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계산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계산성당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성당으로, 1885년 대구 본당 신설과 함께 초대 주임 신부 아킬레 바오로 로베르에 의해 시작되었다. 1899년 한식 십자형 기와집 성당을 건축했으나, 1900년 화재로 소실되어 1901년 현재의 고딕 양식 성당을 재건했다. 1911년 대구대목구 설정으로 주교좌 성당이 되었으며, 1981년 사적 제29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 반월당역과 청라언덕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로마 가톨릭 성당 - 복자성당
    복자성당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신천역 근처에 위치한 성당이다.
  • 대구광역시의 로마 가톨릭 성당 - 범어대성당
    범어대성당은 1945년 범어동에 설립된 범어공소에서 시작하여 1951년 본당으로 승격된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 성당으로, 1959년부터 1996년까지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에서 사목을 담당했으며 2016년 대구대교구 100주년 기념 주교좌 성당으로 봉헌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사적 -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은 1907년 개원하여 현재 진료과와 특성화센터를 운영하며,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 등을 운영하고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공공보건의료 활동과 산하 기관 운영을 통해 지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구광역시의 사적 - 동화사
    대구 팔공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493년 유가사로 창건되어 832년 동화사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임진왜란 승병 근거지이자 현재 조계종 직할사찰로서 대웅전 등 문화재와 통일대불, 승시 축제로 유명하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 - 답동성당
    답동성당은 1897년 건립되어 1937년 증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벽돌조 고딕 양식이며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시작되어 P. 시잘레 신부에 의해 증축되었고, 지역사회 기여로 1980년 사적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 - 범어대성당
    범어대성당은 1945년 범어동에 설립된 범어공소에서 시작하여 1951년 본당으로 승격된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속 성당으로, 1959년부터 1996년까지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에서 사목을 담당했으며 2016년 대구대교구 100주년 기념 주교좌 성당으로 봉헌되었다.
계산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대구 루르드 성모 대성당
성당 외부
다른 이름계산동 성당
종류로마 가톨릭교회 성당
위치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건축 양식건축
스타일스타일
주교좌천주교 대구대교구
주보 성인루르드의 성모 마리아
웹사이트계산성당 공식 웹사이트
역사
설립일1886년 6월 6일
건축 기간1902년 ~ 1903년
지정일1981년 9월 25일 (사적 제290호)
건축
건축가이름 정보 없음
건축 양식고딕 건축
규모
면적993.8m2

2. 역사

1885년 12월 제7대 조선대목구장 마리장귀스타브 블랑(한국식 이름: 백규삼) 주교가 대구본당을 신설하고, 초대본당 주임으로 프랑스의 '''아킬레 바오로 로베르'''(한국식 이름: 김보록) 신부를 임명하면서 계산성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로베르 신부는 1886년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이후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자, 1891년 읍내로 들어와 성밖 대야불 정규옥 승지댁에서 7년 동안 전교하면서 본당 부지를 물색했다. 1897년 3월, 현재의 계산동 성당 자리와 그 서편 동산 두 곳을 매입하려 했으나, 신자들의 의견에 따라 현재 위치에 1899년 한식 십자형 기와집 성당과 부속 건물을 완공하고 루르드의 성모께 봉헌하였다.[6]

1900년 2월 4일 밤, 원인 불명의 화재로 성당이 전소되었다.[1] 김보록 신부는 더 큰 성당을 짓겠다는 의지를 담아 호소문을 발표하고, 신자들의 도움으로 벽돌을 사용한 내화 구조의 성당 재건 계획을 세웠다.[1] 직접 설계를 맡고, 중국인 기술자들을 데려왔으며, 프랑스에서 스테인드글라스 등 국내에서 구할 수 없는 자재들을 주문하여 1901년에 현재 계산성당의 건축을 시작했다.[1] 1902년 5월 착공 1년 만에 고딕 양식의 성당이 준공되었고, 1903년 11월 1일 축성식을 거행하였다.[1]

1911년 대구대목구 설정으로 계산성당은 주교좌 성당이 되었고, 신자 수가 급증하여 증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6] 드망즈 주교는 성당 증축을 소원했고, 김종학과 한윤화의 헌금으로 1918년 12월 24일 증축 공사가 완료되어, 1919년 5월 11일 새 성전의 축성식이 거행되었다.

1984년 5월 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계산성당을 방문하였고, 1991년 대규모 보수 공사가 이루어져 1992년 8월 15일 준공 기념 미사가 봉헌되었다.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90호로 지정되었다.[7]

2. 1. 본당 신설과 초기 역사 (1885년 ~ 1899년)

1885년 12월 제7대 조선대목구장 마리장귀스타브 블랑(한국식 이름: 백규삼) 주교가 대구본당을 신설하고, 초대본당 주임으로 프랑스의 '''아킬레 바오로 로베르'''(한국식 이름: 김보록) 신부를 임명하였다. 로베르 신부는 읍내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신나무골에서 3년간 은신하여 전교하였다.

1886년 조불 수호 통상 조약 후에 신앙의 자유가 넓게 허용되자, 1888년 겨울, 로베르 신부는 대구 읍내의 교회 진출을 위해, 신나무골에서 대구와 가까운 죽전 새방골(대구시 서구 상리동)로 옮겨 3년간 은신하며 전교하였다. 낮에는 바깥 출입을 삼가고 밤이면 상복으로 변장하고 신자들을 방문하여 성사를 주었다.

1891년 새방골에서 읍내로 들어와 성밖 대야불 정규옥 승지댁에서 7년 동안 전교하면서 영구적인 본당을 설치할 부지를 물색하던 중 1897년 3월 김보록 신부는 현재의 계산동 성당 자리와 그 서편에 있는 동산 두 곳을 물색하였다.

김보록 신부는 동산 전부를 150냥에 매입하려고 결정하였으나, 신자들 특히 노인층 신자들은 현 계산성당 자리가 좋다고 하였다. 그들은 구릉 지대이며, 허허벌판 지대에(당시 황무지) 성당 자리를 잡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었다.

전국 어느 곳을 막론하고 성당의 위치는 대개 높은 지대에 있어 마을이나 전 시가를 내려다보게 되는데, 대구에서는 시내에서도 제일 저지대인 평지에 위치하게 되었다.

계산동에 정착한 김보록 신부는 신자들이 성전 건축과 신부의 새 사제관(사랑채)을 짓기 위해서 한결같이 보여준 열성으로 3년 만인 1899년 이른 봄 한식(韓式)으로 지은 십자형 기와집 성당과 신부 사랑채와 신자 교육관으로 사용될 해성재(海星齋) 건물 등을 건축했다. 사제관인 신부 사랑채는 2층으로 지었으며, 채색을 잘하는 스님 5명을 고용하여 성당과 사제관을 화려하게 단청(丹靑)하였다.

서울에 세워진 약현(중림동)성당, 종현(명동 1898)성당, 인천 답동(1896)성당 등은 모두 서양식 건물인데 반해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세워진 대구 성당은 순수한 한식으로 동양 건축이었다.

1899년 12월 25일 루르드의 성모께 헌당식과 축성식을 성대히 거행하고, 성모성당이라 하였다.[6]

2. 2. 십자형 성당 화재와 재건 (1900년 ~ 1903년)

1900년 2월 4일 밤 8시경,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로 십자형 성당이 모두 불에 타는 사건이 발생했다.[1] 김보록 신부는 파리외방전교회에 보낸 서한에서 화재 상황을 상세히 전하며, 이 사건을 신앙의 시련으로 받아들이고 더 큰 성당을 짓겠다는 의지를 밝혔다.[1] 화재 발생 일주일 후인 2월 10일, 김보록 신부는 새로운 성전 건축을 위한 호소문을 발표했다.[1]

김보록 신부는 신자들의 도움으로 벽돌을 사용한 내화 구조의 성당 재건 계획을 세우고 직접 설계하여, 1901년에 현재 계산성당의 건축을 시작했다.[1] 당시 한국에는 양옥 건축 경험자가 없어 중국에서 기술자들을 데려왔고, 스테인드글라스, 함석, 창호 철물 등 국내에서 구할 수 없는 자재들은 프랑스에서 주문했다.[1]

1902년 5월, 착공 1년 만에 고딕 양식의 성당이 준공되었고, 1903년 11월 1일 모든 성인의 날 대축일에 뮈텔 주교의 집전으로 축성식이 거행되었다.[1] 이 성당은 한국에서 보기 드문 정면 쌍탑의 고딕 양식 성당으로, 세부 구조는 로마네스크 양식에 가깝지만 평면 구성은 전형적인 고딕 양식을 따르고 있다.[1]

성당의 평면은 라틴 십자형이며, 3랑식 열주의 아케이드를 이루고, 천장에 의해 네이브와 아일의 구획이 뚜렷하다.[1] 주현관은 서쪽 정면의 나르텍스 좌우 아일 부분에 2개의 동일한 종탑이 자리하고 있다.[1] 성당 전체는 화강석 기초 위에 붉은 벽돌과 회색 벽돌로 쌓았으며, 회색 이형 벽돌은 버트레스, 정면 출입구 및 창둘레, 내부 열주와 천정 리브에 집중되어 구조체와 장식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1] 특히 정면 중앙의 큰 장미창과 좌우 익랑 박공 부분의 창은 건물을 더욱 화려하고 엄숙하게 만든다.[1]

계산성당 내부 모습


두 개의 종탑에 설치된 종은 서상돈(아우구스띠노)과 정규옥의 부인 김젤마나가 기증한 것으로, 각각 '아우구스띠노'와 '젤마나'로 명명되었다.[1] 이로써 영남 지방 최초의 웅장한 고딕식 성전이 세워졌다.[1]

2. 3. 주교좌 성당 승격과 증축 (1911년 ~ 현재)

1911년 6월 11일 대구대목구 설정으로 주교좌 본당이 된 대구 대성당(계산동)은 신자 수가 급격히 늘어 주일과 교구의 모든 전례 행사 때마다 큰 불편을 겪었다.[6] 1911년 7월 2일 초대 대목구장 드망즈 주교는 본당의 루르드 성모상 앞에서 대목구를 봉헌하는 허원식을 거행할 때 신학교, 수녀원, 주교관 설립과 함께 성당 증축을 소원했다.

김종학 베드로와 한윤화 야고보가 총경비 2만을 자진 분담하여, 종각 지붕을 배로 높이고 성당 뒤편을 물려서 남북으로 남개를 다는 증축 공사를 시작하여 1918년 12월 24일 준공하였으며, 1919년 5월 11일 새 성전의 축성식(헌당식)이 성대히 거행되었다.

1984년 5월 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계산성당을 방문하였다.

1991년 6월 21일 성당 건립 이후 처음으로 대보수 공사가 착공되었으며, 1992년 8월 14일에 완료하였다. 다음 날인 1992년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에 준공 기념 미사가 있었다. 이 공사로 지붕은 함석을 해체하고 동판으로, 바닥은 목재 대신 대리석으로 교체하고 창호, 스테인드글라스, 전기 공사가 이루어졌다.

1899년 처음 건축된 본당은[6] 한옥 양식이었으나, 지진으로 1901년 전소되었다. 그 위치에 현재의 서양식 성당을 세워 1902년 12월 3일 첫 미사를 드렸다. 현재의 서양식 성당은 경상도 전역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점이 인정되어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90호로 지정되었다.[7]

3. 건축 양식

계산성당은 정면 쌍탑을 가진 고딕 양식 성당으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이다. 구조와 세부적인 면에서는 로마네스크 양식에 가깝지만, 평면 구성은 전형적인 고딕 양식을 따르고 있다. 라틴 십자형 3랑식 열주의 아케이드(Aceade)를 이루고 있으며, 천정에 의해 네이브(Nave)와 아일(Aisle)이 뚜렷하게 구획되어 있다.[1] 주현관은 서쪽 정면의 나르텍스(narthex) 좌우 아일부에 2개의 동일한 종탑이 위치하고 있다.[1]

전체적으로 화강석 기초 위에 붉은 벽돌과 회색 벽돌을 쌓아 만들었다.[1] 회색 이형벽돌은 버트레스(Buttress), 정면 출입구 및 창둘레, 내부 열주와 천정 리브에 집중적으로 사용되어 구조체와 장식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1] 특히 정면 중앙의 큰 장미창과 좌우 익랑의 창미창은 건물을 한층 화려하고 엄숙하게 보이도록 한다.[1]

4. 역대 주임 신부

})

|-

| 1940년 7월 20일 ~ 1942년 1월 20일

| 김현배 (바르톨로메오)

|-

| 1942년 1월 20일 ~ 1942년 5월 15일

| 김상후 (바울로)

|-

| 1942년 6월 1일 ~ 1944년 11월 16일

| 서정도 (벨라도)

|-

| 1944년 11월 16일 ~ 1948년 8월 18일

| 박재수 (요한)

|-

| 1948년 8월 18일 ~ 1954년 6월 18일

| 서정길 (요한)

|-

| 1954년 6월 18일 ~ 1955년 5월 12일

| 이철희 (바울로)

|-

| 1955년 5월 12일 ~ 1957년 3월 7일

| 최재선 (요한)

|-

| 1957년 3월 19일 ~ 1971년 11월 1일

| 박상태 (루도비꼬)

|-

| 1971년 11월 1일 ~ 1975년 2월 1일

| 김영환 (베네딕도)

|-

| 1975년 2월 1일 ~ 1977년 7월 8일

| 최병선 (요한)

|-

| 1977년 7월 8일

| 이문희 (바울로)

|-

| 1977년 7월 8일 ~ 1978년 6월 19일

| 이성우 (아킬레오)

|-

| 1978년 7월 5일 ~ 1981년 12월 24일

| 이홍근 (바울로)

|-

| 1981년 12월 24일 ~ 1987년 1월 31일

| 김경환 (토마스)

|-

| 1987년 1월 31일 ~ 1991년 4월 10일

| 김경식 (보니파시오)

|-

| 1991년 4월 10일 ~ 1992년 3월 18일

| 김부기 (가브리엘)

|-

| 1992년 3월 18일 ~ 1994년 4월 13일

| 최시동 (요한)

|-

| 1994년 4월 13일 ~ 1996년 8월 30일

| 이종흥 (그리산도) 몬시뇰

|-

| 1996년 8월 30일 ~ 2001년 9월 7일

| 박병원 (필립보)

|-

| 2001년 9월 7일 ~ 2005년 1월 28일

| 손상오 (루카)

|-

| 2005년 1월 28일 ~ 2006년 2월 28일

| 이재명 (바울로)

|-

| 2006년 2월 28일 ~ 2010년 8월 27일

| 이재수 (시몬)

|-

| 2010년 8월 27일 ~ 2015년 1월 29일

| 이상국 (크리솔로고)

|-

| 2015년 1월 30일 ~ 2017년 10월 19일

| 조현권 (스테파노)

|-

| 2017년 10월 20일 ~ 2023년 1월 5일

| 김흥수 (실바노)

|-

| 2023년 1월 6일 ~ 현재

| 이기수 (비오)

|}

5. 역대 부주임 신부

재임 기간이름
1886년 6월 6일 ~ 1919년 8월 22일아킬레 파울 로베르 (Achille Paul Robert|김보록프랑스어)
1919년 8월 22일 ~ 1931년 1월 3일조셉 베르모렐 (Joseph Vermorel|장약슬프랑스어)
1931년 1월 3일 ~ 1932년 8월 31일R. 페션 (R. Peschel|백학로프랑스어)
1932년 8월 31일 ~ 1939년 4월 30일M. 줄리앙 (Marius Julien|권프랑스어)
1939년 4월 30일 ~ 1940년 7월 20일로베르 리샤르 ({{lang|fr|Robert Richard|}
이름부임 기간
서영민(알렉산델)2012년 8월 24일 - 2013년 2월 1일
박원빈(가롤로)2013년 2월 1일 - 2015년 1월 29일
마석진(프란치스코)2015년 1월 29일 - 2016년 1월 29일
구기석(안드레아)2016년 1월 29일 - 2018년 1월 26일
김정희(바오로)2018년 1월 26일 - 2019년 1월 25일
이기혁(도미니꼬)2019년 1월 25일 - 2020년 1월 17일


6. 미사 시간

요일미사 시간
토요일오후 4:00, 7:30
주일오전 6:30, 8:00, 9:30, 11:00, 오후 4:00, 5:30, 8:00, 9:30
평일오전 6:30 (월-토), 오전 11:00 (월, 1~4째 주-후원회 미사), 오전 11:30 (화-금), 오후 7:30 (화-금)


  • 첫째 주 화요일 오전 11:30 - 복음화 미사, 둘째 주 화요일 오전 11:30 - 교정사목 미사

7. 교통

대구 도시철도공사 반월당역과 청라언덕역 중간에 있으며, 각 역에서 도보 10~15분 거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Gyesan-dong Cathedral of Our Lady of Lourdes http://www.gcatholic[...]
[2] 웹사이트 Daegu Gyesan Catholic Church (대구 계산동성당) http://english.visit[...] 2016-05-06
[3] 서적 K-architecture: Tradition Meets Modernity https://books.google[...] 길잡이미디어 2014-04-16
[4] 웹사이트 Doors of Mercy http://www.iubilaeum[...] 2016-05-06
[5] 웹사이트 Our Lady of Lourdes Cathedral {{!}} Daegu, South Korea Attractions https://www.lonelypl[...] 2020-11-11
[6] 웹인용 한국식 십자형 성당 준공 http://www.tgkyesan.[...] 2008-09-29
[7] 웹인용 새 성당에서 첫 미사 봉헌 http://www.tgkyesan.[...] 2008-09-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