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베트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티베트 고원에 위치한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토번 왕조, 몽골 원나라, 청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한 후 독립을 선언했으나, 1950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병합되어 현재는 티베트 자치구로 중국의 지배를 받고 있다. 티베트 불교가 주요 종교이며, 독특한 문화와 예술,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다. 중국 정부의 티베트 지배와 관련하여 티베트 문제, 인권 침해, 핵폐기물 처리 시설 및 핵미사일 발사 기지 문제 등 다양한 국제적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 티베트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 내륙아시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내륙아시아 -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광대한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하천,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러시아인과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다. - 중앙아시아 -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공화국은 중앙아시아 내륙국으로 톈산 산맥 중심의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여러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키르기스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유목민 전통의 문화를 지녔으나, 소련 붕괴 후 독립했음에도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국경 분쟁, 권위주의적 성향 강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중앙아시아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티베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티베트 |
현지 이름 | བོད་ (뵈) |
한자 표기 | 西藏 (시짱) |
로마자 표기 | Xīzàng (시짱) |
영역 유형 | 지역 |
면적 | 2,500,000 km² |
평균 고도 | 4,380 m |
최고점 | 에베레스트 산 (8,848 m) |
위치 | |
소속 국가 | 부탄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
인구 통계 | |
민족 구성 | 티베트인 몬파족 로바족 리수족 몽골인 한족 |
사용 언어 | 티베트어군 종카어 부티아어 리수어 몽골어 표준중국어 |
주요 도시 | |
주요 도시 | 라싸 창두 시가체 캉딩 팀부 |
기타 정보 | |
중국어 약칭 | 藏区 (장취) |
티베트어 표기 | བོད་ལྗོངས (뵈죙) |
티베트어 발음 | [pʰø̀ʔ] |
관련 구역 | 티베트 자치구, 티베트 문화권 |
기타 언어 표기 | 산스크리트어: Bhota (보타) 몽골어: ᠲᠥᠪᠡᠳ (Töbed) |
위구르어 표기 | (Tubet) |
2. 역사
티베트는 중국과 인도 사이에 위치하지만, 히말라야산맥과 티베트고원에 둘러싸여 오랫동안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히말라야산맥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평균 고도가 4900m를 넘어 '세계의 지붕'이라 불린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외부 세계와의 교류가 제한되었고, 외교적으로도 고립된 상태를 유지해왔다.[193] 티베트의 역사는 신화 시대부터 시작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고, 이후 몽골, 청나라, 그리고 현대 중국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를 겪어왔다.
2. 1. 신화
티베트 신화는 진화론적 관점과 과거 티베트 지역의 상당 부분이 바다였다는 인식을 담고 있는 듯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신화에 따르면, 아주 먼 옛날 설역 고원은 바다였으나 거품이 쌓여 육지가 형성되었다. 시간이 흘러 남해 보따낙가산의 관음보살이 변종 원숭이를 발견하고 티베트 땅으로 보냈다. 이 원숭이는 불도를 지키며 얄룽 계곡의 한 동굴에 살았다. 이후 이 원숭이는 나찰녀와 만나 여섯 자식을 낳았다. 이들의 후손은 점차 털이 줄고 꼬리가 짧아지면서 서서 걷게 되었고, 마침내 사람이 되었다고 전해진다.[194]
2. 2. 선사 시대
최소 2만 1천 년 전부터 티베트고원에 인류가 거주했다는 증거가 있다.[25][195] 기원전 3000년경 중국 북부에서 온 신석기 시대 이주민들이 유입되면서 기존 인구가 상당 부분 대체되었지만, 구석기 시대 거주민과 현대 티베트인 사이에는 부분적인 유전적 연속성이 남아 있다.[25]철기 시대에는 티베트고원에서 구릉지 마을과 매장지가 발굴되었는데, 이는 티베트 고대 문헌에 따라 象雄|샹슝bo(Zhang Zhung) 문화로 명명되었다.[26] 가장 오래된 티베트 역사 기록들은 이 샹슝 문화를 현재 티베트 서부의 구게 지역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의 문화로 설명한다.[26] 샹슝은 티베트 고유의 종교인 본교의 발상지로 여겨진다.[27]
기원전 1세기경, 인근의 얄룽 계곡에 왕국이 나타났다.[28] 얄룽 왕 드리굼 첸포는 샹슝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본교 사제들을 얄룽에서 추방하려 했으나 암살당했다.[28] 이후 샹슝은 7세기 송첸 감포에 의해 티베트 제국에 병합될 때까지 그 지역에서 영향력을 유지했다. 송첸 감포 이전의 티베트 왕들은 신화적인 측면이 강하며, 그들의 역사적 실재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29]
2. 3. 티베트 왕조 (토번)
티베트 지역에는 오래전부터 국가가 존재해왔다. 한자로 기록된 역사에 따르면 7세기 초 남리루쩬(囊日論贊) 왕이 중국에 사신을 보낸 기록이 확인된다. 중국 사서인 「신당서」에는 4세기경 첸뽀(贊普, 토번 왕을 이르는 칭호) 라토토리넨쩬(拉托托日年贊)이 '줘떠투두'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198] 기원전 2세기경 티베트에 여러 국가가 등장했으나, 티베트 최초의 통일 국가는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왕국을 세운 송첸캄포(松贊干布, 581~649년)로부터 시작된다. 구당서에 따르면 송첸캄포와 토번 제국은 선비족 탁발씨의 후예라고 한다. 송첸캄포는 633년 수도를 라싸로 정하고 티베트 왕조(토번 제국)를 열었다. 그는 네팔의 공주 브리쿠티 데비와 혼인했으며, 당 태종의 조카딸인 문성공주(文成公主, 625~680)를 아내로 맞이했다.[30] 전통적으로 브리쿠티 공주는 티베트에 불교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송첸캄포 이후 몇몇 왕들을 거치며 불교는 티베트의 국교로 자리 잡았다. 티베트의 세력은 빠르게 확장되어 강력한 제국을 건설했으며, 그 영향력은 중앙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으로 뻗어나갔다. 티베트 군대는 663년부터 672년 사이에 동북방의 칭하이와 간쑤 지방의 토욕혼 왕국을 점령했다. 670년부터 692년까지는 당나라와 대비천 전투(669년) 및 승풍령 전투(678년) 등에서 승리하며 타림 분지와 인접한 신장 지역, 카슈가르시를 점령하고 쓰촨 지방까지 진출했다. 특히 가르친링의 지휘 아래 당나라 군대를 소라한산에서 격파하며 당나라 서쪽 지역을 장악했다.

티베트는 아랍, 튀르크, 위구르 등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747년, 당나라 장수 고선지는 중앙아시아와 카슈미르 사이의 교류를 재개하기 위해 티베트를 공격하여 일시적으로 티베트의 지배력을 약화시켰다. 750년경 티베트는 중앙아시아 영토 대부분을 당나라에 빼앗겼다. 그러나 고선지가 751년 탈라스 전투에서 아바스 왕조와 카를루크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이후 당나라에서 안사의 난(755년)이라는 내전이 발생하면서 중국의 영향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이를 틈타 티베트는 다시 세력을 확장했다.

763년, 당시 첸뽀였던 트리송데첸(赤松德贊)은 당나라의 혼란을 이용해 다짜뤼공(達札樂宮)을 동정원수로 삼아 20만 대군을 이끌고 당나라의 수도 장안(현재의 시안)을 점령했다.[31] 티베트 군대는 장안에 15일간 머물며 도시를 장악했으나, 이후 당나라와 동맹인 위구르 카간국에 의해 물러났다.[199][200][201] 티베트는 북부 인도의 상당 부분도 점령했다. 또한 남조국(현재의 윈난성 및 인근 지역)은 750년부터 794년까지 티베트의 지배를 받았으나, 이후 티베트를 배신하고 당나라와 협력하여 티베트에 심각한 패배를 안기기도 했다.[32]

780년대에서 79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한 티베트 제국은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미얀마, 중국, 인도, 네팔,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
821년 또는 822년, 티베트와 당나라는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양국의 국경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이 조약문은 티베트어와 한자로 기록되어 라싸의 조캉 사원 앞에 세워진 돌기둥에 새겨져 있다.[202][33] 티베트는 9세기 중반까지 중앙아시아에서 강력한 제국을 유지했으나,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전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이후 티베트는 중앙 집권적인 권력 없이 지역 군벌과 부족들이 각자 지배하는 ''분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1206년에는 벵골에서 온 이슬람 침략이 있었다.
이 시기의 티베트 왕조는 중국 측 기록에서 주로 토번(吐蕃)으로 불렸다. 7세기 중반 티베트 고대 왕조가 지역을 통합했을 때, 당시 중국(수나라, 당나라)에서는 이 나라를 "번(蕃)", "토번(吐蕃)", "대번(大蕃)" 등으로 칭했다. 이 왕조는 842년에 멸망했지만, 이후에도 중국에서는 청나라 강희 연간(1720년대) 무렵까지 티베트 지역 전체나 그 지역을 지배하는 세력을 '토번'이라고 불렀다.[131] '토번'이라는 명칭은 티베트 주변 민족들이 사용하던 "tubat"(몽골어, 만주어)이나 "tbt"(아랍어) 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티베트인들은 스스로를 "보(Bod)"(티베트어)라고 부른다.
2. 4. 몽골과 청나라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티베트는 몽골 제국의 일부였던 원나라의 간접적인 지배를 받았다. 몽골은 선정원(宣政院)이라는 기관을 통해 티베트를 관리했으며, 이 기관은 티베트 불교와 관련된 사무를 담당했다. 선정원은 티베트의 행정관인 ''dpon-chen''(대행정관)을 선출하는 역할을 했는데, 대행정관은 주로 라마 중에서 임명되고 베이징의 몽골 황제가 최종 승인했다.[34] 사캬파 라마들은 지역 정치에서 어느 정도 자치권을 유지했지만, 실제 행정과 군사 권력은 ''dpon-chen''이 장악했다. 티베트는 중국 본토의 성(省)과는 분리되어 관리되었으나, 명백히 원나라의 행정 체계 아래에 있었다. 만약 사캬 라마와 ''dpon-chen'' 사이에 갈등이 생기면, ''dpon-chen''은 몽골 군대를 티베트로 파견할 권한을 가졌다.[34]
티베트는 종교 및 지역 정치 문제에 대해 형식적인 권력을 유지했지만, 몽골은 구조적, 행정적 지배력을 행사했으며[35] 필요시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이는 원나라 황제 아래에서 종교 지도자(라마)와 세속 통치자(몽골)가 권력을 나누는 "이원적 구조"로 운영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몽골 측에 더 강하게 있었다.[34] 몽골 왕자 쿠덴은 1240년대 티베트에서 세속 권력을 장악하고 사캬 판디타를 후원했으며, 사캬 판디타의 거점은 티베트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의 조카인 파그파는 원나라를 세운 쿠빌라이 칸의 국사가 되어 몽골 황실과 티베트 불교 간의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다.
원나라의 티베트 지배는 명나라가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티베트 내부에서 타이 시추 창춥 걀첸이 몽골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면서 끝났다.[36] 반란 성공 후, 타이 시추 창춥 걀첸은 파그모드루파 왕조를 세우고 티베트 문화와 정치에서 원나라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노력했다.[37]

1346년부터 1354년 사이에 타이 시투 창춥 걀첸은 사캬 왕조를 무너뜨리고 파그모드루파 왕조를 건립했다. 이후 약 80년간 티베트는 비교적 안정기를 맞이했으며, 이 시기에 제 쫑카파의 제자들이 겔룩파(황모파)를 창시하고 라싸 인근에 간덴 사원, 드레풍 사원, 세라 사원 등 중요한 사원을 건립했다. 그러나 파그모드루파 왕조 내부의 분쟁과 지역 세력 간의 갈등으로 인해 오랜 내전이 발생했다. 1435년 이후에는 우짱 지역을 기반으로 한 린풍파(Rinpungpa) 가문이 실권을 장악했다. 1565년, 린풍파는 시가체를 중심으로 한 창파 왕조에게 권력을 빼앗겼고, 창파 왕조는 이후 수십 년간 세력을 확장하며 카르마 카규파를 지원했다.
1578년, 투메드 몽골의 알탄 칸은 겔룩파의 고승인 소남 갸초에게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달라이(Dalai)'는 "대양"을 의미하는 티베트어 '갸초(Gyatso)'를 몽골어로 번역한 것이다.[38]
5대 달라이 라마(1617년 ~ 1682년)는 오랜 내전을 종식시키고 티베트를 다시 통일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경쟁 세력이었던 카규파와 조낭파, 그리고 세속 지배자였던 창파 왕조를 물리치고 티베트 중심부를 겔룩파의 지배 아래 통합했다. 그의 노력은 호슈트 칸국의 오이라트 지도자였던 귀쉬 칸의 군사적 지원 덕분에 성공했다. 귀쉬 칸을 비교적 정치에 개입하지 않는 봉건 영주로 두고, 5대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들은 역사가들이 '라싸 국가'라고 부르는 민정을 수립했다. 이 티베트 정권 또는 정부는 간덴 포드랑이라고도 불린다.
청나라는 1720년 티베트 원정을 통해 티베트에 주둔하던 준가르 칸국 세력을 몰아내면서 티베트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1724년에는 암도 지역을, 1728년에는 동부 캄 지역을 청나라의 행정 구역으로 편입시켰다.[39] 청나라는 라싸에 '앰반'이라 불리는 상주 대표를 파견하여 티베트 정치를 감독했다. 1750년 라싸에서 앰반과 다수의 한족, 만주족이 살해되는 폭동이 발생하자, 청나라 군대가 신속하게 개입하여 반란을 진압했다. 청나라는 이전 원나라처럼 티베트에 어느 정도의 정치적 자치를 허용하면서도 군사적, 행정적 통제를 강화했다. 청나라 사령관은 반란 관련자들을 처형하고 티베트의 정치 구조를 재편하여, 달라이 라마를 수장으로 하는 통치 위원회인 ''카샤그''를 복원시켰지만,[40] 앰반의 권한을 강화하여 티베트 내정에 더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했다. 동시에 청나라는 승려 출신 관리들을 주요 직책에 임명하여 귀족 세력을 견제하는 조치를 취했다.[41]
수십 년간 평화가 유지되었으나, 1792년 네팔 군대가 티베트를 침공하자 청나라의 건륭제는 대규모 군대를 파병하여 네팔군을 격퇴했다. 이 사건 이후 청나라는 "티베트의 더 나은 통치를 위한 29개 조항"이라는 규정을 통해 티베트 정부를 다시 한번 재편했다. 청나라 군대는 네팔과의 국경 지역에 주둔하게 되었다.[42] 18세기를 거치며 티베트는 점진적으로 청나라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1792년 규정 이후 청나라 황제 대표(앰반)의 권력이 정점에 달했지만, 청나라는 티베트를 중국의 직접 통치 지역인 성(省)으로 만들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43]

1834년, 시크 제국은 당시 독립 왕국이었던 문화적으로 티베트 지역인 라다크를 침략하여 병합했다. 7년 후, 조라와르 싱 장군이 이끄는 시크 군대가 라다크에서 티베트 서부를 침공하여 청-시크 전쟁을 시작했다. 청-티베트 연합군은 침략자들을 물리쳤지만, 시크족을 라다크로 추격하면서 패배했다. 전쟁은 중국과 시크 제국 사이에 추술 조약이 체결되면서 끝났다.[44]
청나라가 약해짐에 따라 티베트에 대한 권위도 점차 약해졌고, 19세기 중반까지 그 영향력은 미미했다. 19세기 후반에는 청나라의 티베트에 대한 권위가 실제보다 상징적인 것이 되었지만,[45][46][47][48] 1860년대에도 티베트인들은 여전히 제 나름의 이유로 제국의 상징적 권위를 강조하고 실질적인 것처럼 보이도록 만들었다.[49]
1774년, 스코틀랜드의 스코틀랜드 귀족인 조지 보글은 동인도 회사를 위한 무역 전망을 조사하기 위해 시가체로 여행했다. 그의 노력은 대부분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티베트와 서구 세계 사이의 지속적인 접촉을 수립했다.[50] 그러나 19세기에 외세와 티베트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영국 제국은 영국령 인도의 영토를 히말라야로 확장하고 있었고, 아프가니스탄 에미르국과 러시아 제국도 중앙아시아에서 마찬가지였다.
1904년, 부분적으로 러시아가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으로 티베트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영국군의 티베트 원정이 시작되었다. 원정은 처음에 티베트와 식킴 사이의 국경 분쟁을 해결한다는 명분으로 시작되었지만, 곧 군사 침략으로 변했다. 주로 인도군으로 구성된 영국 원정대는 신속하게 라싸를 침략하고 점령했고, 달라이 라마는 시골로 도망쳤다.[51] 그 후, 원정대장인 프랜시스 영허번드 경은 티베트인들과 영국과 티베트 간의 협약을 협상했는데, 이는 영국에 큰 경제적 영향력을 보장했지만, 그 지역이 중국 지배하에 남아 있도록 했다. 앰반으로 알려진 청나라 황제 대표는 공개적으로 조약을 거부했고, 중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갈망했던 영국 정부는 2년 후 티베트에 관한 영국과 중국 간 협약으로 알려진 새로운 조약을 협상했다. 영국은 티베트를 병합하거나 간섭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중국 정부로부터 배상금을 받는 대신, 중국은 다른 어떤 외국도 티베트의 영토나 내정에 간섭하지 않도록 허용하기로 합의했다.[51]
1910년, 청나라 정부는 조어풍 지휘하에 자체 군사 원정을 파견하여 직접적인 만주-중국 통치를 확립하고, 황제 칙령에서 달라이 라마를 폐위시켜 영국령 인도로 도망치게 했다. 조어풍은 티베트 군대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달라이 라마의 군대를 성에서 축출했다. 그의 행동은 인기가 없었고, 민간인 학대와 지역 문화 무시에 대한 많은 적개심이 있었다.
2. 5. 티베트 왕국 (1912년 ~ 1951년)
1912년 청나라가 신해혁명으로 멸망하고 마지막 청나라 군대가 티베트에서 철수한 후, 13대 달라이 라마는 새로 수립된 중화민국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했다.[53] 중화민국은 청나라의 행위에 대해 사과하고 달라이 라마의 칭호를 복원하려 했으나[52], 달라이 라마는 이를 거부하고 자신을 독립된 티베트의 통치자로 선포했다.[53] 그러나 중화민국은 티베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이전 청나라 영토 전체를 자국 영토로 간주했다.[55]1913년 티베트는 외몽골과 상호 독립 국가로서 국제적 승인을 받기 위해 협력한다는 내용의 몽장 조약을 체결했다.[54] 당시 몽골에는 러시아 제국, 티베트에는 영국이 무기, 차관 등을 지원했으나, 영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당시 열강들은 몽골과 티베트를 독립국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후 36년간 티베트는 13대 달라이 라마와 그를 계승한 섭정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기간 동안 티베트는 중화민국의 역대 정권과 군사적 긴장 상태를 유지했으며, 티베트 정부의 실효적 지배 영역 내에서는 어떠한 중국 기관의 설치도 승인하지 않았다. 1918년과 1930년에는 티베트 영내로 침입한 중국 군대를 격퇴하는 등 사실상 독립국으로서의 지위를 누렸다. 또한 양자강 상류의 서강과 청해(캄과 암도 일부 지역)에 있는 티베트계 지역의 통제권을 놓고 중국 군벌들과 싸웠다.[56]
1914년 티베트 정부는 영국과 심라 협정을 체결하여 국경 문제 해결의 대가로 중국의 티베트에 대한 종주권을 인정하려 했으나, 중국은 이 협정에 서명을 거부했다.[57] 이로 인해 티베트는 명확한 국경이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지위를 확보하지 못했다.[55]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섭정들이 국정을 소홀히 하자, 중화민국의 국민당 정부는 이를 이용하여 티베트 지역으로의 영향력 확대를 시도했다.[58] 1940년 달라이 라마 14세의 즉위식에 중화민국은 몽장위원회 사절단을 파견했는데, 이들은 의식 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1948년 강제로 퇴거될 때까지 '중화민국 행정원 몽장위원회 주 티베트 대표처'라는 이름으로 라싸에 머물렀다. 1941년 12월 20일, 국민당 지도자 장개석은 자신의 일기에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에 대한 배상으로 티베트를 요구할 영토 중 하나로 언급하기도 했다.[59]
제2차 세계 대전 중 티베트는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여했으며, 영국령 인도로부터 이주해 온 영국군에 의해 갼세, 라싸와 카무 지방 각지에 통신기지가 건설되었다. 이 기지들은 중국 인민해방군이 티베트를 점령할 때까지 영국군 무선기사에 의해 운영되었다.


2. 6. 중국의 지배 (1950년 ~ 현재)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마오쩌둥 정부는 티베트와 타이완을 포함한 과거 청나라의 영토를 회복하겠다고 선언했다. 1950년 10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티베트를 침공하여 창두 전투에서 티베트 군대를 격파하고 점령하였다. 중국은 '티베트의 평화적인 해방'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1951년 5월 23일, 티베트 대표단에게 십칠조협의 서명을 강요하여 티베트를 강제 합병했다. 이 협정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는 대신 티베트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이후 14대 달라이 라마는 망명 후 이 협정이 강압에 의해 체결되었음을 밝히며 무효를 주장했다.[60][61] 이로써 티베트는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고, 많은 티베트인들이 정치적 탄압을 피해 인도 등지로 망명길에 올랐다.1959년 티베트 봉기가 중국군에 의해 무력으로 진압되면서, 14대 달라이 라마는 인도 다람살라로 망명하여 티베트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중국 중앙인민정부는 이를 계기로 십칠조협의를 파기하고 티베트에 대한 직접 통치를 강화하며 사회주의 개혁을 강행했다.[64]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티베트에서는 기근 등으로 인해 약 20만 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65] 이어진 문화대혁명(1966년~1976년) 시기에는 티베트 불교 사원 약 3,700개 중 대부분이 파괴되어 13개 정도만 남게 되는 등 티베트의 전통문화와 종교 시설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66] 중국공산당은 티베트인에 대한 고문과 학살 등 강압적인 방식으로 통치를 유지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65년 티베트 지역에는 티베트 자치구(시짱 자치구)가 설립되어 형식적인 자치가 허용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중국 공산당이 장악하고 있으며, 특히 당 서기직은 관례적으로 비(非)티베트인(한족)이 맡아왔다.[68] 중국 정부는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한족의 티베트 이주를 장려하여 티베트 내 한족 인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03]
1980년 개혁파 지도자 후야오방 총서기가 티베트를 방문하여 일부 자유화 조치를 시행하기도 했으나,[67] 1989년 라싸 등지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승려들의 시위가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다시 강경 노선으로 전환하여 반분리주의 운동을 전개했다.[67]
2008년 3월, 1959년 티베트 봉기 49주년을 맞아 라싸에서 승려들이 주도한 평화 시위가 대규모 반중국 시위로 확산되었다(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중국 정부는 군대와 경찰을 동원해 이를 강경 진압했으며, 이 과정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수천 명이 체포되었다. 티베트 망명 정부는 사망자가 203명, 부상자는 1,000명 이상, 체포된 인원은 5,715명 이상이라고 발표했으나,[156] 중국 정부는 이를 축소 발표하며 외부 언론의 접근을 통제했다. 이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비난이 쏟아졌지만, 중국 정부는 오히려 티베트 독립 운동 세력에 대한 단속을 강화했다. 달라이 라마는 이를 두고 중국이 티베트에서 '문화적 대량학살'을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157]
2009년 1월 19일, 티베트 자치구 인민대표대회는 3월 28일을 “농노 해방 기념일”로 지정했다. 이는 1959년 중국의 티베트 통치 강화를 '봉건적 농노제로부터의 해방'으로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 티베트 망명 정부와 인권 단체들의 비판을 받았다.[158][159][160] 2010년 10월 19일에는 칭하이성 퉁런현에서 수천 명의 티베트족 고등학생들이 학교 교육에서 티베트어 사용을 축소하고 중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에 반대하며 거리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161]

중국 정부는 티베트 지역의 경제 발전을 명목으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여 포탈라궁 보수 공사를 시행하고 2006년에는 칭짱 철도를 완공하는 등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이 티베트의 전통문화와 환경을 파괴하고 한족의 유입을 가속화하여 티베트 고유의 정체성을 위협한다는 비판도 계속되고 있다. 인권 단체들은 중국 정부의 티베트 정책과 인권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3. 지리와 생태
티베트는 중국과 인도 사이에 위치하며, 히말라야산맥과 티베트고원에 둘러싸여 있어 외부 세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히말라야산맥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평균 고도가 4900m를 넘어 '세계의 지붕'이라 불린다. 지리적 고립은 외교적 고립으로도 이어졌다.[193] 티베트 자치구의 면적은 약 1228400km2이며, 인구는 274만 명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역사적·문화적 의미의 티베트 전체 면적은 약 2500000km2로 일본의 약 6.6배에 달하는 광활한 지역이다.
thumb
티베트를 포함한 현대 중국의 모든 지역은 동아시아의 일부로 간주된다.[69] 역사적으로 일부 유럽 자료에서는 티베트 일부를 중앙아시아로 보기도 했다. 티베트는 중국 중원 평야의 서쪽에 위치하며, 중국에서는 티베트를 西部|시부중국어(Xībù), 즉 '서부 지역' 또는 '중국 서부'의 일부로 간주한다.
티베트 고원은 인도 아대륙이 아시아 대륙과 충돌하여 융기하면서 형성되었으며, 평균 고도는 4500m에 이른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들이 많으며, 여러 산이 세계 10대 고봉에 포함된다. 네팔과의 국경에 있는 에베레스트 산은 8848.86m로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수도(중심지)는 라싸이다.
티베트는 아시아의 "물탑"으로 불릴 만큼 수자원이 풍부하며, 여러 주요 강의 발원지이다. 티베트 고원(대부분 현재의 칭하이성)에서 양자강, 황하, 인더스 강, 메콩 강, 갠지스 강, 살윈 강, 그리고 야룽창포 강(브라마푸트라 강) 등이 발원한다.[70] 야룽창포 강을 따라 형성된 야룽창포 대협곡은 세계에서 가장 깊고 긴 협곡 중 하나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티베트의 수자원 프로젝트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71][72]
인더스 강과 브라마푸트라 강은 서티베트의 마팜 욤쵸 호 부근, 카일라스 산 근처에서 발원한다. 카일라스 산(티베트 이름: 캉 린포체)은 힌두교도(시바 신의 거처로 여김)와 티베트인 모두에게 성스러운 순례지이다. 티베트에는 티베트어로 '초(tso)' 또는 '코(co)'라고 불리는 고지대 호수가 많이 있다. 대표적인 호수로는 칭하이 호, 마나사로바르 호, 남쵸, 팡공 쵸, 얌드록 쵸, 실링 쵸, 라모 라-쵸, 루마장동 쵸, 푸마 욤쵸 호, 파이쿠 호, 코모 차믈링, 락샤스타 호, 다그제 쵸, 동 쵸 등이 있다. 이 중 칭하이 호(코코 노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가장 큰 호수이다. 얌드록호는 티베트 3대 성호 중 하나로, 해발 4441m, 면적 638km2이며 비와호(면적 670km2)보다 약간 작다. 바솜 쏘는 티베트 동부 공보갬다 현에 위치한 호수이다.
고립된 고원 환경 덕분에 티베트에는 희귀한 동식물이 많이 서식하며, 독특한 어류와 포유류가 환경에 적응해 살아가고 있다. 많은 염호는 인도와 네팔에서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날아오는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가 된다. 그러나 최근 한족의 유입 증가와 이에 따른 지역 개발로 인해 티베트 고유의 환경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티베트 면적의 약 70%는 초원으로 이루어져 있어 농업과 목축이 주요 산업이다. 평야 지대에서는 보리를 중심으로 한 농업이, 초원 지대에서는 목축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티베트 남부 히말라야 산맥의 북쪽 사면이나 쓰촨 분지와 인접한 동쪽 끝 지역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건조한 기후 때문에 산비탈에는 나무가 부족한 편이다.
문화적으로 티베트는 여러 지역으로 나뉜다. 북동부의 암도(A mdo)는 행정적으로 칭하이성, 간쑤성, 쓰촨성의 일부에 속한다. 남동부의 캄(Khams)은 쓰촨성 서부, 운남성 북부, 칭하이성 남부, 그리고 티베트 자치구 동부 지역을 포함한다. 중앙 및 서부 지역인 우짱(Ü-Tsang)은 중앙의 우(Ü), 중서부의 짱(Tsang), 그리고 가장 서쪽의 응가리(mNga' ris) 지역을 아우르며, 현재 티베트 자치구의 중앙 및 서부 지역에 해당한다.[79] 티베트 문화의 영향력은 인접한 부탄, 네팔, 시킴, 라다크, 라훌, 스피티와 같은 인도 지역, 파키스탄 북부 발티스탄 뿐만 아니라, 인접한 중국 성들에 설치된 티베트 자치구까지 미친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현재 티베트(西藏)라고 칭하는 지역을 서장(西蔵)으로 한정하고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중국을 통치했던 정부들이나 중국 공산당 스스로도 티베트의 범위와 민족자결권에 대한 입장은 시기에 따라 변화해왔다. 중국 공산당은 초기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을 받아 소수민족의 완전한 자결권을 인정하기도 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이러한 입장을 바꾸어 민족자결권 주장을 분열주의로 규정하고 통제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현재 중국 공산당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행정 구역 설정은 대체로 1724년-1725년에 이루어진 옹정의 티베트 분할의 틀을 따르고 있다.
4. 기후
고산 기후의 특징을 띠고 있으며 대부분 지역은 툰드라 기후이다. 티베트의 기후는 1년 중 9개월 동안 심각한 건조 상태를 유지하며, 강수 그림자 효과로 인해 연평균 강설량은 46cm에 불과하다. 서부 지역의 고갯길에는 매년 소량의 신선한 눈이 내리지만, 연중 내내 통행이 가능하다. 서부 지역 전역에서는 낮은 관목보다 큰 식물이 드물고, 건조한 바람이 광활한 평원을 가로질러 불어 삭막한 황량함과 함께 혹독한 추위가 일반적이다. 인도의 몬순은 티베트 동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티베트 북부는 여름에는 고온, 겨울에는 혹한을 겪는 큰 기온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건조한 기후 때문에 티베트 남부에 이어지는 히말라야 산맥의 북쪽 사면이나 쓰촨 분지와 인접한 티베트 동쪽 끝 지역을 제외하면, 산비탈에서 나무를 찾아보기 어렵다.
5. 주민
대체로 티베트인이 거주하고 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동화 정책으로 인해 한족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티베트의 캄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캄파족은 현재 약 200만 명 정도가 남아있는데, 성인 남성 평균 키가 180cm로 알려져 있다.[204][205]
역사적으로 티베트의 인구는 주로 티베트인과 다른 소수 민족들로 구성되었다. 전통에 따르면 티베트인의 원조는 Se, Mu, Dong, Tong, Dru, Ra의 여섯 부족으로, 이는 티베트 깃발의 여섯 붉은 띠로 상징된다고 한다. 티베트에 거주하는 주요 소수 민족으로는 백족, 블랑족, 보안족, 동향족, 한족, 후이족, 로바족, 리수족, 묘족, 몽골족, 몽고르(투족), 멘바(몬파), 모소족, 나시족, 장족, 누족, 푸미족, 살라족, 이족 등이 있다.
티베트 내 비티베트인 인구 비율은 논란의 대상이다. 달라이 라마가 이끄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는 중국 정부가 티베트의 인구 구성을 바꾸기 위해 의도적으로 한족 이주민을 대거 유입시키고 있다고 비판한다.[98] 반면, 201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티베트 자치구의 총인구 300만 명 중 티베트인이 90%를 차지한다고 발표되었다.[99]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현재 '티베트'라고 부르는 지역을 티베트 자치구(서장, 西藏)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중화민국 중국국민당 정부를 포함한 역대 중국 정부들의 티베트 범위 인식과, 중국 공산당의 티베트 및 소수 민족에 대한 민족자결권 태도는 시기에 따라 크게 변화했다. 중국 공산당은 초기 소비에트 연방 코민테른의 영향을 받아 소수 민족에게 완전한 자결권을 인정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중화소비에트공화국 헌법에서는 각 소수 민족이 민주 자치구를 설립하고 중화연방에 자유롭게 가입하거나 탈퇴할 권리를 명시했다.
하지만 국공내전 승리 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전, 중국 공산당은 소수 민족 대표들에게 "제국주의의 분열 책동에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민족 자결 주장을 삼갈 것을 요청했다. 현재는 각 소수 민족과 그 거주 지역이 "역사적으로 불가분의 중국 일부"라는 입장을 내세우며, 민족 자결권 주장을 분열주의로 규정하고 탄압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티베트 사회와 처음 접촉한 것은 장정(1934년~1936년) 시기였다. 당시 중공군은 캄 지역 동부를 점령하고 티베트인들에게 '파바 정부'(波巴政府, 티베트인 정부)를 수립하게 했으며, 1935년에는 이들을 모아 '티베트인민공화국(波巴人民共和国)'과 중앙 정부를 발족시켰다. 이는 명목상 티베트인 전체의 자치 정부였으나 실제로는 캄 지역 동부 주민들로만 구성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에는 과거 중화민국 국민정부 지배하에 있던 티베트인 거주 지역에 여러 '장족자치구'(藏族自治區)가 설립되었다. 특히 1950년 캄 지역 동부에 설립된 '서강성 장족자치구'(西康省藏族自治區)는 성 전체가 티베트인 자치구로 지정된 사례였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 사회주의 개조 과정에서 방침이 변경되어 1955년 서강성은 폐지되고 간쯔 장족자치주로 강등되어 쓰촨성에 병합되었다.
1959년 티베트 봉기와 14대 달라이 라마의 인도 망명 이후인 1965년, 과거 간덴포드랑이 통치하던 지역(티베트 자치구) 위에 티베트인의 자치구로서 '티베트 자치구(西藏自治區)'가 발족했지만, 이전에 인접 지역에 설립되었던 티베트족 자치주나 자치현 등은 이 자치구에 통합되지 않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중국 공산당 정부의 현재 티베트 행정 구역은 대체로 1724년~1725년 청나라 옹정제가 시행한 옹정의 티베트 분할의 틀을 따르고 있다.
현재 티베트 자치구 내에서는 인구의 약 95%를 티베트족이 차지한다.[137] 티베트 전역에 티베트 민족이 거주하며, 동북부 암도 지방의 칭하이 초원과 중앙 티베트의 담 초원에는 '혹족'(sog po, 데트 몽골)이라 불리는 몽골계 민족이, 캄 지방 북부(위수주, 나취 지구 동부)에는 '홀족'이라 불리는 몽골계 유목민이 거주한다. 암도 지방 동쪽 끝(하이둥시)은 전통적으로 한족, 후이족 등 여러 민족이 다수 거주해 온 허시 회랑의 일부이다.
5. 1. 종교
종교는 티베트인들에게 매우 중요하고 존중되는 문화의 한 부분이다. 티베트의 주요 종교는 불교이지만, 다른 종교들도 역사적으로 존재해왔다. 17세기 포르투갈의 기독교 선교사들은 티베트를 서구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했다.[206]티베트에 처음 도착한 기독교인들은 네스토리우스파 신자들로, 여러 유물과 비문이 발견되었다. 1256년에는 시라 오르도에 있는 몽케 칸의 황실 진영에서 카르마 팍시 (카르마 카규의 수장)와 종교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110][111]
17세기와 18세기에는 유럽에서 로마 가톨릭 예수회와 카푸친 작은형제회 수사들이 티베트에 도착했다. 포르투갈 출신 예수회 사제 안토니오 드 안드라데와 마누엘 마르케스 형제는 1624년 티베트 서부의 구게 왕국에 처음 도착하여 왕족의 환대를 받고 교회를 세울 수 있었다.[113][114] 1627년경 구게 왕국에는 약 100명의 현지인 개종자가 있었다.[115] 기독교는 이후 루독, 라다크, 창(Tsang)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1626년 안드라데와 동료들은 시가체에 예수회 전초 기지를 세웠다.[116] 1661년에는 예수회 사제 요한 그뤼베르가 닝샤에서 라싸를 거쳐 네팔로 티베트를 횡단했다.[117] 이후 여러 선교사들이 라싸에 교회를 세우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티베트 문화와 불교에 깊은 지식을 쌓았던 예수회 사제 이폴리토 데시데리(1716년~1721년 체류)와 여러 카푸친 수사들(18세기 초중반 활동)이 있었다.[118] 일부 티베트 군주와 라마들은 겔룩파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해 기독교를 이용하기도 했으나, 1745년 라마들의 요구로 모든 선교사가 티베트에서 추방되었다.[119][120][121][122][123][124]
19세기 후반에는 개신교 선교 활동도 시작되었다. 1877년 중국 내지 선교회 소속 제임스 카메론은 충칭에서 쓰촨성 바탕까지 걸어가 티베트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다. 20세기 초에는 윈난성 더친 지역에서 많은 리수족, 일부 이족, 누족 등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이 시기 유명한 선교사로는 제임스 오. 프레이저, 알프레드 제임스 브룸홀, 아이소벨 쿤 등이 있다.[125][12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티베트에서의 개종 활동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 그러나 2013년을 기준으로, 많은 기독교 선교사들이 중국 당국의 암묵적인 용인 하에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 당국이 이들을 티베트 불교에 대한 견제 세력이나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존재로 여기기 때문일 수 있다.[127]

이슬람교는 8세기 또는 9세기부터 티베트에 전래되어 티베트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티베트 도시에는 '카체(Kache)'라고 불리는 소규모 무슬림 공동체가 있는데, 이들은 주로 카슈미르 (티베트 고어로 카체 율(Kachee Yul)), 라다크, 그리고 중앙아시아 투르크계 국가 출신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페르시아의 영향도 있었으며, 수피파 무슬림인 알리 하마다니는 당시 '작은 티베트'로 불리던 발티스탄 지역에서 활동했다. 1959년 티베트 봉기 이후, 일부 티베트 무슬림들은 카슈미르와 인도에 역사적 뿌리가 있음을 근거로 인도 국적을 신청했고, 인도 정부는 그해 말 모든 티베트 무슬림을 인도 시민으로 인정했다.[128] 티베트에는 오랫동안 거주해 온 다른 무슬림 민족 집단으로 후이족, 살라르족, 둥샹족, 보난족 등도 있다. 또한 중국 후이족에 뿌리를 둔 중국 무슬림 공동체(갸 카체, Gya Kachee)도 잘 정착해 있다.
5. 1. 1. 티베트 불교
종교는 티베트인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삶의 모든 측면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본교가 티베트의 토착 종교였으나, 7세기에 인도 북부의 산스크리트 불교 전통에서 전래된 대승불교와 금강승(바즈라야나)의 독특한 형태인 티베트 불교가 국교의 지위를 차지하며 토착 신앙을 거의 대체하였다.[100][206] 티베트 불교는 티베트뿐만 아니라 몽골, 네팔, 부탄, 라다크, 인도 북부 일부 지역, 러시아의 부랴트 공화국, 투바 공화국, 칼미크 공화국 및 중국의 다른 일부 지역에서도 실천되고 있다.[207][100]


1578년, 투메드 몽골의 알탄 칸은 겔룩파의 고승인 제3대 달라이 라마 소남 갸초에게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달라이(Dalai)'는 티베트어 '갸초(Gyatso)'를 몽골어로 번역한 것으로 "대양"을 의미한다.[38] 제5대 달라이 라마 로장 갸초(1617~1682)는 오랜 내전 끝에 경쟁 세력이었던 까규파, 조낭파 및 속세 지배자 창파 왕자를 물리치고 티베트 중심지를 겔룩파의 지배 아래 통합했다. 이는 호슈트 칸국의 오이라트 지도자 귀쉬 칸의 지원 덕분이었다. 귀쉬 칸을 봉건 영주로 두고, 제5대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들은 '라싸 국가' 또는 간덴 포드랑이라 불리는 민정을 수립했다.
티베트 불교의 주요 전통은 다음과 같다.
종파 | 설명 | 주요 인물/특징 |
---|---|---|
겔룩파 | 덕의 길, 속칭 황모파. 까담파 전통 기반. | 영적 지도자: 간덴 트리파, 세속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 제 쫑카파 창시. 달라이 라마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짐.[107] |
까규파 | 구전 계승. 명상의 경험적 측면 중시. | 다그포 까규(까르마 까규, 찰파 까규, 바롬 까규, 파그트루 까규)와 샹파 까규로 나뉨. 감포파, 밀라레파, 칼루 린포체 등. |
닝마파 | 고대의 것들. 가장 오래된 종파. | 빠드마삼바바 창시. |
사캬파 | 회색 땅. 학문 강조. | 사캬 트리진이 이끎. 곤촉 걀포 창시, 사캬 판디타가 유명. |
조낭파 | 12세기 유모 미쿄 도르제 기원, 돌포파 셰랍 걀첸이 발전. | 17세기 겔룩파에 의해 탄압받았으나 명맥 유지. 14대 달라이 라마의 지지로 5번째 전통으로 공식 인정. 제브쭌담바 후툭투가 지도자로 임명됨.[108] |
중국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티베트의 거의 모든 사원은 홍위병에 의해 약탈되고 파괴되었다.[101][102][103] 1980년대 이후 일부 사원이 중국 정부의 제한적인 지원 아래 재건되기 시작했고, 이전보다 종교적 자유가 허용되었으나 여전히 많은 제약이 따른다. 승려들은 사원으로 돌아왔고 수도원 교육이 재개되었지만, 승려 수는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다.[101][104][105] 1950년대 이전에는 티베트 남성의 10~20%가 승려였다.[106]
중국 정부는 달라이 라마를 비롯한 티베트 고승들의 환생자 지정 과정에 개입하려는 법률을 제정하는 등 티베트 불교에 대한 통제와 동화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달라이 라마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기를 거부하는 승려와 수녀들은 사원에서 추방되거나 투옥, 고문 등의 탄압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108][207] 2021년 6월에는 2020-2022년 중국-인도 국경 충돌 중 인민해방군이 훈련을 마친 티베트인들로 구성된 새로운 부대를 편성하여 불교 승려들에게 종교적 축복을 받도록 했다는 보도가 있었다.[109]
5. 2. 언어
티베트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티베트 문자로 표기하는 티베트어이다. 티베트어는 티베트고원과 부탄 등지에서 사용되며, 인도 북부의 시킴 지역과 네팔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티베트어는 일반적으로 중국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파로 분류된다. 언어학자들은 티베트어와 다른 일부 히말라야 언어의 경계가 불분명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매슈 캡스타인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역사 언어학의 관점에서 티베트어는 아시아 주요 언어 중 버마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두 언어를 히말라야 지역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고지대와 중국-티베트어족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다른 관련 언어들과 함께 묶어 언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티베트-버마어족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더 논란이 되는 것은 티베트-버마어족 자체가 중국-티베트어족이라는 더 큰 언어족의 일부이며, 그를 통해 티베트어와 버마어가 중국어와는 먼 사촌 관계라는 이론이다.[21]
티베트어에는 수많은 지역 방언이 있으며, 이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중앙 티베트(라싸 포함), 캄, 암도 및 인근 일부 지역의 방언은 티베트 방언으로 간주된다. 반면 종카어, 시킴어, 셰르파어, 라다크어 등은 화자들이 주로 정치적인 이유로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련 언어들을 포함하면, 넓은 의미의 티베트어는 티베트 고원 전역에서 약 600만 명이 사용하며, 인도 등 다른 국가로 망명한 약 15만 명의 망명자들도 사용한다.
구어 티베트어는 지역별 차이가 크지만, 고전 티베트어에 기반한 문어는 비교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거 티베트 제국의 영향력 때문일 수 있다. 티베트어는 독자적인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데, 이 문자는 7세기 송첸 감포 왕의 명으로 톤미 삼보타가 인도 문자를 바탕으로 창제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티베트 문자는 고대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했으며[22], 특히 인도의 데바나가리 문자에 기원을 둔다.[208] 라다크어와 부탄의 공용어인 종카어 역시 티베트 문자를 사용한다.
2001년부터 티베트의 지역 수화가 표준화되었고, 티베트 수화가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최초의 티베트어-영어 사전과 문법서는 헝가리 출신의 언어학자 산도르 쾨뢰시 초마가 1834년에 저술했다.[23]
5. 3. 음식
티베트는 고산지대이기 때문에 식물이 잘 자라지 않아 주로 야크를 이용한다. 특히 야크의 젖으로는 우유, 치즈 등을 만든다.
티베트에서 가장 중요한 곡물은 보리이며, 보릿가루로 만든 반죽인 참파는 티베트의 주식이다. 이 반죽은 면으로 만들거나 모모라는 찐 만두로 만들어 먹는다. 고기 요리는 주로 야크, 염소 또는 양고기를 사용하며, 종종 말려서 먹거나 감자와 함께 매운 스튜로 요리한다. 겨자씨는 티베트에서 재배되어 요리에 많이 사용된다. 야크 요구르트, 버터, 치즈도 자주 먹으며, 잘 만들어진 요구르트는 고급 식품으로 여겨진다. 버터차는 매우 인기 있는 음료이다.
6. 경제
티베트의 경제는 중국에 종속되어 있으며, 통화는 1959년까지 티베트 고유 화폐인 스랑이 사용되었으나 이후로는 중국 위안화가 유통되고 있다. 티베트의 GDP 총량은 중국 31개 지역 중 가장 적지만, 경제성장률은 중국 내에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209]
티베트 경제는 전통적으로 생계형 농업이 주를 이루며, 경작 가능한 토지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티베트 고원의 주요 산업은 양, 소, 염소, 낙타, 야크, 드조, 말과 같은 가축 사육이다. 주요 작물로는 보리, 밀, 메밀, 호밀, 감자와 다양한 과일 및 채소가 재배된다. 유엔 개발 계획(UNDP) 자료에 따르면, 티베트는 중국 31개 성 중 인간 개발 지수(HDI)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평가된다.[81] [82]
최근 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광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중국 당국도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83] 관광 수입의 상당 부분은 티베트 모자, 보석(은과 금), 목제품, 의류, 이불, 직물, 티베트 카펫 등 수공예품 판매에서 발생한다. 중앙인민정부는 티베트에 대한 모든 세금을 면제하고 티베트 정부 지출의 90%를 지원하고 있다.[84][85][86][87] 그러나 이러한 투자의 상당 부분은 티베트에 정착하지 않는 이주 노동자의 임금으로 지급되어, 대부분의 소득이 다른 성으로 송금된다는 비판도 있다.[88]
티베트 자치구 농촌 지역 현금 소득의 약 40%는 동충하초(''Ophiocordyceps sinensis'') 채취에서 나온다. 이는 지역 GDP에 최소 18억위안(2.25억달러)를 기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90]
2006년에는 티베트 자치구와 칭하이성을 연결하는 칭짱 철도가 개통되었으나, 건설 과정과 영향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91][92][93]
2007년 1월, 중국 정부는 티베트 고원 지하에서 대규모 광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94] 이 광상의 가치는 약 1280억달러로 추산되며, 중국의 아연, 구리, 납 매장량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는 규모이다.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성장하는 경제의 외국 광물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방대한 자원 채굴이 티베트의 취약한 생태계를 파괴하고 티베트 고유의 문화를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94]
2009년 1월 15일, 중국 정부는 티베트 최초의 고속도로인 라싸 공항 고속도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고속도로는 라싸 남서부 약 37.9km 구간이며, 총 15.5억위안(2.27억달러)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95]
2010년 1월 18일부터 20일까지 중국 공산당 중앙 지도부는 티베트 및 쓰촨, 윈난, 간쑤, 칭하이에 거주하는 티베트인 지역의 발전을 위한 전국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는 당시 후진타오 총서기를 비롯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전원이 참석했으며, 2020년까지 농촌 티베트인의 소득을 중국 전국 평균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모든 농촌 티베트 어린이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발 계획이 발표되었다. 중국 정부는 2001년부터 티베트에 3100억위안(약 456억달러)을 투자해왔다.[96]
국무원은 2001년 라싸 경제기술개발구를 국가급 개발구역으로 승인했다. 이 개발구는 라싸 서부 교외에 위치하며, 공가르 공항에서 50km, 라싸 기차역과 318번 국도에서는 각각 2km 떨어져 있다. 총 계획 면적은 5.46km2이며, A구역과 B구역으로 나뉜다. 이 중 A구역은 2.51km2의 면적이 건설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평탄하고 배수가 잘 되는 지형 조건을 갖추고 있다.[97]
7. 문화
티베트 문화가 영향을 미치는 지역, 즉 티베트 문화권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티베트(西藏)'라고 부르는 티베트 자치구(서장자치구)의 범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중국을 통치했던 정부들의 티베트에 대한 인식 범위는 계속 변화해 왔으며, 특히 중국 공산당의 티베트 및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은 시기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중국 공산당은 초기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을 받아 소수민족에게 완전한 민족자결권을 인정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중화소비에트공화국 헌법에서는 소수민족이 자치구를 설립하고 연방에 자유롭게 가입하거나 탈퇴할 권리를 명시했다. 장정 시기인 1935년에는 점령한 캄 지역 티베트인들을 모아 '티베트인민공화국(波巴人民共和国)'을 선포하기도 했다. 이는 명목상 티베트인 전체의 자치 정부를 표방한 것이었다.
그러나 국공내전에서 승리하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앞두고는 "제국주의의 분열 책동에 틈을 주지 않기 위해" 민족자결을 내세우지 말 것을 소수민족 대표들에게 요청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티베트와 그 거주 지역이 "역사적으로 불가분의 중국 일부"라는 입장을 취하며, 민족자결권 주장을 분열주의로 규정하고 탄압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에는 티베트인 거주 지역에 여러 '장족자치구'가 설립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 사회주의 개조 과정에서 정책이 변경되어 서강성이 폐지되고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로 축소되어 쓰촨성에 편입되는 등 변화를 겪었다. 1959년 티베트 봉기와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인도 망명 이후, 1965년에 이전 간덴포드랑이 통치하던 지역을 중심으로 티베트 자치구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이전에 설립된 다른 티베트족 자치주나 자치현 등은 이 자치구에 통합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행정 구역 설정은 대체로 1724년~1725년 청나라 옹정제 시기 이루어진 옹정의 티베트 분할의 틀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 속에서 티베트 고유의 문화는 다양한 형태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7. 1. 예술
티베트 미술은 티베트 불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주로 부처나 여러 신들을 형상화한다. 이는 청동 불상이나 사원 건축에서부터 다채로운 탱카 그림, 만다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탱카는 티베트의 전통적인 천 그림으로, 보통 면포에 그려지며 윗부분에 가는 막대가 달려 있다. 탱카는 풍부한 색상과 세밀한 묘사를 통해 불교의 신들이나 중요한 주제를 표현한다.[80]
티베트를 소재로 하거나 배경으로 하는 영화들도 다수 제작되었다.
제목 | 연도 | 제작국 | 감독 | 비고 |
---|---|---|---|---|
농노 | 1963 | 중화인민공화국 | 이준 | 라마 승려와 지주에게 착취당하던 농노가 인민해방군에 의해 구출된다는 내용이다.[182] 티베트 작가 체링 오셀은 이 영화가 중국 공산당의 선전 영화라고 비판했다.[183] |
황금 아이 | 1986 | 미국 | 마이클 리치 | 에디 머피 주연의 판타지 코미디 영화로, 티베트의 신비로운 아이를 구출하는 내용을 다룬다. |
티벳에서의 7년 | 1997 | 미국 | 장자크 아노 | 중화민국 시기 티베트에 우연히 들어간 오스트리아 등반가 하인리히 하러의 경험을 그린 영화이다. 영화 속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침공을 묘사한 부분 때문에 중국 정부의 반발을 사 중국 내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 |
쿤둔 | 1997 | 미국 | 마틴 스코세이지 |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어린 시절과 망명 과정을 그린 전기 영화이다. |
윈드호스 | 1998 | 미국 | 폴 워그너 | 티베트의 현실과 저항을 다룬 영화이다. |
히말라야 카라반 | 1999 | 프랑스, 네팔, 스위스, 영국 | 에릭 발리 | 네팔 돌포 지역의 티베트계 주민들의 삶을 그린 영화로, 제72회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
히말라야를 넘는 아이들 | 2000 | 독일 | 마리아 블루멘크론 | 눈 덮인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망명하는 티베트 난민들의 여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눈 속의 불꽃 | 2008 | 미국, 일본 | 라쿠 마코토 | 중국의 티베트 점령 이후 오랜 기간 수감되었던 티베트 승려 팔덴 갸초의 삶과 증언을 다룬 다큐멘터리이다.[184] |
2008년 티베트 봉기 | 2008 | - | - |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를 다룬 다큐멘터리이다. |
오로 | 2012 | - | - | 티베트에서 망명한 소년의 삶을 추적한 다큐멘터리이다. |
7. 2. 건축
티베트 건축은 중국과 인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깊은 불교적 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법륜과 두 마리의 용은 티베트의 거의 모든 사원에서 볼 수 있다. 티베트 탑의 디자인은 다양하여, 캄 지역의 둥근 벽에서부터 라다크 지역의 네모난 사각형 벽까지 다양하다.티베트 건축의 가장 큰 특징은 많은 가옥과 사원이 남향의 높고 해가 잘 드는 곳에 지어졌다는 점이며, 종종 돌, 나무, 시멘트, 흙을 섞어서 지었다는 점이다. 난방이나 조명을 위한 연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열을 보존하기 위해 평평한 지붕을 만들고, 햇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여러 개의 창문을 설치했다. 이 산악 지역의 잦은 지진에 대비하여 벽은 일반적으로 10도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만들었다.
높이 117m 및 너비 360m인 포탈라궁은 티베트 건축의 가장 중요한 사례이다. 과거 달라이 라마의 거주지였던 이 궁전은 13층에 1,000개가 넘는 방이 있으며, 과거 달라이 라마들의 초상화와 부처의 조각상을 소장하고 있다. 행정 구역인 외곽의 백궁과 라마들의 집회장, 예배당, 1만 개의 사당, 방대한 불교 경전 도서관이 있는 내부의 적궁으로 나뉜다. 포탈라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달라이 라마의 이전 여름 별장이었던 노르불링카 또한 세계유산이다.
7. 3. 음악
티베트 음악은 히말라야 산맥 너머 지역의 문화 유산을 반영하며, 티베트를 중심으로 인도, 부탄, 네팔 및 해외에 거주하는 티베트인들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도 티베트 음악은 종교 음악이며, 티베트 불교 문화의 심오한 영향을 반영한다. 티베트 음악에는 독자적인 성악이 있으며, 종교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티베트어 또는 산스크리트어로 찬트하는 것이 자주 포함된다. 이러한 찬트는 복잡하며, 종종 성스러운 경전을 암송하거나 다양한 축제를 기념하는 것이다. 박자 없이 연주되는 양 찬트는 울림이 있는 북과 낮고 지속적인 음절을 동반한다. 다른 스타일로는 인기 있는 겔룩파 학파의 전통 음악과 닝마파, 사캬파, 카규파 학파의 낭만적인 음악과 같이 티베트 불교의 여러 학파에 고유한 것들이 있다.[129]낭마 춤 음악은 티베트의 도시 중심지인 라싸의 노래방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 또 다른 대중 음악 형태는 의식과 의례에서 연주되는 전통적인 가르 스타일이다. 루는 성문 마찰음과 높은 음높이를 특징으로 하는 노래의 한 유형이다. 또한 티베트인들에게 영웅인 게살에 대해 노래하는 서사시적인 음유시인들도 있다.
7. 4. 축제

티베트에는 일 년 내내 다양한 축제가 열리며, 그중 많은 축제가 부처를 숭배하는 행사이다.[130]
로싸르는 티베트의 설날 축제이다. 축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가족 신전에 특별한 제물을 바치고, 종교적인 상징으로 문을 칠하는 등 정성을 들인다. 티베트인들은 설날 전날 저녁 가족과 함께 ''구툭''(속을 넣은 보리 국수 수프)을 먹는다.
몬람 기도 축제는 티베트력 첫째 달 4일부터 11일 사이에 열린다. 이 축제에는 춤과 스포츠 행사 참여뿐 아니라 피크닉을 함께 하는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이 행사는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의 계파를 창시한 종카파가 1049년에 시작하였다.
티베트의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티베트력 기준).
날짜(티베트력) | 축제 이름 | 비고 |
---|---|---|
1월 1일 | 로살 | 설날 |
1월 4일~ | 전소대회 | 라싸에서 열림 |
1월 15일 | 수유등제 | |
5월 15일 | 린카제 | 세계의 향을 피우는 날 |
7월 1일 | 설돈제 | 요구르트를 마시는 축제 |
10월 15일 | 길상천모제 | |
10월 25일 | 연등절 | |
12월 29일 | 부뚜막 신 제사 |
8. 국제 관계
(내용 없음)
8. 1. 티베트 문제

중국의 티베트 지배와 관련하여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를 통틀어 “티베트 문제”라고 부른다. 이 문제는 중국 정부와 티베트 망명 정부 간의 과거 역사에 대한 인식 차이, 중국 정부가 내세우는 “티베트 통치의 성과”에 대한 평가, 그리고 중국에 의한 다수의 티베트인에 대한 인권 침해 논란 등을 포함한다.
아사히 신문은 중국이 티베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티베트 지역에 막대한 양(추정 가치 6500억위안, 약 10조엔 이상)이 매장된 것으로 보이는 풍부한 광물 자원의 이권을 지목하기도 했다.[138]
국제 사회에서도 티베트 문제는 종종 논란이 되었다. 2001년에는 벨기에와 프랑스의 유명 만화 땡땡의 모험 시리즈 중 “땡땡, 티베트를 가다” 편의 중국어판 제목이 원작자의 허락 없이 “땡땡, '''중국의''' 티베트를 가다”로 변경되어 출판이 일시 중단되는 사건이 있었다.[139]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이후, 특히 2011년부터는 중국 정부의 통치에 항의하는 티베트 승려들의 자기 분신이 잇따르면서 국제적인 우려를 낳고 있다.[140]
현재 티베트 망명 정부의 최고 지도자(시늉)는 총리 펜파 체링(Penpa Tsering)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에 대한 티베트인들의 저항 운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티베트 독립 운동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
2008년 3월, 티베트 전역에서 달라이 라마를 지지하는 세력의 시위가 대규모로 발생했으며, 이는 중국 경찰에 의해 강경하게 진압되었다(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이 사태로 인해 최소 203명이 사망하고 1,000명 이상이 부상했으며, 5,715명 이상이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156] 달라이 라마는 중국 정부가 티베트에서 "문화적 대량학살(제노사이드)"을 자행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157] 국제 사회에서도 중국 정부의 무력 진압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오히려 티베트 독립을 주장하는 세력에 대한 단속을 대폭 강화했으며, 특히 시위의 중심지였던 라싸의 독립 운동 세력은 큰 타격을 입었다.
=== 농노 해방 기념일 제정 논란 ===
2009년 1월 19일, 중국 정부가 통치하는 티베트 자치구 인민대표대회는 1959년 달라이 라마 14세가 인도로 망명한 이후 티베트가 중국의 통치하에 들어간 것을 기념한다는 명목으로 매년 3월 28일을 “농노 해방 기념일”로 지정했다.[158][159]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과거 티베트 사회의 봉건적 착취로부터 농노들이 해방되었다고 주장하지만, 티베트 망명 정부는 “농노 해방”이라는 용어 자체가 중국의 통치를 정당화하고 티베트인들의 역사를 왜곡하려는 시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160]
=== 티베트족의 저항과 중국의 탄압 ===
2010년 10월 19일, 중국 칭하이성 퉁런현에서는 티베트족 고등학생 약 5,000명에서 9,000명이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최근 교육 개혁으로 모든 과목을 중국어로 이수하도록 강요하는 정책에 반발하며 “민족과 문화의 평등을 요구한다”고 외쳤다.[161]
2011년 3월, 중국 쓰촨성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에서 한 젊은 승려가 중국 정부의 통치에 항의하며 분신한 사건을 계기로, 승려와 시민들의 항의 시위와 분신이 티베트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62] 이러한 비극적인 저항 방식은 국제 사회의 큰 우려를 샀다. 미국 국무부는 2011년 11월, 티베트족 승려들의 연이은 분신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중국 정부에 티베트족에 대한 “비생산적인 정책”의 수정을 요구했다.[140]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이러한 분신 항거를 “인도에 있는 티베트 망명 정부의 지시를 받은 테러 행위”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난했고,[163] 분신을 도왔다는 혐의로 다른 승려에게 징역 13년이라는 중형을 선고하기도 했다.[164] 중국 관영 매체인 인민일보는 달라이 라마가 분신을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 기사를 실었으며,[165] 영국 가디언지가 티베트 상황을 동정적으로 보도하자 주영 중국 대사관이 “왜곡 보도”라며 항의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166]
미국 정부는 티베트 인권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2011년 10월에는 미 의회와 행정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중국에 관한 의회・정부 위원회”가 연례 보고서를 통해 티베트 문제를 지적했으며,[167] 11월 3일에는 미 의회 톰 랜토스 인권 위원회가 티베트 인권 탄압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167] 이 공청회에서는 티베트 망명자들이 직접 증언에 나서 언론의 자유와 종교·사상의 자유 탄압, 강제 임신 중절 등 중국 당국의 인권 침해가 더욱 심각해졌다고 고발했다.[167] 일부 미 의원들은 중국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하며, 티베트가 본래 중국과 다른 국가였으며 중국 당국이 민족 청소를 시도하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167]
2012년 들어서도 티베트인들의 항의성 분신은 계속되었다.[168][169] 1월 8일에는 칭하이성 고록 티베트족 자치주에서 전생 라마인 소남 왕걀이 분신하자, 중국 당국이 그의 시신을 강제로 수습하려 했고 이에 2,000여 명의 티베트인이 격렬하게 항의하며 시신 반환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169] 미국 국무부는 이러한 연이은 분신 사태에 대해 다시 한번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169] 1월 14일에는 응가바 지역에서 분신한 젊은 티베트인의 시신을 중국 경찰이 발로 차고 구타하는 등 모욕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분노하여 항의하는 티베트인들에게 중국 무장경찰이 발포하여 2명이 총상을 입는 일까지 벌어졌다.[169]
같은 해 1월, 중국 정부는 티베트족에게 전통적인 티베트 설날 대신 중국식 설날을 기념하도록 강요하고,[170] 마오쩌둥,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등 역대 중국 공산당 지도자 4명의 초상화 100만 장을 티베트 자치구 내 사원과 가정에 의무적으로 걸도록 지시했다.[170] 이러한 강압적인 문화 정책에 대한 반발로 1월 23일,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루허현에서 대규모 항의 시위가 발생했다.[170] 자유 티베트 등 인권 단체에 따르면,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는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적으로 발포했으며,[170][171] 이로 인해 최소 2명에서 최대 6명이 사망하고 60명 이상이 부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170][172] 분노한 시위대는 주변의 중국 상점과 시설을 파괴하며 저항하기도 했다.[173][174] 무장경찰의 발포에 항의하는 시위 규모는 5,000명까지 불어났다.[170] 같은 날 아바현에서도 평화적인 시위를 벌이던 승려들이 중국 치안 부대에 의해 폭행당하고 체포되었다.[170] 중국 외교부는 이러한 사건들을 "진실을 왜곡하고 중국 정부의 신용을 훼손하려는 해외 분열주의자들의 시도"라며 티베트인들과 망명 정부를 비난했다.[175]
유혈 충돌은 계속 이어졌다. 1월 24일에는 쓰촨성 서다현에서도 시위대와 중국 치안 부대가 충돌하여 수십 명이 총상을 입었으며, 망명 정부는 이 과정에서 5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170] 1월 26일에는 양탕현에서 중국 경찰이 티베트 군중에게 발포하여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70] 미국 국무부는 1월 24일 성명을 통해 중국 치안 부대의 발포와 티베트 승려들의 분신에 대해 재차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중국 정부의 티베트 정책을 “티베트족의 종교, 문화, 언어의 존속을 위협하는 비생산적인 정책”이라고 비판하며 티베트족의 인권 존중과 중국 무장경찰대의 자제를 요구했다.[177]
중국 대중들 사이에서는 티베트인에 대한 동정 여론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2] 반면, 같은 해 1월 인도의 부다가야에서 달라이 라마가 주관한 칼라차크라 관정 의식에는 중국인 1,500명이 참여하기도 했다.[172] 중국 정부는 이 행사에 티베트인들이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권 발급을 중단했지만, 실제로는 8,000명의 티베트인이 이 의식에 참여했다.[169]
=== 샤론 스톤 발언 논란 ===
미국의 배우 샤론 스톤은 2008년 5월 25일 제61회 칸 영화제에서 홍콩 방송과의 인터뷰 중 쓰촨 대지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발언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중국의 티베트인에 대한 태도, 타인에게 동정심을 갖지 못하는 중국의 대응에 우려하고 있습니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이것은 '''업보'''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무언가 나쁜 일을 했을 때, 나쁜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 있잖아요? 저는 티베트 정부로부터 쓰촨 대지진 희생자들에게 지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중국의 도움을 받고 싶어합니다. 눈물이 멈추지 않았습니다. 비록 누군가가 불친절했다 할지라도, 사람들을 위해 헌신해야 한다는 것, 항상 겸손하게 배워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185][186]
이 발언은 홍콩과 중국 본토에서 거센 비난을 받았으며, 이능정, 홍금보, 장쯔이, 장만옥 등 중화권 유명 배우들도 비판에 가세했다.[187][188][189] 인터넷상에서는 샤론 스톤이 출연한 영화와 그녀가 광고 모델로 활동하던 디올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벌어졌다.[190][191] 샤론 스톤은 29일 사과했지만, 크리스챤 디올은 결국 중국 내 광고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8. 2. 한국과의 관계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참조
[1]
서적
Contemporary Tibet: Politics, Development and Society in a Disputed Region
Routledge
2005
[2]
학술지
Urbanizing Minority Minzu in the PRC: Insights from the Literature on Settler Colonialism
https://figshare.com[...]
2021-03-16
[3]
웹사이트
Altitude sickness may hinder ethnic integration in the world's highest places
https://www.princeto[...]
Princeton University
2021-03-06
[4]
웹사이트
Geology of the Tibetan Plateau
http://oak.ucc.nau.e[...]
2010-02-24
[5]
웹사이트
What is the highest point on Earth as measured from Earth's center?
https://oceanservice[...]
[6]
서적
Change, Conflict and Continuity among a Community of Nomadic Pastoralist: A Case Study from Western Tibet, 1950–1990
1994
[7]
서적
In fear of China
1969
[8]
뉴스
Q&A: China and the Tibetans
https://www.bbc.com/[...]
2011-08-15
[9]
웹사이트
Tibet's only hope lies within
http://sites.google.[...]
The Asia Times
2011-05-07
[10]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Tibet
http://news.bbc.co.u[...]
2010-12-11
[11]
뉴스
China Adds to Security Forces in Tibet Amid Calls for a Boycott
https://www.nytimes.[...]
2009-02-18
[12]
웹사이트
China: Tibetan Detainees at Serious Risk of Torture and Mistreatment
https://www.hrw.org/[...]
2008-03-19
[13]
웹사이트
Bon
http://www.religionf[...]
[14]
웹사이트
2020年西藏自治区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s://www.neac.gov[...]
[15]
서적
1987
[16]
서적
The Triple System of Orography in Ptolemy's Xinjiang
Harrassowitz
2009
[17]
웹사이트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Common Chinese Characters
http://www-personal.[...]
2001-03-30
[18]
웹사이트
Tubote, Tibet, and the Power of Naming
https://sites.google[...]
[19]
서적
Narratives of the Mission of George Bogle to Tibet and the Journey of Thomas Manning to Lhasa
Manjushri Publishing House
1971
[20]
서적
Stephan V.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book review)
E.J. Brill
1994
[21]
서적
2006
[22]
서적
2006
[23]
서적
Essay towards a Dictionary, Tibetan and English.
Baptist Mission Press
1834
[24]
서적
Faith & Philosophy of Jainism
Gyan Publishing House
[25]
학술지
Mitochondrial genome evidence reveals successful Late Paleolithic settlement on the Tibetan Plateau
[26]
서적
1989
[27]
서적
2003
[28]
서적
The Treasury of Good Sayings: A Tibetan History of B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2005
[29]
서적
The Origin of the Tibetan Kingdom
2003
[30]
서적
The First Tibetan Empire
Cognoscenti Books
2011
[31]
서적
1987
[32]
간행물
Nanchao and Tibet in South-western China and Central Asia
1978
[33]
서적
A Corpus of Early Tibetan Inscriptions
Royal Asiatic Society
1985
[34]
서적
China's Tibet Policy
Psychology Press
[35]
서적
[36]
서적
Rossabi 1983
[37]
서적
Norbu, Dawa (2001)
[38]
서적
Laird 2006
[39]
서적
The Historical Status of China's Tibet
2000
[40]
서적
Istoriya Tibeta s drevneishikh vremen do nashikh dnei
Russian Acad. Sci. Publ.
[41]
서적
Goldstein 1997
[42]
서적
Goldstein 1997
[43]
서적
Goldstein 1997
[44]
간행물
The Sino-Indian Border Disputes
The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Quarterly
1960-01
[45]
서적
Goldstein 1989
[46]
서적
Goldstein 1997
[47]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Shanghai
1912
[48]
웹사이트
What was Tibet's status during China's Qing dynasty (1644–1912)?
http://stason.org/TU[...]
Stason.org
2012-08-26
[4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50]
서적
Teltscher 2006
[51]
서적
Smith 1996
[52]
서적
Tibet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05
[53]
서적
Shakya 1999
[54]
웹사이트
ltwa.net
http://ww38.ltwa.net[...]
[55]
서적
One and All: The Logic of Chinese Sovereign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4
[56]
서적
The Historical Status of China's Tibet
2000
[57]
서적
Himalayan Battleground: Sino-Indian Rivalry in Ladakh
https://archive.org/[...]
Praeger
1963
[58]
서적
The Search for the Panchen Lama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01
[59]
서적
China's good war : how World War II is shaping a new nationalism
https://www.worldcat[...]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
[60]
웹사이트
The 17-Point Agreement
https://web.archive.[...]
[61]
서적
Freedom in Exile
Harper San Francisco
1991
[62]
웹사이트
1.Chinese Communist Troops in Tibet, 2. Chinese Communist Program for Tibet
https://www.cia.gov/[...]
2017-02-10
[63]
웹사이트
Notes for DCI briefing of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on 28 April 1959
https://www.cia.gov/[...]
2017-02-10
[64]
서적
Governing China's Multiethnic Frontier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65]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China : Tibetans
http://www.refworld.[...]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014-04-23
[66]
서적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a world report
Routledge
2003
[67]
잡지
As Tibet Goes...
Mother Jones
1990-01
[68]
뉴스
Leadership shake-up in China's Tibet: state media
http://www.france24.[...]
France 24
2010-07-29
[69]
웹사이트
plateaus
http://science.natio[...]
2009-05-16
[70]
웹사이트
Circle of Blue, 8 May 2008 China, Tibet, and the strategic power of water
http://www.circleofb[...]
Circleofblue.org
2010-03-26
[71]
웹사이트
The Water Tower Function of the Tibetan Autonomous Region.
https://web.archive.[...]
Futurewater.nl
2012-08-26
[72]
웹사이트
China to spend record amount on Tibetan water projects.
http://english.peopl[...]
English.people.com.cn
2011-08-16
[73]
웹사이트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s://web.archive.[...]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04
[74]
웹사이트
Extreme Temperatures Around the World
http://www.mherrera.[...]
2013-02-21
[75]
웹사이트
55591: Lhasa (China)
https://ogimet.com/c[...]
OGIMET
2022-03-28
[76]
웹사이트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s://web.archiv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5-04-11
[77]
웹사이트
Leh Climatological Table Period: 1951–1980
https://web.archive.[...]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4-04
[78]
논문
The Evolution of Suidae
Annual Reviews
2016-02-15
[79]
서적
China and Tibet in the Early XVIIIth Century: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Protectorate in Tibet
https://books.google[...]
[80]
서적
Enchantment of the World: Tibet
Children's Press
[81]
웹사이트
Globalization To Tibet
http://www.tibetjust[...]
2013-07-10
[82]
웹사이트
Tibet Environmental Watch – Development
https://web.archive.[...]
Tew.org
2010-03-26
[83]
웹사이트
China TIBET Tourism Bureau
https://web.archive.[...]
2009-03-07
[84]
서적
(출처 미상)
[85]
서적
Intrugues and Devoutness
Brampton
[86]
서적
Tibet mort ou vif
[87]
뉴스
Tibet's economy depends on Beijing
https://www.npr.org/[...]
NPR News
2002-08-26
[88]
웹사이트
How Xi Can Solve The Tibet Problem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4-01-11
[89]
뉴스
In pictures: Tibetan nomads
http://news.bbc.co.u[...]
BBC News
[90]
논문
Yartsa Gunbu (Cordyceps sinensis) and the Fungal Commodification of Tibet's Rural Economy
2008-11
[91]
뉴스
China opens world's highest railway
https://web.archive.[...]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5-07-01
[92]
뉴스
China completes railway to Tibet
http://news.bbc.co.u[...]
2005-10-15
[93]
뉴스
Dalai Lama Urges 'Wait And See' On Tibet Railway
http://arquivo.pt/wa[...]
Deutsche Presse Agentur
2006-06-30
[94]
뉴스
Valuable mineral deposits found along Tibet railroad route
https://www.nytimes.[...]
2007-01-25
[95]
웹사이트
China Says 'Sabotage' by Dalai Lama Supporters Set Back Tibet
https://www.bloomber[...]
2009-01-16
[96]
뉴스
China to achieve leapfrog development, lasting stability in Tibet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english
[97]
웹사이트
Lhasa Economic & Technology Development Zone
https://web.archive.[...]
RightSite.asia
2010-12-31
[98]
웹사이트
Population Transfer Programmes
https://archive.toda[...]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2010-07-29
[99]
웹사이트
Tibet's population tops 3 million; 90% are Tibetans
https://web.archive.[...]
Xinhua News Agency
2011-05-04
[100]
서적
A Short History of Buddhism
Oneworld
[101]
뉴스
Tibetan monks: A controlled life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3-20
[102]
웹사이트
Tibet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http://voyage.typepa[...]
[103]
뉴스
The last of the Tibetans
https://archive.toda[...]
Los Angeles Times
2008-03-26
[104]
뉴스
Tibet's Buddhist Monks Endure to Rebuild a Part of the Past
https://query.nytime[...]
1987-06-14
[105]
서적
(출처 미상)
[106]
서적
A History of Modern Tibet: Volume 2 The Calm before the Storm, 1951–19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7]
문서
Avalokitesvara, Chenrezig
[108]
웹사이트
USCIRF 2020 Annual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s
https://www.uscirf.g[...]
United State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20-04-00
[109]
뉴스
China raises new militias of Tibetan youth, deploys 1st batch in Chumbi Valley
https://www.hindusta[...]
2021-06-22
[110]
서적
Kapstein 2006
[111]
서적
Stein 1972
[112]
서적
Lhasa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apital of the Dalai Lamas
BRILL
[113]
서적
The Exploration of Tibet: History and Particulars, Tibet, The Mysterious
Cosmo Publications, Alston Rivers
[114]
서적
The Jesuits and The Great Mogul
Burns, Oates & Washbourne Ltd.
[115]
서적
Lettera del P. Alano Dos Anjos al Provinciale di Goa, Zaoqi Chuanjiaoshi jin Zang Huodongshi
Zhongguo Zangxue chubanshe
[116]
서적
Zaoqi Chuanjiaoshi jin Zang Huodongshi
[117]
서적
Narratives of the Mission of George Bogle to Tibet, and of the Journey of Thomas Manning to Lhasa
Cosmo Publications
[118]
서적
Stein 1972
[119]
웹사이트
When Christianity and Lamaism Met: The Changing Fortunes of Early Western Missionaries in Tibet
http://www.pacificri[...]
Pacificrim.usfca.edu
[120]
뉴스
BBC News Country Profiles Timeline: Tibet
http://news.bbc.co.u[...]
2009-11-05
[121]
서적
Lettera del P. Antonio de Andrade. Giovanni de Oliveira. Alano Dos Anjos al Provinciale di Goa, Zaoqi Chuanjiaoshi jin Zang Huodongshi, The Jesuits and The Great Mogul
[122]
서적
Early Jesuit Travellers in Central Asia, 1603–1721
Nijhoff
[123]
서적
The Jesuits and The Great Mogul, An Account of Tibet
[124]
서적
Relação da Missão do Reino de Uçangue Cabeça dos do Potente, Zaoqi Chuanjiaoshi jin Zang Huodongshi, Luelun Tianzhujiao zai Xizang di Zaoqi Huodong
Xizang Yanjiu
[125]
웹사이트
Yunnan Province of China Government Web
http://www.eng.yn.go[...]
[126]
서적
Kapstein 2006
[127]
뉴스
Going undercover, the evangelists taking Jesus to Tibet
https://www.theguard[...]
2013-02-21
[128]
웹사이트
Muslims of Tibet
http://www.tibet.com[...]
1994-01-00
[129]
간행물
The Ritual Music of Tibet
[130]
학술지
A Brief Introduction of Tibet Seasonal Festival Folklore
2007-00-00
[131]
문서
『元史』、『明史』、『庭聞録』など。詳細は準備中
[132]
웹사이트
圖博(西藏)
https://www.tahr.org[...]
[133]
서적
中国が隠し続けるチベットの真実
扶桑社
[134]
문서
中国では通常この範囲を「蔵区」、「蔵族地区」、「西蔵和其他蔵区」と呼ぶが、この範囲を単一の行政区画とするよう求めるチベット亡命政府やダライラマを批難、批判する場合には「大チベット区」という用語が用いられている。2-2節参照。
[135]
서적
多田等観:チベット大蔵経にかけた生涯
春秋社
[136]
서적
はかりきれない世界の単位
株式会社創元社
2017-06-20
[137]
문서
2012 年「西藏自治区統計年鑑
[138]
뉴스
2008-03-14
[139]
서적
チベット
創元社
[140]
뉴스
中国にチベット政策の改善要求 米報道官 僧侶らの焼身自殺相次ぐ
https://web.archive.[...]
2011-11-05
[141]
문서
ウィーン宣言及び行動計画、第1部第11項
[142]
웹사이트
チベットの核
http://www.tibethous[...]
ダライ・ラマ法王日本代表部事務所
2012-02-11
[143]
뉴스
1984年2月18日、「ワシントン・ポスト」
ワシントン・ポスト
1984-02-18
[144]
문서
書類には輸送物が中国語で「川の沈泥」を意味する「ヘニ」と記載されていた。
[145]
뉴스
1991年4月18日、新華社通信
新華社通信
1991-04-18
[146]
간행물
核とチベッ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キャンペーン・フォア・チベット
2019-04-16
[147]
뉴스
1993年11月10日付のロイター通信
ロイター通信
1993-11-10
[148]
문서
甘粛省投棄センターの容量は、当初、6万立方メートルだったが、20万立方メートルにまで拡張された。中国核国営公社のユー・ディリャンは甘粛省投棄センター建設費は100億元(12億5千万ドル)になると語っている。
[149]
뉴스
1995年7月19日付の新華社通信
新華社通信
1995-07-19
[150]
뉴스
1997年5月28日付AFPの報道
AFP
1997-05-28
[151]
서적
チベットの核 チベットにおける中国の核兵器
日中出版
[152]
웹사이트
チベットの核汚染-チベットの核兵器
http://tibet.turigan[...]
2019-04-16
[153]
웹사이트
Da Qaidam - China Nuclear Forces
https://www.globalse[...]
2019-04-16
[154]
웹사이트
Xiao Qaidam - China Nuclear Forces
https://fas.org/nuke[...]
2019-04-16
[155]
웹사이트
Delingha - China Nuclear Forc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9-01
[156]
뉴스
チベット騒乱「死者203人」 亡命政府が発表
朝日新聞
2008-04-29
[157]
뉴스
CNN2008年3月16日記事
CNN
2008-03-16
[158]
뉴스
産経新聞 2009年1月19日
産経新聞
2009-01-19
[159]
뉴스
チベット自治区:3月28日を「農奴解放記念日」に制定
https://web.archive.[...]
2009-01-19
[160]
웹사이트
「農奴解放記念日」は真実を歪曲する試み - チベット亡命政府
http://www.tibethous[...]
ダライ・ラマ法王日本代表部事務所
2009-01-20
[161]
뉴스
チベット族生徒数千人が中国語教育に抗議デモ 青海省で
http://sankei.jp.msn[...]
2010-10-20
[162]
웹사이트
四川省のチベット寺院で衝突か、若い僧侶の焼身自殺がきっかけ
http://news.searchin[...]
2011-04-17
[163]
뉴스
相次ぐチベット僧侶自殺を憂う
http://sankei.jp.msn[...]
2011-11-26
[164]
뉴스
新華社
2019-04-16
[165]
웹사이트
相次ぐチベット僧の焼身自殺、ダライ氏らを批判―人民日報
https://web.archive.[...]
2011-11-25
[166]
웹사이트
チベット僧の焼身自殺:中国が英国紙に抗議「歪曲報道だ」
https://web.archive.[...]
2011-11-29
[167]
뉴스
ワシントン・古森義久 チベットへの弾圧、米議会が糾弾
https://web.archive.[...]
2011-11-05
[168]
뉴스
僧侶ら2人焼身自殺図る チベット族、計14人に 中国政府統治に抗議
https://web.archive.[...]
2012-01-07
[169]
간행물
チベットがいま、燃えている
https://wedge.ismedi[...]
2012-01-31
[170]
뉴스
今チベットで何が起こっているのか知ってほしい 抗議デモへの無差別発砲に日本政府は沈黙
2012-02-01
[171]
웹사이트
One Tibetan shot dead, many more injured in Draggo
https://www.freetibe[...]
2019-04-16
[172]
간행물
チベット人の正月は中国の正月にあらず
https://wedge.ismedi[...]
2012-01-25
[173]
웹사이트
チベット人の抗議デモに中国警察が発砲、死傷者多数=当局は通信遮断を敢行(tonbani)
http://kinbricksnow.[...]
2012-01-24
[174]
뉴스
四川炉霍県発生聚集、打砸事件
http://news.xinhuane[...]
2012-01-24
[175]
뉴스
「真実歪曲」と中国 チベット族と警察衝突で
http://sankei.jp.msn[...]
2012-01-24
[176]
웹사이트
チベット人の抗議デモと発砲事件=セルタ、タンゴ、ンガバの現状(tonbani)
http://kinbricksnow.[...]
2019-04-17
[177]
뉴스
米国務次官、チベット情勢で中国を批判「深刻な懸念」
http://sankei.jp.msn[...]
2012-01-25
[178]
웹사이트
成田安輝(なりた あんき)とは
https://kotobank.jp/[...]
2019-04-17
[179]
서적
帝国陸軍見果てぬ「防共回廊」
祥伝社
2019-04-17
[180]
서적
なぜダライ・ラマは重要なのか
講談社
2008
[181]
웹사이트
対談 「チベットの今と私たち」 ペマ・ギャルポ×中沢新一 (下)
http://pemagyal.coco[...]
2019-04-17
[182]
영화
農奴
[183]
웹사이트
看不见的西藏~唯色: 重又放映《农奴》,又能洗脑多少?
http://woeser.middle[...]
2019-04-17
[184]
웹사이트
映画『雪の下の炎』公式サイト
https://www.uplink.c[...]
2019-04-17
[185]
뉴스
Sharon Stone: Was China quake 'bad karma?'
http://ap.google.com[...]
[186]
비디오
Sharon Stone calls China quakes "karma" for tibetans
http://www.youtube.c[...]
YouTube
2010-01-24
[187]
뉴스
シャロン・ストーンさんに批判集中 地震とチベット問題絡め
https://web.archive.[...]
2008-05-26
[188]
뉴스
Anger over star's quake remarks
http://news.bbc.co.u[...]
[189]
뉴스
Sharon Stone: Was China quake 'bad karma?'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 The Associated Press
2008-05-28
[190]
뉴스
女優S・ストーン「地震は報い」発言謝罪も、中国人90%は「受け入れず」
https://www.afpbb.co[...]
2008-05-30
[191]
뉴스
Actress Stone and Dior Differ Over Apology
https://www.nytimes.[...]
2008-06-01
[192]
뉴스
“兵庫のチベット”三田はなぜ冷える? 県内最低値の日数は6割超(神戸新聞)
https://www.kobe-np.[...]
2019-02-13
[193]
웹사이트
Inside Tibet
http://news.bbc.co.u[...]
2008-03-07
[194]
문서
나찰녀가 나타나 원숭이와 결혼한 내용
[195]
웹사이트
Science News Vol.160(pdf 파일)
http://paleo.sscnet.[...]
2008-07-03
[196]
서적
Tibeto-Burman Phylogeny and Prehistory: Languages, Material Culture and Genes
[197]
서적
Examining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hypothesis
2003
[198]
논문
C. Uni. of Indiana Diss.
1977
[199]
서적
The Tibetan Empire in Central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200]
서적
A Corpus of Early Tibetan Inscriptions
Royal Asiatic Society
1985
[201]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2, 1972
[202]
서적
A Corpus of Early Tibetan Inscriptions
Royal Asiatic Society
1985
[203]
뉴스
Deemed a road to ruin, Tibetans say Beijing rail-way poses latest threat to minority culture
http://www.tibetanli[...]
Boston Globe
2002-08-26
[204]
서적
Politics of Culture: A Study of Three Kirata Communities in the Eastern Himalayas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205]
서적
Mustang: A Lost Tibetan Kingdom
https://books.google[...]
Book Faith India
[206]
문서
계몽사-학습그림사회
계몽사
[207]
웹사이트
Inside Tibet - Religion
http://news.bbc.co.u[...]
2007-10-18
[208]
웹사이트
Tibetan alphabet, pronunciation and language
http://www.omniglot.[...]
[209]
웹사이트
中 최대 경제지역은 광둥…티베트는 성장률 최고
https://www.yna.co.k[...]
2021-09-27
[210]
문서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211]
문서
오세아니아에 속한 영토
[212]
문서
아시아에 속하지만 유럽으로 분류되는 지역
[213]
문서
아프리카에 속한 영토
[214]
문서
중동 지역 이슬람 국가들에 의해 인정된 지역 (유엔 옵서버 국가)
[215]
문서
유럽에 속한 영토
[216]
문서
중화인민공화국 특별행정구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시진핑, 집권뒤 두번째 티베트 방문…자치구 60주년 행사 참석
체코 대통령, 달라이 라마 접견에 중국 ‘발끈’…“악질적 도발”
남부 시간당 50㎜ ‘강한 비’…다음주 후반 다시 폭염 기승
90살 달라이 라마 “후계자, 티베트가 정한다”…중국과 대립각
기상청 "올여름 평년보다 더울 듯…비 많거나 비슷"
올해도 '최악 폭염' 오나…기상청 "올여름 평년보다 더울 듯"
중국 “사이버공격 미국 NSA 요원 3명 수배”…실명도 공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