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신재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나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중퇴했다. 1959년 소설 「여정」을 시작으로, 「청춘의 불문율」, 「임진강의 민들레」, 「이 찬란한 슬픔을」, 「유리의 덫」, 「젊은 느티나무」, 「천추태후」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1959년 한국문인협회상, 1967년 여류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천 강씨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신천 강씨 - 강풀
강풀은 2002년 웹툰 작가로 데뷔하여 《순정만화》, 《아파트》, 《타이밍》, 《무빙》, 《26년》 등의 대표작을 통해 '강풀 유니버스'라는 공유 세계관을 구축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다양한 영상 매체로 제작되었고, 드라마 《무빙》의 각본을 쓰기도 했으며, 그의 작품을 주제로 한 '강풀 만화거리'도 조성되었다. - 경기여자고등학교 동문 - 이경숙 (1943년)
이경숙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과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숙명여대 교수, 학장, 기획처장 및 제1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교육 및 사회 분야에서 활동했다. - 경기여자고등학교 동문 - 강금실
강금실은 1981년 사법시험 합격 후 판사, 인권 변호사, 대한민국 최초 여성 법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후보, 법무법인 대표변호사, 사단법인 이사장, 경기도 기후대사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 20세기 수필가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20세기 수필가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강신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강신재 |
| 원어 이름 | 강신재 |
| 그림 | 강신재 작가.jpg |
| 출생일 | 1924년 5월 8일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
| 사망일 | 2001년 5월 12일 |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직업 | 소설가, 수필가 |
| 국적 | 대한민국 |
| 활동 기간 | 1949년~2001년 |
| 장르 | 소설, 수필 |
| 소속 | |
| 소속 | 한국소설가협회 대표위원 |
| 학력 | |
| 학력 |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중퇴 |
| 가족 | |
| 배우자 | 알려진 정보 없음 |
| 자녀 | 알려진 정보 없음 |
| 친척 | 알려진 정보 없음 |
| 작품 활동 | |
| 주요 작품 | 《임진강의 민들레》 《파도》 《오늘과 내일》 《젊은 느티나무》 |
| 영향 받은 인물 | 알려진 정보 없음 |
| 영향 준 인물 | 박경리의 도움으로 데뷔 |
| 수상 | |
| 수상 내역 | 1959년 한국문인협회상 1967년 제3회 여성문학상 |
2. 학력
| 학교명 | 비고 |
|---|---|
| 함경북도 청진시 천마보통학교 | 수료 |
| 경성 덕수보통학교 | 졸업 |
|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졸업 |
| 이화여자전문학교 | 중퇴 |
강신재는 여러 장르의 소설을 썼으며, 특히 천추태후, 사도세자빈, 신사임당, 명성황후와 같은 역사 소설에서 뛰어난 작품을 많이 남겼다.[5]
3. 작품 활동
3. 1. 주요 작품
|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 1959년 | 「여정」 | 중앙문화사 |
| 1960년 | 「청춘의 불문율」 | 여원사 |
| 1962년 | 「임진강의 민들레」 | 을유문화사 |
| 1964년 | 「이 찬란한 슬픔을」 | 신태양사 |
| 1965년 | 「그대의 찬손」 | 신태양사 |
| 1966년 | 「오늘과 내일」 | 을유문화사 |
| 1966년 | 「사랑의 아픔과 진실」 | 중앙문화사 |
| 1967년 | 「신설」 | 대문출판사 |
| 1969년 | 「숲에는 그대 향기」 | 대문출판사 |
| 1970년 | 「유리의 덫」 | 삼성출판사 |
| 1972년 | 「젊은 느티나무」 | 대문출판사 |
| 1972년 | 「파도」 | 대문출판사 |
| 1974년 | 강신재대표작전집 8권 | 삼익출판사 |
| 1974년 | 「모래성」 | 서문당 |
| 1975년 | 「레이디 서울」 | 선일문화사 |
| 1976년 | 「서울의 지붕밑」 | 문리사 |
| 1976년 | 「황량한 날의 동화」 | 삼중당 |
| 1976년 | 「거리에서 내마음에서」 | 평민사 |
| 1977년 | 「그래도 할말이」 | 서음출판사 |
| 1977년 | 「마음은 집시」 | 태창문화사 |
| 1977년 | 「밤의 무지개」 | 청조사 |
| 1978년 | 「천추태후」 | 동화출판사 |
| 1978년 | 「불타는 구름」 2권 | 지소림 |
| 1978년 | 「우연의 자리」 | 명서원 |
| 1979년 | 「모험의 집」 | 범조사 |
| 1981년 | 「사도세자빈」 3권 | 행림출판사 |
| 1986년 | 「사랑의 묘약」 2권 | 중앙일보사 |
| 1986년 | 「무엇이 사랑의 불을 지피는가」 | 나무사 |
| 1987년 | 「신사임당, 문정왕후 아수라」 | 한벗 |
| 1989년 | 「간신의 처」 | 문학세계사 |
| 1991년 | 「명성황후」 3권 | 세명서관 |
| 1994년 | 「광해의 날들」 | 창공사 |
4. 수상
- 1959년 한국문인협회상 수상[1]
- 1967년 여류문학상 수상[2]
참조
[1]
Naver
Kang Shin-Jae 젊은 느티나무
http://navercast.nav[...]
[2]
간행물
젊은느티나무
http://munjang.or.kr[...]
Art Council Korea
[3]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https://web.archive.[...]
2018-05-16
[4]
웹인용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s://web.archive.[...]
2018-05-16
[5]
뉴스
소설가 강신재(이세기의 인물탐구:67)
http://www.seoul.co.[...]
1995-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