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카르 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카르 푼섬은 부탄과 티베트 국경에 위치한 미등반 봉우리로, 1922년 처음 높이가 측정되었으나 정확한 지도 부족으로 위치와 높이에 대한 혼선이 있었다. 1994년 이후 부탄 정부의 등산 금지 조치로 인해 미등반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1998년 일본 등반대가 등반 허가를 받았으나 취소된 바 있다. 1999년에는 강카르 푼섬의 부속 봉우리인 리안캉 캉리를 티베트에서 등반하는 데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중국 국경 - 도클람
    도클람은 부탄, 중국, 인도의 국경 지대로, 중국과 부탄 사이에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2017년 중국의 도로 건설로 인해 인도와 군사적 대치 상황이 발생했으나 상호 철수에 합의하며 종식되었다.
  • 산난시 - 얌드록초호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 있는 얌드록초호는 넓은 면적과 불규칙한 호숫가 지형을 지닌 티베트 불교의 성지이자 관광 명소이며, 주변 지역의 목축업과 어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환경 보존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강카르 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강카르 푼섬
다른 이름[[File:Gangkhar Puensum-dz.svg|200px]]
본토 이름 (로마자 표기)Kangkar Punsum
봉우리 순위40위
돌출봉 순위92위
최고점국가 최고점
울트라울트라
지리
위치부탄중국 국경
산맥히말라야 산맥
좌표28°02′54″N 90°27′15″E
부탄 지도상의 강카르 푼섬 위치 (티베트 국경)
등반
첫 등반미등반
가장 쉬운 경로알 수 없음
크기
높이 (미터)7571
높이 (피트)24839
돌출 높이 (미터)2995
돌출 높이 (피트)9826
기타
강카르 푼섬 정상
강카르 푼섬 정상

2. 역사

강카르 푼섬의 높이는 1922년에 처음 측정되었으나, 오랫동안 이 지역의 지리 정보가 부정확하여 초기 등반 시도에 어려움이 많았다. 부정확한 지도로 인해 첫 등반대는 산의 위치조차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야 영국 탐험대 등에 의해 산의 높이와 위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강카르 푼섬은 부탄 영토 내에, 인접한 쿨라 캉리는 티베트 영토 내에 있다는 기록이 나왔다. 그러나 여전히 지도에 따라 산의 위치나 국경 표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등 혼선은 계속되었다.

1994년, 부탄 정부는 지역 주민들의 전통적인 믿음과 신성한 자연환경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6000m 이상의 고산 등반을 금지하는 정책을 발표했다.[2] 이후 2003년에는 모든 종류의 등산 활동이 전면 금지되면서[3] 강카르 푼섬은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미등정 봉우리로 남아 있다.

등반 금지 조치 직전인 1998년, 일본의 한 등반대가 중국 측을 통해 등반 허가를 받았으나 부탄과의 정치적 문제로 취소되는 일이 있었다.[4] 이들은 대신 1999년 티베트를 통해 접근하여 강카르 푼섬의 위성봉인 리안캉 캉리 등정에 성공했다.[5][6] 이 과정에서 일본 등반대는 강카르 푼섬 정상(7570m)이 부탄-중국 국경에 걸쳐 있다는 보고를 남기기도 했다.

2. 1. 초기 측정 및 등반 시도

강카르 푼섬의 높이는 1922년 처음 측정되었으나, 오랫동안 이 지역의 정확한 지도가 부족하여 지도마다 산의 위치와 높이가 다르게 표시되었다. 이러한 부정확한 지도 때문에 첫 번째 등반대는 산을 찾는 데 실패하기도 했다.

1986년 영국 탐험대는 강카르 푼섬의 높이를 7550m로 측정했으며, 산 전체가 부탄 국경 내에 위치한다고 기록했다. 반면, 인근의 쿨라 캉리( 7554m)는 티베트 국경 안쪽에 있다고 보았다. 쿨라 캉리는 강카르 푼섬에서 북동쪽으로 약 30km 떨어져 있는 별개의 산으로, 지도에 따라 티베트 또는 부탄의 산으로 다르게 표시되기도 한다.

1998년, 일본의 한 등반대가 중국 측으로부터 등반 허가를 얻었으나, 부탄과의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허가가 취소되었다. 대신 이 등반대는 1999년 티베트에서 출발하여 강카르 푼섬의 북쪽에 위치한 위성봉인 리안캉 캉리(Liankang Kangri, 7534m) 등반에 성공했다. 이 봉우리는 강카르 푼섬 북봉으로도 불린다.[5][6] 일본 등반대의 보고서는 다른 지도와 달리 리안캉 캉리가 티베트 영토 내에 있으며, 부탄-중국 국경은 강카르 푼섬의 정상(7570m)을 가로지른다고 기술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강카르 푼섬 정상이 부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 된다.

고푸 라(Gophu La) 고개에서 본 산

2. 2. 등반 금지

1994년 이후, 부탄 정부는 지역 주민들의 토착 신앙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6000m 이상의 고산 등반을 금지했다.[2] 이어서 2003년에는 모든 종류의 등산 활동이 전면 금지되었다.[3] 이러한 조치로 인해 강카르 푼섬의 미등정 기록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강카르 푼섬보다 높은 미등반 봉우리는 없으며, 존재하는 다른 미등반 봉우리들은 독립된 산이 아닌, 다른 높은 산에 부속된 봉우리들이다.

1998년, 한 일본 등반대가 중국 등산 협회로부터 등반 허가를 받았으나, 부탄과의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허가가 철회되었다.[4] 대신 이 등반대는 1999년 티베트를 통해 출발하여, 강카르 푼섬의 북쪽에 위치한 부속 봉우리인 리안캉 캉리(해발 7535m)를 등반하는 데 성공했다.[5][6] 등반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리안캉 캉리는 티베트 영토 안에 있으며, 부탄-중국 국경은 "부탄에서 가장 높은 최고 봉"인 강카르 푼섬의 정상(해발 7570m)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 3. 일본 등반대의 리안캉 캉리 등정

1998년, 일본의 한 등반대가 중국 측으로부터 등반 허가를 받았으나, 부탄과의 정치적 문제로 인해 허가가 취소되었다.[4] 대신 1999년, 이 등반대는 티베트에서 출발하여 강카르 푼섬의 부속 봉우리(독립된 산이 아님)인 리안캉 캉리(강카르 푼섬 북봉이라고도 불림, 7535m) 등정에 성공했다. 이 봉우리는 주 봉우리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2km 길이의 능선으로 분리되어 있다.[5][6]

다른 지도들의 표기와는 다르게, 이 일본 등반대의 보고서에는 리안캉 캉리가 티베트 내부에 위치한 봉우리이며, 부탄-중국 국경은 강카르 푼섬의 정상(7570m, "부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을 가로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지도 정보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내용이다.

3. 지리적 위치 및 논쟁

강카르 푼섬의 높이는 1922년 처음 측정되었으나, 이 지역의 지도가 오랫동안 부정확하여 지도마다 위치와 높이가 다르게 표기되었다. 이러한 부정확한 지도 때문에 첫 번째 등반대는 산을 찾는 데 실패하기도 했다.

1986년 영국 탐험대의 기록에 따르면 산의 높이는 7550m(약 7549.90m)이며 부탄 국경 안쪽에 위치하고, 인접한 쿨라 캉리(높이 7554m)는 티베트 국경 안쪽에 있다고 명시했다. 쿨라 캉리는 강카르 푼섬에서 북동쪽으로 약 30km 떨어진 산으로, 지도에 따라 티베트 또는 부탄의 산으로 다르게 표시되어 왔다.

1998년 일본 등반대가 중국 측으로부터 등반 허가를 받았으나, 부탄과의 정치적 문제로 인해 허가가 취소되었다.[4] 대신 1999년, 등반대는 티베트에서 출발하여 강카르 푼섬의 북봉으로도 알려진 리안캉 캉리(Liankang Kangri, 높이 7535m) 등반에 성공했다. 리안캉 캉리는 주 봉우리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2km 길이의 능선으로 분리되어 있다.[5][6]

많은 기존 지도와 달리, 이 일본 등반대의 보고서에는 리안캉 캉리가 티베트 영토 내에 있으며, 부탄-중국 국경은 강카르 푼섬의 정상(해발 7570m, "부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을 가로지른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는 강카르 푼섬의 정확한 위치와 국경선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Bhutan https://books.google[...] Cavendish Square Publishing
[2] 서적 Asian Sacred Natural Sites: Philosophy and practice in protected areas and conservation Routledge
[3] 서적 A Short History of Asia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4] 웹사이트 The mountains we have never climbed https://www.bbc.com/[...] 2024-02-25
[5] 웹사이트 Liangkang Kangri, China/Bhutan https://www.peakbagg[...] Peakbagger.com 2024-10-30
[6] 간행물 Climbs and Expeditions https://books.google[...]
[7] 문서 Detailed discussion of location and heights of Gangkhar Puensum and 쿨라 캉리 http://www.viewfinde[...]
[8] 서적 Asian Sacred Natural Sites: Philosophy and practice in protected areas and conservation Routledge
[9] 서적 A Short History of Asia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