릭 신자였던 수세뇨스 1세가 즉위하였으나, 종파 대립은 더욱 격렬해졌다. 수세뇨스는 국내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단기간에 퇴위하였다.수세뇨스 퇴위 후 아들 파실라다스가 즉위하였다. 그는 열렬한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였으며, 가톨릭 세력을 축출하고 내전을 종식시켰다.
2. 5. 곤다르 시대 (17세기 ~ 18세기)
1636년, 파실라다스 황제는 곤다르를 영구 수도로 건설했으며, 이 도시는 매우 안정적이고 번영하는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기에는 에티오피아 미술, 에티오피아 건축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이 있었고, 왕궁인 파실 게비 건설과 타나 호수 주변에 세워진 44개의 교회[57] 건설 등의 혁신이 이루어졌다. 미술 분야에서는 곤다르 시대에 쌍폭화(diptych)와 삼폭화(triptych), 벽화(murals), 삽화가 들어간 사본(illuminated manuscript)이 주로 종교적 주제로 제작되었다. 야수 1세의 통치 기간(1682-1706)은 중요한 통합 시대였다. 또한 루이 14세의 프랑스와 네덜란드령 인도로 사절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근세 초기는 활발한 문화 및 예술 창작의 시대였다. 이 지역의 주목할 만한 철학자로는 제라 야곱과 월다 헤이왓이 있다. 야수 1세 사후 제국은 정치적 혼란기에 접어들었다.파실라다스는 열렬한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였으며, 가톨릭 세력을 축출하고 내전을 종식시켰다. 또한 이슬람 국가들과도 평화를 맺고 사회 안정화에 힘썼다. 이 시대에 수도를 곤다르로 옮겼기 때문에 이후 약 100년간을 '''곤다르 시대'''라고 부른다. 파실라다스와 그의 아들 요한네스 1세, 그리고 손자 야수 1세 시대는 외교·내정 모두 원숙기를 맞이하여 정비된 행정 제도하에서 번영을 누렸다.
2. 6. 왕자들의 시대 (18세기 중반 ~ 19세기 중반)
1769년부터 1855년까지 에티오피아 제국은 "왕자 시대"(암하라어: ''Zemene Mesafint'')로 알려진 시기를 거쳤다. 이 시기는 여러 라스(영국의 공작에 해당)와 황제 간의 수많은 갈등이 있었던 에티오피아 역사의 한 시기였다. 황제는 제한된 권력만 가지고 있었고, 당시 수도였던 곤다르 주변 지역만 지배했다. 이 시기에는 사회와 문화의 발전이 정체되었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내부의 종교 갈등과 이들과 무슬림 간의 종교 갈등은 상호 분쟁의 구실로 자주 이용되었다. 왕자 시대는 테오드로스 2세 황제의 통치로 끝을 맺었다.[58]솔로몬 왕조의 세력은 16세기 이후 쇠퇴하여 제후들이 항쟁하는 춘추전국 시대가 되었다. 야수 1세 사후 황제가 수년 만에 암살되는 등 10여 년에 걸쳐 왕족·귀족·군부에 의한 격렬한 권력 투쟁이 계속되었다. 베카파의 통치로 일시적으로 국가는 안정되었으나, 그의 사후 다시 혼란에 빠져 지방 여러 주의 '''라스'''(제후)들이 패권을 다투는 혼란의 시대에 돌입한다. 베카파의 손자 이요아스 1세의 통치 시대에는 티그라이의 라스인 미카엘 세후르가 유력한 권력자로 행세하는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 1769년, 마침내 세후르는 이요아스 1세와 그의 후계자인 요한네스 2세를 살해하고, 자신이 선택한 꼭두각시 황제를 조종하여 그림자 권력자로 군림하였다. 이러한 약 100년에 걸친 혼란기는 국가로서의 통일이 거의 없었던 시기였다.
2. 7. 테오드로스 2세의 통일과 근대화 시도
19세기 중반, 테오드로스 2세가 에티오피아 재통일을 추진했다.[58] 그는 개혁 정책을 폈으나, 여러 반대에 부딪혀 좌절되었다.[58] 1868년, 여러 선교사와 영국 정부 대표들이 투옥되자, 영국은 테오드로스 황제에 대한 응징을 위해 아비시니아 원정을 감행했다. 에티오피아 귀족 대부분의 지원을 받은 이 원정은 영국에게 승리로 돌아갔고, 에티오피아 황제는 항복 대신 자살을 선택했다.[58]2. 8. 이탈리아의 침략과 격퇴 (19세기 말)
메넬리크 2세 통치 시기인 19세기 말,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의 침략을 받았다. 1880년대 아프리카 분할 시기에 식민지 확장을 꾀하던 이탈리아는 영국으로부터 에리트레아를 할양받았고, 이는 1887년-1889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요하네스 4세 황제 사후, 이탈리아는 조약을 통해 에티오피아를 보호령으로 편입하려 했으나, 메넬리크 2세는 이를 거부했다.이에 이탈리아는 1895년 에티오피아에 선전포고를 했고,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다. 1896년 아드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은 수적 우세를 바탕으로 이탈리아군을 대파했다. 이 승리로 에티오피아는 독립을 지켜냈으며, 10월에 체결된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통해 에리트레아의 국경이 확정되고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해야 했다. 엔토토 개혁으로 현대식 소총을 갖춘 에티오피아 군대는 이탈리아군보다 우수한 장비를 보유하기도 했다.

하지만 1935년 에밀리오 데 보노가 이끄는 이탈리아군이 다시 에티오피아를 침공하면서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7개월 만에 이탈리아의 승리로 끝났고,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의 일부로 점령되었다. 이 침략은 국제 연맹의 비난을 받았지만, 실질적인 제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중 양측은 모두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에티오피아군은 덤덤탄을 사용하고 포로를 학대했으며, 이탈리아군은 황화규소 겨자 가스를 사용한 화학전을 벌였다. 전쟁 후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병합하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아비시니아 황제" 칭호를 사용했다.
2. 9. 메넬리크 2세의 영토 확장과 근대화 (19세기 말 ~ 20세기 초)
메넬리크 2세는 1889년 전투 중 전사한 요하네스 4세의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의 질서를 바로잡고, 수도를 아디스 아바바로 옮겨 본격적인 근대화를 추진했다. 요하네스 4세와 메넬리크 2세 시대에 걸쳐 여러 정복 전쟁을 벌여 오로모족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살던 남쪽의 넓은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했다.[60] 이 과정에서 서부 오로모(비쇼안 오로모), 시다마, 구라게, 왈라이타[61], 디지[62] 등이 에티오피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메넬리크 2세의 황실군에는 라스 고베나의 셰와 오로모 민병대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이 병합한 많은 지역은 이전까지 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어 에티오피아의 현대 국경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3]1887년, 메넬리크 2세는 셰와의 왕으로서 하라르 에미르국을 침략했고,[58] 1889년에는 그의 장군 고바나 다체가 하디야 지도자 하산 엔자모를 물리치고 하디야 영토를 병합했다.[59]
19세기 말, 에티오피아는 식민지 확장을 추진하던 이탈리아의 침략을 받았으나, 1896년 아드와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여 이를 격퇴했다. 이탈리아어와 암하라어 번역본 사이의 차이로 인해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보호령으로 편입했다고 믿었지만, 메넬리크 2세는 1893년 보호령 지위를 거부했다. 이에 분노한 이탈리아는 1895년 에티오피아에 선전포고했고,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다. 1896년 아두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이탈리아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그 결과, 10월에 아디스아바바 조약이 체결되어 에리트레아의 국경이 명확히 구분되었고,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해야 했다. 엔토토 개혁으로 에티오피아 군대가 현대식 소총을 갖추게 되면서, 일부 에티오피아 군인들은 평균적인 이탈리아 보병보다 더 발전된 소총을 보유하게 되어 많은 이탈리아 지휘관들이 충격을 받았다.
에티오피아와 인접한 식민지를 소유한 영국과 프랑스 등 유럽 열강의 사절단은 곧 새롭게 부상한 강대국인 에티오피아와 조약을 체결하기 위해 수도에 도착했다.
2. 10. 이탈리아의 재침과 일시적 점령 (1935년 ~ 1941년)
1935년, 원수 에밀리오 데 보노가 지휘하는 이탈리아 군대가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7개월 만에 이탈리아의 승리로 끝났고, 에티오피아 제국은 이탈리아 식민지인 이탈리아 동아프리카로 점령되었다. 이 침략은 국제 연맹의 비난을 받았지만, 적대 행위를 종식시키기 위한 노력은 미흡했다.[1]전쟁 중 에티오피아와 이탈리아 양측 모두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에티오피아군은 덤덤탄을 사용했고(1899년과 1907년의 헤이그 조약 위반), 포로를 잔혹하게 학대했다. 이탈리아군은 7년 전에 서명했던 제네바 의정서를 무시하고 황화규소 겨자 가스를 사용한 화학전을 벌였다. 이탈리아군은 폭탄에 겨자 가스를 싣거나 비행기에서 살포하고, 가루 형태로 지상에 살포했다. 겨자 가스로 인한 화학 무기 피해자는 15만 명에 달했다. 전쟁 후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병합하여 동아프리카의 다른 이탈리아 식민지와 통합하여 새로운 식민지인 이탈리아 동아프리카를 건설했으며,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아비시니아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는 영국과 프랑스에 선전포고했다. 당시 프랑스는 나치 독일에 정복당하는 과정에 있었고,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식민지 확장을 원했다. 1940년 8월 이탈리아의 영국 소말릴란드 점령은 성공적이었지만, 그 후 전쟁은 이탈리아에게 불리하게 돌아섰다.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영국에서 에티오피아로 돌아와 저항군을 규합했다. 영국은 1941년 1월 에티오피아 독립 투사들의 도움을 받아 침공을 시작했고, 1941년 11월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에서 마지막 조직적인 이탈리아 저항군이 항복함으로써 이탈리아의 지배는 종식되었다.[1]
2. 11. 하일레 셀라시에 1세의 복귀와 근대화 (1941년 ~ 1974년)
1936년부터 1941년까지 이탈리아 왕국의 식민지(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였던 에티오피아는 1941년 영국군의 도움으로 이탈리아군을 몰아내고 독립을 되찾았으며,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복위하였다.[64] 1942년 8월 27일,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제국 전역에서 노예 제도의 법적 근거를 폐지하고 노예 매매에 대해 사형을 포함한 엄중한 처벌을 부과했다.[64]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1931년에 에티오피아 최초의 성문 헌법을 제정하고 부분적인 입헌 군주제를 도입한 바 있다. 1955년에는 은혼식 기념 행사에서 개정 헌법을 발표하여 국민의 정치 참여를 확대하고 현대 교육을 확산시키는 등 근대화 정책을 추진했다.[71]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귀족과 교회의 전통주의자들과의 타협으로 인해 느리게 진행되었으며, 1955년 개정 헌법은 "군주의 불가침의 권력"을 재확인하고 농민의 상대적 무력함을 유지했다는 비판을 받았다.[72]
1952년에는 이탈리아로부터 에리트레아를 돌려받아 연방을 수립하였고,[66] 1962년에는 제국의 구성원으로 흡수하였다.[76] 그러나 에리트레아와의 연방은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긴장을 초래했다.
1960년 12월 13일, 하일레 셀라시에 1세가 브라질을 국빈 방문하는 동안 황실 근위대가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정규군과 경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쿠데타 시도는 학생들과 교육받은 계층의 지지를 받았으며,[73] 에티오피아인들이 "처음으로 국민의 동의 없이 통치할 수 있는 왕의 권력에 의문을 제기한"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진다.[74]
2. 12. 제정의 붕괴와 사회주의 정권 수립 (1974년)
1970년대 초반, 극심한 기근과 경제난으로 국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다. 1974년 9월 12일,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이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제정이 무너지고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는 폐위되었다.[78] 황제는 폐위된 다음 해에 암살당했다.[79]쿠데타 직후, 군 장교들은 무장군, 경찰, 영토군 조정위원회(데르그)를 결성하여 치안을 유지했다. 데르그는 황제를 폐위시키고 샌드허스트 출신의 아만 안돔 중장을 임시 국가 원수로 임명했다. 그러나 아만 안돔 장군은 에리트레아에서의 군사 공세 문제와 데르그 내 급진파와의 갈등으로 1974년 11월 23일 처형되었다.[78]
이후 타파리 벤티 준장이 데르그 의장 겸 국가 원수가 되었다. 1975년 3월, 군주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마르크스-레닌주의가 국가의 새로운 이념으로 선포되었다.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은 1977년 2월 데르그(PMAC) 의장에 취임하였으며, 1987년 국민 투표에서 데르그(PMAC)를 폐지한 후 대통령에 취임하여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3. 역대 황제
에티오피아 황제는 '왕들의 왕'을 의미하는 '네구스 나가스트'로 불렸다. 권력이 약하거나 지역적인 통치자는 '네구스' 또는 '라스'로 불렸다.[82]
역대 황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에티오피아의 군주 또는 에티오피아 국가 원수 목록을 참조.
3. 1. 솔로몬 왕조 (1270년 ~ 1974년)
1270년 자그웨 왕조가 무너지고 솔로몬 왕조의 예쿠노 암라크가 에티오피아 제국의 첫 황제가 되었다.[32] 솔로몬 왕조는 성경에 등장하는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의 아들인 메넬리크 1세를 시조라 하며, 초기 형태의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종교로 가졌다. 예쿠노 암라크는 이웃 이슬람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32][33]16세기에 이슬람 세력과 에티오피아-아달 전쟁을 치르면서 독자성을 지켜냈으나 세력이 약화되었다. 1700년대에는 여러 갈등으로 황제의 권력이 약해지고 100여 년간 지방 호족들의 세력이 난립하였다.
1855년 황제에 오른 테오드로스 2세는 개혁 정책을 폈으나 여러 반대에 부딪혔다. 1868년 영국의 원정 당시 사망한 테오드로스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요하네스 4세 역시 개혁적 통일 정책을 지속하였다. 1874년에는 이집트의 침략을 받았으나 무찔렀다.
1889년 요하네스 4세가 전투 중 전사하자 솔로몬 왕조의 메넬리크 2세가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의 질서를 바로잡았으며, 수도를 아디스 아바바로 옮기고 본격적인 근대화에 착수하였다. 요하네스 4세와 메넬리크 2세 대에 여러 정복 전쟁을 벌이며 오로모족을 비롯한 여러 민족이 살고 있던 남쪽의 넓은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였다. 19세기 말 이탈리아의 침략을 받았으나 1896년 아드와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면서 격퇴하였다.
1930년 즉위한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1931년 에티오피아에 성문 헌법과 부분적인 입헌 군주제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1935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군이 2차 침공을 감행하여 1936년 수도가 점령당하였고 황제는 외국으로 망명하였다. 1941년 에티오피아군은 영국군의 도움으로 이탈리아군을 몰아내어 국토를 수복하였고 황제도 복위하였다. 1952년에는 이탈리아로부터 에리트레아를 돌려받아 연방을 수립하였고, 1962년에는 제국의 구성원으로 흡수하였다.
1974년 9월 12일,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에 의한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 제정은 무너지고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도 폐위되었다. 황제는 폐위된 이듬해에 암살당했으며, 이후 에티오피아는 공화국이 되었다.
재위 기간 | 초명 | 왕명 | 비고 |
---|---|---|---|
솔로몬 왕조 | |||
1889년 3월 10일 - 1913년 12월 12일 | 하일레 마르얌 | 메넬리크 2세 | 쇼아의 마지막 왕이자 에티오피아 근대화의 선구자. 대관식은 1889년 11월 3일에 있었다. |
1913년 12월 12일 - 1916년 9월 27일 | 리즈 키프레 야쿱 | 이야수 5세 | 국민 대다수가 믿는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배교하고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원성을 샀고, 대관식을 치르지 않았다. |
1916년 9월 27일 - 1930년 4월 2일 | 아스카라 마르얌 | 자우디투 | 여제 |
1930년 4월 2일 - 1936년 5월 2일 | 타파리 마코넨 | 하일레 셀라시에 1세 | 대관식은 1930년 11월 2일에 거행되었음. |
사보이아 왕조 | |||
1936년 5월 9일 - 1941년 5월 5일 | 이탈리아 왕국 사보이아 왕가 출신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알바니아와 이탈리아의 국왕도 겸임. |
솔로몬 왕조 | |||
1941년 5월 5일 - 1974년 9월 12일 | 타파리 마코넨 | 하일레 셀라시에 1세 | 1941년 복위. 1974년 멩기스투에 의한 군사 쿠데타로 폐위, 이듬해 암살됨. |
4. 정치
에티오피아 제국은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봉건 국가였다. 토지 소유가 권력의 중요한 기반이었으며, 특히 메넬리크 2세 시대 이후 토지 소유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98]
하일레 셀라시에 1세는 1931년과 1955년에 헌법을 제정하고 의회를 설치하는 등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1956년 헌법 제56조에 따르면, 누구도 상원과 하원 의원을 동시에 겸임할 수 없었다.[101] 의회는 상원(Yeheggue Mewossegna Meker Beth)과 하원(Yeheggue Memeriya Meker Beth)으로 구성되었는데,[99][100] 하원은 4년마다 선출되는 250명의 의원으로, 상원은 하원 의원의 절반인 12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가 6년마다 임명했다.[102]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봉건적인 잔재는 완전히 청산되지 못했다.
5. 군사
암다 세욘 1세(Amda Seyon I) 시대부터 체와(Chewa) 연대가 제국 군대의 핵심을 이루었다. 체와 연대는 게에즈어로 ṣewa(ጼዋ), 암하라어로는 č̣äwa(ጨዋ)라고 불렸으며, 수천 명 규모로 구성되었다.[82] 각 연대는 영지(Gult)를 할당받아 토지 수입으로 유지되었다.[83]
자라 야곱 황제는 1445년 고밋 전투 이후 연대들을 주(州)에 주둔시키기 시작했다.[84]
연대 명칭 | 지역 | 번역 |
---|---|---|
Bäṣär waǧät | 세라에(Serae), 다와로(Dawaro), 멘즈(Menz), 가모 | 와자트(waǧät)의 적 |
Ǧan amora | 도베아(Dobe'a), 체렘트(Tselemt), 게뎀(Gedem) | 폐하의 독수리 |
Ǧan sagana | 다와로(Dawaro), 도베아(Dobe'a), 앙곳(Angot) | |
č̣äwa Bale | 발레(Bali) | |
č̣äwa 마야 | 메드레 바흐르(Medre Bahr) | |
Bäṣur amora | 가모 | 독수리의 창 |
Bäṣär šotäl | 다못 | 적의 창 |
č̣äwa Begemder | 베겜더(Begemder) | |
č̣äwa Ifat | 이파트 |
군대의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았다.
체와 연대 중 하나인 ''Abe Lahm''(게에즈어), ''Weregenu''(오로모어) 연대는 아드와 전투에도 참전했으며, 1920년대에 해체되었다.[86]
근대 군대는 1917년 라스 타파리 마코넨 아래 황실 근위대인 케부르 자바그나(Kebur Zabagna)가 창설되면서 시작되었다.
6. 경제
20세기 초까지 에티오피아의 경제는 봉건 제도의 틀 안에서 수 세기 동안 "원시적인 화폐"와 다양한 종류의 통화를 사용하는 물물교환 시스템으로 이루어졌다.[87][88] 농민들은 생산 활동을 하였고, 그들의 활동은 조세, 마케팅 인프라 및 농업 생산에 고정되었다.[89][90]
1905년 메넬리크 2세는 영국이 점령한 이집트 국립은행으로부터 1904년 12월에 양허를 받은 후 최초의 은행인 아비시니아 은행을 설립하였다. 이 은행은 모든 정부 공공 자금, 대출, 지폐 인쇄, 주화 주조 및 기타 특권을 독점하고 있었다.[91] 이 은행은 하라르, 디레다와, 고레, 뎀비돌로에 지점을, 감벨라에 대리점을, 지부티에 연락 사무소를 확장하였다.[92] 1932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가 보상금을 지불한 후 "에티오피아 은행"으로 개명되었다.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국민경제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산업 및 제조업 확장을 촉진하기 위해 1957년부터 1974년까지 3개의 5개년 계획을 포함하는 개발 계획을 시작하였다.[93][94][95] 1960년부터 1970년까지 에티오피아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GDP에서 연평균 4.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제조업 성장률은 1960/61년 1.9%에서 1973/74년 4.4%로 증가하였고, 도매, 소매, 운송 및 통신 부문은 9.5%에서 15.6%로 증가하였다.[96] 에티오피아는 주로 이집트 왕국, 네덜란드령 동인도, 그리스에 약 80만 부셸의 밀을 수출하였다. 1934년경 에티오피아의 GDP는 13억달러였으나,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에티오피아 역사 초기의 가장 일반적인 통화는 소금 덩어리("아몰레" amolé), 직물 조각 또는 철, 그리고 후기에는 탄약과 같은 필수품들이었다. 19세기에 이르러서야 마리아 테레지아 타러가 대규모 거래의 교환 수단이 되었고, 결국 메넬리크 2세가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현지 통화 주조를 시작했다.[97]
7. 사회
16세기 말 에티오피아는 승려, 데브테라(debtera), 평신도 관리, 고위 관리의 아내와 공주들을 경호하는 무장한 남성들, 영주이자 세습 지주였던 시마글레(shimaglle), 농노, 상인, 장인, 떠돌이 가수, 그리고 체와(chewa)라 불리는 병사 등 다양한 사회 집단으로 구성되었다.[80] 이 중 시마글레, 농노, 체와, 장인, 상인은 명확한 계급을 구성했다. 권력은 황제와 그가 임명한 귀족들에게 집중되었으며, 체와라는 병사 계급이 권력 집행 수단이었다.[81]
참조
[1]
논문
Ethiopian Adventure
[2]
뉴스
Ethiopia Ends 3,000 Year Monarchy
1975-03-22
[3]
뉴스
Ethiopia ends old monarchy
https://news.google.[...]
1975-03-22
[4]
서적
Written Constitutions: A Computerized Comparative Study
Brill
[5]
백과사전
Ethiopia
https://archive.org/[...]
Central Intelligence Agency
[6]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Steiner
[7]
논문
Barara, the Royal City of 15th and Early 16th Century (Ethiopia). Medieval and Other Early Settlements Between Wechecha Range and Mt Yerer
https://www.persee.f[...]
[8]
서적
The Southern Marches of Imperial Ethiopia: Essays in History and Soci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6-09-04
[9]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2008-11-18
[10]
서적
The Ethiopian Royal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Ethiopian Royal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12]
논문
The Zagwe Period and the Zenith of Urban Culture in Ethiopia, Ca. 930–1270 AD
[13]
간행물
Constitution of Ethiopia
1955-11-04
[14]
서적
Around the World of Orthodox Christianity – Five Hundred Million Strong: The Unifying Aesthetic Beauty
Dorrance Publishing
[15]
서적
St George: The patron saint of England
Oldcastle Books
[16]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7]
논문
The Ethiopian Empire: Progress and Problems
https://www.jstor.or[...]
1956
[18]
서적
The Chief Eunuch of the Ottoman Harem: From African Slave to Power-Brok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19]
서적
Barsbay
https://en.sewasew.c[...]
Encyclopedia Aethiopica
[20]
서적
The Nile Histories, Cultures, Myths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21]
서적
Oromo of Ethiopi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Gibe region
https://eprints.soas[...]
University of London
[22]
서적
Islam in Ethiopia
Geoffrey Cumberlege for the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Adal
https://www.britanni[...]
[25]
서적
History
[26]
서적
History
[27]
서적
የደረግ አነሳስና (የኤርትራና ትግራይ እንቆቅልሽ ጦርነት)
Tadese Tele Salvano
2018
[28]
서적
The Ethiopians: A History
Wiley
2001
[29]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Clarendon Press
[30]
서적
Wollo, Yager Dibab
Nigd Matemiya Bet
[31]
서적
The Ethiopians: A History
Wiley
2001
[32]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Hurst & Company
2000
[33]
서적
The Ethiopians: A History
Wiley
2001
[34]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35]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Hurst & Company
2000
[36]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37]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38]
서적
The Cross and the River Ethiopia, Egypt, and the Nile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2002
[39]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Hurst & Company
2000
[40]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Steiner
[41]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Hurst & Company
2000
[42]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https://zelalemkibr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43]
서적
History Of Ethiopia Nubia And Abyssinia
https://archive.org/[...]
Methuen & co.
[44]
서적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Hurst & Company
2000
[45]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1952
[46]
서적
Islam Yesterday and Today translated by Emran Waber
https://drive.google[...]
[47]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1952
[48]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Frank Cass & Company
1952
[49]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https://books.google[...]
OUP USA
2012-02-02
[50]
서적
Islam in Ethiopia
Taylor & Francis
[5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economic history of Ethiopia, from early times to 1800
Lalibela House
[52]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1997
[53]
서적
Ethiopia's Access to the Sea
Brill
[54]
서적
The Ottoman Age of Expl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smara
Red Sea Press, Inc.
[56]
서적
Islamic History and Culture in Southern Ethiopia: Collected Essays
Lit Verlag
[57]
웹사이트
Gonder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2-07-30
[58]
학술지
The Occupation of Harar: January 1887
[59]
서적
Society, State, and History Se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Addis Ababa University Printing Press
2024-03-25
[60]
학술지
Regionalism and Democracy in Ethiopia
[61]
간행물
Ethnic Federalism and its Discontents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9-09-04
[62]
학술지
An Amharic Manuscript on the Mythical History of the Adi kyaz (Dizi, South-West Ethiopia)
http://docdro.id/LTi[...]
1983
[63]
학술지
Great Britain and Ethiopia 1897–1910: Competition for Empire
[64]
서적
Encyclopedia of antislavery and aboli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6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6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67]
서적
Ethiopia: A Country Study
[68]
서적
Apartheid, Militarism, and the U.S. Southeast
[69]
서적
Among the Copts
[70]
서적
50th Anniversary of His Imperial Majesty Haile Selassie I
[71]
웹사이트
Ethiopia Administrative Change and the 1955 Constitution
http://www.country-s[...]
Country-studies.com
2010-09-12
[72]
논문
Ethiopia's Revised Constitution
1956
[73]
서적
A History of Modern Ethiopia
James Currey
2001
[74]
서적
The Paradox of Africa's Poverty: The Role of Indigenous Knowledge
1999
[75]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5th Session
http://www.un.org/do[...]
United Nations
2007-10-16
[76]
간행물
The Origins and Demise of the Ethiopia-Eritrea Federation
1987
[77]
웹사이트
Ethiopia: New African Union Building and Kwame Statue (Video)
http://www.jimmatime[...]
2023-08-12
[78]
뉴스
Ethiopia Executes 60 Former Officials, Including 2 Premiers and Military Chief
https://www.nytimes.[...]
2021-08-08
[79]
논문
The Politics of Linguistic Homogenization in Ethiopia and the Conflict over the Status of "Afaan Oromoo"
1997
[80]
서적
History of the Galla
C.F. Beckingham and G.B.W. Huntingford
1954
[81]
간행물
National Conservation Strategy
http://documents.wor[...]
Transitional government of Ethiopia
1994
[82]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https://books.google[...]
[83]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https://books.google[...]
[84]
논문
Evolution and Organisation of the Ç̌äwa Military Regiments in Medieval Ethiopia
https://www.persee.f[...]
[85]
논문
Evolution and Organisation of the Ç̌äwa Military Regiments in Medieval Ethiopia
https://www.persee.f[...]
[86]
서적
Ethiopian Warriorhood
Boydell & Brewer
[87]
웹사이트
The Rise of Feudalism in Ethiopia
https://ethiopianbus[...]
2022-07-04
[88]
논문
Feudalism in Ethiopia: A Further Comment on Paradigms and Their Use
1979
[89]
논문
Ethiopia: A Survey on the Existence of a Feudal Peasantry
1974
[90]
논문
Peasants and Feudalism in Africa: The Case of Ethiopia
1974
[91]
논문
The Politics of Banking: The Bank of Abyssinia, 1905–1931
1992
[92]
웹사이트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Banking Services in Ethiopia
https://web.archive.[...]
2022-07-06
[93]
웹사이트
Haile Selassie I University – Five Year Plan 1967–1971
https://thedocs.worl[...]
2022-07-04
[94]
웹사이트
An Overview of Ethiopia's Planning Experience
https://eea-et.org/s[...]
2022-07-04
[95]
웹사이트
Development plans – Ethiopia
https://www.ascleide[...]
2012-08-07
[96]
웹사이트
Industry and Industrialization in Ethiopia: Policy Dynamics and Spatial Distributions
https://core.ac.uk/d[...]
2022-07-04
[97]
논문
Harari Coins: A Preliminary Survey
https://www.jstor.or[...]
1991
[98]
웹사이트
The Rise of Feudalism in Ethiopia
https://ethiopianbus[...]
2022-09-17
[99]
논문
The Ethiopian Empire: Progress and Problems
1956
[100]
웹사이트
1931 Constitution of Ethiopia
https://chilot.files[...]
2022-09-17
[101]
웹사이트
Revised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Ethiopia
https://web.archive.[...]
2022-09-22
[102]
웹사이트
ETHIOPIA
http://archive.ipu.o[...]
2022-09-22
[103]
서적
The Ethiopian Royal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104]
성경
시편 6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