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흥문은 경성부 출신으로, 기업인으로 활동하다 정치에 입문하여 유신체제 하에서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부의장을 역임했으며,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로 인해 정치 활동이 중단된 후 정계에 복귀하지 않고 저술 활동을 했다. 1998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상순 (배우)
김상순은 196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수사반장》, 《전원일기》 등과 시트콤, 영화, 뮤지컬,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MBC 연기대상 남자 우수상, 남자 최우수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경기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재형 (연출가)
김재형은 1961년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등 다수의 인기 사극을 연출하여 '사극의 거장'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이다. - 민정당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민정당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1974년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고흥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흥문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21년 8월 5일 |
사망일 | 1998년 3월 15일 |
본관 | 제주 |
직업 | 정치인 |
정치 경력 | |
의원 선수 | 5 |
의원 대수 | 6·7·8·9·10 |
기타 정보 |
2. 생애
정태성은 경성 출신으로, 이름은 흥인지문에서 유래했다.[1] 기업인으로 활동하다 조병옥 계열에 합류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4·19 혁명 이후에는 유진산 계에서 활동했다. 유신체제 하에서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부의장을 역임하는 등 야당 정치인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의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로 인해 정치 활동을 강제로 중단당했다.[1] 1984년 정치활동 규제가 해금된 이후에도 "통합 야당이 아니면 정치를 재개하지 않겠다"는 자신의 원칙을 지키며 정계에 복귀하지 않았다.[1]
정계 은퇴 후에는 저술과 신문 기고 등의 활동에 전념했다.[1] 저서로는 자서전 『정치현장 40년, 못다 이룬 민주의 꿈』과 정치평론집 『대화의 정치, 화합의 정치』 등이 있다.[3][1] 1998년 3월 15일, 서울의 한 헬스클럽에서 가벼운 운동을 하던 중 심장병(심장마비)으로 인해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3. 학력
4. 약력
직위 | 기간 |
---|---|
흥한무역공사 사장 | |
풍성기업사 사장 | |
동아연탄 부사장 | |
민정당 당무위원 겸 재정위원장 | |
민정당 제6대 국회의원 | 1963년 ~ 1967년 |
민중당 당무위원, 사무처장 | |
신민당 제7대 국회의원 | 1967년 ~ 1971년 |
신민당 제8대 국회의원 | 1971년 ~ 1972년 |
신민당 제9대 국회의원 | 1973년 ~ 1979년 |
신민당 제10대 국회의원 | 1979년 ~ 1980년 |
신민당 부총재, 정무회의 부의장, 최고위원 | |
국제의원연맹 총회 대한민국 대표 | |
한일의원연맹 고문 | |
한호친선협회 회장 | |
국회부의장 | 1979년[1] |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63년 | 총선 | 6대 | 국회의원 | 민정당 | 1,870,976표 (20.1%) | 전국구 4번 | 당선 | 초선 | |
1967년 | 총선 | 7대 | 국회의원 | 신민당 | 3,554,224표 (32.7%) | 전국구 4번 | 당선 | 재선 | |
1971년 | 총선 | 8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북구 병 | 신민당 | 63,919표 (72.18%) | 1위 | 당선 | 3선 |
1973년 | 총선 | 9대 | 국회의원 | 서울 성북구 | 신민당 | 100,498표 (32.24%) | 1위 | 당선 | 4선 |
1978년 | 총선 | 10대 | 국회의원 | 서울 도봉구 | 신민당 | 113,566표 (40.86%) | 1위 | 당선 | 5선 |
참조
[1]
웹사이트
고흥문(高興門)
https://encykorea.ak[...]
2023-08-15
[2]
웹사이트
고흥문 前국회부의장 별세
http://www.busan.com[...]
2021-05-08
[3]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
2018-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