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발국민혁명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발국민혁명운동(MRND)은 1975년 르완다 쿠데타 이후 하비아리마나가 창당한 정당으로, 르완다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인 정당이었다. 1978년 헌법을 통해 유일 정당 지위를 확립하고 모든 시민이 자동적으로 당원이 되도록 했다. 하비아리마나는 대통령 선거에서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되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MRND가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1991년 야당이 합법화된 후 당명을 변경했으나, MRND의 청년 조직인 인테라함웨가 투치족 학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94년 하비아리마나 대통령 사망 이후, MRND는 르완다 애국 전선에 의해 축출되고 금지되었다. MRND는 사회적으로 보수적이고 반공주의적인 이념을 표방했으며, 하비아리마나 정권은 투치족을 인종적으로 차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해산된 정당 - 신생당
    신생당은 1993년 하타 쓰토무를 중심으로 자유민주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이 창당한 일본의 정당이며, 중의원 선거에서 55석을 얻어 호소카와 내각과 하타 내각에 참여했으나, 일본사회당의 연립 이탈과 무라야마 내각 출범 이후 야당으로 전락하여 1994년 신진당에 합류하며 해산되었다.
  • 1994년 해산된 정당 - 일본신당
    일본신당은 호소카와 모리히로가 1992년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정치 개혁과 55년 체제 타파를 목표로 1993년 중의원 선거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호소카와 내각 구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정책 혼선과 내부 갈등으로 1994년 해산되었음에도 일본 정치에 큰 변화를 가져온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 금지된 극우 정당 - 라푸아 운동
    라푸아 운동은 1929년 핀란드에서 반공주의, 루터교,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시작되어 좌파 및 노동계 활동을 방해했으나, 과격한 행보로 인해 불법화되었다.
  • 금지된 극우 정당 - 검은 백인대
    검은 백인대는 1905년경 러시아에서 발생한 극우 반혁명 단체들의 총칭으로, 차르 정권의 지원 아래 반혁명 운동, 반유대주의 선동, 포그롬 등의 폭력 및 테러를 자행하며 "정교, 전제, 민족성"을 표방하고 러시아 정교회와 황제에 대한 충성을 강조했다.
개발국민혁명운동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르완다 국장 (1962-2001)
르완다 국장 (1962-2001)
프랑스어 명칭Mouvement révolutionnaire national pour le développement
영어 명칭National Revolutionary Movement for Development
한국어 명칭개발을 위한 국민 혁명 운동
약칭MRND
창립일1975년 7월 5일
해산일1994년 7월 15일
창립자쥐베날 하브자리마나
본부키갈리, 르완다
후계 정당르완다 해방 민주군 (공식적인 후계 정당으로 간주되지 않음)
전신 정당파르메후투
신문캉구라
라디오RTLM (라디오)
청년 조직인테라함웨
지도부
초대 총재쥐베날 하브자리마나 (1975–1994)
2대 총재테오도르 신디쿠브와보 (1994)
부총재에두아르 카레메라
이념 및 정치 성향
주요 이념후투 파워, 전체주의, 사회보수주의, 반공주의
정치적 위치극우
관련 정보
관련 인물쥐베날 하브자리마나
이전 깃발
민주주의와 발전을 위한 국민 공화 운동 (MRND) 깃발
민주주의와 발전을 위한 국민 공화 운동 (MRND) 깃발

2. 역사

쿠데타로 집권한 하비아리마나는 1975년 7월 5일, 개발국민혁명운동(MRND)을 창당하고 전체주의 국가를 수립했다.[3][4] 이전 정당인 파르메후투는 금지되었으며, MRND는 르완다의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다.[5] 1978년 국민투표를 통해 새로운 헌법이 승인되었고, 모든 르완다 시민은 자동적으로 MRND 당원이 되었다.[6][7]

1978년, 1983년, 1988년 대통령 선거에서 하비아리마나는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되었다.[8] 1981년, 1983년,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MRND는 모든 의석을 차지했다.

1991년 야당이 합법화된 후 당명을 변경하였다. MRND의 청년 조직인 인테라함웨는 르완다 집단학살에서 투치족 학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5] 1994년 하비아리마나 대통령 사망 이후, MRND의 강경파는 집단학살의 주요 설계자로 지목되었다. 폴 카가메가 이끄는 투치족 중심의 르완다 애국 전선(RPF)이 르완다를 장악하면서, MRND와 공화국 방어 연합(CDR)은 1994년 7월 권력에서 축출되고 금지되었다.[9]

3. 이데올로기

하비아리마나는 온건파로 묘사되었지만,[18][19] 그와 그의 정권은 투치족을 인종적으로 차별했다.(전임자들보다는 덜 극단적이었지만)[19][20] 사회적 의제를 발전시켰고[21] 반공주의를 표방했다.[22] 프로파간다 방식을 사용하고, 투치족에 대한 인종 차별을 했다고 전해진다.(전임자들보다는 덜했지만)[11][12] 보수적인 사회 의제를 추진했으며,[13] 반공주의적이었다.[14] 선전 수법을 사용했고, 투치족을 민족적으로 차별했다고 전해진다. (전임자만큼 극단적이지는 않았다.) 또한, 하비아리마나는 반공산주의자였다.

4. 구조

하비아리마나는 MRND의 대표였으며, 공화국 대통령의 유일한 후보였다. 입법부 선거에서는 두 명의 MRND 후보가 경쟁하는 방식이었지만, 실질적인 권력은 하비아리마나와 MRND에 집중되어 있었다.[1]

5. 선거 역사

1978년 국민투표에서 새 헌법이 승인되면서 개발국민혁명운동(MRND)은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고, 모든 르완다 시민은 자동적으로 MRND 당원이 되었다.[6][7]

1978년 주베날 하비아리마나가 유일한 후보로 출마한 대통령 선거가 치러져 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8] 1981년에는 64개 의석마다 두 명의 MRND 후보가 경쟁하는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하비아리마나는 1983년과 1988년에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1983년(국회 의석 70석으로 확대)과 1988년에 국회의원 선거가 같은 방식으로 치러졌다.

5. 1. 대통령 선거

1978년, 1983년, 1988년 대통령 선거에서 주베날 하비아리마나는 각각 98.99%, 99.97%, 99.98%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선거득표율결과
1978년98.99%당선
1983년99.97%당선
1988년99.98%당선


5. 2. 국회의원 선거

선거의석결과
1981년64석개발국민혁명운동(MRND) 유일 합법 정당
1983년70석개발국민혁명운동(MRND) 유일 합법 정당
1988년70석개발국민혁명운동(MRND) 유일 합법 정당


참조

[1] 웹사이트 Peasant Ideology and Genocide in Rwanda Under Habyarimana https://www.files.et[...] 2019-10-30
[2] 서적 Never again?: Rwanda and the World Martinus Nijhoff Publishers
[3] 서적 From War to Genocide: Criminal Politics in Rwanda, 1990–1994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15
[4] 서적 Narrating genocide on the streets of Kigali Routledge
[5] 서적 Political party bans in Rwanda 1994–2003: three narratives of justification Routledge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wanda Scarecrow Press
[7]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Rwandaise du 20 décembre 1978 http://mjp.univ-perp[...]
[8] 웹사이트 Elections in Rwanda http://africanelecti[...]
[9] 서적 In the Aftermath of Genocide: The U.S. Role in Rwanda iUniverse
[10] 서적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United Nations in an evolving world ord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1] 서적 Powerless by Design: The Ag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12] 서적 Radio Propaganda and the Broadcasting of Hatred: Historical Development and Definitions Palgrave Macmillan
[13] 서적 Sub-Saharan Africa Routledge
[14] 서적 International Development from a Kingdom Perspective WCIU Press
[15] 간행물 アカズ人名録
[16] 웹인용 Peasant Ideology and Genocide in Rwanda Under Habyarimana https://www.files.et[...] 2019-10-30
[17] 서적 Never again?: Rwanda and the World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8] 서적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United Nations in an evolving world ord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 서적 Powerless by Design: The Ag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20] 서적 Radio Propaganda and the Broadcasting of Hatred: Historical Development and Definitions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1] 서적 Sub-Saharan Africa Routledge
[22] 서적 International Development from a Kingdom Perspective WCIU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