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공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공주의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이념과 운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산업혁명 시기 노동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어, 프랑스 혁명, 제1·2 인터내셔널, 파리 코뮌 등을 거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의 등장과 함께 반공주의는 본격화되었으며, 냉전 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국제 정치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 반공주의는 보수주의, 자본주의, 파시즘, 개인주의, 민주주의 등 다양한 입장에서 주장되었으며,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아나키즘, 자유주의 등에서도 반공주의적 입장이 나타났다. 20세기에는 나치 독일, 일본 제국 등에서 반공주의가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냉전 종식 이후에도 중국, 쿠바, 북한 등 공산주의 국가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반공주의는 문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념 - 트랜스휴머니즘
트랜스휴머니즘은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인간 조건을 개선하려는 지적, 문화 운동으로, 수명 연장, 질병 극복, 인지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하며, 사회적, 윤리적 논쟁과 함께 20세기 후반부터 국제적 조직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이념 - 대세르비아
대세르비아주의는 세르비아가 주변 지역, 특히 인근 국가의 세르비아인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18세기 이후의 민족주의 이념으로, 영토 확장 구상, 영향력 확대 목표,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갈등 원인으로서의 역할을 거쳐 최근에는 "세르비아 세계"라는 개념으로 이어지고 있다. - 사상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사상 - 사대주의
사대주의는 강한 세력을 숭배하고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자국의 것을 낮춰 보는 태도로, 문화 사대주의는 자국 문화를 낮게 평가하고 강대국의 문화를 동경하여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주체적인 문화 정체성 확립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보수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법치주의, 강력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중시하며, 경제 개입주의를 옹호하는 경향과 소득 재분배에 대한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LGBT 권리와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으나 1987년 민주화 이후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 보수주의 - 에드먼드 버크
에드먼드 버크는 172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정치인, 철학자, 작가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으로서 보수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고 전통, 질서, 점진적 개혁을 강조했다.
반공주의 | |
---|---|
기본 정보 | |
유형 | 반대 |
대상 | 공산주의 |
관련된 것 | 반사회주의, 반마르크스주의, 반레닌주의, 반스탈린주의, 반마오주의, 반트로츠키주의, 반제국주의 |
역사 | |
기원 | 19세기 중반 |
주요 사건 | 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동구권 몰락 |
주요 특징 | |
이념적 반대 |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반대, 사회주의에 대한 반대, 공산당에 대한 반대 |
정치적 반대 | 일당제에 대한 반대, 전체주의에 대한 반대, 독재정치에 대한 반대, 국가 통제 경제에 대한 반대 |
경제적 반대 | 계획 경제에 대한 반대, 국유화에 대한 반대, 집산화에 대한 반대 |
사회적 반대 | 계급 투쟁에 대한 반대, 무신론에 대한 반대, 개인주의 옹호 |
관련된 개념 | |
반공주의 | 반볼셰비즘, 반소비에트주의, 매카시즘, 적색 공포 |
연관된 이념 | 보수주의, 자유주의, 민족주의, 파시즘, 나치즘 |
주요 인물 | |
반공주의자 | 베니토 무솔리니 아돌프 히틀러 프란시스코 프랑코 윈스턴 처칠 해리 S. 트루먼 로널드 레이건 마거릿 대처 이승만 장제스 |
조직 및 단체 | |
반공주의 조직 | 반코민테른 협정, 자유 유럽 방송 |
반공주의 국가 | 미국, 영국, 서독, 대한민국, 대만 |
영향 | |
국내 정책 | 반공주의 운동, 매카시즘, 적색 공포 |
국제 관계 | 냉전, 한반도 분단, 베트남 전쟁 |
2. 역사
반공주의는 공산주의 사상이 등장한 19세기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그 역사는 공산주의의 역사만큼이나 길다고 할 수 있다. 초기에는 격화되는 노동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되었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본격적인 정치 이념 및 운동으로 발전했다.
공산주의 운동 내부에서도 비판과 분화가 있었다. 사회주의 제2인터내셔널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세력이 분리되어 제3인터내셔널을 형성하자, 남은 사회민주주의자들은 공산주의의 반민주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비판하며 거리를 두었다. 독일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프랑스의 보리스 수바린, 영국의 조지 오웰, 미국의 바이어드 러스틴, 어빙 하우, 맥스 샤흐트만 등 많은 좌파 지식인과 활동가들이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와 정당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미국의 주요 노동조합인 미국노동총연맹(AFL)은 일찍부터 확고한 반공 노선을 견지했으며, 상대적으로 좌파 성향이 강했던 산업별 조합 회의(CIO) 역시 1947년 공산주의자들을 제명하고 반공주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3][4] 영국 노동당은 1930년대 당내 침투하려는 공산주의자들에 맞서 싸웠으며, 클레멘트 애틀리 총리 시절에는 NATO 창설을 강력히 지지하는 등 반공주의적 외교 노선을 취했다.[5]
무정부주의 진영에서도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특히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국가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측면에 반대하는 무정부주의자들이 존재했으며, 산업화 자체에 비판적인 원시주의적 무정부주의나 녹색 무정부주의 등 일부 분파는 공산주의를 비판했다.[6]
가톨릭교회는 오랜 반공주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교황 비오 9세는 1864년 회칙 「콴타 쿠라」(en)에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가장 치명적인 오류 중 하나로 규정했다.[336] 스페인 내전 당시 가톨릭교회는 공산주의 세력이 포함된 공화파 정부의 종교 탄압에 반발하며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국민파를 지지했고, 이는 프랑코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 폴란드 출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공산주의 정권 하의 폴란드 민주화 운동인 연대를 지지하며 공산주의를 강력히 비판했다.[335]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도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과 고발이 이어졌다. 러시아의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수용소 군도』,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등을 통해 소련의 강제 수용소인 굴락의 참상을 전 세계에 알렸다. 아서 쾨슬러는 『정오의 어둠』에서, 조지 오웰은 『동물농장』과 『1984년』에서 스탈린주의 하의 공포 정치와 전체주의 사회를 비판적으로 묘사했다. 루마니아 출신의 독일 작가 헬타 뮐러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독재 정권 하의 암울한 현실과 소수 민족 박해를 작품에 담아내 200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351][352]
이처럼 반공주의는 다양한 이념적 배경을 가진 세력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 보수주의: 급진적인 사회 혁명에 반대.
- 자본주의: 사유재산과 시장경제의 폐지에 반대.
- 파시즘: 계급투쟁과 국제주의에 반대. (파시즘과 나치즘은 반공주의를 내세웠으나, 동시에 극단적인 폭력성과 전체주의적 성격을 보였다.)
- 개인주의: 전체주의적 통제에 반대.
- 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포함):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인권 억압에 반대.
- 아나키즘: 권위주의와 중앙집권적 통제에 반대.
반공주의는 다양한 선전 활동을 통해 확산되기도 했다. 나치 독일이나 백군 운동의 선전 포스터부터 시작하여, 냉전 시대에는 수많은 반공 영화와 노래가 제작되었다.
구분 | 제목 | 제작 국가/주체 | 연도 | 비고 |
---|---|---|---|---|
영화 | The Whip Hand영어 | 미국 | 1951 | [355] |
I Was a Communist for the FBI영어 | 미국 | 1951 | [355] | |
Walk East on Beacon영어 | 미국 | 1952 | [355] | |
Big Jim McLain영어 | 미국 | 1952 | [355] | |
노래 | 온워드 블랙셔츠 (Onward Blackshirts) | 영국 파시스트 연맹 | - | 죠비네짜 곡 차용 |
히틀러루테 (Hitlerleute) | 나치 독일 | - | 죠비네짜 곡 차용 | |
러시아 파시스트당 당가 | 러시아 파시스트당 | - | 대성당 행진곡 곡 차용 | |
경축대회기념가 | 지둥 방공자치정부 | 1936 | [356] | |
일독이 방공 트리오 | 일본 제국 | 1938 | 일독이 방공 협정 관련 | |
멸공의 횃불 | 대한민국 | 1970년대 추정 | 군가 | |
반공진행곡 | 중화민국 | 1950 | 중화문예장금위원회 제작 | |
The Red We Want Is The Red We've Got영어 | 엘튼 브릿 (미국) | 1950 | [357] | |
No, No, Joe영어 | 행크 윌리엄스 (미국) | 1950 | [357] | |
Ain't I Right영어 | 마티 로빈스 (미국) | 1966 |
2. 1. 초기 반공주의 운동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반공주의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러시아 혁명 시기로 간주되지만, 넓은 의미에서 사회주의 전체에 대한 반대는 산업혁명 무렵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기 반공주의는 격화되는 노동운동에 대응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19세기 중반 영국 등 서유럽에서는 러다이트 운동과 같은 노동자와 자본가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노사 대립이 심화되었다.1789년 프랑스 혁명 당시, 계몽사상에 기반한 평등주의를 내세운 혁명 정부와 왕당파 및 반혁명 세력 간에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했다. 혁명 정부 내에서도 급진적인 자코뱅파, 특히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는 프랑수아 노엘 바부프는 현대적 의미의 "공산주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공포 정치를 이끌었다. 이에 맞서 영국의 사상가 에드먼드 버크는 그의 저서 「프랑스 혁명의 성찰」을 통해 보수주의적 입장에서 혁명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다.
1864년 결성된 제1인터내셔널 내부에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자들과 그들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비판하는 다수파 아나키스트들 사이에 갈등이 있었고, 결국 아나키스트들이 제명되는 결과를 낳았다.
1871년에는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이념에 영향을 받아 세계 최초의 노동자 정권으로 평가받는 파리 코뮌이 수립되었다. 하지만 자본가 계급을 중심으로 한 반공 세력은 코뮌의 영향력이 주변국으로 확산되는 것을 경계하며 군사적 압력을 가했고, 결국 파리 코뮌은 단기간에 진압되었다.

이후 혁명적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세력은 제2인터내셔널을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반면, 각국 정부는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을 억압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했다. 대표적인 예로 독일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 총리가 제정한 사회주의자 탄압법과 일본의 마쓰카타 마사요시 내각 시기에 제정된 치안경찰법 등이 있다. 이러한 법률들은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을 탄압하는 법적 근거로 활용되었다.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반공주의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윈스턴 처칠과 같은 서구 정치 지도자들은 혁명의 국제적 확산을 심각하게 우려했으며,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여 반혁명 세력인 백군을 지원하는 등 즉각적인 반공 행동에 나섰다. 일본 또한 시베리아 출병을 단행하여 백군을 지원하고 반혁명 운동에 관여했다.[275] 이러한 국제적 개입은 이후 냉전 시대로 이어지는 국제적인 반공주의 연대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
2. 2. 러시아 혁명과 반공주의 확산 (1917년 ~ 1945년)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가 탄생하면서, 이를 저지하려는 반공주의 운동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혁명 직후 볼셰비키 정권이 실시한 프롤레타리아 독재, 반대파 탄압과 숙청, 적색 테러 등은 국내외적으로 강한 비판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275] 카를 카우츠키는 레닌주의의 "일당 독재"를 비판했고, 로자 룩셈부르크는 "초중앙집권주의"라고 비판했다.러시아 내전 (1917년-1922년) 동안 볼셰비키(적군)에 맞서 싸운 백군은 다양한 정치 세력의 연합체였다. 여기에는 공화주의적 자유주의자, 케렌스키주의 사회민주주의자부터 군주주의자, 국수주의적 검은 백인대까지 포함되어 있었다.[29] 군사적 패배 이후 백군 운동은 망명 러시아인 공동체 내에서 지속되었다.

서방 국가들과 일본 제국 등은 혁명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개입했다. 특히 일본은 시베리아 출병 (1918년-1922년)을 단행하여 백군을 지원했다.[275] 일본은 그리골리 세묘노프와 같은 백군 지도자들을 지원하고[275], 블라디보스토크 등지에서 반혁명 활동을 도왔다.[275] 1918년에는 중화민국과 일중 공동 방적 군사 협정을 체결하여 공동으로 볼셰비키 세력에 대응하고자 했다. 그러나 니항 사건 (1920년)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도 발생했으며,[276] 극동 공화국을 완충 국가로 만들려는 시도[277]도 실패했다. 일본 내에서는 시베리아 철병 반대와 반공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이 있었고[279][280], 이는 훗날 1925년 치안유지법 제정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일본은 이후 만주사변 (1931년)을 일으키고 만주국 (1932년)을 수립하는 등 만주 지역에서 반공주의 정책을 강화했다.
독일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자유군단과 같은 우익 준군사조직이 1918-1919년 공산주의 혁명 시도를 진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28] 이들은 로자 룩셈부르크와 카를 리프크네히트 암살에도 책임이 있으며, 훗날 나치즘의 부상에 영향을 미쳤다.[28]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끈 파시즘 역시 공산주의 혁명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성장했으며,[32] 1922년 로마 진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했다. 나치 독일 또한 공산주의자들을 주요 탄압 대상으로 삼아 박해하고 강제 수용소에 감금했다.[33][34][35]


1936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은 코민테른(국제 공산주의 조직)에 공동으로 대항한다는 명목 아래 방공 협정을 체결했다. 이는 사실상 소련을 겨냥한 군사 동맹의 성격을 띠었다.[302][303] 같은 해 발발한 스페인 내전 (1936년-1939년)에서는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국민파(반란군)가 가톨릭교회의 지지를 받으며 공산주의자 및 아나키스트 등이 포함된 공화파와 격돌했다. 나치 독일과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프랑코의 국민파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영국에서는 1930년대 상류층을 중심으로 반공주의 정서가 강했으며,[30] 프랑스에서도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가 단독으로 독일과 강화(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를 맺고 채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 등에 대한 반감으로 반소 감정이 확산되었다.[305]
이처럼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반공주의는 러시아 내전 개입, 파시즘과 나치즘의 발흥, 방공 협정 체결, 스페인 내전 개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국제 정치의 주요 갈등 축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 3. 냉전 시대의 반공주의 (1945년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주의 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진영 간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냉전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반공주의는 국제 정치의 주요 이념이자 정책 기조로 부상했다. 윈스턴 처칠은 1946년 "철의 장막" 연설을 통해 소련과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의 폐쇄성을 비판하며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데 영향을 주었다. 대만으로 이전한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는 반공항러(反共抗俄, 공산주의에 반대하고 러시아에 저항함) 정책을 추진했다.
미국에서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반공주의 열풍이 최고조에 달했다. 이른바 매카시즘으로 불리는 이 시기에는 할리우드 블랙리스트가 작성되고, 하원 비미 활동 위원회(HUAC)가 활동했으며, 상원의원 조지프 매카시가 주도한 육군-매카시 청문회가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또한 극우 반공 단체인 존 버치 협회가 결성되기도 했다. 전직 소련 스파이였던 휘태커 체임버스는 HUAC에서 동료 스파이들에 대해 증언했으며,[21] 벨라 도드 역시 미국의 주요 반공주의자 중 한 명이었다. 1949년에 출판된 책 《실패한 신》은 루이스 피셔, 앙드레 지드, 아서 쾨슬러, 이냐치오 실로네, 스티븐 스펜더, 리처드 라이트 등 과거 공산주의자였던 여러 유명 작가와 언론인들이 공산주의에 환멸을 느끼고 전향하게 된 경험을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23]
냉전 시대 미국의 외교 정책은 반공주의를 핵심 기조로 삼았다. 미국은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막기 위해, 반공 성향을 표방하는 정권이라면 군사 정권이나 독재 정권이라도 경제적,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칠레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남베트남의 응오딘지엠, 대한민국의 박정희와 전두환,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만의 장제스,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프랑코,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 이란의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니카라과의 소모사 가문 등이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반면, 민주적 절차를 통해 수립된 정권이라도 친소련 성향으로 간주될 경우, 미국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여 전복시키는 사례도 있었다.
동구권 내부에서도 반공주의 움직임과 비판이 존재했다. 유고슬라비아의 공산당 간부였던 밀로반 질라스는 이후 저명한 반체제 인사 및 공산주의 비판가로 활동했다.[18] 폴란드의 레셰크 콜라코프스키 역시 공산주의자였으나 이후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특히 3권으로 구성된 저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Main Currents of Marxism)으로 유명한 반공주의자가 되었다.[19][20]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에스테르곰 대주교 요제프 민젠티는 반공 저항의 상징적 인물이었으나, 혁명 실패 후 부다페스트 주재 미국 대사관에 피신해야 했다. 그는 이후에도 공산 정권의 탄압을 비판하는 활동을 이어갔다.[339] 전직 KGB 요원이었던 아나톨리 골리친과 올레크 칼루긴, 소련군 장성이자 역사학자였던 드미트리 볼코고노프 등은 소련 체제 내부의 문제를 폭로하거나 블라디미르 레닌과 레닌주의를 비판하는 저술 활동을 했다. 소설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수용소 군도』,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등을 통해 소련의 강제 수용소(굴라크) 실상을 고발하여 197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1974년 소련에서 추방되었다. 루마니아 출신의 독일 작가 헬타 뮐러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하 공산주의 루마니아의 참담한 현실과 소수민족 박해를 묘사한 작품으로 200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351][352] 소련과 동구권에서는 정부의 검열을 피해 손으로 필사하거나 타자기로 복사하여 문서를 유통시키는 사미즈다트 방식이 반체제 활동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또한, 미국의 소리(VOA), 자유유럽방송(RFE), BBC 월드 서비스 등 서방의 라디오 방송은 소련과 동구권의 전파 방해 시도에도 불구하고[353] 공산권 내부에 정보를 전달하고 반공 정서를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354]
연합군 점령하의 일본에서는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 내 정보부(G2) 사령관 찰스 윌로비 소장 주도로 반공 활동이 전개되었으며, 이는 민정국(GS)과의 대립을 낳기도 했다. GHQ 주도로 공직이나 기업에서 공산주의자들을 추방하는 레드 퍼지가 단행되었다.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로 주권을 회복한 후에는 파괴활동방지법이 제정되고 공안조사청이 설치되어 일본 공산당 및 관련 단체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졌다. 1955년에는 좌우로 분열되었던 일본사회당이 재통합하고, 이에 위기감을 느낀 보수 세력이 자유당과 일본민주당을 합당하여 자유민주당을 창당하는 보수합동이 이루어져, 이른바 55년 체제가 확립되었다. 1960년에는 일본사회당에서 니시오 스에히로 등 우파가 분리되어 민사당을 결성했고, 전일본노동총동맹(동맹)과 같은 반공 성향의 노동조합은 박정희 정권이나 피노체트 정권과 같은 해외의 반공 독재 정권을 지지하기도 했다.
1970년대 서유럽의 공산당들 사이에서는 소련 모델과 거리를 두고 의회 민주주의를 수용하는 유로코뮤니즘 경향이 나타났다. 일본 공산당 역시 1970년 제11차 당 대회 이후 유사한 노선을 채택했다. 1980년대에는 미국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의 레이거노믹스, 영국 마거릿 대처 행정부의 대처리즘으로 대표되는 신보수주의(뉴라이트)가 부상했다. 이들은 기존 보수주의보다 더 강력한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작은 정부'를 지향했다. 이 시기 일본에서는 자민당, 민사당, 공명당 간의 협조 체제(자공민 노선)가 강화되면서 일본 공산당을 배제하는 정치 구도가 형성되었다.
가톨릭교회는 전통적으로 반공주의 입장을 견지해왔다. 특히 폴란드 출신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폴란드 연대(Solidarność) 운동을 지지하며 공산주의를 강하게 비판했다.[335] 대한민국에서 발원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은 국제승공연합을 창설하는 등 냉전 시기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활발한 반공 활동을 전개했으며, 이는 해당 국가들의 정치권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1989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소련의 통제가 약화되자 동유럽에서 민주화 요구 시위가 확산되었다. 이는 1989년 혁명으로 이어져 베를린 장벽 붕괴를 시작으로 각국의 공산주의 정권이 연이어 붕괴되는 결과를 낳았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냉전 시대는 공식적으로 종식되었고,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산주의 세력의 약화와 반공주의 담론의 변화를 가져왔다.
2. 4. 냉전 이후의 반공주의 (1991년 ~ 현재)
유럽 평의회 의원회는 2006년 1월 25일 채택한 제1481호 결의를 통해, 20세기에 존재했고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권력을 유지하고 있는 전체주의적 공산주의 정권들이 예외 없이 대규모 인권 침해를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인권 침해에는 강제 수용소, 인위적 기근, 고문, 노예 노동, 집단학살, 민족적·종교적 박해, 언론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 침해 등이 포함된다. 결의안은 이러한 범죄들이 계급투쟁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원칙의 이름으로 정당화되었으며, 나치즘의 범죄와 달리 국제 사회의 심판을 받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유럽 평의회는 공산주의 체제의 범죄를 강력히 규탄하고 희생자들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이 윤리적 책무임을 강조했다.[328] 2009년 3월, 유럽 의회는 매년 8월 23일을 '20세기 나치와 공산주의자들의 범죄를 기억하는 유럽 기념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329]
중국에서는 1999년 4월, 1만 명이 넘는 파룬궁 수련자들이 중국 공산당 중앙 본부인 중난하이 인근에서 평화 시위를 벌였다.[340][341][342] 이에 중국 정부는 두 달 후 파룬궁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탄압을 시작했으며, 대대적인 선전 활동을 통해 파룬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켰다.[343][344][345] 1999년 이후 중국 내 파룬궁 수련자들은 고문,[346] 불법 감금,[347] 구타, 강제 노동, 강제 장기 적출, 정신과적 학대 등에 시달리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8][349] 이에 파룬궁 측은 ''에포크타임스'', NTDTV, 션윈 예술단 등을 설립하여 중국 공산당의 탄압 실상을 알리고 반공주의적 입장을 표명하며 저항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350]
한국에서 시작된 신흥종교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은 국제승공연합을 창설하는 등 반공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내세우며 활동해왔다. 통일교는 냉전 시기 미국과 일본 등지로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반공주의를 내세워 각국의 정치 엘리트들과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이러한 반공 노선은 냉전 종식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
3. 주요 반공주의 운동 및 조직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 운동이나 독일의 자유군단과 같은 초기 반공주의 무장 조직들이 등장했으며, 이는 이후 등장할 다양한 반공주의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전쟁 중에는 파시즘과 나치즘 정권이 강력한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공산주의자들을 탄압하고, 반코민테른 조약을 통해 국제적인 반공 연대를 구축하기도 했다.
냉전 시기 반공주의는 더욱 조직화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매카시즘과 같은 극단적인 반공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으나, 이는 자유주의 진영 내에서도 많은 비판을 받았다. 존 버치 협회와 같은 보수적인 반공 단체들도 활동했다.
소련과 동구권 내부에서는 사미즈다트와 같은 지하 출판 활동을 통해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과 저항이 이어졌다. 또한 미국의 소리(VOA), 자유유럽방송(RFE) 등 서방 국가들의 라디오 방송은 철의 장막 너머로 정보를 전달하며 반공 정서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353][354]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문학 작품이나 조지 오웰의 소설처럼 문학과 예술을 통한 공산주의 비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한 후, 특히 구소련 및 동구권 국가들에서 새로운 반공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1990년대 초 러시아에서는 보리스 옐친의 권력 장악 과정에서 러시아의 선택, 안정, 정의, 진보를 위한 시민연합, 건설적 생태운동, 러시아 민주 개혁운동, 존엄과 자비, 러시아의 여성 등 30개가 넘는 반스탈린주의 선거 블록이 등장했다. 이들 대부분은 선거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에도 반공주의에 대한 지지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소련의 스탈린주의 정책을 비판했다.
국제적으로도 반공주의 연대를 위한 조직들이 결성되었다. 1937년 일본에서는 히라누마 기이치로, 고노에 후미마로 등을 고문으로 하여 국제반공연맹이 결성되어 반공 서적 출판 등의 활동을 벌였다.[307][308] 1966년 중화민국(대만)에서는 장제스의 주도로 세계자유민주연맹이 창설되어 국제적인 반공 연대 활동을 펼쳤다.
유럽 평의회 의원회는 2006년 결의를 통해 전체주의적 공산주의 정권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고 희생자들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표명했으며,[328] 2009년 유럽 의회는 8월 23일을 '유럽 스탈린주의와 나치즘 희생자 추모의 날'로 지정하기도 했다.[329]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반공주의 메시지가 전파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The Whip Hand영어, I Was a Communist for the FBI영어, Walk East on Beacon영어, Big Jim McLain영어 등 다수의 반공주의 영화가 제작되었으며,[355] 컨트리 음악을 중심으로 "멸공의 횃불" (한국), "반공항오가" (중화민국), Ain't I Right영어 (미국) 등 반공주의를 주제로 한 노래들도 다수 만들어졌다.[357]
3. 1. 좌익 반공주의
공산당이 사회주의 제2인터내셔널에서 분리되어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제3인터내셔널을 형성한 이후, 사회민주주의자들은 공산주의의 반자유주의적 성격을 비판해왔다.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와 정당을 비판한 좌파 인사로는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Boris Souvarine프랑스어, 조지 오웰, 바이어드 러스틴, 어빙 하우, Max Shachtman영어 등이 있다. 미국의 노동조합인 미국노동총연맹(American Federation of Labor)은 항상 강력한 반공주의 노선을 취했다. 좌파 성향이 더 강했던 산업별 노동조합 회의(Congress of Industrial Organizations)는 1947년 공산주의자들을 제명했고, 그 이후 확고한 반공주의 입장을 유지했다.[3][4] 영국에서는 노동당(Labour Party)이 1930년대 공산주의자들의 당 잠입 및 지역 조직 장악 시도에 강력히 저항했다. 노동당은 반공주의적 입장을 취하게 되었고, 클레멘트 애틀리 노동당 총리는 NATO의 강력한 지지자였다.[5]
아나키즘 사상의 한 갈래로 아나르코공산주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아나키스트들도 존재한다. 반공산주의 아나키스트로는 공산주의의 산업화 필요성과 인지되는 권위주의적 성격을 비판하는 아나르코원시주의자(Anarcho-primitivist) 및 기타 녹색 아나키스트(Green anarchist) 등이 있다.[6]
3. 2. 자유주의적 반공주의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은 《공산당 선언》에서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제시한 사유재산 폐지, 생산수단의 국유화 등 공산주의로 나아가는 조치들에 반대했다.[7]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마르크스의 제안을 토지와 생산 재분배를 위한 "10개 항 계획"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재분배는 본질적으로 강압적이라고 비판했다.[8] 마르크스의 10개 항 계획이나 선언문의 나머지 부분 어디에도 누가 그 계획을 실행할 권리가 있는지에 대한 언급은 없다.[9]밀턴 프리드먼과 같은 경제학자들은 자발적인 경제 활동이 없다면 억압적인 정치 지도자가 강압적인 권력을 쉽게 장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도 공유했는데, 이들은 모두 자본주의가 자유의 생존과 번영에 필수적이라고 믿었다.[10][11] 작가 아이언 랜드 역시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공익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부패하고 전체주의적인 경향을 보인다며 공산주의에 강력히 반대했다.[12][13]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자유주의 국제주의자들은 볼셰비키 정권에 대한 초기 반대를 형성했는데, 그들은 볼셰비키 정권이 독일과의 평화로 전쟁 노력을 배신하고, 이후 소련의 합병 지역이 자결권을 잃었다고 여겼다.[14] 나중에 1922년부터 시작된 스탈린 시대의 사법 살인과 소련의 다른 탄압에 대한 지식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자유주의적 반공산주의 합의로 이어졌고,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소련과의 동맹으로 일시적으로 사라졌다.[14] 역사가 리처드 파워스는 이 시대의 두 가지 주요 반공산주의 형태인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와 "반혁명적 반공주의"를 구분한다. 그는 반혁명주의자들이 우익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고립주의 전통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자들은 공산주의자들을 불충실하고 무관한 것으로 보여주기에 정치적 논쟁이 충분하다고 믿었지만, 반혁명적 반공주의자들은 공산주의자들을 폭로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믿었다.[14]
냉전 자유주의자들은 노동조합의 성장, 시민권 운동 및 빈곤과의 전쟁을 지지하는 동시에 해외의 공산주의를 전체주의로 여기고 반대했다. 따라서 그들은 소련 공산주의 및 다른 형태의 공산주의에 대한 봉쇄 노력을 지지했다.[15]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소련의 확장주의를 막기 위해 트루먼 독트린을 수립했다. 트루먼은 또한 미국의 초당적 외교 정책을 분열시켰다는 이유로 조지프 매카시를 "크렘린이 가진 가장 큰 자산"이라고 불렀다.[16] 에드워드 실스와 대니얼 패트릭 모이니한과 같은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자들은 매카시즘을 경멸했다. 모이니한의 말처럼, "매카시에 대한 반응은 공산주의가 서구 가치와 안보에 가하는 매우 실질적인 위협에 대한 어떤 논의도 무례하다고 여기는 유행하는 반 반공산주의의 형태를 취했다." 소련 스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베노나 프로젝트의 기밀 해제된 정보가 밝혀진 후, 모이니한은 이렇게 생각했다. "더 적은 비밀이 매카시즘 자체뿐만 아니라 매카시즘에 대한 자유주의적 과잉 반응을 막았을 수도 있을까?"
전후 서독을 시장 자유주의 민주주의로 이끈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는 소련이 "자유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국내외에 큰 영향을 미쳤다.[17]
3. 3. 과거 공산주의자들의 반공주의
밀로반 질라스(Milovan Djilassh)는 과거 유고슬라비아의 공산당 관리였으나, 이후 저명한 반체제 인사이자 공산주의 비판가가 되었다.[18] 폴란드의 공산주의자였던 레셰크 코와코프스키(Leszek Kołakowskipl) 역시 유명한 반공주의자로 전향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3권으로 구성된 저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Main Currents of Marxism영어)은 "20세기 정치 이론에 관한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19][20]1949년에 출판된 책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영어)은 작가나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여러 유명한 과거 공산주의자들의 증언을 담은 6개의 에세이를 모은 것이다. 이 에세이들은 저자들이 공산주의에 환멸을 느끼고 이를 포기하게 된 과정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다.[23] 이 책에 기고한 인물로는 루이스 피셔(Louis Fischer영어), 앙드레 지드(André Gide프랑스어), 아서 코에슬러(Arthur Koestler영어), 이냐치오 실로네(Ignazio Siloneit), 스티븐 스펜더(Stephen Spender영어), 리처드 라이트(Richard Wright영어) 등이 있으며, 이들 역시 한때 마르크스주의자였으나 반공주의자가 된 인물들이다.[23]
휘태커 체임버스(Whittaker Chambers영어)는 과거 소련을 위해 활동했던 스파이였으나, 이후 비미 활동 위원회(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영어) 앞에서 동료 스파이들에 대해 증언했다.[21] 그는 1952년 반공주의 회고록인 Witness|증언영어을 출판하여 반공주의 보수주의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14] 벨라 도드(Bella Dodd영어) 역시 미국의 반공주의자였다.
이들 외에도 한때 마르크스주의자였으나 반공주의자로 전향한 작가 및 지식인으로는 맥스 이스트먼(Max Eastman영어), 존 도스 패소스(John Dos Passos영어), 제임스 번햄(James Burnham영어), 모리 라이스킨드(Morrie Ryskind영어), 프랭크 마이어(Frank Meyer영어), 윌 허버그(Will Herberg영어), 시드니 후크(Sidney Hook영어)[22], 타자르 자발라니(Tajar Zavalanisq) 등이 있다.[23]
또한, 과거 사회주의, 자유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 성향을 가졌으나 이후 반공주의자가 된 인물로는 존 체임벌린(John Chamberlain영어)[24],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Hayekde)[25], 레이먼드 몰리(Raymond Moley영어)[26], 노먼 포도레츠(Norman Podhoretz영어), 데이비드 호로위츠(David Horowitz영어), 어빙 크리스톨(Irving Kristol영어) 등이 있다.[27]
소련의 전직 관리 중에서도 공산주의를 비판하며 돌아선 인물들이 있다. 아나톨리 골리친(Анатолий Голицын|Anatoliy Golitsynru)과 올레그 칼루긴(Олег Калугин|Oleg Kaluginru)은 모두 전직 KGB 요원이었으며, 특히 칼루긴은 장군 계급이었다. 소련 장군이었던 드미트리 볼코고노프(Дмитрий Волкогонов|Dmitri Volkogonovru)는 글라스노스트(гла́сность|glasnostru) 이후 소련 기록 보관소에 접근할 수 있게 되자, 레닌주의(Leninism영어) 이념을 비판하고 레닌(Ле́нин|Leninru) 숭배를 해체하는 내용의 전기를 저술했다.
3. 4. 반혁명 운동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과 세계 여러 지역을 휩쓴 일련의 혁명적 충동은 반혁명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역사학자 제임스 H. 빌링턴은 저서 《인간 마음속의 불꽃(Fire in the Minds of Men)》에서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의 쇠퇴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혁명에서 절정에 달한 혁명의 역사적 틀을 설명한다.
러시아 혁명 이후 망명한 러시아 백계 러시아인들, 특히 망명한 러시아의 자유주의자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적극적으로 반공산주의 활동을 벌였다.[29] 이들 중 다수는 백군 운동에 참여했는데, 이는 러시아 내전에서 공산주의 볼셰비키(적군)에 맞서 싸운 반공 세력의 느슨한 연합이었다. 백군 운동은 좌익의 공화주의적 자유주의자와 케렌스키 계열 사회민주주의자부터 군주주의자와 다민족 러시아 통합 지지자, 그리고 우익의 극우 민족주의 흑백백단까지 다양한 정치적 스펙트럼을 아우르는 큰 천막 운동의 성격을 띠었다. 내전에서 군사적으로 패배한 후, 백군 운동은 시베리아를 포함한 러시아 국경 안팎에서 반란군 조직으로 축소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무렵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전러시아군사연합과 러시아 연대주의자 전국 동맹 등 여러 단체를 통해 명맥을 유지했으며, 일부는 좁은 지지 기반을 가졌지만 1989년 혁명과 1990~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까지 해외 백계 공동체 내에서 존속했다. 이 망명 반공주의자 공동체는 종종 자유주의 성향과 보수 성향으로 나뉘었으며, 일부는 여전히 로마노프 왕조의 복고를 희망했다. 내전 중에는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과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 두 사람이 빈 왕좌를 주장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1930년대 상류층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외교 정책 엘리트들 사이에서 반공주의가 널리 퍼져 있었으며,[30] 특히 상류층 클라이번 집단은 강력한 반공주의 성향을 보였다.[31] 미국에서는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에 반공주의 열기가 최고조에 달했다. 이 시기 할리우드 블랙리스트가 작성되었고, 미국 비미국 활동 조사 위원회는 상원의원 조지프 매카시가 주도하는 매카시-육군 청문회를 텔레비전으로 중계했으며, 존 버치 협회가 결성되기도 했다.
3. 5. 파시즘과 반공주의
파시즘은 종종 유럽에서 일어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봉기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진다.[32] 베니토 무솔리니가 창시하고 이끈 이탈리아 파시즘은, 수년간 이어진 좌익 세력의 불안 속에서 많은 보수주의자들이 공산주의 혁명이 임박했다고 두려워하던 상황에서 권력을 잡았다. 나치 독일에서는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박해가 이루어졌으며,[33][34] 이들은 다하우와 같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진 최초의 집단 중 하나였다.[35][38]

유럽 전역에서 보수적인 지식인, 자본가, 산업가 등 많은 우익 및 극우 활동가들이 공산주의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에는 파시즘을 지지하는 여러 반공 정권과 단체들이 등장했다. 여기에는 스페인의 전통주의 팔랑헤당, 프랑스의 비시 정권과 볼셰비키즘에 저항하는 프랑스 자원 봉사단(베르마흐트 보병 연대 638), 그리고 남미의 아르헨티나 반공동맹과 브라질 전체주의 같은 운동들이 포함된다.
역사학자 이언 커쇼와 요아힘 페스트에 따르면, 1920년대 초 나치당은 독일 내 반공주의 운동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던 수많은 민족주의 및 파시스트 정당 중 하나에 불과했다. 나치당은 대공황 시기에 독일 공산주의 조직과의 거리 투쟁을 조직하면서 비로소 지배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하자, 그의 선전 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반코민테른" 조직을 설립하여 전 세계를 대상으로 볼셰비즘과 소련을 악마화하는 막대한 양의 반볼셰비키 선전물을 발행했다.[36]
1936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은 반코민테른 조약을 체결했다. 이탈리아는 1937년에 가입했으며, 핀란드와 스페인 등 추축국에 속하거나 관련된 다른 국가들이 1941년에 추가로 가입했다. 조약은 코민테른 활동에 대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 작전 계획을 규정했으며,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의 파괴적인 활동으로 국내 평화가 위협받는" 다른 국가들에게도 조약을 확대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37]
파시스트들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국가나 민족을 계급 투쟁으로 분열시킨다는 이유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모두를 비판하며, 제3의 길로서 계급 협조를 주장했다. 초기 소비에트 연방은 서방 열강과의 동맹을 모색하기도 했으나, 서방의 불신으로 실패하자 1939년 독일과 독소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1941년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파시즘과 공산주의는 협력 관계에서 적대 관계로 전환되었다.
3. 6. 나치즘과 반공주의
파시즘은 종종 유럽의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봉기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진다.[32] 이탈리아 파시즘은 베니토 무솔리니가 창시하고 이끌었으며, 좌익 불안이 수년간 지속되면서 많은 불만을 품은 보수주의자들이 공산주의 혁명이 불가피하다고 두려워하게 된 후 권력을 잡았다. 나치 독일의 학살과 살인에는 공산주의자 박해가 포함되었고,[33][34] 수용소로 보내진 최초의 사람들 중에도 공산주의자들이 있었다.[35]
유럽에서는 보수적 지식인, 자본가, 산업가를 포함한 많은 우익과 극우 활동가들이 공산주의의 목소리 높은 반대자였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에는 스페인의 전통주의 팔랑헤당, 프랑스의 비시 정권과 볼셰비키즘에 저항하는 프랑스 자원 봉사단(''베르마흐트'' 보병 연대 638), 남미의 아르헨티나 반공동맹과 브라질 전체주의 등 여러 다른 반공 정권과 단체들이 파시즘을 지지했다.
역사학자 이언 커쇼와 요아힘 페스트는 1920년대 초 나치가 독일의 반공 운동의 지도부를 놓고 경쟁하던 수많은 민족주의 및 파시스트 정당 중 하나에 불과했다고 주장한다. 나치는 대공황 기간 동안 독일 공산주의 조직과의 거리 싸움을 조직하면서 비로소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하자 그의 선전 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반코민테른"을 설립했다. 반코민테른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볼셰비즘과 소련을 악마화하기 위해 방대한 양의 반볼셰비키 선전을 발표했다.[36]
1936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은 반코민테른 조약을 체결했다. 이탈리아는 1937년 서명국으로 가입했고, 핀란드와 스페인과 같은 추축국 또는 추축국과 관련된 다른 국가들이 1941년에 가입했다. 조약 제1조에서 독일과 일본은 코민테른 활동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그러한 활동에 대한 작전을 공동으로 계획하기로 합의했다. 제2조에서 두 당사국은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의 파괴적인 활동으로 국내 평화가 위협받는" 다른 국가로 조약을 확대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제3자에 대한 이러한 초청은 양 당사국의 명시적인 동의를 얻은 후 공동으로 이루어질 것이다.[37]
공산주의자들은 나치에 의해 처음으로 탄압받은 사람들 중 하나였으며, 1933년 처음 문을 연 다하우 강제 수용소는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 및 기타 "국가의 적"들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었다.[38]
3. 7. 종교와 반공주의
공산주의의 무신론적 성격과 종교에 대한 탄압은 여러 종교 세력과의 갈등을 야기했으며, 이는 반공주의의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가톨릭교회는 교황 비오 9세부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이르기까지 교황들을 중심으로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가톨릭 기반의 반공 운동이 전개되었다.[41][43][42] 이탈리아의 기독교 민주당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 내의 반공 그룹 활동 등이 그 예이다.[44][47]
베트남의 불교 승려 틱후옌꽝이나 중국의 기독교 변호사 가오즈성처럼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직접적인 탄압을 경험한 종교인들이 반공 저항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39][50]
이슬람권에서도 소련의 중앙아시아 지역이나 일부 이슬람 국가 내에서 공산주의 세력과 이슬람 세력 간의 긴장과 충돌이 존재했다.[111]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이러한 갈등이 국제적으로 부각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인도 펀자브주의 시크교 일부 세력,[58] 중국에서 탄압받는 파룬궁 수련자들,[62] 그리고 한국에서 시작된 통일교(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81] 등 특정 종교 단체들도 각자의 교리나 역사적 경험에 따라 뚜렷한 반공주의적 입장을 보이거나 관련 활동을 전개했다.
각 종교와 반공주의의 구체적인 관계 및 활동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7. 1. 불교
틱후옌꽝은 저명한 베트남의 불교 승려이자 반공주의 저항 인사였다. 1977년 꽝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정권의 탄압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는 편지를 팜반동 총리에게 보냈다.[39] 이 때문에 그와 다른 다섯 명의 고위 승려들이 체포되어 구금되었다.[39] 1982년, 꽝은 국가 통제하의 베트남 불교 승가의 설립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후 정부 정책에 반대하여 체포되어 이후 가택연금되었다.[40] 틱꽝도는 베트남의 불교 승려이자 반공주의 저항 인사였다. 2008년 1월, 유럽 기반의 잡지 ''A Different View''는 틱꽝도를 세계 민주주의의 15인의 챔피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3. 7. 2. 기독교
가톨릭교회는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최근의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가톨릭교회는 현대 시대에 '공산주의'와 관련된 전체주의적이고 국가 무신론적인 이념들을 배격해 왔다. ... 중앙 계획에 의한 경제의 배타적 규제는 사회적 유대의 기반을 왜곡한다 ... [그러나,] 정의로운 가치관의 위계와 공공선에 대한 관점을 고려하여 시장과 경제적 계획을 합리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칭찬받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41]
교황 비오 9세는 1864년 회칙 콴타 쿠라에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가장 치명적인 오류라고 비판했으며,[4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역시 공산주의를 강력하게 비판했다.[42] 이러한 교황들의 반공주의적 입장은 이탈리아에서 알치데 데 가스페리가 1943년 창당한 중도 정당인 기독교 민주당(DC)에 의해 계승되었다. DC는 1993년 해산될 때까지 약 50년간 이탈리아 정치를 주도하며 이탈리아 공산당(PCI)의 집권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4][45][46]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45년부터 호주 노동당(ALP) 지도부가 B. A. 산타마리아가 이끄는 반공 로마 가톨릭 운동의 지원을 받아, 가톨릭 신자가 주요 지지 기반이었던 노동조합 내 공산주의 세력 확장에 대응했다. 노동조합 내 공산주의 침투에 맞서기 위해 산업 그룹이 결성되었고, 이들은 1954년까지 ALP 지도부의 지원 아래 활동했다.[47][48] 그러나 1954년 선거 패배 후, 연방 지도자 H. V. 에벗이 페트로프 사건과 관련하여 패배 원인을 그룹 회원들의 '파괴적' 활동 탓으로 돌리면서 ALP 내부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많은 그룹 회원들이 ALP에서 제명되어 민주노동당(DLP)을 결성했다. DLP는 ALP의 개혁과 공산주의 영향력 제거를 목표로 선호투표제를 통해 호주 자유당(LPA)을 지지했고, 이는 LPA가 20년 이상 집권하는 데 기여했다. 이 전략은 궁극적으로 성공하지 못했고 DLP는 1978년 해산했지만, 일부는 남아 활동을 이어갔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헝가리가 소련에 점령된 후 많은 성직자가 체포되었다. 특히 헝가리 가톨릭 교회 수장인 에스테르곰의 요제프 민젠티 대주교는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반역죄로 기소되어 1949년부터 1956년까지 고문과 재판을 받았다.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잠시 석방되었으나 혁명이 실패하자 부다페스트 주재 미국 대사관으로 피신하여 1971년까지 머물렀다. 이후 오스트리아로 망명한 그는 전 세계를 순회하며 헝가리인 공동체를 방문하고, 공산주의 정권의 잔혹 행위를 비판하는 활동을 이어갔다. 헝가리 정부의 압력으로 교황 바오로 6세는 그의 에스테르곰 대주교 직함을 박탈했지만, 그가 살아있는 동안 후임자를 임명하지는 않았다.[49]
중국의 기독교인 변호사 가오즈성은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로부터 공산주의 통치하 중국에 맞서는 "가장 끈기 있고 용감한 가시"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50] 그는 탄광 노동자, 이주 노동자, 정치 활동가, 기독교인, 파룬궁 수련자 등 종교적 신념 때문에 박해받는 이들을 변호하며 중국공산당(CCP)에 맞섰다.[51][52][53]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2006년 '국가전복 선동' 혐의로 3년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50] 결국 2011년 신장에 수감되었다.[52][54] 2014년 석방 후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으며, 2016년 출간한 회고록에서 고문과 독방 감금 경험, 그리고 기독교 신앙으로 이를 극복했음을 밝혔다.[55][50] 그는 신의 계시를 통해 2017년 중국 공산주의 통치가 끝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다.[56][57] 가오즈성은 2017년 8월 강제 실종되었으며, 2024년 4월 현재까지 그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54]
3. 7. 3. 시크교
인도 펀자브주에서는 시크교의 Damdami Taksal 계열이 공산주의에 반대했다. Damdami Taksal의 지도자였던 자르나일 싱 빈드란왈레의 영향으로 공산주의자가 되었던 시크교 청년들이 다시 시크교로 돌아와 칼사에 입문하면서 공산주의 세력은 약화되었다. 많은 공산주의자들은 Damdami Taksal 계열 및 다른 시크교 무장 세력에 의해 암살되었다.[58]3. 7. 4. 파룬궁

파룬궁 수련자들은 중국 공산당의 파룬궁 박해에 반대한다. 1999년 4월, 톈진에서 발생한 사건(사건) 이후 1만 명이 넘는 파룬궁 수련자들이 중국 공산당 본부인 중난하이 앞에서 침묵 시위를 벌였다.[59][60][61] 두 달 후, 중국 공산당은 파룬궁을 금지하고, 안전 조치를 강화하며, 파룬궁에 대한 선전 운동을 시작했다.[62][63][64] 1999년 이후 중국 내 파룬궁 수련자들은 고문,[62] 자의적 투옥,[65] 구타, 강제 노역, 장기 적출[66] 및 정신과적 학대를 당했다고 보고되었다.[67][68] 파룬궁은 자체 미디어 운동으로 대응했으며, 극우 성향의 ''에포크타임스'', 뉴 탕왕조 텔레비전 등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단체를 설립하여 공산당에 대한 저항의 중요한 목소리로 부상했다.[69]
파룬궁 활동가들은 구금 중 고문을 당했다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며, 구금 중 사망은 자연사나 치료 거부 등의 요인 때문이라고 주장한다.[70] 역사학자 데이비드 온비(David Ownby)는 중국 공산당 정부가 과거 제국들이 그래왔듯 지도자를 체포하고 재교육하는 방식으로 파룬궁과 같은 운동을 억압했다고 지적했다.[70]
서구 언론이 파룬궁에 대해 얻는 정보의 상당 부분은 파룬궁의 홍보 회사로 알려진 라클린 미디어 그룹(Rachlin media group)에서 배포된다는 주장도 있다.[70] 한편, 독일 해부학자 귄터 폰 하겐스의 인체 전시회가 파룬궁의 생체 장기 적출 주장과 관련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나, 하겐스는 전시된 인체가 중국에서 온 것이 아니라고 밝히며 관련성을 부인했다.[71][72] 중국 정부 관계자들 역시 파룬궁 회원들의 장기 적출 주장은 반중 인사들이 날조한 거짓이며 이미 반박되었다고 주장한다.[73]
2006년, 다수의 파룬궁 수련자들이 중국의 장기 이식 산업을 위해 살해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6][74] 캐나다 전 국무장관 데이비드 킬고어와 인권 변호사 데이비드 메이터스가 발표한 킬고어-메이터스 보고서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6년 동안 41,500건의 이식 수술의 출처가 설명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오늘날까지도 자의에 반하는 파룬궁 수련자들로부터 대규모 장기 압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66] 조사 저널리스트 에단 구트만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65,000명의 파룬궁 수련자가 장기 적출을 위해 살해되었다고 추산했다.[75][76][77]
2009년, 스페인과 아르헨티나의 법원은 파룬궁 탄압을 조직한 역할에 대해 중국 고위 관리들을 집단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혐의로 기소했다.[78][79][80]
3. 7. 5. 통일교
1940년대 통일교(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창시자 문선명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한국 독립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선공산당 당원들과 협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1950~1953) 이후 그는 공산주의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가 되었다.[81] 문선명은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 간의 냉전을 하나님과 사탄 사이의 최종 갈등으로 보았고, 분단된 한반도를 그 최전선으로 여겼다.[82] 통일교가 한국에서 미국, 일본 등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반공주의는 주요 목적 중 하나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통일교는 설립 직후부터 반공주의 단체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1966년 중화민국(대만) 타이베이에서 장개석이 설립한 세계자유민주연맹[83]과 자유아시아방송을 후원한 국제 공공외교 단체인 한국문화자유재단[84]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통일교의 반공 활동은 주류 언론과 대안 언론으로부터 제3차 세계 대전과 핵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 운동의 반공 활동은 일본의 우익 인사로 알려진 사사카와 료이치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85][86][87]
1972년 문선명은 그의 저서인 『원리강론』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공산주의의 몰락을 예언했다. 그는 "1917년에 시작된 공산주의는 약 60년 동안 유지되어 1978년에 정점에 달한 후 쇠퇴할 것이며, 70년째가 되는 해에 완전히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88] 1973년에는 공산주의를 대체하기 위해 "자동적인 신정정치"를 요구했으며,[89] 1975년에는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북한의 잠재적 군사 공격에 반대하는 정부 주최 집회에서 약 100만 명의 청중 앞에서 연설하기도 했다.[90]
1976년 문선명은 정치적 보수주의를 홍보하기 위해 워싱턴 D.C.에서 ''워싱턴 타임스'' 신문을 창간했다. 이는 한국, 일본, 남미 등에서 신문을 발행하는 국제 뉴스 미디어 대기업 뉴스월드커뮤니케이션즈의 일부였다. ''워싱턴 포스트''는 ''워싱턴 타임스''가 "문선명에 의해 공산주의에 맞서 싸우고, ''워싱턴 포스트''의 자유주의적 편향에 대한 보수적인 대안이 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보도했다.[91] 문선명의 측근인 박보희가 창립 회장 겸 이사회 의장을 맡았고,[92] 랍비이자 교수인 리처드 엘. 루벤스타인도 이사회에 참여했다.[93] ''워싱턴 타임스''는 일반적으로 친이스라엘적인 편집 정책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4] 2002년 창간 20주년 기념식에서 문선명은 "''워싱턴 타임스''는 하나님에 대한 진실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91]
1980년에는 뉴욕시에 본부를 둔 반공주의 교육 단체인 카우사 인터내셔널(CAUSA International)을 설립했다.[95] 카우사는 1980년대에 21개국에서 활동하며, 미국 내 복음주의 및 기독교 근본주의 지도자들을 위한 교육 회의,[96] 미국 상원 직원, 히스패닉계 미국인, 보수 활동가들을 위한 세미나 등을 후원했다.[97] 1986년에는 니카라과의 미스키토족 인디언과 니카라과 정부의 박해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Nicaragua Was Our Home'' 제작을 지원했다. 이 영화는 통일교 신자이자 후에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취재 중 사망한 리 샤피로가 촬영하고 제작했다.[98][99][100][101] 또한 카우사는 미국 의회가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자금 지원을 중단한 후, 콘트라 반군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 반군 지도자들의 항공편 비용을 지불하는 등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하기도 했다. 당시 CIA 보고서에 따르면, 반산디니스타 세력에 대한 물품 지원은 통일교를 비롯해 미국 정치인, 복음주의 단체, 전직 군 장교 등 다양한 출처에서 이루어졌다.[102][103][104][105]
1983년 일부 미국 회원들은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소련에 대한 공개 시위에 참여했다.[106] 1984년 통일교(HSA-UWC)는 워싱턴 D.C.에 싱크탱크인 워싱턴 공공정책 가치 연구소(Washington Institute for Values in Public Policy)를 설립하여 스탠퍼드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등에서 보수 지향적인 연구와 세미나를 지원했다.[107] 같은 해 회원 댄 페퍼먼은 버지니아주에서 정부 기관의 종교의 자유 위협에 항의하는 국제 종교 자유 연대(International Coalition for Religious Freedom)를 설립했다.[108] 1985년 8월 문선명이 설립한 세계평화교수협의회(Professors World Peace Academy)는 제네바에서 "공산 제국의 몰락 이후 세계 정세"를 주제로 한 회의를 후원했다.[109]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통일교 운동은 러시아를 비롯한 구소련 국가에서 광범위한 선교 활동을 장려했다.[110]
3. 7. 6. 이슬람
소련의 무슬림 지역(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에서는 공산주의적 이념과 사회 변혁에 대한 장애물로 여겨지는 이슬람 예배, 교육, 결사 및 순례 제도가 당국에 의해 억압받았다.[111] 이슬람 국가가 수립된 곳에서는 좌익 정치가 종종 신성 모독과 관련되어 금지되었다. 수단, 예멘, 시리아, 이라크, 이란과 같은 국가에서는 공산주의자 및 기타 좌익 정당이 이슬람주의자들과 권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111]소련에 의한 중앙아시아의 무슬림 칸국 예속 이후, 1978년 아프가니스탄 분쟁(1978년~1989년)까지 소비에트식 공산주의자들은 무슬림 주민들과 큰 교류가 없었고, 전통적인 무슬림 종교 지도자들은 무슬림 사회에서 공산주의자들의 영향력을 적대시했지만 설교를 넘어선 행동은 드물었다. 1978년 카불에서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의 성립 선언 이후, 내전은 점차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아프가니스탄의 반공산주의자 투쟁을 뿌리로 한 이슬람주의 이데올로기에 불을 지폈고, 서남아시아 지역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도 역사적으로 많은 무슬림이 존재하고 있으며, 신앙의 자유를 둘러싸고 중국 정부와의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4. 반공주의 문학
민주사회주의자였던 조지 오웰은 ''1984''와 ''동물 농장''이라는 두 편의 매우 널리 읽히고 영향력 있는 반전체주의 소설을 썼다. 두 작품 모두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 하의 소련을 암시한다.[112]
좌파 성향의 작가이자 과거 독일 공산당 당원이었던 아서 쾨슬러는 여러 작품을 통해 반공주의적 관점에서 혁명의 윤리를 탐구했다. 그의 초기 소설 3부작(''The Gladiators'', ''정오의 어둠'', ''도착과 출발'')은 유토피아적 목표가 혁명 정부가 종종 사용하는 수단을 정당화하지 못한다는 쾨슬러의 점증하는 확신을 보여준다. ''The Gladiators''는 로마 제국에서 스파르타쿠스가 이끈 노예 봉기를 러시아 혁명의 우화로 다루었으며, 모스크바 재판을 바탕으로 한 ''정오의 어둠''은 쾨슬러를 당대 가장 저명한 반공주의 지식인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113]
휘태커 체임버스는 미국의 전직 공산주의자로, 앨저 히스를 연루시킨 하원 비미 활동 위원회와의 협력으로 유명해졌다. 그는 1952년 반공주의 회고록 ''증인''을 출판했으며, 이 책은 "반공주의 보수주의자들의 주요 구호"가 되었다.[114]
러시아 작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그의 반공 소설 ''닥터 지바고''가 소련 내에서 금서였음에도 불구하고 밀반출되어 1957년 서방에서 출판된 후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소련 당국의 격렬한 비난 속에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115]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러시아의 소설가, 극작가, 역사가였다. 그의 저술, 특히 가장 잘 알려진 ''수용소 군도''와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는 소련의 강제 노동 수용소 체제인 굴라그를 세상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로 솔제니친은 197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1974년 소련에서 추방되었다. 그의 희곡 ''사랑하는 소녀와 순수한 자'' 역시 1945년 스탈린 시대 강제 수용소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수용소 시스템을 소련 내부의 독립된 국가에 비유하는 시각을 보여준다.
헤르타 뮐러는 루마니아 태생의 독일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다. 그녀는 억압적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하의 공산주의 루마니아에서의 혹독한 삶의 조건, 바나트 지역 독일인의 역사, 그리고 소련 점령군과 루마니아 공산주의 정권에 의한 독일계 루마니아인 박해 등을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다. 뮐러는 1990년대 초부터 국제적으로 알려졌으며, 그녀의 작품은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116][117] 클라이스트상(1994), 아리스테이온상(1995), 국제 더블린 문학상(1998), 프란츠 베르펠 인권상(2009), 노벨 문학상(2009) 등 20개가 넘는 상을 수상했다.[118]
아인 랜드는 자유방임주의 자본주의를 열렬히 지지했던 20세기 러시아계 미국인 작가이다. 그녀는 소설 ''우리 살아있는 자들''을 통해 러시아에서의 공산주의의 영향을 다루었다.[119]
리차드 웜브란트는 공산주의 루마니아에서 자신의 신앙 때문에 고문당한 경험에 대해 글을 썼다. 그는 공산주의를 악마의 음모로 규정하고 카를 마르크스가 악마에 사로잡혔다고 주장했다.[120]
5. 각국의 반공주의
반공주의는 특정 국가나 이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배경 속에서 나타났다. 공산주의의 확산과 볼셰비즘의 등장은 기존의 정치, 경제, 사회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었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여러 형태의 반공주의가 등장했다.
좌파 진영 내에서도 반공주의는 존재했다.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제3인터내셔널을 형성하며 제2인터내셔널에서 분리된 이후, 공산주의의 반민주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비판했다. 독일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영국의 조지 오웰 등이 대표적인 비판적 좌파 인사였으며, 영국의 노동당은 1930년대 공산주의자들의 침투 시도에 맞서며 반공주의 노선을 강화했고, 클레멘트 애틀리 총리 정부는 NATO 창설을 강력히 지지했다.[5] 미국의 주요 노동조합인 미국노동총연맹(AFL)은 항상 강력한 반공주의 노선을 취했으며, 좌파 성향이 더 강했던 산업별 노동조합 회의(CIO) 역시 1947년 공산주의자들을 제명한 이후 확고한 반공주의 입장을 유지했다.[3][4] 아나키즘 내부에서도 공산주의의 산업화 및 권위주의적 성격을 비판하는 원시주의적 아나키스트나 녹색 아나키스트 등이 존재했다.[6]
자유주의 진영에서는 공산주의가 개인의 자유와 사유재산을 근본적으로 침해한다고 보았다.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공산당 선언》에서 제시한 조치들을 재산 재분배를 위한 강압으로 비판했고,[8]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는 자본주의가 개인의 자유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10][11][273][27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자유주의 국제주의자들은 볼셰비키 정권이 자결권을 억압하고 민주주의 원칙을 배반했다고 비판했다.[14] 냉전 자유주의자들은 노동 조합의 성장, 시민권 운동 및 빈곤과의 전쟁을 지지하는 동시에 해외의 공산주의 전체주의로 여기는 것을 반대하며 봉쇄를 지지했다.[15]
보수주의와 반혁명 세력에게 공산주의는 기존 사회 질서와 전통적 가치를 파괴하려는 급진적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 등장한 반혁명 사상은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 운동과 같은 구체적인 반공 군사 활동으로 이어졌다.[29] 이 운동에는 군주제 복고파부터 공화주의적 자유주의자까지 다양한 세력이 볼셰비키에 대한 반대라는 공통점으로 뭉쳤다. 영국에서는 상류층과 외교 엘리트들 사이에서 반공주의 정서가 강했다.[30][31]
파시즘과 나치즘은 공산주의 혁명에 대한 극단적인 반작용으로 등장했으며, 반공주의를 핵심 이념으로 삼았다.[32]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파시즘과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은 공산주의자들을 주요 적으로 규정하고 탄압했으며,[33][34] 수용소에 가장 먼저 보내진 이들 중에는 공산주의자들이 많았다.[35][38] 나치 독일은 반코민테른 조약을 통해 일본 제국, 이탈리아 등과 국제적인 반공 동맹을 구축하기도 했다.[37] 스페인의 팔랑헤당, 프랑스의 비시 정권, 아르헨티나의 아르헨티나 반공동맹 등 여러 파시즘 및 극우 정권과 단체들이 반공주의를 내세웠다.
종교계 역시 반공주의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다. 가톨릭교회는 교황 비오 9세의 회칙 《콴타 쿠라》에서 공산주의를 비판한 이래[336] 오랫동안 반공주의 입장을 견지해왔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폴란드의 연대 운동을 지지하며 공산주의를 강하게 비판했다.[335] 스페인 내전 당시 가톨릭교회는 공산주의와 연대한 공화파에 반대하며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국민파를 지지했다. 이슬람권에서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이슬람주의에 기반한 반공 저항 운동이 확산되었다. 중국에서는 파룬궁 수련자들이 중국 공산당의 탄압에 맞서 국제적인 반공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350] 대한민국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과 같이 반공을 주요 목적으로 활동하는 신흥종교도 등장했다.
공산주의 국가 내부에서도 반체제 운동과 비판의 목소리가 존재했다. 유고슬라비아의 밀로반 질라스는 공산당 고위 관료였으나 공산주의 체제의 특권 계층을 비판하는 반체제 인사가 되었고,[18] 폴란드의 레셰크 콜라코프스키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심층적인 비판으로 유명해졌다.[19][20] 소련의 작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수용소 군도』 등을 통해 굴라크의 실상을 고발했다. 이러한 내부 비판과 저항은 사미즈다트(자가출판)와 같은 형태로 확산되기도 했다. 전직 KGB 요원이었던 아나톨리 골리친과 올레그 칼루긴, 소련 장군이었던 드미트리 볼코고노프 등 공산 체제 내부 인사들이 이후 반공주의적 입장을 취하거나 체제를 비판하는 저술 활동을 하기도 했다. 루마니아 출신의 작가 헤르타 뮐러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 하의 참혹한 현실을 작품을 통해 고발했다.[351][352]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반공주의는 중요한 주제였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과 『1984년』, 아서 코스타러의 『정오의 어둠』 등은 공산주의 체제의 전체주의적 속성과 인권 탄압을 비판적으로 묘사했다. 아이언 랜드는 『We the Living』에서 공산주의 사회의 개인 억압을 그렸다. 냉전 시기 서방 국가들은 미국의 소리(VOA), 자유유럽방송(RFE) 등 라디오 방송을 통해 철의 장막 너머로 반공주의 메시지를 전달하려 노력했다.[353][354]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 국가들에서는 공산주의 정권이 무너지고 민주화가 진행되었으며, 많은 반공주의 운동이 등장했다. 하지만 반공주의는 단순히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는 정치적 쟁점으로 남아 있으며, 공산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국가들과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의 긴장 관계 속에서 계속해서 논의되고 있다.
5. 1.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자유시 참변 등 독립운동 방법론의 차이로 인해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 간의 갈등이 심화된 것을 대한민국 반공주의의 기원으로 볼 수 있다. 해방 직후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진주한 소련군의 기독교 탄압과 소유 공유화 조치에 반발하여 북한 지역 주민들이 대규모로 월남하면서 반공주의 정서는 더욱 견고해졌다.건국 초기 대한민국의 반공주의 이념은, 사상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이념과 맞지 않아 헌법이나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선언된 것은 아니었다. 단지 재산권을 침해하는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경제적 자유를 지킬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이후 1948년 여수·순천 사건 이후 제정된 국가보안법에 근거하여 시장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본주의 체제에 반하는 공산주의 활동을 국가변란이라고 규정하면서 본격적으로 강력한 반공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는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사람들을 탄압하는데 활용되기도 하여 한국전쟁 기간 및 이승만 정권 말기, 박정희 유신 체제 시절, 전두환 시절에 공산주의자들이 반정부적인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국외로 추방되거나 처벌되었으며, 거창 양민 학살 사건, 인혁당 사건, 동백림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재건과업의 제1목표인 반공체제를 강화함으로써 국가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공산계열의 활동을 봉쇄하고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자유를 확보함을 목적으로 하는 반공법을 제정하면서 국가보안법 제1조에서 정한 단체 중에서 "공산계열의 노선에 따라서 활동하는 단체"를 특정하여 법률에 의하여 반공주의를 공식화하였다. 현재 법률상 공식적인 반공주의는 1980년에 폐지되어 존재하지 않으나 여전히 대한민국 사회 내에서 강한 정치적인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한국 천주교는 일제강점기부터 가톨릭 액션이라는 가톨릭 교회 평신도들의 사회운동을 통해 반공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았다. 한국의 가톨릭교회는 1920년대 초부터 교황의 반공적 교서들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가톨릭 교리와 반공주의가 결합되었다. 당시 천주교의 최고 지도자들은 앞장서서 신자들의 반공적 행동을 촉구하였다. 노기남 주교는 총선거를 앞두고 관할교구 교회들에 공문을 보내 "공산주의적 세력 밑에 강제 노동을 하고 있는 노동자들이 하루 바삐 천주께서 주신 인권과 자유를 찾기 위하여, 또 그리스도를 반대하는 공산주의자들이 회개하기 위하여"성모께 특별한 전구를 간청할 것을 명했다. 또 1950년 2월 주교들은 교회의 사회적 입장을 집대성한 공동교서 '사회질서 재건에 대하여 교도와 동포에게 고함'에서 "공산주의야말로 인민의 아편'이라고 주장했다.[362]
5. 2. 미국
미국에서 반공주의 열풍은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에 가장 극에 달했는데, 이때 할리우드 블랙리스트가 작성됐고, 비미 활동 위원회(HUAC)가 조지프 매카시 상원 의원이 주도한 육군-매카시 청문회를 텔레비전으로 생중계했으며, 존 버치 협회가 결성됐다. 조지프 매카시에 의해 무분별한 반공주의 광풍이 불었던 이 시대를 매카시즘이라고 부른다. 당시 공산주의자로 의심받는 사람은 직장에서 도태되거나 국외로 추방되었다. 예를 들어, 찰리 채플린은 영화 《모던 타임즈》가 자본주의를 비판한다는 이유로 공산주의자로 의심받아 추방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독일계 공산주의 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 역시 미국의 반공주의자들의 압박으로 동독으로 떠나야 했다. 매카시즘은 근거 없는 마녀사냥으로 비판받으며 많은 희생자를 낳았지만, 냉전 기간 동안 미국 정부 내에 잠입한 소련 간첩을 실제로 찾아내는 성과도 있었다는 평가도 있다.[361]역사가 리처드 파워스는 이 시기 미국의 주요 반공주의를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와 "반체제 반공주의"로 구분했다. 반체제 반공주의자들은 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우익 고립주의 전통에서 나왔으며, 공산주의자들을 폭로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믿었다. 반면,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자들은 공산주의자들이 불충성스럽고 부적절하다는 것을 정치적 논쟁을 통해 보여주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다.[14] 냉전 자유주의자들은 노동 조합의 성장, 시민권 운동, 빈곤과의 전쟁 등 국내 개혁을 지지하면서도, 해외의 공산주의, 특히 소련의 전체주의에 반대하며 봉쇄 정책을 지지했다.[15]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소련의 팽창주의를 막기 위해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했다. 그는 또한 조지프 매카시가 미국의 초당적 외교 정책을 분열시킨다며 "크렘린이 가진 가장 큰 자산"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16] 에드워드 실스나 다니엘 모이니한과 같은 자유주의적 반공주의자들은 매카시즘을 경멸했다. 모이니한은 매카시즘에 대한 반발이 "공산주의가 서구 가치와 안보에 가하는 실질적 위협에 대한 논의조차 무례하게 여기는 반 반공산주의 경향"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베노나 프로젝트를 통해 소련의 스파이 활동이 밝혀진 후, 정보 공개가 부족했던 것이 매카시즘 자체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자유주의 진영의 과잉 반응을 초래했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주요 노동조합들도 반공주의 입장을 취했다. 미국노동총연맹(AFL)은 일찍부터 강력한 반공 노선을 견지했으며, 상대적으로 좌파 성향이 강했던 산업별 노동조합 회의(CIO) 역시 1947년 내부의 공산주의자들을 제명한 이후 확고한 반공주의 입장을 유지했다.[3][4]
전직 소련 스파이였던 휘태커 체임버스는 하원 비미 활동 위원회에서 동료 스파이들에 대해 증언했으며,[21] 벨라 도드 역시 공산당 활동 경력을 뒤로하고 반공주의자로 활동했다. 과거 마르크스주의자였으나 반공주의로 전향한 인물로는 작가 맥스 이스트먼, 존 도스 패소스, 제임스 번햄, 모리 라이스킨드, 프랭크 마이어, 윌 허버그, 시드니 훅[22] 등이 있으며, 사회주의자나 사회민주주의자 출신으로는 존 체임벌린,[24] 프리드리히 하이에크,[25] 레이먼드 몰리,[26] 노먼 포도레츠, 데이비드 호로위츠, 어빙 크리스톨[27] 등이 반공주의 진영에 합류했다.
객관주의 철학을 창시한 아인 랜드는 공산주의에 강력히 반대하며,[12]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공익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부패하고 전체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13] 밀턴 프리드먼은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경제적 자유가 없으면 정치적 억압이 용이해진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견해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 자유의 필수 조건으로 자본주의를 강조한 학자들과 맥을 같이 한다.[273][274][10][11]
종교계에서도 반공주의 목소리가 나왔다. 미국의 유명 개신교 목사인 빌리 그레이엄은 “공산주의는 사탄 그 자체에 의해 영감을 받고 지시받으며 동기 부여되는 종교”라고 주장하며 강력한 반공 입장을 보였다.
냉전 시대 미국의 대중문화에도 반공주의가 반영되었다. 영화로는 《The Whip Hand》,[355] 《I Was a Communist for the FBI》,[355] 《Walk East on Beacon》,[355] 《Big Jim McLain》[355] 등이 제작되었다. 또한 컨트리 음악 등 대중음악에서도 엘튼 브릿의 "우리가 원하는 빨강은 우리가 가진 빨강이다(The Red We Want Is The Red We've Got)",[357] 행크 윌리엄스의 "No, No, Joe",[357] 로이 아커프의 "조에게 하는 충고(Advice to Joe)",[357] 카슨 로빈슨의 "나는 공산주의자가 아니다(I'm No Communist)"[357] 등 반공주의적 메시지를 담은 노래들이 발표되었다.
비교적 최근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기에도 반공주의적 입장이 표명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산주의 희생자를 위한 국가기념일' 메시지를 통해 "공산주의자들의 탄압으로 사망한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을 추모한다"고 밝히며, 민주주의의 가치를 강조하는 반공주의적 선언을 하기도 했다.
5. 3. 일본
20세기 초 지식인들에 의해 사회주의 사상이 일본에 소개되었으나, 마쓰카타 마사요시 내각 시기 제정된 치안경찰법이나 1910년 대역사건, 1925년 치안유지법 제정 등을 통해 탄압받았다.러시아 혁명 이후 일본은 시베리아 출병을 단행하며 백군을 지원하는 등 볼셰비즘에 적극적으로 대항했다.[275] 1918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일본인 의용 자경단을 조직해 반혁명군을 지원했으며,[275] 중국과 일중 공동 방적 군사 협정을 맺기도 했다. 이 시기 일본에서는 반볼셰비키 러시아어 신문 『rus』가 창간되어 일본어로 번역, 배포되면서 공산주의의 위협을 경고하고 일본 정부에 반공 정책 강화를 촉구했다.[279][280]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25년 치안유지법이 제정되어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었다. 일본 공산당은 묘민 공산당 사건(1921년), 제1차 공산당 사건(1923년), 3·15 사건(1928년), 4·16 사건(1929년) 등으로 여러 차례 탄압을 받았다.[282]
1930년대 군부가 권력을 장악한 이후에도 일본 공산당원을 비롯한 좌파 인사들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으며, 고문이나 회유를 통해 사상 전향을 강요받는 경우도 있었다.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일본은 만주국을 세우고, 1936년에는 나치 독일과 반코민테른 조약을 체결하며 국제적인 반공 연대에 참여했다.[37] 고노에 후미마로 내각은 중일전쟁을 '공산주의와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동아신질서 구상을 통해 일본, 만주국, 중국 간의 공동 방공 체제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1937년에는 국제반공연맹이 결성되었고,[307][308] 왕징웨이 정권 수립 후에는 일화기본조약을 통해 중국 내 반공 활동 협력 및 일본군 주둔을 명문화했다. 또한 기획원사건, 졸게 사건, 만철조사부사건, 요코하마 사건 등 사상 통제를 위한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점령기에는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 주도로 레드 퍼지가 단행되어 공산주의자들이 공직 등에서 추방되었다.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공산주의 활동이 합법화되었으나, 1950년대 후반부터는 냉전 격화와 함께 반공주의가 다시 강화되었다. 1952년에는 파괴활동방지법이 제정되고 공안조사청이 설치되어 일본 공산당 등에 대한 감시 체제가 구축되었다. 1955년에는 보수 세력이 결집하여 자유민주당을 창당했고, 일본사회당의 좌우 통합에 맞서 이른바 55년 체제가 확립되었다. 1960년에는 사회당 우파가 분리되어 민사당을 결성하고, 반공 성향의 노동조합인 전일본노동총동맹(동맹)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박정희 정권이나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정권과 같은 해외 반공 독재 정권을 지지하기도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일본 적군파 등 일부 신좌파 세력이 테러리즘을 통해 정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한편, 일본 공산당은 1970년대 이후 소련식 노선에서 벗어나 유로코뮤니즘과 유사한 독자 노선을 추구하게 되었다. 1980년대 신보수주의의 영향으로 일본 정치에서도 자민당, 공명당, 민사당 간의 협조 체제가 강화되면서 공산당은 더욱 고립되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구 통일교)과 그 영향 아래 창설된 국제승공연합, 창가학회를 지지 기반으로 하는 공명당, 종교정당인 행복실현당을 갖고 있는 행복의 과학, 파나웨이브 연구소 등 일부 신흥종교 단체들도 반공주의적 입장을 취하거나 관련 활동을 전개했다.
5. 4. 기타 국가
터키, 모로코, 태국, 칠레, 콘도르 작전에 동참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등이 과거에 강력한 반공주의 정책을 실시하였다.1969년 이드리스 1세를 축출한 쿠데타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종교적 반공 이념 덕분에 이탈리아에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탈리아는 이 혁명을 공산주의적이 아닌 민족주의적 성격으로 보았고, 새 정권의 쿠란적 정당화는 리비아가 공산권과 연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주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아파르트헤이트의 시작과 함께 반공주의가 대중화되었다. 이는 주로 백인 남아공인들 사이에서 인종적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극렬한 반공주의 정당인 국민당은 이를 통해 지지를 얻었다. 아프리칸스어로 "붉은 위험"을 뜻하는 "Rooi Gevaar"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1950년 남아공은 공산주의 탄압법으로 남아프리카 공산당(SACP)을 금지했다. 남아공은 나미비아의 SWAPO나 앙골라의 MPLA와 같은 공산주의 세력에 맞서 남부 아프리카 분쟁에 개입했다.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와 범아프리카 의회(PAC) 등 많은 반아파르트헤이트 단체에 넬슨 만델라와 같은 공산당원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백인 남아공인들의 반공주의를 더욱 강화시켰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 공산주의 붕괴와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종결 이후, F. W. 데 클레르크 대통령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과 민주주의 시작을 위한 평화적 해결을 모색했다.
1921년 2월,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다슈나크)은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해체와 소비에트화 3개월 만에 볼셰비키 당국에 대항하여 2월 봉기를 일으켰다. 민족주의자들이 일시적으로 권력을 장악했으며, 이후 가레긴 느주데가 이끄는 반공 반군은 잔게주르(스유니크) 산악 지방으로 후퇴하여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수립했으나 1921년 중반까지 존속했다.
냉전 시대 인도 국민회의가 친소련 정책을 추구한 반면, 힌두 민족주의 정당들은 공산주의에 반대했다.[123] 인도는 오랫동안 지속된 낙살라이트-마오이스트 반란에 대한 치안 유지 작전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가 지원 반마오이스트 민병대도 존재한다.[124] 2011년 서벵골 주의회 선거에서 마마타 바네르지의 전인도 트리나물 의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집권한 민주적으로 선출된 공산주의 정부였던 서벵골 좌익전선을 압도적인 승리로 물리쳤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 시대 이후 인도 내 공산주의자와 좌익 운동의 영향력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125][126]
베트남의 저명한 불교 승려 틱꾸옌꽝(Thích Huyền Quang)은 반공주의 저항 인사였다. 1977년 그는 팜반동 총리에게 공산주의 정권의 탄압 사례를 상세히 설명하는 편지를 보냈고,[39] 이로 인해 다른 다섯 명의 고위 승려와 함께 체포되어 구금되었다.[39] 1982년에는 국가 통제하의 베트남 불교 상가 설립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후 체포되어 가택 연금되었다.[40] 틱꽝도(Thích Quảng Độ) 역시 베트남의 불교 승려이자 반공주의 저항 인사로, 2008년 1월 유럽 기반 잡지 ''A Different View''는 그를 세계 민주주의 15인의 챔피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1945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ALP) 지도부는 B. A. 산타마리아가 이끄는 반공주의 로마 가톨릭 운동의 지원을 받아 노동조합 내 공산주의 전복 시도에 대응했다.[47] 공산주의 침투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 그룹이 결성되어 1945년부터 1954년까지 ALP 지도부의 지원 하에 활동했다.[48] 1954년 선거 패배 후, 연방 지도자 H. V. 에벗은 페트로프 사건과 관련하여 그룹 회원들의 활동을 패배 원인으로 비난했다. 많은 그룹 회원들이 ALP에서 제명되어 민주노동당(DLP)을 결성했다. DLP는 ALP 개혁을 강요하고 공산주의 영향력을 제거하려 선호 투표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 자유당을 지지하여 20년 이상 집권하도록 도왔다. 이 전략은 실패했고, 1970년대 휘틀럼 정부 이후 DLP 대다수는 1978년 해산을 결정했지만, 소규모 정당은 빅토리아주에 남았고 2008년 다른 주에서도 재결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 헝가리가 소련에 점령된 후 많은 성직자들이 체포되었다. 헝가리 가톨릭 교회 수장인 에스테르곰 대주교 요제프 민젠티는 공산주의 사상에 대한 반역죄로 기소되어 1949년부터 1956년까지 재판과 고문을 당했다. 1956년 헝가리 혁명 중 석방되었으나 혁명 실패 후 부다페스트 주재 미국 대사관에 피신하여 1971년까지 머물렀다. 이후 오스트리아로 망명하여 전 세계를 돌며 공산 정권의 잔혹 행위를 규탄했다. 헝가리 정부는 그를 비난하고 바티칸에 직위 박탈과 연설 금지를 요구했다. 바티칸은 결국 그의 직함을 박탈했고, 교황 바오로 6세는 민젠티가 살아있는 동안 에스테르곰 대교구장 자리를 공석으로 두었다.[49]
유럽 평의회 의원회는 2006년 1월 25일 결의 1481호에서 "20세기에 횡행했고 현재에도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권력을 쥐고 있는 전체주의적 공산주의 정권은 예외 없이 대규모 인권 침해를 저질렀다"고 명시하며, 강제 수용소, 인위적 기근, 고문, 강제 노동, 집단 학살, 종교적 박해, 표현의 자유 침해 등을 포함한 범죄들을 지적했다. 결의안은 이러한 범죄가 계급투쟁과 프롤레타리아 독재 원칙 하에 정당화되었으며, 나치즘의 범죄와 마찬가지로 국제 사회의 심판을 받지 못했다고 비판하며, 공산주의 체제 희생자들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윤리적 책무임을 강조했다.[328] 2009년 3월 유럽 의회는 8월 23일을 검은 리본의 날로 지정하여 '20세기 나치와 공산주의자들의 범죄를 기억하는 전 유럽의 날'로 제안했다.[329]
6. 비판
대다수의 반공주의자들은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개념인 유물사관에 반대한다. 이들은 봉건주의가 자본주의로 이행했던 것처럼 자본주의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로 이행한다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주장을 부정한다. 반공주의자들은 사회주의 국가가 그 필요성이 사라지면 「소멸」하여 진정한 공산주의 사회가 된다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주장의 타당성에 의문을 품는다.
많은 비판자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르주아지는 항상 자본과 부를 증대시키고, 반면에 노동계급은 생존을 위해 최저한의 임금의 대가로 그들의 노동력을 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배계급에 더욱 의존하게 된다고 예측하는 공산주의자들의 경제 이론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고 생각한다. 반공주의자들은 근대화된 서구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부유층과 빈곤층 모두가 꾸준히 더 풍족해졌다고 주장한다. 또한 반공주의자들은 일부 아시아 국가 등 이전의 제3세계 국가들이 자본주의가 되어 빈곤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에티오피아의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의 사례처럼, 발전과 경제 성장을 달성하지 못하고 국민을 더욱 심각한 비참으로 이끈 제3세계 공산주의 체제의 많은 사례를 인용한다.
반공주의자들은 공산주의자들의 정당인 공산당이나 노동당에 대해, 그 일당독재와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엄격한 불관용의 경향을 가진 권력을 비판한다. 또한, 경제적인 사회주의 단계에서 이상적인 공산주의 단계로 이행한다는 마르크스주의의 개념을, 대다수의 공산주의 국가들이 아무런 징후도 보이지 않는 것을 비판한다. 더 나아가, 공산주의 정부는 러시아에서는 노멘클라투라라고 불리는 등의 새로운 지배 계급을 만들어내고, 혁명 이전의 통치에서 이전의 상류 계급이 누렸던 것보다 더 많은 권력과 특권을 얻고 있다고 비판한다.
반공주의자들은 볼셰비키 정권 초기의 탄압이 요시프 스탈린 시대만큼 극단적이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다른 어떤 정당한 기준으로 보더라도 엄격했으며, 펠릭스 제르진스키 등의 비밀경찰과 재판 없는 처형을 통한 수많은 정치적 반대파 제거, 크론슈타트 반란과 탐보프주 반란에 대한 가혹한 진압 등을 예로 든다. 이러한 사건들이 발생하는 동안 레프 트로츠키는 볼셰비키 최고 지도자였다. 트로츠키는 나중에 크론슈타트 반란이 후일 스탈린주의에 수반된 관료화의 전조였다고 주장했다. 일부 반공주의자들은 공산주의와 파시즘 모두를 전체주의로 간주하며 공산주의 정권과 파시스트 정권의 행동이 유사하다고 본다. 전직 스탈린주의자이자 영국의 스파이였던 로버트 콘퀘스트는 공산주의가 20세기 동안 1천만 명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아인 랜드가 창립한 객관주의는 인간의 본성은 일반적으로 반공산주의적 관점으로 설명된다는 시각에서, 평등주의자들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사회는 실제로는 달성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개인적인 이익에 의해 동기 부여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주장하며, 여러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공익을 위한 노동을 주장했지만, 그들 대다수 또는 전원이 부패하여 전체주의자가 되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밀턴 프리드만은 공산주의에서 자발적인 경제 활동의 부재는 억압적인 정치 지도자가 강제적인 권력을 얻는 것을 매우 쉽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프리드만의 시각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공유한 견해와 더불어, 자본주의는 생존과 번영을 위한 자유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일치한다.[273][274]
볼셰비키즘이 권력을 장악한 공산주의가 일당 독재에 의한 과두정치를 지향한 데 대해, "반공주의"는 많은 입장에서 주장되고 있지만, 각각의 입장과 비판 대상은 다르다.
- 많은 보수주의자는 급진적인 혁명에 반대한다.
- 자본주의자는 사유재산과 시장경제의 규제나 폐지에 반대한다.
- 파시즘은 계급투쟁과 국제주의에 반대한다.
- 개인주의자는 전체주의에 반대한다.
- 사회민주주의자를 포함한 민주주의자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인권 억압에 반대한다.
- 아나키스트는 권위주의와 중앙집권에 반대한다.
가톨릭교회는 반공주의적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톨릭교회는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와 같은 현대와 관련된 전체주의와 무신론의 이데올로기에 반대한다. 엄격히 중앙집권화된 계획에 의한 경제 규제는 사회의 틀을 왜곡하고 시장과 경제적 자발성의 합리적 규제, 가치의 적절한 위계 유지, 공익적 관점 등이 요구된다고 본다.
폴란드의 "연대"를 지지했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공산주의를 강하게 비판했으며,[335] 미국 중앙정보국이 "연대"에 대한 자금 조달을 할 때 요한 바오로 2세의 묵인 하에 로마 교황청의 자금 관리 및 운영 조직이자, 급작스럽게 사망한 요한 바오로 1세가 부정부패 일소를 목표로 했던 종교사업협회가 활용되었다는 보도가 있기도 했다. 종교사업협회 총재 폴 마르티닉스대주교는 마피아와 극우 비밀결사였던 프2 로지 등의 반공 조직과 깊은 관계가 있었다.
비오 9세는 "Quanta Cura"(en)라는 제목의 교황 칙서에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가장 파괴적인 실패로 불렀다.[336]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초전이 된 스페인 내전 당시, 좌파 공화파가 공산주의와 연합하여 스페인의 가톨릭을 학살했다는 이유로 가톨릭교회는 공화파에 반대했고, 많은 교회가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과 무솔리니 등 파시스트 세력이 지원한 프란시스코 프랑코와 국민주의자들의 승리에 기여했다. 포르투갈 파티마에서의 성모 마리아 발현 목격자인 루치아 드 산투스는 그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그녀의 반공주의적 신념으로 알려져 있다.
7. 같이 보기
참조
[1]
백과사전
Anti-Comintern Pact
https://www.britanni[...]
2021-12-14
[2]
백과사전
Allied powers
https://www.britanni[...]
2021-12-14
[3]
서적
Communism, anti-communism, and the CIO
[4]
서적
British and American Anti-communism Before the Cold War
[5]
서적
British Labour Party and the Wider World: Domestic Politics, Internationalism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I.B. Tauris
[6]
웹사이트
Fuck Your Red Revolution
https://theanarchist[...]
2022-12-07
[7]
웹사이트
Communist Manifesto (Chapter 2)
https://www.marxists[...]
2024-06-27
[8]
서적
Human Action
[9]
서적
Politics and Participation under Communist Rule
[10]
서적
The Road to Serf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wentieth-Century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Ayn Rand and Song of Russia: Communism and Anti-Communism in 1940s Hollywood
[13]
서적
Capitalism: the Unknown Ideal
New American Library
[14]
서적
Not without honor : the history of American anticommunis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8
[15]
웹사이트
What Cold War Liberalism Can Teach Us Today
https://www.nybooks.[...]
2018-11-26
[16]
웹사이트
President Harry S. Truman Responds to Senator Joseph R. McCarthy's Accusations of Disloyalty
http://historymatter[...]
[17]
웹사이트
Conference Report: "Western integration, German unification and the Cold War – The Adenauer Era in perspective
https://www.wilsonce[...]
2006-04-04
[18]
뉴스
Milovan Djilas, Yugoslav Critic of Communism, Dies at 83
1995-04-21
[1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
뉴스
Polish anti-Marxist thinker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7-17
[21]
서적
Witnes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22]
서적
Up From Communism
Harper & Row
[23]
서적
The God That Failed
[24]
서적
A Life With the Printed Word
Regnery
[25]
서적
The Fatal Conceit: The Errors of Socialism
[26]
서적
After Seven Years
[27]
서적
Neoconservatism: The Autobiography of an Idea
[28]
뉴스
THE WOMEN THEY FEARED
https://www.nytimes.[...]
1987-06-21
[29]
간행물
'Congresses of Russia Abroad' in the 1920s and the Politics Of Émigré Nationalism
[30]
간행물
The Spirit of Ulysses? Ideology and British Appeasement in the 1930s
[31]
서적
Tragedy and Hope
[32]
서적
Fascism—A Reader's Guide: Analyses, Interpretations, Bibli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뉴스
Communists to be interned in Dachau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933-03-21
[34]
웹사이트
Holocaust Timeline: The Camps
http://fcit.usf.edu/[...]
2019-11-30
[35]
서적
KL: A History of the Nazi Concentration Camps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36]
학술지
The Anti-Komintern and Nazi Anti-Bolshevik Propaganda in the 1930s
[37]
서적
Germany and Japan: A Study in Totalitarian Diplomacy 1933–1941
Springer-Science + Business Media
[38]
학술지
Ein Konzentrationslager für politische Gefangene in der Nähe von Dachau
http://www.holocaust[...]
The Holocaust History Project
1933-03-21
[39]
웹사이트
Vietnamese Federation For Fatherland's Integrity
http://www.hdvnbtdt.[...]
[40]
웹사이트
Breaking News, World News & Multimedia
http://www.iht.com/a[...]
[41]
웹사이트
CCC Search Result – Paragraph # 2425
http://www.scborrome[...]
[42]
웹사이트
Pope John Paul's crusade against communism
http://www.cnn.com/W[...]
CNN
[43]
웹사이트
Quanta cura
http://www.ewtn.com/[...]
Pius IX
2007-11-27
[44]
서적
Political Institutions in Ital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L'Italia repubblicana nella crisi degli anni Settanta: Sistema politico e istitutzioni
https://books.google[...]
Rubbettino Editore
2003
[46]
서적
Le origini del PCI: studi e interventi sulla storia del comunismo in Italia
https://books.google[...]
FrancoAngeli
1999
[47]
서적
The Shouting and the Tumult
[48]
서적
[49]
서적
Mindszenty bíboros
München
[50]
뉴스
Gao Zhisheng: One year later, China still mum on missing lawyer
https://www.csmonito[...]
2024-06-29
[51]
웹사이트
"The Bravest Lawyer in China" – Gao Zhisheng
https://www.amnesty.[...]
2024-06-29
[52]
뉴스
WITHOUT A TRACE
https://chinaaid.org[...]
2024-06-29
[53]
웹사이트
Rights groups call for release of Chinese lawyer who's been missing for 6 years
https://www.rfa.org/[...]
2024-06-29
[54]
웹사이트
Gao Zhisheng, missing for seven years in China's prison system
https://www.asianews[...]
2024-06-29
[55]
웹사이트
Chinese Dissident Lawyer Launches Prison Memoir Detailing Torture, Solitary
https://www.rfa.org/[...]
2024-06-29
[56]
웹사이트
Gao Zhisheng: Chinese Communist Party will 'collapse and die' by 2017
https://www.christia[...]
2024-06-29
[57]
뉴스
Incendiary Memoir by Chinese Rights Lawyer Reaches Bookshelves Abroad
https://www.nytimes.[...]
2024-06-29
[58]
웹사이트
Decoding the Legacy of Jarnail Singh Bhindranwale
https://www.thequint[...]
2021-06-11
[59]
서적
Controversial New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60]
간행물
Nothing left to lose
http://www.listener.[...]
2006-07-06
[61]
서적
Falun Gong's Challenge to China: Spiritual Practice or Evil Cult?
Akashic books
2001
[62]
웹사이트
The crackdown on Falun Gong and other so-called "heretical organizations"
https://web.archive.[...]
2000-03-23
[63]
웹사이트
CRS Report for Congress: China and Falun Gong
https://fpc.state.go[...]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6-05-25
[64]
서적
Wild Grass: three portraits of change in modern china
Vintage
2005-03-08
[65]
간행물
China and Falun Gong: Party and society relations in the modern era
2002
[66]
웹사이트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into Allegations of Organ Harvesting of Falun Gong Practitioners in China
http://organharvesti[...]
2007-01-31
[67]
간행물
Psychiatric Abuse of Falun Gong Practitioners in China
2002
[68]
간행물
Judicial Psychiatry in China and its Political Abuses
Columbia University
2000
[69]
뉴스
Chinese dissidents take on Beijing via Media Empire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70]
웹사이트
Falun Gong in the media: What can we believe?
https://www.massey.a[...]
[71]
웹사이트
Körperwelten" –Ausstellung: DNA – Test für Präparate gefordert
https://www.vienna.a[...]
2013-07-12
[72]
웹사이트
Famous German Anatomist Refuted Falun Gong's Rumors on Live Organ Harvest (Photo)
http://ie.china-emba[...]
[73]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Embass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Ireland on the latest attempts by Falun Gong to disseminate sensational rumours about "organ harvesting" in China
http://ie.china-emba[...]
[74]
웹사이트
China's Gruesome Organ Harvest
http://www.weeklysta[...]
2008-11-24
[75]
웹사이트
Face The Slaughter: The Slaughter: Mass Killings, Organ Harvesting, and China's Secret Solution to Its Dissident Problem, by Ethan Gutmann
http://www.nationalr[...]
2014-08-25
[76]
뉴스
Q&A: Author and analyst Ethan Gutmann discusses China's illegal organ trade
https://www.thestar.[...]
2014-10-21
[77]
서적
The Slaughter: Mass Killings, Organ Harvesting and China's Secret Solution to Its Dissident Problem
https://www.amazon.c[...]
2014-08
[78]
뉴스
Argentine judge asks China arrests over Falun Gong
https://www.reuters.[...]
Reuters
2009-12-22
[79]
웹사이트
Spanish Court Indicts Chinese Leaders for Persecution of Falun Gong
http://www.genocidep[...]
Genocide Prevention Network
[80]
뉴스
La Audiencia pide interrogar al ex presidente chino Jiang por genocidio
http://www.elmundo.e[...]
2009-11-14
[81]
서적
As a Peace-Loving Global Citizen
Gimm-Young Publishers
[82]
서적
Christianity: A Global History
HarperCollins
[83]
서적
The World's Religions: Continuities and Transformations
Taylor & Francis
[84]
뉴스
Korean denies influence peddling
https://news.google.[...]
2012-03-21
[85]
웹사이트
CAUSA/The Downfall of Communism
http://www.tparents.[...]
2022-08-10
[86]
웹사이트
The Resurrection of Reverend Moon
http://www.mediachan[...]
PBS
1992-01-21
[87]
뉴스
Review/Television; Sun Myung Moon Changes Robes
https://www.nytimes.[...]
2022-08-10
[88]
간행물
The Way of Restoration
http://www.tparents.[...]
1972-04
[89]
서적
Sun Myung Moon and the Unification Church
Abingdon Press
[90]
서적
Richard Quebedeaux, Lifestyle : Conversations with Members of Unification Church
https://books.google[...]
Erick Rodriguez
2012-10-09
[91]
뉴스
Moon Speech Raises Old Ghosts as the Times Turns 20
https://www.washingt[...]
2009-08-16
[92]
서적
Messiah: My Testimony to Rev. Sun Myung Moon, Vol I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0
[93]
뉴스
Rabbi Joins the Board of Moonie Newspaper
1978-05-21
[94]
뉴스
As U.S. Media Ownership Shrinks, Who Covers Islam?
http://www.wrmea.com[...]
1997-12
[95]
뉴스
Moon's "Cause" Takes Aim At Communism in Americas.
1983-08-28
[96]
뉴스
Sun Myung Moon's Followers Recruit Christians to Assist in Battle Against Communism
http://www.christian[...]
1985-06-15
[97]
뉴스
Church Spends Millions On Its Image
https://www.washingt[...]
1984-09-17
[98]
뉴스
On 13, Sandinistas Vs. Miskitos
https://www.nytimes.[...]
2019-01-19
[99]
웹사이트
Revista Envío – How to Read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Miskito Case
http://www.envio.org[...]
2019-01-19
[100]
웹사이트
FAIR
https://fair.org/
2019-01-19
[101]
뉴스
2 Americans Reported Killed In an Ambush in Afghanistan
https://select.nytim[...]
The New York Times
1987-10-28
[102]
웹사이트
PRIVATE GROUPS REPORT SURGE IN AID TO CONTRAS
https://www.cia.gov/[...]
1985-05-08
[103]
웹사이트
'COVERT' WAR ON SANDINISTAS CHANGING HANDS
https://www.cia.gov/[...]
2016-12-22
[104]
뉴스
CIA, Moonies Cooperate in Sandinista War
https://www.cia.gov/[...]
1984-08-16
[105]
웹사이트
The Dark Shadow Cast by Moon Sun Myung's Unification Church and Abe Shinzo
https://apjjf.org/20[...]
2022-10-15
[106]
웹사이트
Police chief dies at ballgame
http://www.sfgate.co[...]
1983-09-03
[107]
뉴스
Church Spends Millions On Its Image
https://www.washingt[...]
1984-09-17
[108]
뉴스
Ire at school Star of David ruling unites ACLU, Pat Robertson
1999-08-21
[109]
웹사이트
Projections about a post-Soviet world-twenty-five years later.
http://goliath.ecnex[...]
[110]
웹사이트
Cults and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Former Soviet Union
http://eastwestrepor[...]
1998-06-30
[111]
뉴스
Opinion {{!}} What Killed the Promise of Muslim Communism?
https://www.nytimes.[...]
2023-07-10
[112]
서적
Images of Dictatorship: Stalin i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3]
서적
Arthur Koestler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114]
서적
The Conservative Tradition in Americ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15]
서적
The Zhivago Affair: The Kremlin, the CIA, and the Battle Over a Forbidden Book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116]
웹사이트
Literaturnobelpreis geht an Herta Müller
http://www.dw-world.[...]
[117]
웹사이트
Goethe–Institut Boston–Goethe–Institut USA
http://www.goethe.de[...]
[118]
서적
The Post-Communist Afterlife of Dissidents: The Case of Herta Müller
https://books.google[...]
Springer
[119]
서적
Ayn Rand and Song of Russia: Communism and Anti-Communism in 1940s Hollywood
[120]
서적
Soviet Evangelicals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121]
간행물
Cold War Propaganda
1951-01-01
[122]
서적
Encyclopedia of Eastern Europe: From the Congress of Vienna to the Fall of Communism
Taylor & Francis Group
[123]
웹사이트
Hindu Nationalists and the Cold War
https://nyuad.nyu.ed[...]
New York University Abu Dhabi
[124]
뉴스
Indian court rules anti-Maoist militia unconstitutional
https://www.bbc.com/[...]
2011-07-05
[125]
웹사이트
Weak communists open the door to Hindu nationalism in India – UCA News
https://www.ucanews.[...]
2023-07-10
[126]
잡지
The Rise of Hindu Nationalism and the Failures of the Indian Left
https://jacobin.com/[...]
2020-11-18
[127]
서적
Justice Betrayed: Post-1945 Responses to Genocid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28]
서적
The Killing Season: A History of the Indonesian Massacres, 1965–66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129]
뉴스
Looking into the massacres of Indonesia's past
https://www.bbc.com/[...]
2016-06-02
[130]
서적
Economists with Guns: Authoritarian Development and U.S.–Indonesian Relations, 1960–1968
http://www.sup.org/b[...]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131]
서적
Justice Betrayed: Post-1945 Responses to Genocid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
[132]
뉴스
50 years ago today, American diplomats endorsed mass killings in Indonesia. Here's what that means for today.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5-12-02
[133]
뉴스
Uncovering Indonesia's Act of Killing
https://www.nybook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17-10-26
[134]
뉴스
Tribunal finds Indonesia guilty of 1965 genocide; US, UK complicit
http://www.cnn.com/2[...]
CNN
2016-07-21
[135]
웹사이트
Ketetapan MPRS Nomor XXV/MPRS/1966 Tahun 1966 – Pusat Data Hukumonline
https://www.hukumonl[...]
[136]
뉴스
Deretan Pasal Krusial untuk Berangus Komunisme di Indonesia
https://www.cnnindon[...]
Nasional
[137]
간행물
Cahiers du Monde russe
School for Advanced Studies in the Social Sciences
2006
[138]
웹사이트
6.露字新聞「デーロ、ロシー」発刊/1 大正9年3月12日から大正9年9月6日
https://www.jacar.ar[...]
[139]
웹사이트
10.浦汐政府対日宣伝開始記事ノ件 自大正九年九月
https://www.jacar.ar[...]
[140]
서적
Белые генералы Восточного фронта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справочник
2003
[141]
웹사이트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4012990900、国際思想研究会関係雑件(「オーベル」協会関係ヲ含ム)(I-4-5-1-9)(外務省外交史料館)」 国際思想研究会関係雑件(「オーベル」協会関係ヲ含ム) 分割1
https://www.jacar.ar[...]
[142]
간행물
世界の戦慄・赤化の陰謀
Tokyo Nichi Nichi Shimbun/Osaka Mainichi Shimbun
1936
[143]
서적
満洲共産匪の研究
https://books.google[...]
Manchukuo Military government Adviser division
1936
[144]
웹사이트
Japan's Red Purge: Lessons from a Saga of Suppression of Free Speech and Thought
http://www.zmag.org/[...]
2006-07-28
[145]
웹사이트
The Left and the Jihad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2011-04-06
[146]
뉴스
A communist history of Afghanistan
https://indianexpres[...]
Indian Express
2021-08-27
[147]
논문
Balancing Acts: Jordan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Johnson Administration
http://dx.doi.org/10[...]
2006-12-01
[148]
서적
The Army and the Radical Left in Turkey: Military Coups, Socialist Revolution and Kemalism
I.B. Tauris
[149]
논문
Anti-communism Imported? Azeri Emigrant Periodicals in Istanbul and Ankara (1920–1950s)
https://www.proquest[...]
2012-01-01
[150]
웹사이트
Yılın Olayları
http://www.boyutpedi[...]
[151]
웹사이트
atin.org
http://www.atin.org/[...]
2010-05-03
[152]
웹사이트
kadrodergisi.com
http://kadrodergisi.[...]
2010-05-03
[153]
웹사이트
Demokrasi, Türkiye Ekonumi Polkitikası
https://www.istanbul[...]
2020-12-11
[154]
논문
'Rejecting the Legacy, Restoring the Honor': The Anti-Capitalist Muslims in Turkey
2020-11-20
[155]
논문
İkinci Dünya Savaşı Sırasında Türk-Sovyet İlişkileri
2020-03-12
[156]
뉴스
İşte 'onlar'ın gençlik hikayeleri...
https://haber.sol.or[...]
2010-12-13
[157]
웹사이트
Bediüzzaman'ın yorumuyla Tan olayı
https://www.yeniasya[...]
2020-12-12
[158]
웹사이트
The Pivotal Role of Translation in the Spread of Anti-Communism in Turkey During The Cold War
https://scholar.goog[...]
2024-10-14
[159]
서적
1970'lerde Türkiye solu
https://www.worldcat[...]
İletişim Yayınları
2013
[160]
뉴스
Dersimiz statüko
https://haber.sol.or[...]
2010-07-15
[161]
서적
Komünistler İşçilerimizi ve Gençlerimizi Nasıl Aldatıyor?
Genelkurmay ATASE Başkanlığı Yayınevi
[162]
서적
Türkiye 1965–75
https://www.worldcat[...]
Türkiye İş Bankası Kültür Yayınları
2010-01-01
[163]
웹사이트
Europe ponders 'remembrance day' for communist, Nazi past
http://www.euractiv.[...]
2010-01-17
[164]
웹사이트
Mid'hat bey Frashëri: The Epirus Question – the Martyrdom of a People
http://www.albanianh[...]
2011-06-18
[165]
웹사이트
1949, Pentagoni: Diplomaci fleksibël me Shqipërinë
http://gazeta-lajmi.[...]
Lajmi
2011-09-23
[166]
웹사이트
Dëshmia e Neshat Bilalit: Pse "Kompania 4000" dështoi në rrëzimin e Enver Hoxhës
http://www.tiranaobs[...]
2014-03-12
[167]
웹사이트
Arkivi i CIA: Roma, qendra e operacioneve kundër Hoxhës
http://www.panorama.[...]
Gazeta Panorama Online
2012-06-30
[168]
간행물
The OMRI annual survey of Eastern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Union, 1995
https://books.google[...]
[169]
서적
Albania as Dictatorship and Democracy: From Isolation to the Kosovo War, 1946–1998
https://books.google[...]
[170]
논문
Post-Communist Transitional Justice in Albania
https://scholar.goog[...]
[171]
웹사이트
Criminal Code of the Republic of Albania, Special Part, Chap. 1, Crimes Against Humanity
http://preventgenoci[...]
[172]
서적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A World Report
https://books.google[...]
1997
[173]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www.scribd.c[...]
null
[174]
간행물
Political Catholicism in Europe 1918–1945
2004
[175]
학술지
"Fictional, but Truthful." Nicolas Belina-Podgaetsky, a Soviet Journalist at the Service of Catholic Anti-Communism in Belgium
http://dx.doi.org/10[...]
2016-01
[176]
서적
The Czech Fascist Movement: 1922–1942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1995
[177]
웹사이트
Velvet Revolution
http://archiv.radio.[...]
2009-10-26
[178]
웹사이트
This Green Beret spent his life fighting communists in three different armies
https://www.wearethe[...]
2021-06-22
[179]
웹사이트
The crazy story of the man who fought for Finland, the Nazis, and US Army Special Forces
https://www.business[...]
[180]
웹사이트
This War Hero Spent his Life Fighting Communists
https://historycolle[...]
2019-08-31
[181]
서적
Fascism in Europe, 1919–1945
https://archive.org/[...]
Routledge
[182]
서적
The History of Finland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183]
논문
Always in Need of Credit: The USSR and Franco-German Economic Cooperation, 1926–1929
[184]
간행물
Les cahiers d'histoire sociale: revue trimestrielle de l'Institut d'histoire sociale, Issues 14–16
Institut d'histoire sociale
[185]
서적
Hitler Over Europe
[186]
뉴스
Autre temps, autres perquisitions (1939)
http://antiracisme.b[...]
Le Monde
2015-12-04
[187]
논문
Raymond Aron: The Making of a Cold Warrior
https://www.jstor.or[...]
[188]
신문
Münchner Neueste Nachrichten
http://phdn.org/arch[...]
1933-03-21
[189]
서적
The Third Reich: A New History
[190]
서적
The New Germany and the Old Nazis
Random House
[191]
뉴스
The Nazi-ferreting questionnaire cited 136 mandatory reasons for exclusion from employment and created red-tape nightmares for both the hapless and the guilty
The New York Times
2003-02-22
[192]
서적
The Impact of Nazism: New Perspectives on the Third Reich and Its Legac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3]
서적
The politics of the Nazi past in Germany and Austr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
웹사이트
Gesetz zur Regelung der Rechtsverhältnisse der unter Artikel 131 des Grundgesetzes fallenden Personen (Bundesgesetzblatt I 22/1951, p. 307 ff.)
https://www.bgbl.de/[...]
1951-05-11
[195]
논문
Hungarian-Soviet Diplomatic Relations 1935–1941: A Failed Rapprochement
2004
[196]
서적
Hungar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97]
논문
The Central European Counter-Revolution: Paramilitary Violence in Germany, Austria and Hungary after the Great War
2008
[198]
논문
Hungarian-Soviet Diplomatic Relations 1935–1941: A Failed Rapprochement
2004
[199]
웹사이트
Документы и материалы
https://runivers.ru/[...]
2019-11-30
[200]
뉴스
Twitter Revolution: Fearing Uprising, Russia Backs Moldova's Communists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09-04-10
[201]
웹사이트
Moldova's "Twitter Revolution"
http://www.rferl.org[...]
2009-04-08
[202]
서적
Development of Class Structure in Eastern Europe: Poland and Her Southern Neighbo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3]
서적
Revolution from Abroad: The Soviet Conquest of Poland's Western Ukraine and Western Belorus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4]
서적
Rising '44
Viking Penguin
[205]
간행물
The Atlas of the Independence Underground in Poland 1944–1956
Instytut Pamieci Narodowej
[206]
서적
Józef Franczak ps. Lalek. Ostatni partyzant poakowskiego podziemia
http://www.marszalek[...]
Wydawnictwo Adam Marszałek
[207]
간행물
Bande, bandiţi si eroi. Grupurile de rezistenţă şi Securitatea (1948–1968)
Editura Enciclopedica
[208]
뉴스
'I'm still nervous,' says soldier who shot Nicolae Ceausescu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12-07
[209]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Frank Cass
[210]
서적
SOE and The Resistance: As told in The Times Obituaries
https://books.google[...]
A&C Black
[211]
서적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212]
학술지
PRO-YUGOSLAV ANTI-COMMUNIST GUERILLAS IN CROATIA AFTER THE SECOND WORLD WAR
https://hrcak.srce.h[...]
2003-10-20
[213]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Soviet Union, and Communism
Yale University Press
[214]
서적
Communism and political change in Spain
http://archive.org/d[...]
Indiana University Press
1983
[215]
서적
The Collapse of the Spanish Republic, 1933–1936
Yale University Press
[216]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http://archive.org/d[...]
Penguin Books
2001
[217]
학술지
The Spanish Bishops and Nazism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https://www.jstor.or[...]
2013
[218]
서적
God and the Fascists: The Vatican Alliance with Mussolini, Franco, Hitler, and Pavelic
http://archive.org/d[...]
2013
[219]
웹사이트
Divini Redemptoris (March 19, 1937) PIUS XI
http://www.vatican.v[...]
[220]
서적
The politics of revenge : fascism and the military in twentieth-century Spain
http://archive.org/d[...]
Unwin Hyman
1990
[221]
서적
Hitler and Spai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2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23]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W. W. Norton & Co.
[224]
서적
Franco's Spain
Hodder Education Group
[225]
서적
Twentieth-century Spain : politics and society in Spain, 1898–1998
St. Martin's Press
[226]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27]
뉴스
Goodbye, Lenin: Ukraine moves to ban communist symbols
https://www.bbc.com/[...]
2015-05-17
[228]
서적
Blacklisted by History: The Untold Story of Senator Joe McCarthy and His Fight Against America's Enemies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ing Group
2007
[229]
서적
A Catholic Cold War: Edmund A. Walsh, S.J., and the Politics of American Anticommunism
[230]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Catholic Biography
[231]
서적
Not Without Honor: The History of American Anticommunism
https://books.google[...]
Yale UP
[232]
웹사이트
Reflections on Ellen Schrecker and Maurice Isserman's essay, "The Right's Cold War Revision"
http://www.johnearlh[...]
2010-09-09
[233]
서적
Arise, Africa! Roar, China! Black and Chinese Citizens of the World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
[234]
간행물
KAL 007 and the evil empire: Mediated disaster and forms of rationalization
[235]
간행물
The Downing of Korean Air Lines Flight 007
https://openyls.law.[...]
[236]
간행물
Peace in Our Time: The Spirit of Munich Lives On
1987-06-01 # 추정 날짜
[237]
웹사이트
Cite Soviets' Dark Side While Holding U.S. To High Standards
https://www.orlandos[...]
1987-11-17
[238]
간행물
Seventy Years of Evil: Soviet Crimes from Lenin to Gorbachev
The Heritage Foundation
1987-09-01 # 추정 날짜
[239]
뉴스
The Forgotten Millions
https://www.theatlan[...]
2003-12-01
[240]
웹사이트
H.R.3000 – Friendship Act
https://www.congress[...]
United States Congress
1993-12-17
[241]
뉴스
China blasts Bush tribute to victims of communism
https://www.reuters.[...]
Reuters
2007-06-14
[242]
웹사이트
Timeline of Events 2010
https://web.archive.[...]
Committee to Stop FBI Repression
2013-04-25
[243]
웹사이트
FBI Interview Questions for FRSO
https://web.archive.[...]
Committee to Stop FBI Repression
2013-04-25
[244]
웹사이트
Anti-War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Activists Denounce FBI Infiltration
http://www.stopfbi.n[...]
Committee to Stop FBI Repression
2013-04-25
[245]
웹사이트
USCIS Issues Policy Guidance Regarding Inadmissibility Based on Membership in a Totalitarian Party
https://www.uscis.go[...]
2020-10-02
[246]
웹사이트
Gov. DeSantis signs law requiring anti-communist teachings in K-12
https://mynews13.com[...]
2024-05-24
[247]
웹사이트
Just Say No: Congress Considers Neocon Lesson Plans to Keep Kids Off Communism
https://theintercept[...]
2024-12-14
[248]
웹사이트
H.R.5349 - Crucial Communism Teaching Act
https://www.congress[...]
2024-12-14
[249]
서적
Shock Doctrine
https://archive.org/[...]
Picador
[250]
서적
Predatory States: Operation Condor and Covert War in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51]
서적
When States Kill: Latin America, the U.S., and Technologies of Terror
http://utpress.utexa[...]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5
[252]
논문
Sex, Gender and the Making of the 'Enemy Within' in Cold War Argentina
2015-02-00
[253]
뉴스
'Bandeira jamais será vermelha', diz Bolsonaro em discurso no Palácio do Planalto
https://extra.globo.[...]
2019-01-01
[254]
웹사이트
El anticomunismo en Chile en el siglo XX: ideologemas transnacionales y usos locales
https://static.ides.[...]
2012-04-00
[255]
웹사이트
La larga historia de una frágil alianza: Democracia Cristiana y Partido Comunista
https://www.elmostra[...]
2016-08-22
[256]
논문
Culture, Politics and the Cold War: The Sociedad de Escritores de Chile in the 1950s
https://www.cambridg[...]
2019-08-00
[257]
웹사이트
persecución a militantes – Memoria Chilena, Biblioteca Nacional de Chile
https://www.memoriac[...]
[258]
논문
El Frente penquista de Patria y Libertad: una historia de extremismo y violencia (1970–1973)
https://www.scielo.c[...]
2022-12-00
[259]
웹사이트
golpe de Estado – Memoria Chilena, Biblioteca Nacional de Chile
https://www.memoriac[...]
[260]
웹사이트
Dictadura de Augusto Pinochet: los años más oscuros de Chile
https://www.lavangua[...]
2019-11-12
[261]
서적
Justice Betrayed: Post-1945 Responses to Genocid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
[262]
서적
The Jakarta Method: Washington's Anticommunist Crusade and the Mass Murder Program that Shaped Our World
PublicAffairs
2020
[263]
웹사이트
Counting the Bodies
http://spectrezine.o[...]
2016-09-18
[264]
서적
The Communist Horizon
https://books.google[...]
Verso
2012
[265]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Anti-Communist Persecutions
Palgrave Macmillan
2020
[266]
웹사이트
The merits of taking an anti-anti-communism stance
https://aeon.co/essa[...]
2020-02-11
[267]
뉴스
Communism may be dead, but clearly not dead enough
https://www.theguard[...]
2006-02-16
[268]
서적
Blackshirts and Reds: Rational Fascism and the Overthrow of Communism
City Lights Books
1997
[269]
웹사이트
反共主義
https://ejje.weblio.[...]
[270]
웹사이트
反共
https://kotobank.jp/[...]
2018-07-20
[271]
웹사이트
反共主議
https://kotobank.jp/[...]
2018-07-20
[272]
웹사이트
Froess.DDS.nl
http://www.froes.dds[...]
[273]
서적
The Road to Serfdo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wentieth-Century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5]
논문
陸軍におけるシベリア出兵構想の変容
九州大学法学部政治研究室
[276]
서적
露領漁業の沿革と現状
https://books.google[...]
露領水産組合
[277]
뉴스
緩衝国建設覚書 : 日露両委員議定交換
{{新聞記事文庫|url|0100324[...]
中外商業新報
1920-07-23
[278]
뉴스
外交上の諸問題 : 三大問題の将来
{{新聞記事文庫|url|0100320[...]
1920-07-29
[279]
기록보관소자료
10.浦汐政府対日宣伝開始記事ノ件 自大正九年九月
http://www.jacar.go.[...]
[280]
기록보관소자료
6.露字新聞「デーロ、ロシー」発刊/1 大正9年3月12日から大正9年9月6日
http://www.jacar.go.[...]
[281]
간행물
国共合作の立役者・マーリンの再検討─新しい資料集の出版を契機に
http://www.shachi.co[...]
1991-03-00
[282]
웹사이트
第1次共産党事件
http://kotobank.jp/w[...]
[283]
판례
セミヨノフノ亡命ト公金処分
[284]
서적
判例大完第一巻 民法総則・債権
https://books.google[...]
1932-00-00
[285]
판례
セミヨノフ金塊事件
[286]
뉴스
絡る百万円の金塊物語り (一~四・完)
{{新聞記事文庫|url|0100061[...]
神戸又新日報
1928-01-17
[287]
서적
ファッショか共産主義か
{{NDLDC|1270689}}
1933-00-00
[288]
서적
日露年鑑
https://books.google[...]
日露貿易通信社
1929-00-00
[289]
서적
動く満蒙
https://books.google[...]
1931-07-00
[290]
서적
満洲事変と政党政治
講談社
2010-09-00
[291]
웹사이트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10074612100、東支鉄道関係一件 /支那側ノ東支鉄道強制収用ニ原因スル露、支紛争問題(一九二九年)/白系露人ノ策動(B-F-1-9-2-5_4_5)(外務省外交史料館)
http://www.jacar.go.[...]
[292]
서적
滿蒙事情
https://books.google[...]
南満洲鉄道株式会社
1930
[293]
웹사이트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4013014300、各国共産党関係雑件/中国ノ部 /附属物 第一巻(I-4-5-2-011)(外務省外交史料館) 1. 撫順ニ於ケル中国人共産運動者逮捕ニ関スル件 分割1
http://www.jacar.go.[...]
[294]
신문
満洲の主要都市を暴動化の大陰謀 : 撫順を中心とする中国共産党二十四名検挙さる
{{新聞記事文庫|url|0100286[...]
京城日報
1931-03-21
[295]
논문
イギリス帝国治安維持システムとコミンテルン・ネットワーク: ルフラン事件(1931)を事例として
https://hdl.handle.n[...]
京都大学東南アジア研究所
2005
[296]
신문
牛蘭事件の審問 : 第三国際の東洋攪乱
{{新聞記事文庫|url|0100286[...]
満洲日報
1931-09-18
[297]
서적
抗日支那の真相
https://books.google[...]
中国通信社
1937
[298]
신문
首謀溝上捕縛さる : 全協の正体漸く判明 : 当局を悩ました神出鬼没宛然左翼の総帥
{{新聞記事文庫|url|0100286[...]
東京朝日新聞
1932-07-01
[299]
서적
躍進日本と列強の重圧
https://books.google[...]
陸軍省新聞班
1934-07-28
[300]
신문
“恐怖の赤露”真相を暴露す! : 国境逃亡の邦人告白
{{新聞記事文庫|url|0100275[...]
神戸又新日報
1934-10-21
[301]
웹사이트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2030943700、共産党宣伝関係雑件/対日宣伝関係 第八巻(A-3-4-009)(外務省外交史料館)
http://www.jacar.go.[...]
外務省外交史料館
[302]
서적
世界の戦慄・赤化の陰謀
東京日日新聞社・大阪毎日新聞社
1936
[303]
서적
満洲共産匪の研究
https://books.google[...]
満洲国軍政部顧問部
1936
[304]
웹사이트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4013004000、国民思想善導教化及団体関係雑件 第一巻(I-4-5-1-8_001)(外務省外交史料館)
http://www.jacar.go.[...]
外務省外交史料館
[305]
서적
国際事情
https://books.google[...]
外務省情報部
1937-09-25
[306]
뉴스
西北辺境の共産軍綏遠占領を画策 : 北支の要人、大同団結し"防共"徹底に乗出す
{{新聞記事文庫|url|0100286[...]
大阪朝日新聞
1936-02-04
[307]
웹사이트
昭和18年1月30日・国家主義国体調(国立公文書館)
http://www.jacar.go.[...]
国立公文書館
[308]
서적
赤軍将校陰謀事件の真相 : スターリン暗黒政治の曝露
国際反共聯盟調査部
1937
[309]
서적
The Japan Year Book 1939-40
日本外事協会
[310]
서적
真の大学問題 ─ 六 帝大肅正期成同盟より長與東大總長への進言書/18
蓑田胸喜
1938
[311]
서적
戦時慨言
https://books.google[...]
1937-12-00
[312]
기록보관소
支那事変関係一件 第十六巻(A-1-1-357)(外務省外交史料館)
http://www.jacar.go.[...]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3]
기록보관소
各種情報資料・支那事変ニ関スル各国新聞論調概要(国立公文書館)
http://www.jacar.go.[...]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4]
뉴스
DIARY FOR JAPANESE SCHOOLBOY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1938-07-04
[315]
서적
近衛首相演述集
https://books.google[...]
1939-00-00
[316]
서적
朝日東亞年報 昭和十三→十六年版
https://books.google[...]
朝日新聞社中央調査会
1941-00-00
[317]
기록보관소
A級極東国際軍事裁判記録(和文)(NO.29)(国立公文書館)
http://www.jacar.go.[...]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8]
서적
蘇聯邦年鑑 一九四二年版
https://books.google[...]
日蘇通信社
1942-09-15
[319]
뉴스
レーマンはソ連諜報活動で最も値打ちのあるエージェントだった
http://japanese.ruvr[...]
ロシアの声
2013-12-03
[320]
웹사이트
歴史の中のエズラ・パウンド 第21回
http://www1.seaple.i[...]
[321]
웹사이트
ミュンヘン革命とヒトラー(1919年前半)
http://ww1.m78.com/w[...]
[322]
웹사이트
東京大学社会情報研究所助手・佐藤卓己『「ナチ宣伝」という神話』
http://www.kcg.ac.jp[...]
[323]
서적
無政府主義ってなんですか?: 現代によみがえる『無政府主義読本』
ノラネコの知恵文庫
2016
[324]
웹사이트
Texts by Bakunin at Anarchy Archives; Texts by Marx on Bakunin at Marxist Internet Archive
http://dwardmac.pitz[...]
[325]
웹사이트
オスロ宣言 - 社会主義インターナショナル
http://homepage2.nif[...]
[326]
간행물
ストックホルム宣言
1989
[327]
웹사이트
DECLARATION of PRINCIPLES
http://www.socialist[...]
[328]
웹사이트
Resolution 1481 (2006):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http://assembly.coe.[...]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06-01-25
[329]
웹사이트
Europe ponders 'remembrance day' for communist, Nazi past
http://www.euractiv.[...]
[330]
웹사이트
TimesOnline.co.uk
http://entertainment[...]
[331]
뉴스
Polish anti-Marxist thinker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7-17
[332]
서적
Witness
Random House
[333]
웹사이트
Vietnamese Federation For Fatherland's Integrity
http://www.hdvnbtdt.[...]
[334]
뉴스
Dissident patriarch of Vietnam Buddhist group die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335]
뉴스
Pope John Paul's crusade against communism
http://www.cnn.com/W[...]
CNN
1998-01-21
[336]
간행물
Quanta Cura (Condemning Current Errors)
http://www.ewtn.com/[...]
EWTN.com
1864-12-08
[337]
서적
The Shouting and the Tumult
N/A
[338]
서적
Exploding the Myths, The political memoirs of Jack Kane
[339]
서적
Mindszenty bíboros
München
[340]
서적
Controversial New Religions, The Falun Gong: A New Religious Movement in Post-Mao China
[341]
뉴스
Nothing left to lose
http://www.listener.[...]
New Zealand Listener
2006-07-06
[342]
서적
Falun Gong's Challenge to China: Spiritual Practice or Evil Cult?
Akashic books
2001
[343]
웹사이트
The crackdown on Falun Gong and other so-called ''heretical organizations''
https://web.archive.[...]
2000-03-23
[344]
웹사이트
CRS Report for Congress: China and Falun Gong
http://fpc.state.gov[...]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6-05-25
[345]
서적
Wild Grass: three portraits of change in modern china
Vintage
2005-03-08
[346]
웹사이트
Press Release HR/CN/1073
https://press.un.org[...]
2006-09-12
[347]
간행물
China and Falun Gong: Party and society relations in the modern era
2002
[348]
간행물
Psychiatric Abuse of Falun Gong Practitioners in China
2002
[349]
간행물
Judicial Psychiatry in China and its Political Abuses
Columbia University
2000
[350]
웹사이트
Chinese dissidents take on Beijing via Media Empire
http://online.wsj.co[...]
Wall Street Journal
[351]
웹사이트
DW-World.de
http://www.dw-world.[...]
[352]
웹사이트
Goethe.de
http://www.goethe.de[...]
[353]
간행물
Cold War Propaganda
1951-01
[354]
Harvnb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여 type을 Harvnb로 지정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더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355]
웹사이트
The Red and the Black: “Black Film” and the Red Menace
https://academic.oup[...]
2016-12
[356]
서적
ニセチャイナ―中国傀儡政権 満洲・蒙疆・冀東・臨時・維新・南京 (20世紀中国政権総覧)
[357]
웹사이트
Defining Dixie: Southern Political Discourse in Country Music
https://hdl.handle.n[...]
Rhodes College 지역 연구소
2013
[358]
뉴스
The Music Whirl
https://www.newspape[...]
St. Louis Globe Democrat
1950-09-22
[359]
서적
Modern European History, 1871-2000
[360]
뉴스
THE WOMEN THEY FEAR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06-21
[361]
뉴스
http://www.hankyung.[...]
[362]
서적
한국천주교의역사사회학
한신대학교 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