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병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북대학교병원은 1907년 대구 동인의원으로 개원하여, 현재 진료과와 특성화센터를 운영하며, 1993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된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다.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외상센터 등을 운영하며,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되어 심뇌혈관질환, 대사성질환 등 4대 중점 연구 분야를 지원한다. 공공보건의료 활동을 통해 지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생활치료센터 운영,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운영 등으로 감염병 대응에 기여했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 등을 산하 기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사적 - 계산성당
대구에 위치한 계산성당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으로,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며 경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교황이 방문하기도 했다. - 대구광역시의 사적 - 동화사
대구 팔공산에 위치한 동화사는 493년 유가사로 창건되어 832년 동화사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임진왜란 승병 근거지이자 현재 조계종 직할사찰로서 대웅전 등 문화재와 통일대불, 승시 축제로 유명하다. - 경북대학교 - 대구사범학교 (1923년)
대구사범학교는 일제강점기에 설립되어 해방 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교원 양성 과정을 운영하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으로 통합된 교육기관이다. - 경북대학교 - 이효상
이효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시인, 교육자로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교육계와 언론계에서 활동하다 4·19 혁명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3선 개헌 강행 처리와 유신 체제 지지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경북대학교병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병원 정보 | |
| 위치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
| 개원 | 1907년 2월 10일 |
| 상급 기관 | 교육부 |
| 종류 | 상급종합병원 |
| 웹사이트 | 경북대학교병원 |
| 좌표 | 35.866381° N, 128.6042588° E |
| 이름 | |
| 한국어 | 경북대학교병원 |
| 영어 표기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원어 표기 | 慶北大學校病院 |
| 로마자 표기 | Gyeongbuk Daehakgyo Byeongwon |
![]() | |
2. 진료과 및 특성화센터
경북대학교병원은 다양한 진료과와 특성화센터를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세한 진료과 및 센터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진료과
가정의학과, 내분비대사내과, 대장항문소아외과, 류마티스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모발센터,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신경과, 신경외과, 신장내과, 안과, 알레르기감염내과, 영상의학과, 외과, 유방갑상선외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이식혈관외과, 임상약리학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진단검사의학과, 피부과, 핵의학과, 혈액종양내과, 흉부외과, 호흡기내과2. 2. 특성화센터
-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외상센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모발이식센터, 건강증진센터, 장기이식센터 등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구경북지역암센터, 노인보건의료센터, 감염병전문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희귀난치성질환센터,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 임상교육훈련센터 등
3. 역사


- 1907년: 대구 동인의원으로 개원하였다.
- 1910년: 관립 대구 자혜의원으로 변경되었다.
- 1912년: 도립 대구의원으로 개칭되었다.
- 1928년: 현재 경북대학교병원 위치에 병원 건물을 신축하였다.
- 1945년: 대구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칭되었다.
- 1952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칭되었다.
- 1993년: 특수법인 경북대학교병원으로 변경되었으며,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 2005년: 대구·경북권역 응급의료센터, 암센터, 노인보건의료센터로 지정되었다.
- 2011년: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을 개원하였다.
- 2013년: 경북대학교어린이병원을 개원하였다.
- 2021년: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임상실습동을 개원하였다.
4. 연구중심병원

경북대학교병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받은 연구중심병원으로, 특히 지역 공공의료기관 중에서는 유일하게 이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병원은 자체적으로 선정한 중점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인력과 연구를 집중 지원하며, 개방형 연구지원플랫폼을 통해 국가연구개발 과제 수주 및 학술 활동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임상 지식을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를 통해 첨단의료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향후 건립될 첨단임상시험센터 운영을 통해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과 임상시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 주관의 대형 연구개발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주하고 임상교육훈련센터를 유치하는 등 연구 역량 강화와 지역 의료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4. 1. 주요 연구 분야
경북대학교병원은 지역 공공의료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되어, 4대 중점 연구 분야(심뇌혈관질환, 대사성질환, 암 진단 및 치료, 생체조직·장기재생)를 중심으로 인력과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경북대학교병원만의 개방형 연구지원플랫폼을 통해 한 해 국가연구개발 및 위탁과제를 약 510억원 수주하고, SCI급 논문을 540여 건 발표(2021년 기준)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임상 지식을 기반으로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를 통해 첨단의료연구를 선도하는 경북대학교병원은 건립을 앞둔 첨단임상시험센터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신약 후보 물질과 의료기기 시제품의 안정성과 효과성을 검증하는 첨단임상시험센터는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주요 기관 및 기업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국내외 임상시험의 중심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2년 7월 21일, 보건복지부 주관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다시 선정되어 우수한 연구역량을 인정받았다. 이는 2015년 심뇌혈관질환 플랫폼 구축 연구 선정 이후 두 번째 사업 수주로, 지역 바이오헬스 생태계 활성화와 의료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과제는 ‘알파에이지 시대를 대비한 K-Hospitech 기반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환자 케어 플랫폼 구축’(연구책임자 이규엽 교수) 계획이며, 8년 6개월간 총 326억원 규모로 수행될 예정이다.
또한, 2022년 5월 교육부 주관 ‘국립대병원 임상교육훈련센터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의료인력 교육 역할도 주도하게 되었다. 병원 내 의료인력과 지방의료원 등 지역 의료인력들의 보건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 모의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임상 교육 및 훈련을 시행할 예정이다. 교육부로부터 센터 구축을 위해 2025년까지 총 187.5억원를 지원받으며, 센터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4. 2. 연구 성과
경북대학교병원은 지역 공공의료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되었다. 병원은 4대 중점 연구 분야로 심뇌혈관질환, 대사성질환, 암 진단 및 치료, 생체조직·장기재생을 선정하여 인력과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경북대학교병원만의 개방형 연구지원플랫폼을 통해 2021년 기준으로 한 해 국가연구개발 및 위탁과제를 약 5100억원 수주하고, SCI급 논문을 540여 건 발표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임상 지식을 기반으로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를 통해 첨단의료연구를 선도하며, 건립을 앞둔 첨단임상시험센터의 운영을 책임질 예정이다. 이 센터는 신약 후보 물질과 의료기기 시제품의 안정성과 효과성을 검증하며,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주요 기관 및 기업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국내외 임상시험의 중심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2년 5월에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국립대병원 임상교육훈련센터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이를 통해 병원 내 의료인력과 지방의료원 등 지역 의료인력의 보건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모의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임상 교육 및 훈련을 시행하게 된다. 병원은 교육부로부터 센터 구축을 위해 2025년까지 총 1875억원를 지원받으며, 센터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2022년 7월 21일에는 보건복지부 주관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다시 한번 선정되어 우수한 연구역량을 인정받았다. 이는 2015년 심뇌혈관질환 플랫폼 구축 연구 선정 이후 두 번째 사업 수주로, 지역 바이오헬스 생태계 활성화와 의료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과제는 ‘알파에이지 시대를 대비한 K-Hospitech 기반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환자 케어 플랫폼 구축’(연구책임자 이규엽 교수) 계획으로, 8년 6개월간 총 3260억원 규모로 수행될 예정이다.
5. 공공보건의료 활동
경북대학교병원은 국립대병원으로서 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역민들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농어촌 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취약계층의 건강안전망을 튼튼히 하기 위해 지역 사회 및 관련 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다양한 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대구·경북 지역의 응급, 감염, 재활 등 필수의료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데 힘쓰고 있다.
5. 1. 주요 사업


경북대학교병원은 국립대병원으로서 의료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역민들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고, 취약계층 건강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 기관들과 협력하여 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의 통합 제공을 통해 지역민의 건강 증진과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힘쓰고 있다.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응급, 감염, 재활 등 필수의료서비스 보장과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
- 공공보건의료사업:
- 지역 공공보건의료기관 의료인력 지원 사업
- 취약계층 의료서비스 지원 사업
- 지역사회 의료지원 사업
- 대구·경북 보건의료복지 통합체계 구축
- 사회공헌활동 (사랑의 연탄나눔 운동, 찾아가는 교육기부, 1사1촌 자매결연 등)
-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
- 대구경북 지역 공공보건의료 협의체 운영
-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 사업
- 중증응급 이송·전원 및 진료협력 사업
- 감염 및 환자안전관리 사업
- 재활의료 및 지속관리 협력 사업
- 지역보건의료기관 인력 교육 및 네트워크 구축 사업
2022년에는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특히 건강안전망 분야에서 보건의료복지통합 지원체계 구축 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건강안전망 구축에 기여하고, 지역민의 수요를 반영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5. 2. 성과
경북대학교병원은 국립대병원으로서 의료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역민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어촌 지역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고, 취약계층 건강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 기관들과 협력하여 의료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을 통해 지역민의 건강 증진과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힘쓰고 있다.
또한,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을 통해 응급, 감염, 재활 등 필수의료 서비스 보장과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22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특히 건강안전망 분야에서 보건의료복지통합 지원체계 구축 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건강안전망 구축을 위한 노력과 지역민의 수요를 반영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6. 병원 경영
교육부가 실시한 2023년도 국립대학병원 경영평가에서 3년 연속으로 A등급을 획득하였다. 이는 국립대병원 중 유일하게 교육사업 부문에서 A등급을 받은 성과이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7. COVID-19 대응
경북대학교병원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권역 책임의료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국내 최초 생활치료센터 운영, 세계 최초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도입 등 선도적인 대응을 통해 K-방역에 기여했으며, 향후 권역 감염병전문병원으로서 역할을 확대할 예정이다.
7. 1. 주요 활동

경북대학교병원은 권역 거점의료기관으로서 다양한 감염병 예방과 치료에 힘쓰고 있다. 감염병 의료 관련 자문 및 교육, 예방관리 활동 등 의료 관련 감염병 예방관리 사업을 수행하며 효과적인 감염관리 대응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부터 일반 진료뿐 아니라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총력을 기울였다. 국내 최초로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하여 경증환자를 치료하였으며, 코로나19 발생과 동시에 음압격리병상을 확보하여 중증환자를 치료했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은 세계 최초로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를 도입 및 운영하여 K-방역의 우수성을 알리고 신속하고 안전한 진단검사의 모범 사례를 만들었다. 이와 관련된 연구 논문도 여러 차례 발표하며 뛰어난 감염병 대처 역량을 보여주었다.

2021년에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주관하는 「권역 감염병전문병원 구축 사업」에 ‘경북권 감염병전문병원’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대규모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 감염병 관리 인프라이자 권역별 감염병 대응 컨트롤타워로서, 독립적인 감염 병동 설치 및 운영을 목표로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병원 내 부지 11537m2에 지하 4층, 지상 6층, 주차 240대 규모로 신축될 예정이다.
향후 권역 감염병전문병원은 평상시 감염병 관리, 위기 대비 및 대응체계 구축·운영을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권역 내 감염병 환자(투석, 수술 등) 진료와 전문인력 교육·훈련 및 연구를 담당하게 된다. 감염병 위기 시에는 의료기관 간 협업, 권역 내 환자 의뢰·회송 등 관리 기능과 중증 및 특수 환자에 대한 중점 입원 치료 등 진료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8. 운영기관
- 경북대학교병원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
- 대구경북지역암센터
- 대구경북노인보건의료센터
- 경북권역재활병원 (경산)
- 첨단임상시험센터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Medicity Daegu Council
https://www.apantiag[...]
2022-07-20
[2]
뉴스
South Korea's health minister nominee withdraws over abuse-of-power allegations
https://www.reuters.[...]
2022-07-20
[3]
웹사이트
Yoon's second health minister nominee throws in towel
https://koreajoongan[...]
2022-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