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제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제약은 1972년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취득하여 설립된 제약회사이다. 1980년에 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해외 제약회사와 기술 제휴를 통해 다양한 의약품을 개발 및 판매해왔다. 2000년에는 KOSDAQ에 상장되었으며,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및 위탁개발 전문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며 자체 기술 플랫폼 구축과 ESG 경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 - 종근당
종근당은 1941년 이종근이 설립하여 1968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로, 2013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고려제약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려제약㈜ |
원어 | Korean Drug Co., Ltd.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80년 1월 10일 |
창립자 | 박해룡 |
이전 회사 | 해당 없음 |
해체 | 해당 없음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28길 34 (도곡동) |
인물 | 박상훈 (대표이사 사장) |
산업 | 제조업 |
서비스 및 제품 | |
서비스 | 완제의약품 제조업 |
제품 |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기타제품 |
재무 정보 | |
자본금 | 5,500,000,000원 (2023.12) |
매출액 | 38,280,023,374원 (2023) |
영업이익 | 8,657,962,899원 (2023) |
순이익 | 2,236,968,836원 (2023) |
자산총액 | 77,682,271,852원 (2023.12) |
주주 및 직원 | |
주주 | 박상훈 외 특수관계인: 50.19% |
모기업 | 해당 없음 |
종업원 | 266명 (2023.12) |
자회사 | 해당 없음 |
기타 정보 | |
슬로건 | 해외로도 수출됩니다 (1989) 해외로 수출됩니다 (1990) 건강제일 (1990 ~ 현재) |
웹사이트 | 고려제약 |
2. 연혁
연도 | 내용 |
---|---|
1972년 | 의약품 제조업 허가 취득(제159호)[1] |
1976년 | 인천시 북구 효성동으로 소재지 이전[2] |
1980년 | 고려제약㈜ 설립, 독일 루이폴두社와 기술 제휴[3][4] |
1982년 | 항생물질 제조업 허가 취득 |
1985년 | 과학기술처 한국화학연구소로부터 유망 중소기업 선정 |
1986년 | 이탈리아 Biofer社와 기술 제휴, 빈혈 치료제 산타볼 발매, 생산 시설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 |
1987년 | 활성 비타민제 제로비탈, 종합 감기약 하벤 발매 |
1988년 | 이천공장 내용액제 제조 시설 확장, GMP 시설 및 증축 공사 착공 |
1989년 | 전사적 품질 관리 운동 시작, 멕시코 수출 개시, 의약품 수출입업 허가 취득 |
1990년 | Claim Zero 운동 추진, 이천공장 GMP 시설 및 증축 공사 준공, 현재 사용 중인 CI 변경[3] |
1991년 | 파키스탄 수출 개시, 전 제형 우수 의약품 제조 관리 기준(KGMP) 적격 업소 지정(제64호), 식품 제조 가공업 허가 취득, 전산 시스템 도입 및 서울 본사-이천 공장 간 온라인 개통[3] |
1993년 | 내용액제 제조 시설 자동화 및 외용액제 제조 시설 도입, 외용액제 KGMP 적격 업소 추가 지정, 이천공장 내용 고형제 제조 시설 증설, 이천공장 중앙연구소 설립 인가, 경기도로부터 으뜸 일터상 수상[3] |
1994년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가입, 병역특례업체 지정[3] |
1995년 | 이천공장 자동화 오수 처리 시설 준공, 경기도 내 100대 유망 중소기업 선정, 이천공장 중앙연구소 건물 신축 준공, 한방 성분과 비타민으로 보강된 감기약 하벤에프 출시[3] |
1996년 | 싱가포르 및 베트남 수출 개시, 프랑스 메딕스(Medix, 얀센 실락(Jassen Cilag)社)와 기술 제휴로 화상 치료제 Biafine 발매, 이천공장 첨단 물류 빌딩 준공[3] |
1997년 | 란시드 특허 등록(제111249호), 상공의 날 대통령 표창 수여[3] |
1998년 | 감기약 성분을 함유하는 한방 액제 특허 등록(제183183호)[3] |
1999년 | 독일 바이오테스트(BIOTEST)社와 기술 제휴(메갈로텍, 펜타글로빈), 란시드 특허 분쟁 승소, 향정신성 의약품 제조 및 마약류 취급자(제조업자) 허가 취득(식품의약품안전청), 미국 ICNICN영어[3]社와 기술 제휴로 Librax, Dalmadorm[4], Mestinone 발매, 이천공장 산액 복합제 제조 시설 자동화[3] |
2000년 | 이천공장 연고제 제조 시설 자동화, 빈혈 치료제 산타볼에서 산타몬/산타몬플러스로 변경, 이천공장 의약품 제조소 1차 리모델링, 코스닥 등록, 의약품 분석 정도 관리 사업 우수 업체 선정[3] |
2001년 | 국내 최초로 식물성 HPMC 캅셀을 사용한 종합 감기약 하벤플러스 발매, 예멘 및 말레이시아 수출 개시, 원료 합성 시작, 클라로마 특허 등록(제317907호)[3] |
2002년 | 오스트리아 게브로(Gebro)社와 기술 제휴로 Seractil 발매[3] |
2003년 | EU-GMP 기준 도입, Validation 시작, 이천공장 의약품 제조소 2차 리모델링(지원 시설)[3] |
2004년 | 건강기능식품 전문 제조업 허가 취득[3][4] |
2. 1. 설립 초기 (1972년 ~ 1980년대)
- 1972년 12월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취득했다.(제159호)[1]
- 1976년 3월 인천시 북구 효성동 496-1번지로 소재지를 이전했다.[2]
- 1980년 1월 10일 고려제약㈜를 설립했다.[3]
- 1980년 4월 독일 루이폴두社와 기술 제휴를 맺었다.[4]
- 1982년 5월 항생물질 제조업 허가를 취득했다.
- 1985년 4월 과학기술처 한국화학연구소로부터 유망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1986년 7월 이탈리아 Biofer社와 기술 제휴를 맺었다.
- 1986년 7월 독자 기술로 개발한 빈혈 치료제 '산타볼'을 출시했다.
- 1986년 11월 생산 시설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 1987년 3월 독자 기술로 개발한 활성 비타민제 '제로비탈'을 출시했다.
- 1987년 8월 독자 기술로 개발한 Pellet 제조 공법의 종합 감기약 '하벤'을 출시했다.
- 1988년 10월 이천공장 내용액제 제조시설을 확장했다.
- 1988년 11월 이천공장 GMP 시설 및 증축 공사를 착공했다.
- 1989년 2월 전사적 품질 관리 운동을 시작하고, 멕시코에 수출을 시작했다.
- 1989년 7월 의약품 수출입업 허가를 취득했다.
2. 2. 성장 및 발전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1988년 10월, 이천공장에 내용액제 제조시설을 확장했다.[3] 1989년 2월에는 멕시코에 수출을 시작했고, 같은 해 7월에는 의약품 수출입업 허가를 취득했다.[3] 1990년 1월에는 이천공장의 GMP 시설 및 증축공사를 준공했고,[3] 9월에는 현재 사용 중인 CI로 변경했다.[3]1991년 4월, 파키스탄에 수출을 시작했고, 전 제형에 대해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KGMP) 적격업소(제64호)로 지정되었다.[3] 같은 해 8월에는 전산시스템을 도입하고 서울 본사와 이천공장 간 온라인을 개통했다.[3] 1993년 1월에는 내용액제 제조시설을 자동화하고 외용액제 제조시설을 도입했으며,[3] 3월에는 외용액제 KGMP 적격업소로 추가 지정되었다.[3] 11월에는 이천공장에 중앙연구소 설립 인가를 받았다.[3]
1994년 4월에는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에 가입했고,[3] 11월에는 병역특례업체로 지정되었다.[3] 1996년 1월에는 싱가포르와 베트남에 수출을 시작했고,[3] 프랑스 메딕스(Medix, 얀센 실락(Jassen Cilag)社)와 기술제휴를 통해 화상치료제 'Biafine'을 발매했다.[3] 1997년 1월에는 란시드 특허를 등록했다.[3] 1999년 5월에는 독일 바이오테스트(BIOTEST)社와 기술제휴를 맺었고,[3] 8월에는 미국 ICN社와 기술제휴를 통해 'Librax', 'Dalmadorm', 'Mestinone'을 발매했다.[3]
2. 3. KOSDAQ 상장 및 사업 확장 (2000년대 ~ 현재)
2000년 12월 코스닥에 등록되었다. 2001년 5월에는 국내 최초로 식물성 HPMC 캅셀을 사용한 종합 감기약 '하벤플러스'를 출시했다. 2002년 8월에는 오스트리아 `Gebro` 社와 기술제휴하여 Seractil을 발매했다. 2003년 10월에는 EU-GMP 기준을 도입하고 Validation을 시작했으며, 이천공장 의약품 제조소 2차 리모델링(지원시설)을 진행했다. 2004년 7월에는 건강기능식품 전문 제조업 허가를 취득했다.[3][4]3. 제품
고려제약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
- 일반의약품
- 전문의약품
- 건강기능식품
- 의료기기
- 기타
3. 1. 일반의약품
고려제약에서 판매하는 일반의약품은 다음과 같다.- 하벤 시리즈: 다양한 종류의 감기약이다.
제품명 |
---|
하벤파워에스 |
하벤허브에프 |
하벤큐 |
하벤콜큐 |
하벤코프큐 |
하벤코 |
하벤유에스 |
하벤목에스 |
하벤에프 |
하벤플러스 |
하벤프레시 |
하벤에스액 (㈜텔콘알에프제약에서 제조) |
하벤콜에스액 |
하벤코프에스액 |
하벤파워골드 |
- 아스노
- 실리톤
- 레보골드
- 산타몬플러스 (빈혈 치료제)
- 로이코비에스
- 큐-업
- 이뮤-골드
- 글루콤 (판매원: ㈜온누리에이치앤씨)
- 펩티스
- 스파메드
- 멀스토
- 덴타포스
- 득생장수고 (제조의뢰원: ㈜오원파마코푸레이션)
- 인도톱 (제조의뢰원: ㈜제우스팜)
- 진코멕신
- 비아핀 에멀젼 (제조의뢰원: 프랑스 얀센 CILAG)
3. 2. 전문의약품
- 에이디메드
- 플루코나
- 플라메드
- 프레가린
- 팜시클
- 토스팜
- 터비나
- 클라로마
- 달마돔 (70~90년대 종근당에서 생산판매한 향정신성 최면진정제)
3. 3. 건강기능식품
- ㈜온누리에이치앤씨에서 판매하는 비타콤
- 마그콤
- 잔트롤골드
- 프리미엄프레쉬 오메가3
- 레스퀵라이트
- 뉴트리테일러
- 프레스샷
3. 4. 의료기기
- 스카클리어
- 고려Q쥬란
3. 5. 기타
- 살비아토
- 아크녹실
- 아르니젤
- 엑스플루겔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