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재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재구는 육군 장교로, 1965년 베트남 전쟁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사고로 부하들을 구하고 순직했다.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수도사단 등에서 복무했으며, 중대장으로 베트남 파병을 앞두고 훈련 중 수류탄 사고가 발생하자 자신의 몸으로 덮쳐 희생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소령으로 추서하고 태극무공훈장을 수여했으며, 육군사관학교에 동상과 기념관을 건립하여 그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있다. 강재구의 살신성인은 군인 정신과 부하 사랑의 표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2005년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직한 군인 - 이원등
    이원등은 1966년 고공강하 훈련 중 동료를 구하려다 순직한 육군 상사로,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려 1계급 특진과 동상 건립, 명예 졸업장 수여, 국립서울현충원 안장 등의 예우를 받았으며 대한민국 군인정신의 귀감으로 여겨진다.
  • 순직한 군인 - 한주호
    한주호 준위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전단에서 특수전 요원 양성 및 장비 개선에 기여하고 청해부대 1진으로 해적 퇴치 활동에 참여했으며, 천안함 침몰 사건 구조 임무 중 순직하여 충무무공훈장이 추서되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수류탄에 죽은 사람 - 우범곤
    1982년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동거녀와의 다툼 후 격분한 경찰관 우범곤이 총기를 탈취하여 62명을 살해하고 33명에게 중경상을 입힌 사건으로, 경찰의 초동 대처 미흡과 경찰관의 범행이라는 점에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어 내무부 장관 사임과 경찰 관련 규정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수류탄에 죽은 사람 - 헤닝 폰 트레슈코프
    헤닝 폰 트레슈코프는 1901년 독일에서 태어난 프로이센 귀족 출신 군인으로, 히틀러 암살을 여러 차례 시도하다가 1944년 자결했다.
  • 인천중학교 동문 - 박한철
    박한철은 검사, 변호사, 헌법재판소 재판관 및 소장을 역임했으며, 검찰 출신 최초로 헌법재판소장이 되었다.
  • 인천중학교 동문 - 강우혁 (정치인)
    강우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전직 공무원으로, 고등고시 합격 후 안성군수, 강화군수, 충청북도지사,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고 제13대, 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인천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한 경력이 있다.
강재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육군 소령 강재구 선생
이름강재구
한자 표기강재구(姜在求)
로마자 표기Gang Jae-gu
출생지일제강점기 경기도 인천부 금곡정 (1995년 1월 1일 이후 지금의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동)
사망지대한민국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 (2023년 6월 11일 이후 지금의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
본관진주
종교개신교
출생일1937년 7월 26일
사망일1965년 10월 4일
배우자온영순
자녀강병훈(아들)
군 복무
복무대한민국 육군
국적대한민국
복무 기간1960년 3월 ~ 1965년 10월 4일
최종 계급대한민국 육군 대위(소령 추증)
근무육군 수도사단
지휘육군 수도사단 제1연대 제3대대 제10중대 중대장
주요 참전 전투/전쟁월남전 파월 준비 파병 훈련
훈장
서훈 내역4등 근무공로훈장(사후 1965년 10월 8일 추서)
기타 정보
기타 이력생전의 살신성인 임전무퇴 정신이 깃든 호국 사회 공헌으로 인해 사후 "재구상"이 건립 및 제정 조처되었으며, 생전에 복무한 "육군 수도사단 제1연대 제3대대"는 "재구대대"라 명명됨.
웹사이트두피디아 강재구
추가 정보
소속대한민국 육군
모교육군사관학교
수상태극무공훈장
복무 기간1960-1965
최종 계급Major(소령)
지휘수도기계화보병사단 1연대 10중대 10 lieutenant
사망 장소Seongdong-ri, Bukbang-myeon Hongcheon-gun Gangwon Province Korea

2. 생애

강재구는 1960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수도사단 제1연대 소대장, 육군보병학교 초군반 과정 수료, 육군 제1군 사령부 야전 하사관학교 수류탄 교관 등을 역임했다. 1962년 중위로 진급한 후, 수도사단 제1연대 소대장으로 복귀했다. 1964년 대위 진급과 동시에 중대장이 되었고, 1965년 8월 베트남 전쟁 파병 결정에 따라 맹호부대 제1연대 제3대대 10중대장으로 전보 발령되었다.[2]

강재구의 전기


1965년 10월 4일, 베트남 전쟁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투척 훈련을 하던 중, 한 병사가 안전핀을 뽑은 수류탄을 실수로 떨어뜨렸다. 강재구는 이를 보고 즉시 몸을 덮쳐 수류탄을 막아내고 부하들을 구한 뒤 산화했다.[8][9][10]

2. 1. 군 복무

1960년 육군사관학교(16기)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수도사단 제1연대 소대장, 육군보병학교 초군반 과정 수료, 육군 제1군 사령부 야전 하사관학교 수류탄 교관 등을 역임했다. 1962년 중위로 진급한 후, 수도사단 제1연대 소대장으로 복귀했다. 1964년 대위 진급과 동시에 중대장으로 보임되었다. 1965년 8월, 베트남 전쟁 파병 결정에 따라 맹호부대 제1연대 제3대대 10중대장으로 전보 발령되었다.[2]

2. 2. 수류탄 사고와 죽음

1965년 10월 4일, 강재구 중대는 베트남 전쟁 파병을 앞두고 수류탄 투척 훈련을 실시하고 있었다.[8][9][10]

이때 박해천 이등병이 수류탄 투척을 위해 안전핀을 뽑고 손을 뒤로 젖힌 순간, 너무 긴장한 나머지 수류탄을 손에서 놓쳐버리는 사고가 발생했다.[8][9][10]

수류탄은 중대원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떨어졌고, 당시 병사의 바로 뒤에서 훈련을 감독하던 강재구 대위는 순간 위기를 직감하고 땅에 떨어진 수류탄 위로 몸을 덮쳐 수많은 부하의 생명을 구하고 산화했다.[8][9][10]

고인의 살신성인으로 주위에 있던 5명만이 부상을 입었을 뿐 나머지 부하들은 모두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8][9][10]

3. 사후

1965년 10월 8일, 순직 나흘 후 육군장으로 추도식이 거행되었고, 육군참모총장 김용배 장군에 의해 소령으로 추서되었다.[8][9][10] 1966년 2월 23일, 육군사관학교 교내에 강재구 소령 동상이 건립되었고,[8][9][10] 5월 12일에는 태극무공훈장이 추서되었다.[8][9][10] 5월 27일에는 재구상(賞)이 제정되었다.[8][9][10]

3. 1. 추서 및 훈장

1965년 10월 8일, 순직 나흘 후 육군장으로 추도식이 거행되었고, 육군참모총장 김용배 장군에 의해 소령으로 추서되었다.[8][9][10] 1966년 5월 12일, 살신성인의 공로를 인정받아 태극무공훈장이 추서되었다.[8][9][10]

태극무공훈장
(1966년 5월 12일 강재구 육군 소령에게 추서)

3. 2. 재구상 및 기념 사업

1966년 2월 23일, 육군사관학교 교내에 강재구 소령 동상이 건립되었다.[8][9][10] 육군은 그의 희생정신을 기려 1966년 5월 27일 '재구상(賞)'을 제정하여 매년 육군의 우수 중대장을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8][9][10] 강재구 소령이 속했던 맹호부대 제1연대 3대대는 '재구대대'로 명명되었다.[8][9][10]

서울고등학교(모교)에는 기념비가 건립되었고,[8][9][10] 육군사관학교에서는 1966년부터 그의 군인정신을 기념하는 재구의식을 거행하고 있으며, 화랑의식 후 생도들이 재구상 앞을 행진할 때 예를 갖춰 그의 살신성인과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8][9][10]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산화 장소)에는 '강재구기념관'과 강재구 공원, 추모비가 건립되어 그의 살신성인 정신을 기리고 있다.[8][9][10]

3. 3. 재구 의식 및 재구가

육군사관학교에서는 1966년부터 매년 '재구 의식'을 거행하여 강재구 소령의 군인 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8][9][10]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은 화랑의식 후 재구상 앞을 행진하며 그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한다.

육군사관학교에서는 생도 시절 2중대였던 강재구 소령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2중대가를 '재구가'로 만들어 부르고 있다. '재구가'는 '타오르는 횃불'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11]

'재구가'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해달같이 눈부신 기백과 정열

끝없이 타오르는 횃불을 보라

동지들을 구하려고 제몸 던졌네

저님은 살아있는 의기의 상징

내 나라 내 겨레 위해서라면

재구처럼 이 목숨 아끼잖으리

'''2절'''

장미같이 향기론 피를 품어서

거룩한 불사신의 이름 새겼네

지축을 흔드는 정의의 외침

너와 나 가슴마다 메아리친다

내 나라 내 겨레 위해서라면

재구처럼 이 목숨 아끼잖으리[5]

4. 평가 및 영향

강재구 소령의 살신성인은 파월장병뿐 아니라 전 군에 귀감이 되었고, 온 국민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8][9][10] 투철한 군인정신과 뜨거운 부하사랑은 특히 군인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그의 희생은 진정한 군인 정신과 부하 사랑의 표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육군장으로 추도식을 거행하고 소령으로 1계급 특진과 4등 근무공로훈장을 추서하였으나, 강재구 소령의 군인정신을 찬양하여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강 소령이 속했던 맹호부대 제1연대 3대대는 ‘재구대대(在求大隊)’로 명명되었으며, 육군은 그의 투철한 군인정신과 부하사랑의 숭고한 넋을 기리기 위해 1966년 ‘재구상(賞)’을 제정해 매년 육군 중대장 가운데 모범중대장을 선발해 시상하고 있다.

서울고교에는 기념비, 육군사관학교에는 강재구 소령 동상이 있으며, 고인이 산화한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 강재구기념관에는 강재구 공원과 추모비가 세워져 고인의 살신성인 정신을 기리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에서는 1966년부터 그의 진정한 군인정신을 기념하는 재구의식을 거행하고 있으며, 화랑의식 후 생도들이 재구상 앞을 행진할 때 예의를 갖춰 그의 살신성인과 고귀한 희생정신을 되새기고 있다.

2005년 3월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8][9][10]

참조

[1] 웹사이트 강재구(姜在求, 1937~1965) http://enews.incheon[...] 2021-04-12
[2] 문서 육군사관학교 교훈탑 1층 육군사관학교 기념관
[3] 웹사이트 메인 {{!}} 전쟁기념관 https://www.warmemo.[...] 2021-04-12
[4] 문서 The Statue of Major Jae-gu Kang
[5] 간행물 화랑기초훈련 길라잡이 육군사관학교 2019
[6] 웹인용 강재구(姜在求, 1937~1965) http://enews.incheon[...] 2017-04-01
[7] 뉴스 '강재구 소령'을 잊지 말자 http://www.pckworld.[...] 한국기독공보
[8] 문서 육군사관학교 교훈탑 1층 육군사관학교 기념관
[9] 웹인용 전쟁기념관 https://www.warmemo.[...]
[10]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11] 간행물 화랑기초훈련 길라잡이 육군사관학교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