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영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한국 전쟁을 거치며 정치에 입문하여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자유당 소속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야당 활동을 오래 했으며, 박정희, 전두환 군사 정권에 저항하며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다. 대통령 재임 중에는 금융실명제 실시, 하나회 해체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으며 임기를 마쳤다. 퇴임 후에는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활동을 펼치다 2015년 서거했다. 그는 9선 국회의원,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영삼 가 - 김현철 (1959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은 '소통령'으로 불리며 김영삼 정부에서 막후 영향력을 행사한 정치인, 기업인, 학자로, 한보 사태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구속된 바 있으며, 중앙여론조사연구소 소장, 유엔한국청년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김영삼민주센터 상임이사와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 김영삼 가 - 손명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은 그의 정치 활동을 헌신적으로 내조하고, 영부인 시절 청와대 직원들을 위한 시설 개선에 힘썼으며,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후 상도동 사저에서 여생을 보내다 폐렴으로 별세하였다.
김영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초상화, 1993년
이름김영삼
출생일1927년 12월 20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리
사망일2015년 11월 22일
사망지서울특별시
묘지국립서울현충원
본관김녕
학력서울대학교 (문학사)
배우자손명순
자녀6명
서명Kim Young-Sam signature.svg
종교개신교(예장합동)
로마자 표기Gim Yeongsam
한자 표기金泳三
거산 (巨山)
정치 경력
직책대한민국 대통령
임기 시작1993년 2월 25일
임기 종료1998년 2월 24일
총리황인성
이회창
이영덕
이홍구
이수성
고건
이전 대통령노태우
다음 대통령김대중
정당자유당 (1954년)
무소속 (1954–1955년)
민주당 (1955–1960년)
무소속 (1960년)
신민당 (1960–1961년)
무소속 (1961–1963년)
민정당 (1963–1965년)
민중당 (1965–1967년)
신민당 (1967–1969년)
무소속 (1969년)
신민당 (1969–1980년)
무소속 (1980–1986년)
신한민주당 (1986–1987년)
무소속 (1987년)
통일민주당 (1987–1990년)
민주자유/신한국당 (1990–1997년)
무소속 (1997–2015년)
신한국당 총재임기 시작: 1992년 8월 28일
임기 종료: 1997년 9월 30일
이전 총재: 노태우
다음 총재: 이회창
통일민주당 총재임기 시작: 1988년 5월 12일
임기 종료: 1990년 1월 22일
이전 총재: 김명윤
다음 총재: (당 해산)
신민당 총재임기 시작: 1987년 5월 1일
임기 종료: 1988년 2월 8일
이전 총재: (신설)
다음 총재: 김명윤
신민당 총재임기 시작: 1979년 6월 7일
임기 종료: 1980년 10월 27일
이전 총재: 이철승
다음 총재: (당 해산)
신민당 총재임기 시작: 1974년 8월 21일
임기 종료: 1976년 9월 21일
이전 총재: 김의택
다음 총재: 이철승
국회의원임기 시작: 1992년 5월 30일
임기 종료: 1992년 10월 13일
지역구: 비례대표
국회의원임기 시작: 1988년 5월 30일
임기 종료: 1992년 5월 29일
지역구: 부산광역시 서구
국회의원임기 시작: 1960년 7월 29일
임기 종료: 1979년 10월 4일 (제명)
지역구: 부산광역시 서구
국회의원임기 시작: 1954년 5월 31일
임기 종료: 1958년 5월 30일
지역구: 거제시
군 복무
소속대한민국 육군
계급학도병
복무 기간1951년 2월 ~ 1951년 10월
참전한국 전쟁
기타
창씨개명김영삼 (金泳三)

2. 학력

1940년 3월 거제장목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 1941년 3월 통영중고등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전퇴하였고, 1946년 3월 부산경남중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47년 3월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1951년 2월 졸업,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대통령이 되기 이전

1954년 김영삼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이끄는 자유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다.[30] 당시 그는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4] [48] 이를 통해 정계에 입문하였다.

의원(議員)이 된 이후 오랫동안 야당(野党)에서 활동하였으며, 박정희 정권부터 전두환 정권 시기의 군사정권(軍事政権) 시절에는, 1969년 폭한에게 질산(硝酸)을 뒤집어쓰는 사건을 당하기도 하였고(대한민국 중앙정보부(大韓民国中央情報部)의 소행으로 추정됨),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영어) 기자와의 인터뷰(インタビュー) 기사(記事) 등을 둘러싸고 국회의원 제명 처분을 받기도 하였으며(1979년), 자택 연금(軟禁)을 당하는 등 탄압을 받았다.

1950년 5월, 김영삼은 장택상의 국회의원 총선거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하였고,[112] 1951년에는 장택상의 비서관이 되었다.[113][114] 1951년 5월 장택상이 국무총리에 취임하자 김영삼은 국무총리실 인사담당 비서관이 되었다.

1954년 5월 20일 제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제군 지역구에 출마,[117] 20800표를 얻어 민주국민당서순영을 누르고 당선되어 만 25세에 최연소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한다.[4] [30] [48] 당선 후 몇 달 만에 김영삼은 이승만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1954년 11월, 자유당이승만의 3선을 확정하기 위해 이기붕의 안내로 김철안, 김상도 등과 함께 경무대를 방문, 3선개헌은 안 되며 이번으로 끝나야 한다는 의견을 건의하였으나 묵살되었다.[118]

경무대를 방문한 김영삼은 이승만 대통령에게 "박사님, 개헌하시면 안 됩니다. 국부(國父)로 남으셔야 합니다"라고 했다.[119]

이승만은 80세였는데 28세였던 김영삼의 발언을 듣고 불쾌한 나머지 손을 떨었다 한다. 별 말없이 뒷문으로 나가버렸고, 이기붕이 김영삼을 찾아와 화를 내며 "왜 쓸데없는 말을 해서 노인을 화나게 하느냐"고 나무랐다.[119] 김영삼은 자유당을 탈당하지 않았다. 3선 개헌안이 부결 처리 됐는데 최순주 민의원 부의장이 '사사오입' 원칙을 내세워 개헌안을 다시 가결된 것으로 통과시켰다.[119] 사사오입 개헌이 통과되자 김영삼은 자유당을 탈당하였다.[119]

그는 이때부터 현석호, 한동석 등과 만나 개헌저지를 위한 동지 규합에 나섰다. 1954년 11월 27일, 초대 대통령 연임 제한 철폐를 골자로 한 개헌안이 무기명 투표로 붙여졌다. 이때 그는 자유당 소속의 다른 의원인 현석호, 민관식, 이태용, 황남팔, 김두한, 김흥식 등과 함께 부표를 던졌다.[118] 이후 여당의 독재에 반발하여 그해 12월 3선 개헌에 반기를 들고 탈당한다.[100][120] 자유당을 탈당한 뒤 1955년 4월 민주당 창당발기준비위원회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 민주당이 결성되자 민주당에 입당했고, 민주당 중앙당 청년 부장 겸 경남도당 부위원장에 임명됐다.[121]

민주당 신파의 장면(張勉)을 찾아갔다. 그러나 장면이 성경 말씀을 인용하며 권모술수를 쓰는 것에 반대하자, 이를 답답하게 여긴 김영삼은 장면의 곁을 떠나 민주당 구파의 조병옥, 유진산 등을 찾아갔다. 이후로 김영삼은 민주당 구파로 정치 활동을 하였다. 장택상이 정계로 발탁한 인물이며 수제자 중의 한 사람인 것이 알려지자 조병옥은 전폭적으로 그를 후원하였다.

|섬네일|오른쪽|180px|민주당 구파의 리더 유석 조병옥
(그의 야당 생활의 정치적 스승이었다.)]]

1956년 10월 13일 배재학원 운동장에서 열린 제1차 여야 민의원 친선 야구 대회에 참가했다.[122]

1958년 5월의 제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중앙당의 권유로 고향인 경남 거제군을 떠나 선거구를 옮겨 부산시 서구 갑에서 출마해 낙선하였다. 자유당은 당시 경남도지사, 내무부차관을 지낸 이상용을 후보로 내세웠다. 23개 투표함 중 16개 함에서는 김영삼이 7:3의 비율로 우세하였으나 나머지 한 표에서는 그의 표가 많은 것이 7표만 나오고 자유당 표 일색이라 막판에서 선거에 패하게 되었다.[123] 낙선 직후 선거 결과에 승복하지 못한 그는 그해 5월 개표 조작이 의심된다 하여 법원에 제소[124] 하였으나 무효였다.

낙선한 뒤에도 원내에서 정치 활동을 하며 1959년 조병옥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기 위해 당내의 인사들로서 '유석 청년 동지회'란 모임을 조직, 조병옥의 후보 추대 운동을 벌여 성공하기도 했다.[123] 4.19 혁명 이후에 치러진 5월 대한민국 제5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재기한다. 이후 민주당 구파 정치인으로 활동한다.[125]

1960년 9월 25일 거제군 외포리 김영삼의 집에 총을 든 무장 간첩에 의해 김영삼의 어머니 박부련이 살해당한다. 무장 공비가 복부에 세 발의 총을 쏜 것이다.

1960년 8월 민주당이 원내 다수당을 차지하고 구파의 윤보선대통령에 선출되면서 4개월 간 여당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윤보선 등 민주당 내 구파가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자, 김영삼은 신민당에 입당하여 야당 인사가 되었다. 이후 신민당 원내부총무에 발탁되었고, 1961년 2월 20일에는 재차 신민당 원내부총무에 선출되었다.[126]

1961년 2월 중석불 사건과 관련하여 10명의 의원들과 함께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조사에 착수하도록 했다.[126] 3월에는 민족일보 인쇄 중지를 명한 장면 정부를 비판했다.[127] 김영삼은 장면 총리가 경향신문 폐간 당시를 상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장면은 언론 탄압은 없었으며 민족일보는 다른 곳에서 인쇄하면 된다고 응수했다.[127]

김영삼은 민주당 구파의 주요 인사로서 민주당 신파 인사들의 정국 주도권 장악 시도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같은 구파인 윤보선 대통령과 가깝지 않았으며, 윤보선을 별로 가까이하지 않았다.

1961년 5월 16일 군인들의 5.16 군사정변 소식을 거제에서 접하였다. 그는 집에서 배를 타고 부산에 도착, 차를 타고 서울로 향했다. 당시 그는 신민당의 원내부총무였고 다른 정치인들은 국회가 해산되고 탱크가 밀려왔다는 소식에 오히려 은신처를 찾았지만 그는 서울로 향했다. 쿠데타세력이 민주공화당을 창당할 무렵 야당은 분열되어 김병로, 윤보선을 중심으로 한 민정당, 박순천장면의 민주당, 김준연의 자민당이 난립하였고, 그는 민정당을 선택, 민정당 초대 대변인으로 선임되어 야당의 입으로 활약했다.[123]

1961년 5.16 직후 정치정화법으로 묶여있던 중 국가재건최고회의 내무위원장 조시형이 그를 찾아와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해줄 것을 부탁하였으나 5.16은 장면 정권이 수립 8개월 만에 기도됐다는 것과 군은 약속대로 원대복귀하라며 군의 정치참여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 참여할 수 없다고 거부하였다.[128] 그 뒤 민주공화당에서 부산시지구당 위원장직을 제안하자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거절하였고,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하자 다시 서울신문사 사장직을 제의하였지만 역시 거절하였다.[129]

군정에서는 계속 군정참여를 요청하였으나 김영삼은 이를 거절했다. 1963년 3월, 박정희가 군정연장을 발표하자, 윤보선, 허정 등과 함께 군정연장 반대 데모에 참여하였다. 군정연장 반대 데모에 참여한 혐의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그 후 김영삼은 김대중과 함께 박정희전두환의 군사 정권을 비판하는 선두주자가 되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1년 김영삼은 야당인 신민당 후보로 박정희 대통령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처음 출마하려 했으나,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박정희 대통령과 김영삼 (1975년 5월)


1974년, 김영삼은 신민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1976년 국회 내 권력을 일시적으로 상실했지만, 박정희 정권의 마지막 해에 정치적 복귀를 이루었다. 김영삼은 유신헌법이 폐지될 때까지 박정희의 민주공화당과 절대 타협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강경한 정책을 취했으며, 새 헌법에 따라 투옥될 수도 있는 박정희의 독재를 과감하게 비판했다.[6]

1979년 8월, 김영삼은 Y.H. 무역회사의 여성 노동자 200여 명이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을 벌일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들을 보호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1000여 명의 경찰이 당사를 급습하여 노동자들을 체포했다.[7] 이 과정에서 여성 노동자 1명이 사망했고, 노동자들을 보호하려던 많은 의원들이 심하게 구타당해 일부는 병원 치료를 받아야 했다. YH 사건은 광범위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김영삼은 박정희의 독재가 곧 무너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난을 받았다.[8] 이 사건 이후, 박정희는 투옥된 김대중처럼 김영삼을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려 결심하고,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에 그러한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다. 1979년 9월, 법원은 김영삼의 신민당 총재직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내렸다.[11][9]

김영삼이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박정희의 독재를 지원하지 말 것을 촉구하자,[11][10] 박정희는 김영삼을 투옥하려 했지만, 인권 침해가 심각해지는 것을 우려한 카터 행정부는 야당 인사들을 박해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를 발표했다. 김영삼은 1979년 10월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미국은 대사를 워싱턴 D.C.로 소환했으며,[8] 신민당 의원 66명 전원이 국회에서 사퇴했다.[10]

한국 정부가 사퇴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계획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김영삼의 고향인 부산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이는 이승만 대통령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였으며, 인근 마산과 다른 도시로 확산되었고, 학생과 시민들은 독재 종식을 요구했다.[8] 부마민주항쟁은 위기를 초래했고, 이 혼란 속에서 박정희는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암살되었다.[11]

1980년 2월 최규하 당시 대통령윤보선, 김대중 등 687명의 복권을 선언한다.[162] 이때부터 1980년 3월에 이르는 시기에 김영삼 신민당 총재는 정국을 관망만 했다. 그리고 4월 들어 정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1963년 민정 이양 이후 숙명의 라이벌이었던 김영삼과 김대중은 두 사람이 힘을 합쳐도 신군부의 권력 장악을 막아내지 못할 것이라는 여론에도 불구하고 각자 대권 행보에 나섰다.[163] 또한 김영삼은 기타 야당 인사와 시민단체들에게 딱히 손을 내밀지도 않고 독자적인 행보에 나섰다.

한편 그는 김대중신민당에 입당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4월 7일 김대중은 신민당 입당을 거부했다.[163] 윤보선은 다시 중재에 섰다. 4월 7일 윤보선의 중재로 두 사람은 4월 12일 윤보선과 함께 3자 회동을 했지만 대권을 향한 두 사람의 꿈을 막을 수는 없었다.[163] 윤보선은 다시 한번 힘을 합치라고 권고했지만 회의는 결렬되고 만다. 4월 28일 김영삼이 신민당 당직자와 함께 대권과 관련해 현충사를 참배하자 같은 날 김대중신민당 내 동교동 의원들을 데리고 현충사 부근 윤봉길 생가를 방문한다.[163] 양김이 협력하지 않자 윤보선도 단념하고 그해 8월 정계 은퇴를 선언해버린다. 한편 윤보선의 정계 은퇴로 김영삼은 민주당 구파 계열을 장악하게 된다.

1980년 봄, 그는 김대중, 김종필 등과 대권을 놓고 경쟁하였다. 그는 전두환과 신군부의 쿠데타를 그리 걱정하지 않았고, 결국 5·17 쿠데타로 좌절되었다.[164][165][166] 1980년 5월 17일 오전 10시, 김영삼은 신군부 군인들에 의해 가택연금을 당했다.[164][165] 김영삼은 5월 20일 상도동 자택에서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내린 신군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는 "오늘 계엄통치를 확대 강화한 5 ·17 사태를, 민주회복이라는 국민적 목표를 배신한 폭거로 규정한다. 계엄당국의 강압통치로 빚어진 유혈사태는 이 나라를 파국으로 몰아가고있다."면서 '국민적 목표를 배신한 5·17 폭거'라는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김영삼은 신군부에 의해 5월 20일부터 가택연금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가택연금 상태에서 장남 김은철의 약혼 소식을 접하였으나 참석하지 못하였다.[166] 목사 강원룡은 김영삼의 집을 찾아가 약혼식을 주례하였다.[167]

1980년 9월 출범한 전두환제5공화국 정권에서도 계속된 가택 연금과 정치적 탄압에 항의하며 장기간의 단식 투쟁을 단행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같은해 10월 김영삼은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의 강요로 정계 은퇴 선언을 발표하였다. 1981년 5월 연금에서 해제된 김영삼은 이민우, 김동영, 최형우, 김덕룡 등 정치활동 규제에 묶여있는 재야 인사들과 함께 등산모임을 조직하고 민주산악회를 출범시켰다.[168] 민주산악회의 참가자가 증가하면서 김영삼은 1981년 6월 9일 공식기구로서 출범하는데 동참하였다. 공식 기구로 출범한 민주산악회는 이민우를 회장으로 선출하고 김영삼을 고문으로 추대하였다.[168] 그 뒤 민주산악회는 주요 정치적 사건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고 지방조직을 확대하는 등의 사실상의 정치적 활동을 하였으며 한편 김대중 계열 정치인들도 민주산악회의 활동에 가담하여 적극 협력하며 야권통합과 범국민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168] 이에 따라 김영삼 계열 정치인들은 김대중 계열까지 흡수하여 재야정치인들의 통합조직을 준비, 민주산악회를 모체로 하는 통합협의체의 구성에 합의하였다.

전두환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후에도 야당에 대한 탄압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김영삼은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다. 1983년 5월, 그는 전두환의 독재에 항의하는 21일간의 단식 투쟁을 벌였다.[12]

8월 11일 김대중과 회동하여 대통령후보 단일화 문제를 협의했으나, 김영삼의 조기 후보 단일화 주장과 김대중의 개헌 협상 후 조정 주장이 맞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76] 9월 14일 김대중과 다시 만났으나, 김대중은 36개 미창당 지구당 결성을 요청한 반면 김영삼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총선에서의 조직책 선정이나 다름없는 36개 지구당을 창당하는 것은 적전 분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경선을 하지 않을 바에는 굳이 잡음의 소지가 있는 36개 지구당 창당은 필요없는 것이다"[176]라며 반대했다.[176]

9월 29일9월 30일 양일간 김영삼과 김대중은 후보단일화 회담을 가졌으나, 이견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실패하였다.[177] 야당 후보자들의 단일화를 촉구하던 재야인사들은 이를 '적전분열'이라며 강도높게 질타하였다. 10월 10일 통일민주당을 장악한 김영삼은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했고, 당내 경선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던 김대중은 10월 18일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였다.[178]

김대중과의 대선후보 단일화 실패로 1987년 11월 김대중은 통일민주당을 탈당, 평화민주당을 창당했다.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은 28%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하며, 민주정의당 노태우에게 패배하였다. 당시 노태우와 김영삼은 광주 유세에서 성난 시민들이 던진 돌과 화염병에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134]

김대중평민당 창당 과정에서 학생운동권 NL 계열 출신 청년 정치지망생들을 대거 영입하자, 통일민주당의 영향력은 감소했다. 이에 김영삼 역시 재야 인사 및 운동권 계열 인사 영입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전두환 퇴임 이후 1987년에 실시된 최초의 민주적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의 후보 단일화 실패로 야권 표가 분열되었고, 전두환이 지목한 후계자인 노태우가 당선되었다. 이는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였던 홍숙자가 김대중 지지를 위해 사퇴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일이었다.[13]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산, 경상남도 지역에서만 압승을 거뒀을 뿐 수도권 지역에서는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에 패배하면서 제2야당의 당수로 밀려났다. 그해 3월에는 인권변호사로 유명한 김광일을 발탁하였다.[179] 인권변호사인 노무현을 정치계에 발탁하기도 하였다.[180] 이후 노무현을 전폭적으로 지원, 상도동 자택으로 수시로 불러서 면담도 하고 용돈도 넉넉히 지원해 주었다.[181] 그러나 1990년 3당 합당과정에서 노무현이 반대하면서 결별하게 된다.

1989년 4월 27일 《이경현 살인폭력사태 국민대책위》 결성에 참여하여 폭력사태 진상규명, 평화시위 보장과 공권력에 의한 폭력중지, 공안합수부와 백골단해체 요구에 동참하였다.[182] 87년 대통령선거 직전 김대중의 탈당에 대해 김영삼은 이를 '천추의 한'이라고 하기도 하였다.[100]

이후 여소야대 정국에서 위기감을 느끼던 노태우 대통령의 민주정의당, 제2야당의 지위에 불만족을 느끼던 중 측근인 서석재의 구속으로 마음을 굳힌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그리고 내각제 개헌을 노리고 있던 김종필신민주공화당이 물밑 협상하였다.[100] 3당합당에 참여하게 된 원인으로는 '분열된 야당으로는 집권의 소망이 보이지 않았고 3당 통합을 계기로 기득권세력이 누리는 기본적인 고정 지지표와 충분한 정치자금을 확보하게 된다면 차기집권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183] 협상 끝에 1990년 1월 전격적으로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하였고, 김영삼은 민주자유당의 대표로 취임하였다. 한편 3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입당하면서 그는 구국적 결단이라고 주장하였다.[100] 그는 집권여당의 관리자가 됨과 동시에 노태우 대통령 다음가는 당내 2인자의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구 군사정권 출신자들은 반발하였다.

1990년 1월 30일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에 선임되고 7월 다시 민자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군사 정권 관계자들은 그의 민자당 대표 취임식장까지 찾아와서 취임을 반대했지만 입구에서 저지당했고, 그의 민자당 대표 취임식은 강행되었다. 김영삼 옆에는 그가 신민당 시절부터 발탁한 측근들이 30년 이상 그를 보좌하였다, 돌격대 역할을 자임하던 측근 김동영, 김덕룡, 최형우박계동, 1990년 3당 합당으로 결별한 노무현 등이 있었고, 인재를 영입하는 것은 김광일이 담당하였으며, 각종 정치자금의 관리는 서석재, 김덕룡 등이 맡아보았고, 책사로는 황병태 등이 있었다. 이들은 김영삼을 믿고 절대적으로 따랐다.

1990년 10월 8일부터 평민당 김대중 총재가 '내각제 폐기, 지방자치제 실시'등을 내걸고 단식 투쟁을 시작하자, 10월 29일 김대중 총재를 찾아 내각제를 폐기하고 지방자치제를 실시하도록 힘써줄 것을 약속하였다.[184]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3인이 서명한 소위 "내각제 합의문"(內閣制 合意文)은 같은해 5월 9일 민자당 제1차 전당대회가 개최되기 직전인 5월 6일에 작성된 것으로 그 내용은 1. 의회와 내각이 함께 국민에게 책임지는 의회민주주의의 구현, 2. 1년 이내에 의원 내각제로 개헌, 3. 이를 위해 금년 중에 개헌작업에 착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84]

당시 민정당계 중진들은 내각제 합의는 사실이라고 거듭 확인했으나 당대표인 김영삼은 이것이 자신을 정치적으로 음해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위라고 비난하면서 당무를 거부하고, 내각제의 완전 포기와 당 대표의 실질적 권한보장이라는 조건을 내걸고 노태우 대통령에게 단독면담을 요구하였다.[184] 그러나 노태우 대통령의 반응이 없고, 사태 해결이 그의 의도대로 진행되지 않자 마산으로 낙향해 버렸고, 김종필 최고위원은 김영삼 대표의 이러한 행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였다.[184] 그러나 여권 내의 분열과 정국의 파행을 우려한 나머지 노태우 대통령은 김영삼 대표가 요구한 내각제 포기와, 대표최고위원을 중심으로 대북한정책에 당의 결속 등을 약속함으로써 사태는 반전되어 김영삼 대표최고의원의 의도대로 수습되었다.[184]

당시 민정계가 이 합의각서를 폭로하게 된 배경에는 김영삼 대표를 정치적으로 궁지로 내몰고, 그가 차기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구 민정당 내의 반 김영삼 세력의 정치적 계산이 그 저변에 깔려 있었으며[184], 이러한 일부 민자당내 민정계 의원들의 집요한 공작에도 불구하고 김영삼은 특유한 배짱과 정치적 승부수로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고 당 대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184]

1990년 1월 22일, 김영삼은 자신의 통일민주당노태우의 집권당인 민주정의당, 김종필신민주공화당과 합쳐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6] (3당 합당) 많은 민주 운동가들은 김영삼의 이러한 결정을 배신으로 여겼지만, 김영삼은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유지했다. 김영삼은 1992년 집권 여당인 민주자유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이후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48]

3. 1. 출생과 가계

1929년 1월 14일(1928년 음력 12월 4일), 경상남도 통영군 장목면 외포리(現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리)에서 아버지 김홍조와 어머니 박부련 사이에서 1남 5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그가 출생할 당시 거제도는 통영군 소속이었다. 거제도에는 큰달섬과 작은달섬이라는 이름의 부속도서가 딸려 있는데, 그의 선조들은 거제도에 딸린 섬을 각각 나눠 차지하여 살았다하여 거제도에는 큰달섬과 작은달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전설이 있다. 거제도 큰달섬에 정착한 이는 김영삼의 11대조 김복원이었다. 작은달섬에 정착한 11대 방조의 후손들은 번창했지만, 11대조 이후 김영삼의 증조할아버지 김수열 대까지 독자로 이어져 왔다. 그리고 10대조 김진손이 외포리 대계마을에 터를 잡았다. 김진손의 손자 8대조 김철명은 한성부 판윤을 지냈다.

큰달섬에 이주한 김영삼의 직계 선조에게는 후손이 귀하여 번창하지 못했고, 할아버지가 7남매를 두게 되지만 큰아버지가 29세로 요절하여 아버지 김홍조는 유일한 독자였다. 그의 형제 둘은 어려서 요절하여 그는 사실상 외아들이 되었다. 그의 가계거제도에서 멸치어장을 소유하던 부유한 집안의 아들이었고,[100] 할아버지 김동옥의 대에 이르러서 어업으로 가계를 다시 일으켰다.

어머니 박부련은 박침배의 2남 1녀 중 장녀로, 같은 마을에 살던 김홍조와 결혼하여 슬하에 1남 5녀를 두었다.[101] 그러나 박부련은 1960년 무장공비 2명에 의해 살해되었고, 김홍조는 이후 최남순과 재혼하였으나 그녀 역시 일찍 세상을 떠났다. 그 후 김홍조는 1985년 74세에 13살 연하였던 이수남과 재혼하였다.[101] 그가 태어날 무렵 김홍조는 어선을 10여 척 이상 보유하였으며 멸치 어장을 꾸려가는 인근 마을에서는 꽤 알려진 부자 집안이었다.

김영삼과 손명순의 결혼식 (1951)


김영삼은 1929년 1월 14일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당시 경상남도 거제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고현면)에서 부유한 어업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0] 다섯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1] 한국 전쟁 중에는 학도병으로 대한민국 육군에 참전하였고, 이후 군 정보교육부대 장교로 복무했다.[2]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

3. 1. 1. 유년기와 소년기

그는 유년기 시절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손이 귀한 집의 독자로 태어난 그는 할아버지를 따라 망망대해를 누비며 포부를 키웠다 한다. 그는 김영삼에게 사나이다운 배포와 우직하리만큼 강직한 성품을 심어주었다 한다. 늘 험한 바다와 싸우는 갯가에는 해신에게 무사를 기원하는 기도를 했지만 할아버지는 일찍부터 기독교에 심취, 사랑방을 기도실로 꾸며 외지에서 전도사목사 등을 자주 초청하여 예배를 보았고 숱한 동네사람들의 반발을 무릅쓰고 집 앞의 뽕밭을 기부하여 교회를 짓기도 하였다.[102] 신문물에 일찍 눈을 뜬 할아버지는 마을 주민들에게 기독교를 전도하였고, 조부의 노력에 힘입어 기독교 신자들이 거제도의 다른 마을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교회는 이주하였지만 할아버지의 노력으로 섬마을 사람들 거의가 기독교를 믿게 되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는 물론 김영삼도 세례교인이 되었다.[102] 8세에 면사무소 소재지에 있는 장목소학교에 입학했는데, 학급에서 그는 가장 어린 소년이었다 한다. 학급번호는 키 순서로 32번이었고, 편도 20리의 고된 통학을 염려하여 그의 부모는 근처에 하숙을 마련해 주어 하숙생활을 하였다.

소년시절부터 일본인들의 강제적 식민통치에 반발하였으며, 일본인들이 거제도를 거지도, 거지 섬이라고 발음하는 것에 자존심이 상한 그는 일본인들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한다. 중학교 진학 이후 사춘기 무렵부터는 같은 학교, 같은 반에 있는 일본인 학생들과 수시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102][103]일제강점기 말기(1940년) 창씨개명이 강요되었던 시절에(당시 13세), 가네무라 고유(金村康右)라는 이름으로 창씨개명을 했다.[104]

김영삼은 1929년 1월 14일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당시 경상남도 거제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고현면)에서 부유한 어업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0] 다섯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1] 한국 전쟁 중에는 학도병으로 대한민국 육군에 참전하였고, 이후 군 정보교육부대 장교로 복무했다.[2]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

3. 2. 청소년기

김영삼은 1929년 1월 14일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당시 경상남도 거제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고현면)에서 부유한 어업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0] 다섯 명의 여동생이 있었다.[1]

=== 중학교 시절 ===

1940년 통영중학교에 입학한 이후 계속 시비를 거는 일본 학생들과 마찰을 빚었다. 통영중학교의 키타지마 교장은 그를 혹독하게 대하였다. 2학년 무렵 교장은 진해중학교로 전근을 갔는데 이날 2학년생 전원이 선창가 배에까지 이삿짐을 나르는데 동원되었다. 당시 귀하던 설탕이 10여 부대나 쏟아져 나오자 그는 설탕을 나르면서 이빨로 부대종이를 뜯어 일부러 설탕을 흘리며 날랐다. 다음날 진해로부터 당장 범인을 조사해서 알려달라는 전보가 통영중학교로 날아들었고 이로 인해 김영삼은 무기 정학을 받았다.[105] 그러나 일본인 교사 가운데서도 한국인 학생의 처지를 끔찍이 이해해주던 와타나베(渡邊) 교감은 누구의 소행인 줄 알면서도 전교생을 운동장에 모아 점잖은 훈시만으로 감싸주어 설탕 사건의 위기는 모면했다 한다. 중학교 3학년 때, 3학년생 전원이 사천의 비행장 공사장으로 끌려가 '노동보국'이라는 이름의 강제노동에 끌려갈때 함께 끌려갔다. 그러나 비행장에서 사소한 시비로 일본인 학생들과 싸움이 붙어 무기정학을 당하기도 했다.[105]

그 뒤 1945년 11월 김영삼은 경남중학교로 전학했다. 이때부터 그는 대통령이 되기로 결심하고 자신의 장래 희망을 물으면 대통령이라 대답하였다고 한다. 이때 자신의 책상에 '미래의 대통령 김영삼'이라는 글씨를 늘 써놓곤 했다.

그는 학교에서 경성제국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윤리과목을 들고 직접 강단에 섰던 교장 안용백 선생의 감화를 받은 김영삼은 철학과 입학을 결심하게 되었다. 모든 학문은 철학에서 시작된다는 안용백 교장의 훈시에 자극을 받게 되어 1947년 경남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106]

=== 대학생 시절 ===

1948년에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1학년 때 김영삼은 전공 외에 헌법, 정치학 개론, 국제 공법, 현대 정부 형태론, 서양정치사상사, 구주외교사, 국제 관계론, 구주 정치사 등 정치관련 분야 8개 과목을 수강했고, 2, 3학년 때에도 국가론, 비교 정부론, 정치학 강독, 의회제도론 등의 과목을 수강했다. 성적은 B, C, D였고 유식철학과 노장철학 2개 과목만은 A였다 한다.[106] 김영삼이 서울대학교 졸업 학력에 대해서 정식 입학생이 아니라 청강생이었다는 루머가 돌았지만 서울대학교에서는 정식으로 김영삼의 입학과 졸업을 인정했다. 김영삼의 생가에는 김영삼이 1948년 9월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철학과에 입학해 1951년 9월에 졸업했음을 보여주는 성적 증명서가 전시되어 있다.

대학 2학년에 재학 중 김영삼은 서울특별시 명동 시공관에서 있은 정부수립기념 웅변대회에 참가하여 2등을 차지, 외무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당시 외무부 장관은 장택상이었다. 김영삼에게는 장택상이 처음 직접 대하는 거물 정치인이었고 장택상은 곱상하고 총명한 청년을 마음에 두게 되었다. 2대 민의원 선거 무렵 장택상과 가까워지게 되었다.[108] 제2대 민의원 선거에 출마할 결심을 한 장택상서울대 문리대 교정으로 지프차를 보내 김영삼에게 선거 도움을 요청해 왔다. 이에 김영삼은 서울대 학생 20여 명과 함께 경상북도 칠곡으로 내려가 이때부터 40여 일간을 장택상과 침식을 함께 하며 찬조연설을 하는 등 장택상의 당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김영삼의 서울대학교 졸업에 대해선 이견이 존재했다. 1947년 청강생 명부에 김영삼이 있어서 정식 입학생이 아니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서울대학교에서는 당시의 청강생은 이후와 달리 입학하는 6가지 방법 중 하나였으며, 실력고사를 통과하거나 학업성적이 우수하면 정식 학생이 되어 졸업하였다.[109] 김영삼의 생가에는 김영삼이 1947년 5월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1951년 2월에 졸업했음을 보여주는 졸업증명서가 전시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학도병으로 육군에 참전하였고, 이후 군 정보교육부대 장교로 복무했다.[2]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

=== 한국 전쟁과 국회부의장 비서관 ===

1950년 무렵 6.25 이후 피난을 가지 못해 고생했던 그는 1.4 후퇴 무렵 서둘러 남하, 1951년 2월 대학 동문인 손도심 등과 함께 학도의용군에 입대했다. 군번은 E134였고,[110] 이때 그의 신분은 학도병이었다.

의용군 안에서도 당장 전선에 달려가자는 주장과 후방에서 일손을 돕자는 의견이 분분했으나, 그는 웅변대회 때의 인연으로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 주임교수에서 국방부 정훈국장으로 있던 이선근(李宣根) 박사의 추천으로 국방부 정훈국 대북방송 담당원으로 배치되었고, 직책은 정훈병이었다. 그는 매일 저녁 5~6시까지 1시간 동안 중앙방송을 통해 직접 원고를 쳐서 중간중간에 군가를 섞어서 생방송으로 진행하였다. 8개월간 정훈병으로 방송에 몰두하고 있을 때 국회 부의장 장택상으로부터 국회에서 일을 도와 달라는 부탁을 받고 군에서 대북방송의 중책을 맡고 있음을 들어 거절하였다. 그러나 장택상은 이선근 국장에게 전화로 부탁하였다.[111]

국방부에서는 국회 부의장인 장택상에게 당초 곤란하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나중에 김영삼에게 "어느 곳에서 일하든 나라를 위한 일에는 장소가 문제될 것이 없으니 장택상 부의장의 일을 도우라."고 하는 말을 받아들여 장택상의 비서관이 되었다.

3. 2. 1. 중학교 시절

1940년 통영중학교에 입학한 이후 계속 시비를 거는 일본 학생들과 마찰을 빚었다. 통영중학교의 키타지마 교장은 그를 혹독하게 대하였다. 2학년 무렵 교장은 진해중학교로 전근을 갔는데 이날 2학년생 전원이 선창가 배에까지 이삿짐을 나르는데 동원되었다. 당시 귀하던 설탕이 10여 부대나 쏟아져 나오자 그는 설탕을 나르면서 이빨로 부대종이를 뜯어 일부러 설탕을 흘리며 날랐다. 다음날 진해로부터 당장 범인을 조사해서 알려달라는 전보가 통영중학교로 날아들었고 이로 인해 김영삼은 무기 정학을 받았다.[105] 그러나 일본인 교사 가운데서도 한국인 학생의 처지를 끔찍이 이해해주던 와타나베(渡邊) 교감은 누구의 소행인 줄 알면서도 전교생을 운동장에 모아 점잖은 훈시만으로 감싸주어 설탕 사건의 위기는 모면했다 한다. 중학교 3학년 때, 3학년생 전원이 사천의 비행장 공사장으로 끌려가 '노동보국'이라는 이름의 강제노동에 끌려갈때 함께 끌려갔다. 그러나 비행장에서 사소한 시비로 일본인 학생들과 싸움이 붙어 무기정학을 당하기도 했다.[105]

그 뒤 1945년 11월 김영삼은 경남중학교로 전학했다. 이때부터 그는 대통령이 되기로 결심하고 자신의 장래 희망을 물으면 대통령이라 대답하였다고 한다. 이때 자신의 책상에 '미래의 대통령 김영삼'이라는 글씨를 늘 써놓곤 했다.

그는 학교에서 경성제국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윤리과목을 들고 직접 강단에 섰던 교장 안용백 선생의 감화를 받은 김영삼은 철학과 입학을 결심하게 되었다. 모든 학문은 철학에서 시작된다는 안용백 교장의 훈시에 자극을 받게 되어 1947년 경남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106]

3. 2. 2. 대학생 시절

1948년에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1학년 때 김영삼은 전공 외에 헌법, 정치학 개론, 국제 공법, 현대 정부 형태론, 서양정치사상사, 구주외교사, 국제 관계론, 구주 정치사 등 정치관련 분야 8개 과목을 수강했고, 2, 3학년 때에도 국가론, 비교 정부론, 정치학 강독, 의회제도론 등의 과목을 수강했다. 성적은 B, C, D였고 유식철학과 노장철학 2개 과목만은 A였다 한다.[106] 김영삼이 서울대학교 졸업 학력에 대해서 정식 입학생이 아니라 청강생이었다는 루머가 돌았지만 서울대학교에서는 정식으로 김영삼의 입학과 졸업을 인정했다. 김영삼의 생가에는 김영삼이 1948년 9월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철학과에 입학해 1951년 9월에 졸업했음을 보여주는 성적 증명서가 전시되어 있다.

대학 2학년에 재학 중 김영삼은 서울특별시 명동 시공관에서 있은 정부수립기념 웅변대회에 참가하여 2등을 차지, 외무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당시 외무부 장관은 장택상이었다. 김영삼에게는 장택상이 처음 직접 대하는 거물 정치인이었고 장택상은 곱상하고 총명한 청년을 마음에 두게 되었다. 2대 민의원 선거 무렵 장택상과 가까워지게 되었다.[108] 제2대 민의원 선거에 출마할 결심을 한 장택상서울대 문리대 교정으로 지프차를 보내 김영삼에게 선거 도움을 요청해 왔다. 이에 김영삼은 서울대 학생 20여 명과 함께 경상북도 칠곡으로 내려가 이때부터 40여 일간을 장택상과 침식을 함께 하며 찬조연설을 하는 등 장택상의 당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김영삼의 서울대학교 졸업에 대해선 이견이 존재했다. 1947년 청강생 명부에 김영삼이 있어서 정식 입학생이 아니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서울대학교에서는 당시의 청강생은 이후와 달리 입학하는 6가지 방법 중 하나였으며, 실력고사를 통과하거나 학업성적이 우수하면 정식 학생이 되어 졸업하였다.[109] 김영삼의 생가에는 김영삼이 1947년 5월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1951년 2월에 졸업했음을 보여주는 졸업증명서가 전시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학도병으로 육군에 참전하였고, 이후 군 정보교육부대 장교로 복무했다.[2] 1952년 서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

3. 2. 3. 한국 전쟁과 국회부의장 비서관

1950년 무렵 6.25 이후 피난을 가지 못해 고생했던 그는 1.4 후퇴 무렵 서둘러 남하, 1951년 2월 대학 동문인 손도심 등과 함께 학도의용군에 입대했다. 군번은 E134였고,[110] 이때 그의 신분은 학도병이었다.

의용군 안에서도 당장 전선에 달려가자는 주장과 후방에서 일손을 돕자는 의견이 분분했으나, 그는 웅변대회 때의 인연으로 서울대 문리대 사학과 주임교수에서 국방부 정훈국장으로 있던 이선근(李宣根) 박사의 추천으로 국방부 정훈국 대북방송 담당원으로 배치되었고, 직책은 정훈병이었다. 그는 매일 저녁 5~6시까지 1시간 동안 중앙방송을 통해 직접 원고를 쳐서 중간중간에 군가를 섞어서 생방송으로 진행하였다. 8개월간 정훈병으로 방송에 몰두하고 있을 때 국회 부의장 장택상으로부터 국회에서 일을 도와 달라는 부탁을 받고 군에서 대북방송의 중책을 맡고 있음을 들어 거절하였다. 그러나 장택상은 이선근 국장에게 전화로 부탁하였다.[111]

국방부에서는 국회 부의장인 장택상에게 당초 곤란하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나중에 김영삼에게 "어느 곳에서 일하든 나라를 위한 일에는 장소가 문제될 것이 없으니 장택상 부의장의 일을 도우라."고 하는 말을 받아들여 장택상의 비서관이 되었다.

3. 3. 정치 입문

1950년 5월, 김영삼은 장택상의 국회의원 총선거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하였고,[112] 1951년에는 장택상의 비서관이 되었다.[113][114] 1951년 5월 장택상이 국무총리에 취임하자 김영삼은 국무총리실 인사담당 비서관이 되었다. 1951년 3월 손명순과 결혼하여 2남 3녀를 두었으며, 차남 현철은 훗날 정치인이 된다.

결혼식 사진(1951년 가을), 신랑 김영삼 뒤쪽 왼편이 어머니 박부련, 둘째 줄 왼쪽 맨끝이 아버지 김홍조, 신부 손명순 오른쪽 옆이 친정 계모 감덕순, 신부 뒤쪽 오른편의 검은 두루마기 입은 남성은 신부의 친정아버지 손상호


1954년 5월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를 결심, 서울 청진동 자유당 본부에서 이기붕을 만나 입당하였다.[116] 1954년 5월 20일 제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제군 지역구에 출마,[117] 20800표를 얻어 민주국민당서순영을 누르고 당선되어 만 25세에 최연소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한다.[4] [30] [48] 당선 후 몇 달 만에 이승만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3. 4. 야당 의원 생활



1954년 11월, 자유당이승만의 3선을 확정하기 위해 이기붕의 안내로 김철안, 김상도 등과 함께 경무대를 방문, 3선개헌은 안 되며 이번으로 끝나야 한다는 의견을 건의하였으나 묵살되었다.[118]

경무대를 방문한 김영삼은 이승만 대통령에게 "박사님, 개헌하시면 안 됩니다. 국부(國父)로 남으셔야 합니다"라고 했다.[119]

이승만은 80세였는데 28세였던 김영삼의 발언을 듣고 불쾌한 나머지 손을 떨었다 한다. 별 말없이 뒷문으로 나가버렸고, 이기붕이 김영삼을 찾아와 화를 내며 "왜 쓸데없는 말을 해서 노인을 화나게 하느냐"고 나무랐다.[119] 김영삼은 자유당을 탈당하지 않았다. 3선 개헌안이 부결 처리 됐는데 최순주 민의원 부의장이 '사사오입' 원칙을 내세워 개헌안을 다시 가결된 것으로 통과시켰다.[119] 사사오입 개헌이 통과되자 김영삼은 자유당을 탈당하였다.[119]

1954년 김영삼은 이승만이 이끄는 정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다.[30] 당시 그는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4] 이승만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김대중과 함께 박정희전두환의 군사 정권을 비판하는 선두주자가 되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1972년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1년 야당인 신민당 후보로 박정희 대통령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려 했으나,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3. 4. 1. [[3선개헌]] 반대와 자유당 탈당



1954년 11월, 자유당이 이승만의 3선을 확정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일 때 이기붕의 안내로 김철안, 김상도 등 4명과 함께 경무대를 방문, 이때 그는 3선개헌은 안 되며 이번으로 끝나야 한다는 의견을 즉석에서 건의하였으나 묵살되었다.[118]

3선 개헌 소식이 보도될 때 다시 경무대를 방문한 김영삼은 이승만 대통령에게 "박사님, 개헌하시면 안 됩니다. 국부(國父)로 남으셔야 합니다"라고 했다.[119]

그 당시 이승만은 80세의 노인이었는데 28세였던 젊은 김영삼의 직설적인 발언을 듣고 불쾌한 나머지 손을 떨었다 한다. 그러더니 별 말없이 뒷문으로 나가버렸다.[119] 뒤에 이기붕이 김영삼을 찾아와 화를 내며 "왜 쓸데없는 말을 해서 노인을 화나게 하느냐"고 나무랐다.[119] 그 뒤로도 김영삼은 자유당을 탈당하지 않았다. 3선 개헌안이 토요일에 부결 처리 됐는데 일요일이 지나고 월요일에 최순주 민의원 부의장이 '사사오입' 원칙을 내세워 개헌안을 다시 가결된 것으로 통과시켰다.[119] 사사오입 개헌이 통과되자 김영삼은 '이 당은 안 되겠다' 결심하고 동지들을 모아 10명과 함께 자유당을 탈당하였다.[119]

1954년 김영삼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이끄는 정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다.[30] 당시 그는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4] 당선 후 몇 달 만에 김영삼은 이승만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그 후 김영삼은 김대중과 함께 박정희전두환의 군사 정권을 비판하는 선두주자가 되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1년 김영삼은 야당인 신민당 후보로 박정희 대통령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처음 출마하려 했으나,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3. 4. 2. 야당 정치인 생활

그는 이때부터 현석호, 한동석 등과 만나 개헌저지를 위한 동지 규합에 나섰다. 비밀 유지를 위해 장소를 수시로 옮겼고 한동석 의원이 입원 중일 때는 문병을 가장하여 밤늦게까지 회의를 하여 20여 명을 규합하는데 성공하였다. 1954년 11월 27일, 초대 대통령 연임 제한 철폐를 골자로 한 개헌안이 숱한 저지 여론에도 불구하고 무기명 투표로 붙여졌다. 이때 그는 자유당 소속의 다른 의원인 현석호, 민관식, 이태용, 황남팔, 김두한, 김흥식 등과 함께 부표를 던졌다.[118] 이후 여당의 독재에 반발하여 그해 12월 3선 개헌에 반기를 들고 탈당한다.[100][120] 자유당을 탈당한 뒤 1955년 4월 민주당 창당발기준비위원회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 민주당이 결성되자 민주당에 입당했고, 민주당 중앙당 청년 부장 겸 경남도당 부위원장에 임명됐다.[121]

민주당 창당 초, 김영삼은 민주당 신파의 장면(張勉)을 찾아갔다. 그러나 장면이 성경 말씀을 인용하며 권모술수를 쓰는 것에 반대하자, 이를 답답하게 여긴 김영삼은 장면의 곁을 떠나 민주당 구파의 조병옥, 유진산 등을 찾아갔다. 이후로 김영삼은 민주당 구파로 정치 활동을 하였다. 장택상이 정계로 발탁한 인물이며 수제자 중의 한 사람인 것이 알려지자 조병옥은 전폭적으로 그를 후원하였다.

|섬네일|오른쪽|180px|민주당 구파의 리더 유석 조병옥
(그의 야당 생활의 정치적 스승이었다.)]]

1956년 10월 13일 배재학원 운동장에서 열린 제1차 여야 민의원 친선 야구 대회에 참가했다.[122]

1958년 5월의 제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중앙당의 권유로 고향인 경남 거제군을 떠나 선거구를 옮겨 부산시 서구 갑에서 출마해 낙선하였다. 자유당은 당시 경남도지사, 내무부차관을 지낸 이상용을 후보로 내세웠다. 23개 투표함 중 16개 함에서는 김영삼이 7:3의 비율로 우세하였으나 나머지 한 표에서는 그의 표가 많은 것이 7표만 나오고 자유당 표 일색이라 막판에서 선거에 패하게 되었다.[123] 낙선 직후 선거 결과에 승복하지 못한 그는 그해 5월 개표 조작이 의심된다 하여 법원에 제소[124] 하였으나 무효였다.

낙선한 뒤에도 원내에서 정치 활동을 하며 1959년 조병옥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기 위해 당내의 인사들로서 '유석 청년 동지회'란 모임을 조직, 조병옥의 후보 추대 운동을 벌여 성공하기도 했다.[123] 4.19 혁명 이후에 치러진 5월 대한민국 제5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재기한다. 이후 민주당 구파 정치인으로 활동한다.[125]

1960년 9월 25일 거제군 외포리 김영삼의 집에 총을 든 무장 간첩에 의해 김영삼의 어머니 박부련이 살해당한다. 무장 공비가 복부에 세 발의 총을 쏜 것이다.

1954년 김영삼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이끄는 정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다.[30] 당시 그는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4] 당선 후 몇 달 만에 김영삼은 이승만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그 후 김영삼은 김대중과 함께 박정희전두환의 군사 정권을 비판하는 선두주자가 되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1년 김영삼은 야당인 신민당 후보로 박정희 대통령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처음 출마하려 했으나,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3. 5. 제2공화국 시절 야당 대변인

1960년 8월 민주당이 원내 다수당을 차지하고 구파의 윤보선대통령에 선출되면서 4개월 간 여당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윤보선 등 민주당 내 구파가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자, 김영삼은 신민당에 입당하여 야당 인사가 되었다. 이후 신민당 원내부총무에 발탁되었고, 1961년 2월 20일에는 재차 신민당 원내부총무에 선출되었다.[126]

1961년 2월 중석불 사건과 관련하여 10명의 의원들과 함께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조사에 착수하도록 했다.[126] 3월에는 민족일보 인쇄 중지를 명한 장면 정부를 비판했다.[127] 김영삼은 장면 총리가 경향신문 폐간 당시를 상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장면은 언론 탄압은 없었으며 민족일보는 다른 곳에서 인쇄하면 된다고 응수했다.[127]

김영삼은 민주당 구파의 주요 인사로서 민주당 신파 인사들의 정국 주도권 장악 시도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같은 구파인 윤보선 대통령과 가깝지 않았으며, 윤보선을 별로 가까이하지 않았다.

3. 6. 군정기간

1961년 5월 16일 군인들의 5.16 군사정변 소식을 거제에서 접하였다. 그는 집에서 배를 타고 부산에 도착, 차를 타고 서울로 향했다. 당시 그는 신민당의 원내부총무였고 다른 정치인들은 국회가 해산되고 탱크가 밀려왔다는 소식에 오히려 은신처를 찾았지만 그는 서울로 향했다. 쿠데타세력이 민주공화당을 창당할 무렵 야당은 분열되어 김병로, 윤보선을 중심으로 한 민정당, 박순천장면의 민주당, 김준연의 자민당이 난립하였고, 그는 민정당을 선택, 민정당 초대 대변인으로 선임되어 야당의 입으로 활약했다.[123]

1961년 5.16 직후 정치정화법으로 묶여있던 중 국가재건최고회의 내무위원장 조시형이 그를 찾아와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해줄 것을 부탁하였으나 5.16은 장면 정권이 수립 8개월 만에 기도됐다는 것과 군은 약속대로 원대복귀하라며 군의 정치참여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 참여할 수 없다고 거부하였다.[128] 그 뒤 민주공화당에서 부산시지구당 위원장직을 제안하자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거절하였고, 정치를 하지 않겠다고 하자 다시 서울신문사 사장직을 제의하였지만 역시 거절하였다.[129]

군정에서는 계속 군정참여를 요청하였으나 김영삼은 이를 거절했다. 1963년 3월, 박정희가 군정연장을 발표하자, 윤보선, 허정 등과 함께 군정연장 반대 데모에 참여하였다. 군정연장 반대 데모에 참여한 혐의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3. 7. 민주화 운동과 국회의원 활동

1954년 김영삼은 이승만이 이끄는 정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다.[30] 당시 그는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4] 당선 후 몇 달 만에 김영삼은 이승만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그 후 김영삼은 김대중과 함께 박정희전두환의 군사 정권을 비판하는 선두주자가 되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1년 김영삼은 야당인 신민당 후보로 박정희 대통령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처음 출마하려 했으나,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1974년, 김영삼은 신민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1976년 국회 내 권력을 일시적으로 상실했지만, 박정희 정권의 마지막 해에 정치적 복귀를 이루었다. 김영삼은 유신헌법이 폐지될 때까지 박정희의 민주공화당과 절대 타협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강경한 정책을 취했으며, 새 헌법에 따라 투옥될 수도 있는 박정희의 독재를 과감하게 비판했다.[6]

1979년 8월, 김영삼은 Y.H. 무역회사의 여성 노동자 200여 명이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을 벌일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들을 보호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1000여 명의 경찰이 당사를 급습하여 노동자들을 체포했다.[7] 이 과정에서 여성 노동자 1명이 사망했고, 노동자들을 보호하려던 많은 의원들이 심하게 구타당해 일부는 병원 치료를 받아야 했다. YH 사건은 광범위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김영삼은 박정희의 독재가 곧 무너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난을 받았다.[8] 이 사건 이후, 박정희는 투옥된 김대중처럼 김영삼을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려 결심하고,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에 그러한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다. 1979년 9월, 법원은 김영삼의 신민당 총재직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내렸다.[11][9]

김영삼이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박정희의 독재를 지원하지 말 것을 촉구하자,[11][10] 박정희는 김영삼을 투옥하려 했지만, 인권 침해가 심각해지는 것을 우려한 카터 행정부는 야당 인사들을 박해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를 발표했다. 김영삼은 1979년 10월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미국은 대사를 워싱턴 D.C.로 소환했으며,[8] 신민당 의원 66명 전원이 국회에서 사퇴했다.[10]

한국 정부가 사퇴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계획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김영삼의 고향인 부산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이는 이승만 대통령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였으며, 인근 마산과 다른 도시로 확산되었고, 학생과 시민들은 독재 종식을 요구했다.[8] 부마민주항쟁은 위기를 초래했고, 이 혼란 속에서 박정희는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암살되었다.[11]

김영삼은 김종필, 박준규와 함께 9선 국회의원이었으며, 최다선 기록을 보유한 의원 중 한 명이다.[76] 또한, 초선 당시 나이가 겨우 26세로, 이는 한국 역사상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 기록이기도 하다.[48]

3. 7. 1. 제3공화국 시절

1954년 김영삼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이끄는 정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국회 의원에 당선되었다.[30] 당시 그는 국회의원 중 최연소였다.[4] 당선 후 몇 달 만에 김영삼은 이승만이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도하자 자신의 정당을 떠나 야당에 합류했다.[30] 그 후 김영삼은 김대중과 함께 박정희전두환의 군사 정권을 비판하는 선두주자가 되었다.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1년 김영삼은 야당인 신민당 후보로 박정희 대통령에 맞서 대통령 선거에 처음 출마하려 했으나, 김대중이 후보로 선출되었다.

3. 7. 2. 유신 시대

1969년 김영삼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이후 그는 1972년 권위주의적인 유신헌법을 통한 박정희 대통령의 권력 장악에도 반대했다.[5]

1974년, 김영삼은 신민당 총재로 선출되었다. 1976년 국회 내 권력을 일시적으로 상실했지만, 박정희 정권의 마지막 해에 정치적 복귀를 이루었다. 김영삼은 유신헌법이 폐지될 때까지 박정희의 민주공화당과 절대 타협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강경한 정책을 취했으며, 새 헌법에 따라 투옥될 수도 있는 박정희의 독재를 과감하게 비판했다.[6]

1979년 8월, 김영삼은 Y.H. 무역회사의 여성 노동자 200여 명이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을 벌일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들을 보호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1000여 명의 경찰이 당사를 급습하여 노동자들을 체포했다.[7] 이 과정에서 여성 노동자 1명이 사망했고, 노동자들을 보호하려던 많은 의원들이 심하게 구타당해 일부는 병원 치료를 받아야 했다. YH 사건은 광범위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김영삼은 박정희의 독재가 곧 무너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난을 받았다.[8] 이 사건 이후, 박정희는 투옥된 김대중처럼 김영삼을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려 결심하고,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에 그러한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다. 1979년 9월, 법원은 김영삼의 신민당 총재직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내렸다.[11][9]

김영삼이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박정희의 독재를 지원하지 말 것을 촉구하자,[11][10] 박정희는 김영삼을 투옥하려 했지만, 인권 침해가 심각해지는 것을 우려한 카터 행정부는 야당 인사들을 박해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를 발표했다. 김영삼은 1979년 10월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미국은 대사를 워싱턴 D.C.로 소환했으며,[8] 신민당 의원 66명 전원이 국회에서 사퇴했다.[10]

한국 정부가 사퇴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계획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김영삼의 고향인 부산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이는 이승만 대통령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였으며, 인근 마산과 다른 도시로 확산되었고, 학생과 시민들은 독재 종식을 요구했다.[8] 부마민주항쟁은 위기를 초래했고, 이 혼란 속에서 박정희는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암살되었다.[11]

3. 7. 3. 서울의 봄 당시

1980년 2월 최규하 당시 대통령윤보선, 김대중 등 687명의 복권을 선언한다.[162] 이때부터 1980년 3월에 이르는 시기에 김영삼 신민당 총재는 정국을 관망만 했다. 그리고 4월 들어 정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1963년 민정 이양 이후 숙명의 라이벌이었던 김영삼과 김대중은 두 사람이 힘을 합쳐도 신군부의 권력 장악을 막아내지 못할 것이라는 여론에도 불구하고 각자 대권 행보에 나섰다.[163] 또한 김영삼은 기타 야당 인사와 시민단체들에게 딱히 손을 내밀지도 않고 독자적인 행보에 나섰다.

한편 그는 김대중신민당에 입당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4월 7일 김대중은 신민당 입당을 거부했다.[163] 윤보선은 다시 중재에 섰다. 4월 7일 윤보선의 중재로 두 사람은 4월 12일 윤보선과 함께 3자 회동을 했지만 대권을 향한 두 사람의 꿈을 막을 수는 없었다.[163] 윤보선은 다시 한번 힘을 합치라고 권고했지만 회의는 결렬되고 만다. 4월 28일 김영삼이 신민당 당직자와 함께 대권과 관련해 현충사를 참배하자 같은 날 김대중신민당 내 동교동 의원들을 데리고 현충사 부근 윤봉길 생가를 방문한다.[163] 양김이 협력하지 않자 윤보선도 단념하고 그해 8월 정계 은퇴를 선언해버린다. 한편 윤보선의 정계 은퇴로 김영삼은 민주당 구파 계열을 장악하게 된다.

3. 8. 1980년대 이후

전두환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후에도 야당에 대한 탄압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김영삼은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다. 1983년 5월, 그는 전두환의 독재에 항의하는 21일간의 단식 투쟁을 벌였다.[12]

3. 8. 1. 최규하 정부, 5공 초기

1980년 봄, 그는 김대중, 김종필 등과 대권을 놓고 경쟁하였다. 그는 전두환과 신군부의 쿠데타를 그리 걱정하지 않았고, 결국 5·17 쿠데타로 좌절되었다.[164][165][166] 1980년 5월 17일 오전 10시, 김영삼은 신군부 군인들에 의해 가택연금을 당했다.[164][165] 김영삼은 5월 20일 상도동 자택에서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내린 신군부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는 "오늘 계엄통치를 확대 강화한 5 ·17 사태를, 민주회복이라는 국민적 목표를 배신한 폭거로 규정한다. 계엄당국의 강압통치로 빚어진 유혈사태는 이 나라를 파국으로 몰아가고있다."면서 '국민적 목표를 배신한 5·17 폭거'라는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김영삼은 신군부에 의해 5월 20일부터 가택연금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가택연금 상태에서 장남 김은철의 약혼 소식을 접하였으나 참석하지 못하였다.[166] 목사 강원룡은 김영삼의 집을 찾아가 약혼식을 주례하였다.[167]

1980년 9월 출범한 전두환제5공화국 정권에서도 계속된 가택 연금과 정치적 탄압에 항의하며 장기간의 단식 투쟁을 단행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같은해 10월 김영삼은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의 강요로 정계 은퇴 선언을 발표하였다. 1981년 5월 연금에서 해제된 김영삼은 이민우, 김동영, 최형우, 김덕룡 등 정치활동 규제에 묶여있는 재야 인사들과 함께 등산모임을 조직하고 민주산악회를 출범시켰다.[168] 민주산악회의 참가자가 증가하면서 김영삼은 1981년 6월 9일 공식기구로서 출범하는데 동참하였다. 공식 기구로 출범한 민주산악회는 이민우를 회장으로 선출하고 김영삼을 고문으로 추대하였다.[168] 그 뒤 민주산악회는 주요 정치적 사건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고 지방조직을 확대하는 등의 사실상의 정치적 활동을 하였으며 한편 김대중 계열 정치인들도 민주산악회의 활동에 가담하여 적극 협력하며 야권통합과 범국민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168] 이에 따라 김영삼 계열 정치인들은 김대중 계열까지 흡수하여 재야정치인들의 통합조직을 준비, 민주산악회를 모체로 하는 통합협의체의 구성에 합의하였다.

전두환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후에도 야당에 대한 탄압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김영삼은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다. 1983년 5월, 그는 전두환의 독재에 항의하는 21일간의 단식 투쟁을 벌였다.[12]

3. 8. 2. 제5공화국 기간 중 야당 지도자

전두환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후에도 야당에 대한 탄압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김영삼은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국회에서 제명되었고,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다. 1983년 5월, 그는 전두환의 독재에 항의하는 21일간의 단식 투쟁을 벌였다.[12]

3. 8. 3. 후보단일화 결렬과 대선 낙선

8월 11일 김대중과 회동하여 대통령후보 단일화 문제를 협의했으나, 김영삼의 조기 후보 단일화 주장과 김대중의 개헌 협상 후 조정 주장이 맞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76] 9월 14일 김대중과 다시 만났으나, 김대중은 36개 미창당 지구당 결성을 요청한 반면 김영삼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총선에서의 조직책 선정이나 다름없는 36개 지구당을 창당하는 것은 적전 분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경선을 하지 않을 바에는 굳이 잡음의 소지가 있는 36개 지구당 창당은 필요없는 것이다"[176]라며 반대했다.[176]

9월 29일9월 30일 양일간 김영삼과 김대중은 후보단일화 회담을 가졌으나, 이견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실패하였다.[177] 야당 후보자들의 단일화를 촉구하던 재야인사들은 이를 '적전분열'이라며 강도높게 질타하였다. 10월 10일 통일민주당을 장악한 김영삼은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했고, 당내 경선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던 김대중은 10월 18일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였다.[178]

김대중과의 대선후보 단일화 실패로 1987년 11월 김대중은 통일민주당을 탈당, 평화민주당을 창당했다.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은 28%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하며, 민주정의당 노태우에게 패배하였다. 당시 노태우와 김영삼은 광주 유세에서 성난 시민들이 던진 돌과 화염병에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134]

김대중평민당 창당 과정에서 학생운동권 NL 계열 출신 청년 정치지망생들을 대거 영입하자, 통일민주당의 영향력은 감소했다. 이에 김영삼 역시 재야 인사 및 운동권 계열 인사 영입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전두환 퇴임 이후 1987년에 실시된 최초의 민주적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의 후보 단일화 실패로 야권 표가 분열되었고, 전두환이 지목한 후계자인 노태우가 당선되었다. 이는 최초의 여성 대통령 후보였던 홍숙자가 김대중 지지를 위해 사퇴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일이었다.[13]

3. 8. 4. 제6공화국 기간 중 야당 지도자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산, 경상남도 지역에서만 압승을 거뒀을 뿐 수도권 지역에서는 김대중의 평화민주당에 패배하면서 제2야당의 당수로 밀려났다. 그해 3월에는 인권변호사로 유명한 김광일을 발탁하였다.[179] 인권변호사인 노무현을 정치계에 발탁하기도 하였다.[180] 이후 노무현을 전폭적으로 지원, 상도동 자택으로 수시로 불러서 면담도 하고 용돈도 넉넉히 지원해 주었다.[181] 그러나 1990년 3당 합당과정에서 노무현이 반대하면서 결별하게 된다.

1989년 4월 27일 《이경현 살인폭력사태 국민대책위》 결성에 참여하여 폭력사태 진상규명, 평화시위 보장과 공권력에 의한 폭력중지, 공안합수부와 백골단해체 요구에 동참하였다.[182] 87년 대통령선거 직전 김대중의 탈당에 대해 김영삼은 이를 '천추의 한'이라고 하기도 하였다.[100]

이후 여소야대 정국에서 위기감을 느끼던 노태우 대통령의 민주정의당, 제2야당의 지위에 불만족을 느끼던 중 측근인 서석재의 구속으로 마음을 굳힌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그리고 내각제 개헌을 노리고 있던 김종필신민주공화당이 물밑 협상하였다.[100] 3당합당에 참여하게 된 원인으로는 '분열된 야당으로는 집권의 소망이 보이지 않았고 3당 통합을 계기로 기득권세력이 누리는 기본적인 고정 지지표와 충분한 정치자금을 확보하게 된다면 차기집권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183] 협상 끝에 1990년 1월 전격적으로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을 창당하였고, 김영삼은 민주자유당의 대표로 취임하였다. 한편 3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입당하면서 그는 구국적 결단이라고 주장하였다.[100] 그는 집권여당의 관리자가 됨과 동시에 노태우 대통령 다음가는 당내 2인자의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구 군사정권 출신자들은 반발하였다.

1990년 1월 30일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에 선임되고 7월 다시 민자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군사 정권 관계자들은 그의 민자당 대표 취임식장까지 찾아와서 취임을 반대했지만 입구에서 저지당했고, 그의 민자당 대표 취임식은 강행되었다. 김영삼 옆에는 그가 신민당 시절부터 발탁한 측근들이 30년 이상 그를 보좌하였다, 돌격대 역할을 자임하던 측근 김동영, 김덕룡, 최형우박계동, 1990년 3당 합당으로 결별한 노무현 등이 있었고, 인재를 영입하는 것은 김광일이 담당하였으며, 각종 정치자금의 관리는 서석재, 김덕룡 등이 맡아보았고, 책사로는 황병태 등이 있었다. 이들은 김영삼을 믿고 절대적으로 따랐다.

1990년 1월 22일, 그는 자신의 민주정의당을 노태우의 집권당인 민주정의당과 합쳐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6] 김영삼의 결정은 그를 배신자로 여긴 많은 민주 운동가들을 분노케 했지만, 그는 부산과 경상 지역에서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유지했다. 김영삼은 1992년 집권 여당인 민주자유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기 위해 노태우의 집권당과 합당하기로 결정했다.

3. 8. 5. 내각제 개헌안 반대

1990년 10월 8일부터 평민당 김대중 총재가 '내각제 폐기, 지방자치제 실시'등을 내걸고 단식 투쟁을 시작하자, 10월 29일 김대중 총재를 찾아 내각제를 폐기하고 지방자치제를 실시하도록 힘써줄 것을 약속하였다.[184]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3인이 서명한 소위 "내각제 합의문"(內閣制 合意文)은 같은해 5월 9일 민자당 제1차 전당대회가 개최되기 직전인 5월 6일에 작성된 것으로 그 내용은 1. 의회와 내각이 함께 국민에게 책임지는 의회민주주의의 구현, 2. 1년 이내에 의원 내각제로 개헌, 3. 이를 위해 금년 중에 개헌작업에 착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84]

당시 민정당계 중진들은 내각제 합의는 사실이라고 거듭 확인했으나 당대표인 김영삼은 이것이 자신을 정치적으로 음해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위라고 비난하면서 당무를 거부하고, 내각제의 완전 포기와 당 대표의 실질적 권한보장이라는 조건을 내걸고 노태우 대통령에게 단독면담을 요구하였다.[184] 그러나 노태우 대통령의 반응이 없고, 사태 해결이 그의 의도대로 진행되지 않자 마산으로 낙향해 버렸고, 김종필 최고위원은 김영삼 대표의 이러한 행위를 공개적으로 비난하였다.[184] 그러나 여권 내의 분열과 정국의 파행을 우려한 나머지 노태우 대통령은 김영삼 대표가 요구한 내각제 포기와, 대표최고위원을 중심으로 대북한정책에 당의 결속 등을 약속함으로써 사태는 반전되어 김영삼 대표최고의원의 의도대로 수습되었다.[184]

당시 민정계가 이 합의각서를 폭로하게 된 배경에는 김영삼 대표를 정치적으로 궁지로 내몰고, 그가 차기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구 민정당 내의 반 김영삼 세력의 정치적 계산이 그 저변에 깔려 있었으며[184], 이러한 일부 민자당내 민정계 의원들의 집요한 공작에도 불구하고 김영삼은 특유한 배짱과 정치적 승부수로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고 당 대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184]

3. 8. 6. 1992년 대통령 선거

1990년 1월 22일, 김영삼은 자신의 통일민주당노태우의 집권당인 민주정의당, 김종필신민주공화당과 합쳐 민주자유당을 창당했다.[6] (3당 합당) 많은 민주 운동가들은 김영삼의 이러한 결정을 배신으로 여겼지만, 김영삼은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에서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유지했다. 김영삼은 1992년 집권 여당인 민주자유당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이후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48]

4. 대통령 재임시

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 여당 후보였던 김영삼은 김대중과 재벌 기업인 현대그룹(Hyundai Group) 회장 정주영을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1960년 이후 최초로 민간인 출신으로 정식 임기를 수행한 대통령이었다.[30]

1996년 제주도에서 연단에 선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과 한국 대통령 김영삼


1995년 7월 26일 김영삼 대통령과 테리 에버렛 하원의원


== 취임 초반 ==

1990년 3당 합당의 결과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김영삼 대통령은 집권 초기 개혁과 부패 일신 정책을 펼쳤다.[198]

1993년 2월 대통령에 취임한 직후 군부 사조직인 하나회를 해산, 쿠데타의 가능성을 없앴고, 제5공화국의 전직 대통령들을 구속 수감시켰다.[198]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하여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켰다.[50] 5월 13일 5·13 특별 담화에서 그는 “문민정부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정부”라고 선언하였다.

2월 27일, 김영삼은 자신과 가족들의 재산을 전격 공개했고, "역사를 바꾸는 명예혁명"이라며 공직자들의 재산공개를 종용했고, 삼부요인과 고위 공무원들이 연이어 재산을 공개하게 되었다.[199]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6월 3일에는 전국연합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등 전국 36개 단체가 모여 부당한 공권력 반대와 노동인권 보장을 위한 범국민대책위원회를 열었으며 시민, 학생 등 1만여명, 서울 장충단공원에서 "김영삼 대통령 망언 규탄 및 노동인권 보장 촉구 국민대회"를 갖고 노동탄압을 즉각 중지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기도 하였다.[201]

8월 12일에는 긴급명령을 발표,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긴급명령"을 통해 모든 금융거래를 실명을 통해 해야 한다는 금융실명제를 도입하였다.[199]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51]

3월 13일, 언론에 위안부 문제에 대해 물질적 보상을 일본측에 요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히고 그에 대한 보상은 내년부터 정부예산으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200] 일본측에서 진실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물질적 보상문제는 필요하지 않다면서 그런점에서 도덕적 우위를 가지고 새로운 한·일 관계 정립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200]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50]

== 외교 정책 ==

김영삼 정권은 “역사의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며 행동에 나섰다. 먼저, 북한과의 현안이었던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1993년 3월 19일에 북한으로 송환했다.[54][55] 이어 1993년 8월에는 옛 조선총독부 청사의 해체를 결정했고, 1995년 8월 15일에 해체가 이루어졌다.

1993년 3월 13일, 한국 정부가 일본에 더 이상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고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500만 원의 일시금과 생활 보조금, 의료 지원, 영구 임대 주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당시 한국 내에서도 이러한 견해가 받아들여졌고, 같은 해 8월 일본으로부터 고노 담화가 발표되었다.[53]

같은 해 3월 19일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한반도 전역에 핵 위기가 닥치자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핵 시설 폭격을 계획했을 때, 서울에 대한 피해 우려로 이를 저지했으며, 이후 회고록에서 후회하고 있다고 밝혔다.[56]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자, 김영삼 정권은 애도의 뜻을 표명하지 않고 전군에 엄중 경계 태세를 지시했으며, 조문을 위해 방북하려는 세력을 탄압했다. 한반도 정세가 일시적으로 악화되었다. 1996년 9월 18일 발각된 강릉 침투 사건에 대해서는, 다음 달인 1996년 10월 1일 “건군 48주년 축하 연설”에서 김영삼은 대북 정책의 군사적 재검토를 발표했다.

== 대미 관계 ==

1993년 7월, 빌 클린턴 대통령은 김영삼을 "자유민주주의의 투사"로 존경하며 취임 후 첫 방문지로 한국을 택할 정도로 한미 관계는 우호적이었다. 그러나 북한과 미국이 남한을 배제한 채 직접 핵 협상을 하면서 김영삼과 클린턴의 관계는 틀어지기 시작했다. 대북 포용정책을 주장했던 클린턴 행정부와 “핵을 가진 집단과는 대화할 수 없다”는 김영삼 정부의 대북 강경론은 충돌했다.[202] 1994년 10월, 남한을 제외한 북·미 간에 제네바 합의가 이뤄졌을 때 미국은 클린턴 대통령 명의로 “북한이 합의를 위반하지 않으면 경수로 사업을 끝까지 보장한다”는 내용의 친서를 북한에 보냈지만, 이 사실을 한국에 알리지 않아 김영삼은 분노했다. 1996년 북한 잠수함 침투사건 처리 과정에서 클린턴과 김영삼의 갈등은 더욱 커졌다. 이 때문에 김영삼은 임기 말 외환위기 때 미국의 신속한 도움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202]

1993년 3월 19일,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한반도 전역에 핵 위기가 닥치자,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는 북한의 핵 시설 폭격을 계획했다. 그러나 김영삼은 서울에 대한 피해를 우려하여 이를 저지했으며, 이후 회고록에서 후회하고 있다고 밝혔다.[54][55]

== 대북 관계 ==

김영삼의 대북정책은 자유주의자본주의의 여파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에 확산시켜 개혁·개방화 체제로 유도하는 것을 그 정책목표로 삼았다.[223] 1993년 취임 초 김영삼은 남북고위급 회담과 적십자회담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려 하였다.

하지만 1993년 3월에 일어난 1차 북핵위기는 파국으로 치달았고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는 최후의 수단으로 북한 폭격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한국에 살고 있던 자국민을 한반도 밖으로 빼내는 계획을 세웠고 이 소문이 퍼지면서 남한에서는 전쟁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잠시 ·라면 사재기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특사 자격으로 1994년 6월 15일부터 6월 18일까지 북한에 머무르며 김일성 주석과 담판을 벌였고, 김주석이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바란다는 얘기를 솔직하게 하면서 무력충돌로 치닫던 북핵 문제는 삽시간에 대화로 전환된다.

이 때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김일성 주석의 요청으로 김영삼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의 정상회담을 주선하였으며, 김영삼은 이를 수락하여 역사상 최초로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1개월도 채 되기 전인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주석이 갑자기 사망하면서 남북 정상회담은 무산되었다. 당시 미국은 북미 협상을 진행하던 로버트 갈루치를 제네바의 북한 대표부에 보내 조문했다.[203] 그러나 김영삼은 정반대로 전군에 비상경계령을 내려 공안정국을 조성하고 조문을 공식적으로 거부하면서, 정상회담까지 약속했던 남북 관계는 불신만 커져 남북관계는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었다.[203] 김영삼의 정치철학은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하고 있었다.[198] 그러나 그의 노선은 현실적으로 보수주의의 성향이었다.[198]

김영삼 대통령은 1994년 8월, "남북의 체제 경쟁은 끝났다. 언제 갑자기 통일이 눈앞에 닥쳐올지 모른다"고 말하며 북한의 붕괴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204]

1996년 1월 9일 신년연설을 통해서는 "북한 경제난의 근본원인은 과다한 군사비와 공산주의 경제체제의 비능률에 있다. 북한이 동족을 위협하는 군사력 유지에 모든 국력을 쏟아넣으면서 구호를 바라는 것은 민족에 대한 배신이며 죄악이다. 북한이 화해와 협력이라는 세계적인 추세를 직시하고 對南 자세를 바꿀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205]

김영삼의 대북정책은 남·북한간의 '공조·공영'에 있다고 천명하고 있었으나 내용적으로는 역대 전임 정권이 취해왔던 '대북한 우위를 견지하는 흡수통일'의 논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고 평가된다.[223]

2004년에는 "북한은 인권이 없는 나라다. 김정일을 제거하지 않으면 북한에 자유를 가져올 수 없다", "북한 정권과 대화를 통해서 뭔가를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김정일 멸망 이외에는 그 어떤 경우에도 (한반도에) 평화는 없다", "북한에선 56년동안 김일성.김정일 두 사람이 정권을 잡아오지 않았느냐. 그런 독재정권이 어디 있느냐"는 입장을 보였다.[206]

1994년 북한 핵 위기

1994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북한 핵 프로그램의 중심지인 영변을 공격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김정일은 전쟁을 우려하여 그에게 물러설 것을 조언했다. 미국의 항공모함과 순양함이 가능한 공습에 대비하여 한국 동해안 근처에 배치되었고, 미국은 미군과 그 가족들을 포함한 미국인들을 대피시킬 계획이었다고 김정일은 회고록에서 밝혔다. 그는 공격이 발생할 경우 북한이 먼저 한국 도시들을 폭격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전쟁을 시작할 수 있는 어떤 움직임도 막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30]

김영삼 정권은 “역사의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며 행동에 나섰다. 먼저, 북한과의 현안이었던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1993년 3월 19일에 북한으로 송환했다.

1993년 3월 13일, 한국 정부가 일본에 더 이상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고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500만 원의 일시금과 생활 보조금, 의료 지원, 영구 임대 주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같은 해 3월 19일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한반도 전역에 핵 위기가 닥치자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핵 시설 폭격을 계획했을 때, 서울에 대한 피해 우려로 이를 저지했으며, 이후 회고록에서 후회하고 있다고 밝혔다.[54][55]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자, 김영삼 정권은 애도의 뜻을 표명하지 않고 전군에 엄중 경계 태세를 지시했으며, 조문을 위해 방북하려는 세력을 탄압했다. 한반도 정세가 일시적으로 악화되었다. 1996년 9월 18일 발각된 강릉 침투 사건에 대해서는, 다음 달인 1996년 10월 1일 “건군 48주년 축하 연설”에서 김영삼은 대북 정책의 군사적 재검토를 발표했다.[56]

== 대일 관계 ==

1995년 10월, 일본총무청 장관인 에토 다카미는 "일본은 식민지 시절에도 한국에 좋은 일을 많이 했다"라는 발언을 했다.[212] 이후 1996년에는 하시모토 류타로 일본 총리도 "독도는 일본영토"라고 발언하는 등[212] 일본 정계에서 식민지 지배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정당화하는 발언들이 끊임없이 나오자, 김영삼 대통령은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격한 반응을 보였다.[213]

이후에도 한일 관계는 순탄치 않은 상황에 놓여 있었는데, IMF사태가 터지자 한국은 일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전해진다.[214]

김영삼은 일본에 대해 일본 측의 역사 인식을 문제 삼아 꾸준히 공격적인 반일(反日) 태도를 보였다.[69][70]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 에토 다카미 총무청 장관이 "무라야마 담화는 잘못됐다", "일한 병합 조약은 법적으로 유효했다", "식민지 시대, 일본은 좋은 일도 했다"는 발언에 반발하여, 1995년 11월 14일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장쩌민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일본의 나쁜 버릇(조선어: 폴장모리(폴장모리), 일본어의 '바보(馬鹿)'에 해당하는 상급자가 하급자를 꾸짖는 조선어 속어)을 고쳐주겠다!"는 등 강경한 발언을 했다.[71][72]

또한 현재까지 이어지는 양국의 영토 문제인 독도 문제에 대해서도, 재임 중인 1995년에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독도에 선박 접안 시설 등을 건설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때 한국 정부는 "일본을 다스리겠다"며, 스스로의 우월적인 입장을 내세워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였고, 한국 내에서는 환호를 받았다. 같은 해 11월에도 "이번에는 반드시 일본의 무례함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발언하며 반일 여론을 조성했다.[44]

김영삼 정부는 "역사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며, 1993년 8월에는 옛 조선총독부 청사의 해체를 결정했고, 1995년 8월 15일에 해체가 이루어졌다.

1993년 3월 13일, 한국 정부가 일본에 더 이상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고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500만 원의 일시금과 생활 보조금, 의료 지원, 영구 임대 주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당시 한국 내에서도 이러한 견해가 받아들여졌고, 같은 해 8월 일본으로부터 고노 담화가 발표되었다.[53]

산케이 신문(産經新聞)의 쿠로다 카츠히로(黒田勝弘)는 김영삼을 "한국 사회의 독도 애국주의(獨島愛國主義)를 확대하고, '역사의 바른 재정립'으로 구 조선총독부 건물을 박물관으로 사용하다가 독립 50주년 기념으로 폭파 철거했으며, 위안부 문제에서는 고노 담화나 아시아 여성 기금(アジア女性基金)에 의한 해결책을 경시하여 문제의 장기화를 초래하는 등, 반일 애국 대중 영합주의(大衆迎合主義)의 대통령이었다. 일본에는 씁쓸한 기억으로 남는 인물이다"라고 평가했다.[75]

== 경제 정책 ==

김영삼은 경제적으로 자유시장경제의 정착을 지지하였다. 취임 이후 그는 국공유화에서 민영화로 사회자본 구조를 개선해 나갔다. 박정희 정권에서 국유화, 공유화된 도로, 철도의 민영화와 전매청을 민영화하여 한국담배인삼공사로 바꾸기도 했다.[216]

김영삼은 집권하자마자 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을 제도화했고, 기성 중진정치인을 포함해서 고위 공직자들에 대한 성역없는 사정을 통해 비리를 척결하였다.[198] 경제적으로 민영화와 자유시장경제 정책을 펼쳤다. 1993년 8월부터는 대통령 긴급특별명령으로 금융실명제를 발표해 차명, 비실명 계좌의 이용을 불가능하게 했다.

5·17 쿠데타의 주역이었던 전두환·노태우 등의 전직 대통령들을 대기업들로부터 불법·부당하게 정치자금을 모금·횡유했다고 법정에 세워 정치 비자금의 실체를 파헤쳐 국고에 환수[198] 하는 등 부정, 부패에 과감한 사정(査正)을 단행하였다.

경제비리와 부패의 온상인 금융차명(金融借名)[217] 이나 재산은닉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하였고[198], 또 토지거래실명제(土地去來實名制)를 실시하여 부동산 가격의 안정과, 과도한 토지겸병을 방지하는데 기여하였다.[198] 김용욱은 이를 두고 '그의 정부가 아니고는 할 수 없는 조치였다.[198]'고 평가했다. 박정희 정권 이후로 국영화, 국유화된 기업체의 민영화를 시도하고 공기업의 매각과 민영화 등을 추진하였다.

김대중은 1990년대 초 재벌의 한국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보았지만, 중소기업을 크게 강화하는 규제 완화를 확고히 믿었다.[15] 그의 정부 집권 기간 동안 김대중은 특정 자원이나 제품의 수입을 독점하거나 특정 시장을 지배하는 재벌들을 그의 대통령직 이전 시대의 구시대적인 부분으로, 이전 정부의 느슨한 정책에 의해 강화된 "대기업"으로 간주했다.[15]

재벌들의 부패 행위를 억제하는 것 외에도, 김대중은 이전 수십 년간의 국가 주도 경제 성장 모델과는 달리, 재벌들이 세계 경제에서 성공하기 위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게 되도록 장려했다. 당시 재벌들은 비효율성과 전문성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다.[16] 김대중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기업 부패를 없애기 위한 즉각적인 경제 개혁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경제를 위한 100일 계획"을 발표했다. 김대중의 국제화 및 자유 시장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또 다른 5개년 계획도 시행되었다. 1996년에는 1인당 GNP가 1만 달러를 넘어섰다.[17]

임기 말년인 1997년,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를 강타한 경제 위기(아시아 외환 위기)에서, 김영삼과 친분이 있던 한보그룹 계열사인 한보철강이 최초로 부도를 내고 파산하면서 한국 IMF 구제금융의 계기가 되었다.[57][58] 기아자동차의 파산을 시작으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어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요청하게 된 것은 한국 국민에게는 수치스러운 일로 받아들여졌고, 김영삼은 그대로 임기를 마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IMF의 지도를 받아들이기 전, 일본으로부터 단독 금융 지원을 얻어 사태를 일시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이는 거절되었다. 1997년 “O-157”을 이유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 금지를 일방적으로 발표한 한국에 대해 외교 예의에 어긋난다고 반발한 미국은 한국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일본에도 지원 거부를 요청했으며, 일본은 IMF를 통한 지원으로만 국한되었다.[59]

이러한 경제 정책 실패로 인해, 1999년 6월 3일 오전 일본으로 출발하려고 김포공항에 도착하여 길가의 사람들과 악수를 하고 있을 때, 71세 남성이 페인트칠한 계란을 김영삼의 얼굴에 던지는 사건이 발생했다.[60][61][62] 그의 얼굴과 정장이 붉게 물든 모습은 전 세계에 방송되었고, 이 남성은 “금융 위기를 초래하고 나라를 위기에 빠뜨린 죄를 갚고 깊이 반성해야 한다”고 외치며, “IMF 사태에 이르기까지 나라를 망하게 한 김영삼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내용의 유인물을 뿌렸다.

== 취임 1년차(1993년 2월 ~ 1994년 2월) ==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김영삼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부정부패 척결 운동은 경제를 지배하던 한국의 대기업인 재벌 개혁 시도의 일환이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전두환과 노태우에게 뇌물을 제공한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특히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이 기소되었지만, 이건희의 형은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과 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의 정치화 해소가 김영삼 정부 하에서 시작되었다.[12]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에 4만 1천 명의 정치범을 사면했고,[14]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야당 정치인과 정치 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가안전기획부장, 외무부 장관, 통일부 장관 등에 대학교수들을 임명했다. 나아가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정치와 경제의 유착을 혐오하고 “임기 중에는 어떠한 헌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소박함을 어필하기 위해 “청와대에서의 점심은 칼국수로 하겠다”고 공언했다.[51]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경제적으로도 부정의 온상이 되고 있던 가명 계좌를 통한 금융 거래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집권 초년도에 지지율이 80%를 넘었다.

그러나 김영삼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메시지는 아들 김현철이 한보 사건과 관련된 뇌물 수수 및 탈세 혐의로 체포된 후 타격을 입었다.[30] 당시 20대였던 차남 김현철이 ‘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1997년 알선수뢰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다.[52] 후일, 김현철은 가장 중요한 알선수뢰 혐의에 대해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나머지 유죄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 군정 부정과 정통성 확립 ==

6월 4일에는 “5·16 군사 정변은 쿠테타”라는 발언으로 보수세력의 반발을 샀다.[218] 5·16 군사 정변을 쿠테타로 정의한 뒤, 각 교과서에 군사혁명으로 실린 기술을 쿠테타나 정변으로 고치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김종필등 보수세력의 지지를 잃었고, 이후 축출된 김종필등 구 민정계세력의 야합으로 김종필은 자민련을 창당하게 된다.[219]

또한 박정희 정권에서 강제로 국유화, 국영화한 도로와 철도, 항만 등의 시설을 전면적으로 민영화하여 1998년까지 농지개량조합(농업기반공사)과 한국통신 등을 점차적으로 민영화시켰다.

취임 직후부터 김영삼은 정통성 확립에 중점을 기울였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임시정부에서 찾으려 하였다. 이 때문에 보수인사들로부터 이승만, 박정희를 건너뛰었다는 반발이 있기도 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임시정부에 있음을 명시하였고, 1993년 8월부터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임정 요인들의 유해를 환국하는 사업을 지시, 추진했다. 8월 5일 국립묘지에 임정요인 묘소를 신설하게 했고, 1993년 말부터는 문화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조선총독부 철거 지시를 내렸다. 조선총독부1995년 8월 15일 광복 50주년 경축식에서 총독부 청사 중앙돔 랜턴의 해체를 시작으로 철거에 들어갔다.[220]

예술가와 작가들의 반정부성 작품과 사회비판을 허용하였으며, 언론의 사회비판 역시 전면 허용하였다. 1994년 군사 정권에 의해 수감되었던 시인 김남주를 석방했고, 1994년에는 노동 시인 박노해를 석방하였다. 또한 군사정권에 의해 음란죄로 기소된 마광수 역시 무죄 판결을 내려 활동을 보장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부정부패 척결 운동은 경제를 지배하던 한국의 대기업인 재벌 개혁 시도의 일환이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전두환과 노태우에게 뇌물을 제공한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특히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이 기소되었지만, 이건희의 형은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과 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

4. 1. 취임 초반

1990년 3당 합당의 결과로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김영삼 대통령은 집권 초기 개혁과 부패 일신 정책을 펼쳤다.[198]

1993년 2월 대통령에 취임한 직후 군부 사조직인 하나회를 해산, 쿠데타의 가능성을 없앴고, 제5공화국의 전직 대통령들을 구속 수감시켰다.[198]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하여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켰다.[50] 5월 13일 5·13 특별 담화에서 그는 “문민정부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정부”라고 선언하였다.

2월 27일, 김영삼은 자신과 가족들의 재산을 전격 공개했고, "역사를 바꾸는 명예혁명"이라며 공직자들의 재산공개를 종용했고, 삼부요인과 고위 공무원들이 연이어 재산을 공개하게 되었다.[199]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6월 3일에는 전국연합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등 전국 36개 단체가 모여 부당한 공권력 반대와 노동인권 보장을 위한 범국민대책위원회를 열었으며 시민, 학생 등 1만여명, 서울 장충단공원에서 "김영삼 대통령 망언 규탄 및 노동인권 보장 촉구 국민대회"를 갖고 노동탄압을 즉각 중지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기도 하였다.[201]

8월 12일에는 긴급명령을 발표,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긴급명령"을 통해 모든 금융거래를 실명을 통해 해야 한다는 금융실명제를 도입하였다.[199]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51]

3월 13일, 언론에 위안부 문제에 대해 물질적 보상을 일본측에 요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히고 그에 대한 보상은 내년부터 정부예산으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200] 일본측에서 진실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물질적 보상문제는 필요하지 않다면서 그런점에서 도덕적 우위를 가지고 새로운 한·일 관계 정립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200]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50]

4. 2. 외교 정책

김영삼 정권은 “역사의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며 행동에 나섰다. 먼저, 북한과의 현안이었던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1993년 3월 19일에 북한으로 송환했다.[54][55] 이어 1993년 8월에는 옛 조선총독부 청사의 해체를 결정했고, 1995년 8월 15일에 해체가 이루어졌다.

1993년 3월 13일, 한국 정부가 일본에 더 이상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고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500만 원의 일시금과 생활 보조금, 의료 지원, 영구 임대 주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당시 한국 내에서도 이러한 견해가 받아들여졌고, 같은 해 8월 일본으로부터 고노 담화가 발표되었다.[53]

같은 해 3월 19일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한반도 전역에 핵 위기가 닥치자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핵 시설 폭격을 계획했을 때, 서울에 대한 피해 우려로 이를 저지했으며, 이후 회고록에서 후회하고 있다고 밝혔다.[56]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자, 김영삼 정권은 애도의 뜻을 표명하지 않고 전군에 엄중 경계 태세를 지시했으며, 조문을 위해 방북하려는 세력을 탄압했다. 한반도 정세가 일시적으로 악화되었다. 1996년 9월 18일 발각된 강릉 침투 사건에 대해서는, 다음 달인 1996년 10월 1일 “건군 48주년 축하 연설”에서 김영삼은 대북 정책의 군사적 재검토를 발표했다.

4. 2. 1. 대미 관계

1993년 7월, 빌 클린턴 대통령은 김영삼을 "자유민주주의의 투사"로 존경하며 취임 후 첫 방문지로 한국을 택할 정도로 한미 관계는 우호적이었다. 그러나 북한과 미국이 남한을 배제한 채 직접 핵 협상을 하면서 김영삼과 클린턴의 관계는 틀어지기 시작했다. 대북 포용정책을 주장했던 클린턴 행정부와 “핵을 가진 집단과는 대화할 수 없다”는 김영삼 정부의 대북 강경론은 충돌했다.[202] 1994년 10월, 남한을 제외한 북·미 간에 제네바 합의가 이뤄졌을 때 미국은 클린턴 대통령 명의로 “북한이 합의를 위반하지 않으면 경수로 사업을 끝까지 보장한다”는 내용의 친서를 북한에 보냈지만, 이 사실을 한국에 알리지 않아 김영삼은 분노했다. 1996년 북한 잠수함 침투사건 처리 과정에서 클린턴과 김영삼의 갈등은 더욱 커졌다. 이 때문에 김영삼은 임기 말 외환위기 때 미국의 신속한 도움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202]

1993년 3월 19일,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한반도 전역에 핵 위기가 닥치자,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는 북한의 핵 시설 폭격을 계획했다. 그러나 김영삼은 서울에 대한 피해를 우려하여 이를 저지했으며, 이후 회고록에서 후회하고 있다고 밝혔다.[54][55]

4. 2. 2. 대북 관계

김영삼의 대북정책은 자유주의자본주의의 여파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에 확산시켜 개혁·개방화 체제로 유도하는 것을 그 정책목표로 삼았다.[223] 1993년 취임 초 김영삼은 남북고위급 회담과 적십자회담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려 하였다.

하지만 1993년 3월에 일어난 1차 북핵위기는 파국으로 치달았고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는 최후의 수단으로 북한 폭격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한국에 살고 있던 자국민을 한반도 밖으로 빼내는 계획을 세웠고 이 소문이 퍼지면서 남한에서는 전쟁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잠시 ·라면 사재기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특사 자격으로 1994년 6월 15일부터 6월 18일까지 북한에 머무르며 김일성 주석과 담판을 벌였고, 김주석이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바란다는 얘기를 솔직하게 하면서 무력충돌로 치닫던 북핵 문제는 삽시간에 대화로 전환된다.

이 때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김일성 주석의 요청으로 김영삼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의 정상회담을 주선하였으며, 김영삼은 이를 수락하여 역사상 최초로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1개월도 채 되기 전인 1994년 7월 8일 김일성 주석이 갑자기 사망하면서 남북 정상회담은 무산되었다. 당시 미국은 북미 협상을 진행하던 로버트 갈루치를 제네바의 북한 대표부에 보내 조문했다.[203] 그러나 김영삼은 정반대로 전군에 비상경계령을 내려 공안정국을 조성하고 조문을 공식적으로 거부하면서, 정상회담까지 약속했던 남북 관계는 불신만 커져 남북관계는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었다.[203] 김영삼의 정치철학은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하고 있었다.[198] 그러나 그의 노선은 현실적으로 보수주의의 성향이었다.[198]

김영삼 대통령은 1994년 8월, "남북의 체제 경쟁은 끝났다. 언제 갑자기 통일이 눈앞에 닥쳐올지 모른다"고 말하며 북한의 붕괴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204]

1996년 1월 9일 신년연설을 통해서는 "북한 경제난의 근본원인은 과다한 군사비와 공산주의 경제체제의 비능률에 있다. 북한이 동족을 위협하는 군사력 유지에 모든 국력을 쏟아넣으면서 구호를 바라는 것은 민족에 대한 배신이며 죄악이다. 북한이 화해와 협력이라는 세계적인 추세를 직시하고 對南 자세를 바꿀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205]

김영삼의 대북정책은 남·북한간의 '공조·공영'에 있다고 천명하고 있었으나 내용적으로는 역대 전임 정권이 취해왔던 '대북한 우위를 견지하는 흡수통일'의 논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고 평가된다.[223]

2004년에는 "북한은 인권이 없는 나라다. 김정일을 제거하지 않으면 북한에 자유를 가져올 수 없다", "북한 정권과 대화를 통해서 뭔가를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김정일 멸망 이외에는 그 어떤 경우에도 (한반도에) 평화는 없다", "북한에선 56년동안 김일성.김정일 두 사람이 정권을 잡아오지 않았느냐. 그런 독재정권이 어디 있느냐"는 입장을 보였다.[206]

1994년 북한 핵 위기

1994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북한 핵 프로그램의 중심지인 영변을 공격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김정일은 전쟁을 우려하여 그에게 물러설 것을 조언했다. 미국의 항공모함과 순양함이 가능한 공습에 대비하여 한국 동해안 근처에 배치되었고, 미국은 미군과 그 가족들을 포함한 미국인들을 대피시킬 계획이었다고 김정일은 회고록에서 밝혔다. 그는 공격이 발생할 경우 북한이 먼저 한국 도시들을 폭격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전쟁을 시작할 수 있는 어떤 움직임도 막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30]

김영삼 정권은 “역사의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며 행동에 나섰다. 먼저, 북한과의 현안이었던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1993년 3월 19일에 북한으로 송환했다.

1993년 3월 13일, 한국 정부가 일본에 더 이상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고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500만 원의 일시금과 생활 보조금, 의료 지원, 영구 임대 주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같은 해 3월 19일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한반도 전역에 핵 위기가 닥치자 미국빌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핵 시설 폭격을 계획했을 때, 서울에 대한 피해 우려로 이를 저지했으며, 이후 회고록에서 후회하고 있다고 밝혔다.[54][55]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자, 김영삼 정권은 애도의 뜻을 표명하지 않고 전군에 엄중 경계 태세를 지시했으며, 조문을 위해 방북하려는 세력을 탄압했다. 한반도 정세가 일시적으로 악화되었다. 1996년 9월 18일 발각된 강릉 침투 사건에 대해서는, 다음 달인 1996년 10월 1일 “건군 48주년 축하 연설”에서 김영삼은 대북 정책의 군사적 재검토를 발표했다.[56]

4. 2. 3. 대일 관계

1995년 10월, 일본총무청 장관인 에토 다카미는 "일본은 식민지 시절에도 한국에 좋은 일을 많이 했다"라는 발언을 했다.[212] 이후 1996년에는 하시모토 류타로 일본 총리도 "독도는 일본영토"라고 발언하는 등[212] 일본 정계에서 식민지 지배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정당화하는 발언들이 끊임없이 나오자, 김영삼 대통령은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고 격한 반응을 보였다.[213]

이후에도 한일 관계는 순탄치 않은 상황에 놓여 있었는데, IMF사태가 터지자 한국은 일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전해진다.[214]

김영삼은 일본에 대해 일본 측의 역사 인식을 문제 삼아 꾸준히 공격적인 반일(反日) 태도를 보였다.[69][70]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 에토 다카미 총무청 장관이 "무라야마 담화는 잘못됐다", "일한 병합 조약은 법적으로 유효했다", "식민지 시대, 일본은 좋은 일도 했다"는 발언에 반발하여, 1995년 11월 14일 당시 중화인민공화국장쩌민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일본의 나쁜 버릇(조선어: 폴장모리(폴장모리), 일본어의 '바보(馬鹿)'에 해당하는 상급자가 하급자를 꾸짖는 조선어 속어)을 고쳐주겠다!"는 등 강경한 발언을 했다.[71][72]

또한 현재까지 이어지는 양국의 영토 문제인 독도 문제에 대해서도, 재임 중인 1995년에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독도에 선박 접안 시설 등을 건설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때 한국 정부는 "일본을 다스리겠다"며, 스스로의 우월적인 입장을 내세워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였고, 한국 내에서는 환호를 받았다. 같은 해 11월에도 "이번에는 반드시 일본의 무례함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발언하며 반일 여론을 조성했다.[44]

김영삼 정부는 "역사 바로 세우기"를 주장하며, 1993년 8월에는 옛 조선총독부 청사의 해체를 결정했고, 1995년 8월 15일에 해체가 이루어졌다.

1993년 3월 13일, 한국 정부가 일본에 더 이상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지 않고 피해자들에게 지원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500만 원의 일시금과 생활 보조금, 의료 지원, 영구 임대 주택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당시 한국 내에서도 이러한 견해가 받아들여졌고, 같은 해 8월 일본으로부터 고노 담화가 발표되었다.[53]

산케이 신문(産經新聞)의 쿠로다 카츠히로(黒田勝弘)는 김영삼을 "한국 사회의 독도 애국주의(獨島愛國主義)를 확대하고, '역사의 바른 재정립'으로 구 조선총독부 건물을 박물관으로 사용하다가 독립 50주년 기념으로 폭파 철거했으며, 위안부 문제에서는 고노 담화나 아시아 여성 기금(アジア女性基金)에 의한 해결책을 경시하여 문제의 장기화를 초래하는 등, 반일 애국 대중 영합주의(大衆迎合主義)의 대통령이었다. 일본에는 씁쓸한 기억으로 남는 인물이다"라고 평가했다.[75]

4. 3. 경제 정책

김영삼은 경제적으로 자유시장경제의 정착을 지지하였다. 취임 이후 그는 국공유화에서 민영화로 사회자본 구조를 개선해 나갔다. 박정희 정권에서 국유화, 공유화된 도로, 철도의 민영화와 전매청을 민영화하여 한국담배인삼공사로 바꾸기도 했다.[216]

김영삼은 집권하자마자 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을 제도화했고, 기성 중진정치인을 포함해서 고위 공직자들에 대한 성역없는 사정을 통해 비리를 척결하였다.[198] 경제적으로 민영화와 자유시장경제 정책을 펼쳤다. 1993년 8월부터는 대통령 긴급특별명령으로 금융실명제를 발표해 차명, 비실명 계좌의 이용을 불가능하게 했다.

5·17 쿠데타의 주역이었던 전두환·노태우 등의 전직 대통령들을 대기업들로부터 불법·부당하게 정치자금을 모금·횡유했다고 법정에 세워 정치 비자금의 실체를 파헤쳐 국고에 환수[198] 하는 등 부정, 부패에 과감한 사정(査正)을 단행하였다.

경제비리와 부패의 온상인 금융차명(金融借名)[217] 이나 재산은닉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하였고[198], 또 토지거래실명제(土地去來實名制)를 실시하여 부동산 가격의 안정과, 과도한 토지겸병을 방지하는데 기여하였다.[198] 김용욱은 이를 두고 '그의 정부가 아니고는 할 수 없는 조치였다.[198]'고 평가했다. 박정희 정권 이후로 국영화, 국유화된 기업체의 민영화를 시도하고 공기업의 매각과 민영화 등을 추진하였다.

김대중은 1990년대 초 재벌의 한국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보았지만, 중소기업을 크게 강화하는 규제 완화를 확고히 믿었다.[15] 그의 정부 집권 기간 동안 김대중은 특정 자원이나 제품의 수입을 독점하거나 특정 시장을 지배하는 재벌들을 그의 대통령직 이전 시대의 구시대적인 부분으로, 이전 정부의 느슨한 정책에 의해 강화된 "대기업"으로 간주했다.[15]

재벌들의 부패 행위를 억제하는 것 외에도, 김대중은 이전 수십 년간의 국가 주도 경제 성장 모델과는 달리, 재벌들이 세계 경제에서 성공하기 위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게 되도록 장려했다. 당시 재벌들은 비효율성과 전문성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다.[16] 김대중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기업 부패를 없애기 위한 즉각적인 경제 개혁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경제를 위한 100일 계획"을 발표했다. 김대중의 국제화 및 자유 시장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또 다른 5개년 계획도 시행되었다. 1996년에는 1인당 GNP가 1만 달러를 넘어섰다.[17]

임기 말년인 1997년,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를 강타한 경제 위기(아시아 외환 위기)에서, 김영삼과 친분이 있던 한보그룹 계열사인 한보철강이 최초로 부도를 내고 파산하면서 한국 IMF 구제금융의 계기가 되었다.[57][58] 기아자동차의 파산을 시작으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어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요청하게 된 것은 한국 국민에게는 수치스러운 일로 받아들여졌고, 김영삼은 그대로 임기를 마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IMF의 지도를 받아들이기 전, 일본으로부터 단독 금융 지원을 얻어 사태를 일시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이는 거절되었다. 1997년 “O-157”을 이유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 금지를 일방적으로 발표한 한국에 대해 외교 예의에 어긋난다고 반발한 미국은 한국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일본에도 지원 거부를 요청했으며, 일본은 IMF를 통한 지원으로만 국한되었다.[59]

이러한 경제 정책 실패로 인해, 1999년 6월 3일 오전 일본으로 출발하려고 김포공항에 도착하여 길가의 사람들과 악수를 하고 있을 때, 71세 남성이 페인트칠한 계란을 김영삼의 얼굴에 던지는 사건이 발생했다.[60][61][62] 그의 얼굴과 정장이 붉게 물든 모습은 전 세계에 방송되었고, 이 남성은 “금융 위기를 초래하고 나라를 위기에 빠뜨린 죄를 갚고 깊이 반성해야 한다”고 외치며, “IMF 사태에 이르기까지 나라를 망하게 한 김영삼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내용의 유인물을 뿌렸다.

4. 4. 취임 1년차(1993년 2월 ~ 1994년 2월)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김영삼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부정부패 척결 운동은 경제를 지배하던 한국의 대기업인 재벌 개혁 시도의 일환이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전두환과 노태우에게 뇌물을 제공한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특히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이 기소되었지만, 이건희의 형은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과 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의 정치화 해소가 김영삼 정부 하에서 시작되었다.[12]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에 4만 1천 명의 정치범을 사면했고,[14]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야당 정치인과 정치 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가안전기획부장, 외무부 장관, 통일부 장관 등에 대학교수들을 임명했다. 나아가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정치와 경제의 유착을 혐오하고 “임기 중에는 어떠한 헌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소박함을 어필하기 위해 “청와대에서의 점심은 칼국수로 하겠다”고 공언했다.[51]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경제적으로도 부정의 온상이 되고 있던 가명 계좌를 통한 금융 거래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집권 초년도에 지지율이 80%를 넘었다.

그러나 김영삼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메시지는 아들 김현철이 한보 사건과 관련된 뇌물 수수 및 탈세 혐의로 체포된 후 타격을 입었다.[30] 당시 20대였던 차남 김현철이 ‘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1997년 알선수뢰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다.[52] 후일, 김현철은 가장 중요한 알선수뢰 혐의에 대해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나머지 유죄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4. 4. 1. 군정 부정과 정통성 확립

6월 4일에는 “5·16 군사 정변은 쿠테타”라는 발언으로 보수세력의 반발을 샀다.[218] 5·16 군사 정변을 쿠테타로 정의한 뒤, 각 교과서에 군사혁명으로 실린 기술을 쿠테타나 정변으로 고치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김종필등 보수세력의 지지를 잃었고, 이후 축출된 김종필등 구 민정계세력의 야합으로 김종필은 자민련을 창당하게 된다.[219]

또한 박정희 정권에서 강제로 국유화, 국영화한 도로와 철도, 항만 등의 시설을 전면적으로 민영화하여 1998년까지 농지개량조합(농업기반공사)과 한국통신 등을 점차적으로 민영화시켰다.

취임 직후부터 김영삼은 정통성 확립에 중점을 기울였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임시정부에서 찾으려 하였다. 이 때문에 보수인사들로부터 이승만, 박정희를 건너뛰었다는 반발이 있기도 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임시정부에 있음을 명시하였고, 1993년 8월부터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임정 요인들의 유해를 환국하는 사업을 지시, 추진했다. 8월 5일 국립묘지에 임정요인 묘소를 신설하게 했고, 1993년 말부터는 문화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조선총독부 철거 지시를 내렸다. 조선총독부1995년 8월 15일 광복 50주년 경축식에서 총독부 청사 중앙돔 랜턴의 해체를 시작으로 철거에 들어갔다.[220]

예술가와 작가들의 반정부성 작품과 사회비판을 허용하였으며, 언론의 사회비판 역시 전면 허용하였다. 1994년 군사 정권에 의해 수감되었던 시인 김남주를 석방했고, 1994년에는 노동 시인 박노해를 석방하였다. 또한 군사정권에 의해 음란죄로 기소된 마광수 역시 무죄 판결을 내려 활동을 보장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부정부패 척결 운동은 경제를 지배하던 한국의 대기업인 재벌 개혁 시도의 일환이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를 군사 쿠테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전두환과 노태우에게 뇌물을 제공한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특히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이 기소되었지만, 이건희의 형은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과 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의 정치화 해소가 김영삼 정부 하에서 시작되었다.[12]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에 4만 1천 명의 정치범을 사면했고,[14]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그러나 김영삼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메시지는 아들 김현철이 한보 사건과 관련된 뇌물 수수 및 탈세 혐의로 체포된 후 타격을 입었다.[30]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야당 정치인과 정치 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가안전기획부장, 외무부 장관, 통일부 장관 등에 대학교수들을 임명했다. 나아가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정치와 경제의 유착을 혐오하고 “임기 중에는 어떠한 헌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소박함을 어필하기 위해 “청와대에서의 점심은 칼국수로 하겠다”고 공언했다.[51]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경제적으로도 부정의 온상이 되고 있던 가명 계좌를 통한 금융 거래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집권 초년도에 지지율이 80%를 넘었다.

그러나 당시 20대였던 차남 김현철이 ‘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1997년 알선수뢰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다.[52] 후일, 김현철은 가장 중요한 알선수뢰 혐의에 대해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나머지 유죄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4. 4. 2. 사정작업과 정치보복 논란

김영삼은 취임 직후부터 TK인맥을 해고하고 PK인맥으로 채워버렸다. 하나회가 물러간 자리에는 PK의 군홧발이 점령했다. 모든 곳이 다 그랬다. TK를 몰아낸 자리에는 영락없이 PK가 들어섰다.[221] 그러나 그 자리에는 오랜 야당생활을 같이 한 민주계 인사들과 부산,경남계열 인사들이 집중 중용되었다.

김영삼의 역사 바로 세우기는 대구, 경북 사람들에게는 정치보복일 뿐이었다.[222] 이에 전두환은 정치보복을 하는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기도 했다. TK 인사들은 정호용이 대선 전에 그를 지지한 것을 들었고, 군출신 인사들과 보수세력은 노태우, 정일권 등의 지지를 받았는데 은혜를 원수로 갚았다며 그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부정부패 척결 운동은 경제를 지배하던 한국의 대기업인 재벌 개혁 시도의 일환이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과 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전두환과 노태우에게 뇌물을 제공한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특히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이 기소되었지만, 이건희의 형은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과 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의 정치화 해소가 김영삼 정부 하에서 시작되었다.[12]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에 4만 1천 명의 정치범을 사면했고,[14]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그러나 김영삼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메시지는 아들 김현철이 한보 사건과 관련된 뇌물 수수 및 탈세 혐의로 체포된 후 타격을 입었다.[30]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야당 정치인과 정치 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가안전기획부장, 외무부 장관, 통일부 장관 등에 대학교수들을 임명했다. 나아가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정치와 경제의 유착을 혐오하고 “임기 중에는 어떠한 헌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소박함을 어필하기 위해 “청와대에서의 점심은 칼국수로 하겠다”고 공언했다.[51]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경제적으로도 부정의 온상이 되고 있던 가명 계좌를 통한 금융 거래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집권 초년도에 지지율이 80%를 넘었다.

그러나 당시 20대였던 차남 김현철이 ‘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1997년 알선수뢰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다.[52] 후일, 김현철은 가장 중요한 알선수뢰 혐의에 대해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나머지 유죄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4. 5. 취임 2년차(1994년 2월 ~ 1995년 2월)

1993년 취임 초부터 북한과 연락, 김일성과의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하여 성사 직전까지 갔으나, 1994년 7월 김일성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무산되었다.[228] 김일성 사망 이후 남북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229] 당시 정부는 김일성 사망에 대한 대외적 여론을 주시하며 국내의 김일성 참배 여론을 원천 봉쇄하였으나 전남대학교에서는 김일성 분향소를 만들어 250여명의 학생들이 참배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229]

1994년 김문수, 이재오, 안상수 등 시민사회운동가와 노동운동가들을 민주자유당에 입당시켰고, 홍준표·오세훈 등의 신진 관료출신과 법관출신들도 등용하였다.[224] 군사정권에서 정치범으로 수감되었던 박노해·김남주 등 언론인과 문인들을 대대적으로 감형, 석방시키기도 하였다.[224] 4월 15일에는 3대 정치개혁 법안(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정치자금법 개정안, 지방자치법 개정안)에 서명하여 대한민국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제도 구축의 전기를 마련했다.[224]

1994년 여름, 미국의 빌 클린턴 행정부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변 원자로 시설에 대한 정밀폭격을 검토하자 이에 대한 강경한 반대입장을 펴서[197] 저지하였다. 6월 14일, 북한은 IAEA를 탈퇴하여 내전을 준비하려 하자 6월 15일 전 미국 대통령 카터는 북한사태의 해결을 위해 방북하여 김일성과 만났다.[225] 6월 16일과 17일, 카터와 김일성은 1, 2차 연쇄회담으로 미국은 북한에 대한 대북제재를 중단하였다.[226] 6월 18일 북한이 남북정상회담을 제의하자 수락했다.[227]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단행했다.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의 일환으로,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하여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23]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관행도 크게 줄었다.[23]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1993년 11월 1일에는 금리의 제2단계 자유화 조치를 발표하였다.[223]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은 종식되었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51]

4. 6. 취임 3년차(1995년 2월 ~ 1996년 2월)

1995년 초 김영삼은 내무부 장관에게 특별 지시를 내려 1991년 이후 실시되던 지방 자치 제도를 확대시켜, 1995년부터는 특별시·광역시장, 도지사, 및 시장, 군수 등을 주민이 직접 선출하게끔 제도를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1995년 5월부터 민선 시도지사 후보와 시장, 군수 후보자의 선거 유세가 있었고, 7월 전격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실시되었다. 자치단체장을 민선으로 직접 선출하게 되면서 차관급인 서울특별시장과 1급 관리관이던 직할시장, 도지사, 3급 부이사관이던 일선 시의 시장과 직할시의 자치구청장, 4급 서기관 직위이던 군수 등은 정무직으로 개편되어 직급이 사라졌고, 특별시와 직할시의 부시장과 도의 부지사는 2급 이사관에서 1급 관리관으로 직급이 상향 조정되었고, 각 시 군의 4급과 5급 보직이던 부시장과 부군수의 직급은 3급과 4급 보직으로 격상되었다.

자치단체장 선거는 1960년 장면 총리의 명으로 실시되었다가 5·16 군사 정변으로 폐지된 이래 34년만에 부활하였다. 1994년 말 지방자치제에 관한 법률에 서명하여 이듬해인 1995년 6월 27일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되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그의 정부의 첫 조치 중 하나는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이었는데, 김영삼 대통령은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30] 부정부패 척결 운동은 경제를 지배하던 한국의 대기업인 재벌 개혁 시도의 일환이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전두환노태우에게 뇌물을 제공한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특히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이 기소되었지만, 이건희의 형은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전두환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의 정치화 해소가 김영삼 정부 하에서 시작되었다.[12]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에 4만 1천 명의 정치범을 사면했고,[14]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그러나 김영삼 대통령의 부정부패 척결 메시지는 아들 김현철이 한보 사건과 관련된 뇌물 수수 및 탈세 혐의로 체포된 후 타격을 입었다.[30]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야당 정치인과 정치 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가안전기획부장, 외무부 장관, 통일부 장관 등에 대학교수들을 임명했다. 나아가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정치와 경제의 유착을 혐오하고 “임기 중에는 어떠한 헌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소박함을 어필하기 위해 “청와대에서의 점심은 칼국수로 하겠다”고 공언했다.[51]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경제적으로도 부정의 온상이 되고 있던 가명 계좌를 통한 금융 거래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집권 초년도에 지지율이 80%를 넘었다.

그러나 당시 20대였던 차남 김현철이 ‘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1997년 알선수뢰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다.[52] 후일, 김현철은 가장 중요한 알선수뢰 혐의에 대해 무죄 선고를 받았지만, 나머지 유죄 부분에 대해서는 본인의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4. 6. 1. 조선총독부 해체

건물(당시 국립중앙박물관)]] (경복궁)

1996년 철거 당시의 조선총독부
건물


1993년 8월 9일에 김영삼은 민족 정기 회복을 위해 총독부 청사를 해체하여 경복궁을 복원하고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을 국책사업으로 건립하라고 내각에 지시하였다.[230] 1994년에 총독부 청사의 철거 문제가 본격화되면서 철거와 보존이라는 논쟁의 대립 속에서 ‘완전철거론’과 ‘현상보존론’, ‘이전복원론’ 등의 주장이 제기되었다.[231] 학생운동권으로부터 친일파 라는 공세를 받아오던 극우 진영은 신경질적으로 대응하였으나 그는 무시하였다.

1995년 8월 15일 광복 50주년 경축식에서 총독부 청사 중앙돔 랜턴의 해체를 시작으로 철거에 들어갔다. 1995년 8월에 일부 서울특별시 시의원들이 서울시의회에 청사의 역사적 가치와 경제적 이유로 ‘구 조선총독부 건물철거보류 동의안’을 제출하였다.[232] 1996년 6월에는 〈국립중앙박물관 건물 보존을 위한 시민의 모임〉이 서울지방법원에 ‘건물 훼손 및 철거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지만 1996년 7월에 서울지방법원은 가처분 신청을 각하하였다.[233] 그 밖에 우익단체들까지 나서서 공개집회를 하며 총독부 철거에 반대하며 그를 규탄했지만, 그는 총독부 철거를 강행한다.

1996년 11월 13일에 총독부 청사의 지상 부분 철거가 완료되었고[234] 총독부는 1996년 12월에 완전 철거되었다.[235]

1998년 8월 8일에 독립기념관은 중앙돔 랜턴과 건축부재로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을 개원하여 일반에 공개하였다.[236]

4. 6. 2. 군사 정책과 정치군인 숙정

김영삼은 종래 정치에 개입했던 군부를 과감하게 개혁하였다.[198] 문민정부(Non-Military Civilian Government)를 위협하는 정치군인들을 과감히 예편, 숙청해서 한국 군의 정치적 중립을 확립했고[198], 한국 군내 각종 사조직을 적발해 해산시켰다.

특히 한국군 내부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하나회'라 불리는 군내 사조직과 관련된 정치군인들을 모두 전역시켰으며[198],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공군 등 3군 수뇌부를 전부 직업군인으로 교체하였다.[198]

그는 측근인 총무처 장관 서석재와 국회의원 박계동을 통해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비자금 의혹을 국회에 폭로하여 해당자들의 재판과 처벌을 이끌어 냈고, 해외 순방 중 그들의 재판 소식을 접하였다. 1994년 7월 김영삼은 대법원과 감사원 등에 전직 대통령 비자금 수수설에 대한 공개 수사를 지시한다. 또한 검찰 등에 12·12 군사 반란, 5.17 비상계엄 확대조치,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수사를 지시한다. 이어 1995년에는 12·12 군사 반란, 5.17 비상계엄 확대조치,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자들의 재판 회부와 처벌까지 이끌어냈다.

한편 대선당시 여야 정치인들이 노태우의 비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김대중노태우에게서 20억 원을 받았다고 자수하여 온갖 공격과 질타를 받았다.[237] 그런데 김영삼은 돈 받은 일은 없다고 딱 잡아떼었다. 노태우가 입을 열어야 했지만, 그는 아무런 말도 않고 감옥으로 갔다. 김영삼은 과거의 어두운 돈으로 인한 위기에서 가까스로 벗어났다. 그의 과거는 여전히 의심스러웠지만, 현재의 깨끗함에 대한 믿음이 이를 덮어주었다.[237]

김영삼 정부는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것이 어려워져 그러한 관행이 크게 줄었다.[23] 그는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과 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김영삼 대통령은 전두환과 노태우가 속한 하나회의 정치 성향 장성들을 숙청했다. 그때까지 하나회는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따라서 하나회는 해체되었고 군의 정치화 해소가 김영삼 정부 하에서 시작되었다.[12]

김영삼 대통령은 또한 취임 직후인 1993년 3월에 4만 1천 명의 정치범을 사면했고,[14] 12·12 군사반란 이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체포된 민주화 운동 시위대의 유죄 판결을 취소했다.[23]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4. 7. 취임 4년차(1996년 2월 ~ 1997년 2월)

1996년 12월에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여, 프랑스 파리에 있는 OECD 본부에서 대한민국은 아시아 국가로는 일본에 이어 2번째로 OECD 회원국이 되었다.[275] 같은 해 10월에는 북한 무장 간첩단이 잠수함을 타고 강원도 강릉시에 침투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간첩단의 일원이었던 이광수가 현장에서 생포되었고 나머지 조직원들은 자살하였다.[275]

1996년 8월, 연세대에서 터진 한총련사태로 1,200여명의 전경, 학생들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일어났다.[274] 김영삼은 한총련, 범민련 소속 운동권 학생들이 학교를 점거, 시위를 벌인것과, 당시 여학생을 성추행한 경찰관에 대한 추미애 의원의 지적에 대해 엄벌에 처할 것을 지시하여 대대적으로 파면, 해임조치했다. 동시에 일부 언론에서 연세대 사건 당시 혼숙, 혼음에 대한 선정적인 보도가 있자 학생들의 미래가 걸린 일이라며 이를 지적, 정정보도하게 했다.

1996년 9월 18일, 북한 무장 간첩단이 잠수함을 타고 강원도 강릉에 침투하여 문제가 되자 그는 상시 비상국무회의를 소집했다. 계속 사태를 주시했으나 국방부에서 향토예비군까지 동원하여 수색 끝에 무장공비들은 2개월만인 11월에 자살하거나 일부 도주하여 사건은 종결되었다.[275]

김영삼 정부는 정부와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최고위층부터 시작된 부정부패 척결 운동의 일환으로 정치자금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며, 재벌 개혁 시도를 병행했다.[30] 정부 및 군 관계자들에게 재정 기록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전국적으로 “실명” 금융 거래 제도를 도입했다.[12] 이는 허위 이름으로 은행 계좌를 개설하기 어렵게 만들어 여러 고위 장교와 내각 구성원들의 사퇴를 초래했고, 재벌들이 허위 및 익명으로 정치인과 공무원에게 돈을 송금하여 정부의 특혜를 얻는 관행을 줄였다.[23] 전임 대통령인 전두환노태우를 군사 쿠데타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 및 기소했지만, 당선자 김대중의 조언에 따라 임기 말에 사면했다.[30] 삼성의 이건희대우김우중 등 재벌 회장들을 추궁했으며, 이건희는 집행유예, 김우중은 실형을 살지 않았다.

박정희 정권 이래 32년간 지속되었던 군사 정권이 사라지고, 김영삼 정권은 문민정권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영삼은 군부 정권의 잔재를 철저히 제거하기 위해 전임자인 전두환노태우가 창설하고 군 내에서 주요 지위를 차지했던 비밀 조직 「하나회」를 해체하고 회원들을 예편시키는 등 대한민국 국군 개혁을 추진했다.[50] 또한, 야당 정치인과 정치 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여 국가안전기획부장, 외무부 장관, 통일부 장관 등에 대학교수들을 임명했다. 나아가 고위 관료들의 부정을 추궁하여 대법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등이 사퇴하게 되었다.

정치와 경제의 유착을 혐오하고 “임기 중에는 어떠한 헌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소박함을 어필하기 위해 “청와대에서의 점심은 칼국수로 하겠다”고 공언했다.[51] 또한, 역대 대통령들이 의원들에게 배포하던 ‘돈(뒷돈)’의 제도도 없애는 등 정치의 낭비 요소를 제거해 나갔다. 경제적으로도 부정의 온상이 되고 있던 가명 계좌를 통한 금융 거래를 없애기 위해 “금융실명제”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집권 초년도에 지지율이 80%를 넘었다.

그러나 당시 20대였던 차남 김현철이 ‘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1997년 알선수뢰 등의 혐의로 구속되었다.[52]

4. 8. 취임 5년차(1997년 2월 ~ 1998년 2월)

1997년 1월 7일, 김영삼은 연두 기자회견을 통해 노동법개정은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여 노동계와 국민들의 거센 비난을 받았다.[276] 이후 전국에서 노동법 개정반대 총파업이 벌어졌고, 1월 23일에는 한보철강이 부도로 도산했다. 이때 한보그룹 회장이었던 정태수는 구속되었고, 한보그룹 사태 수사 중 김영삼 대통령의 아들 김현철이 한보 비리에 연루되어 국민들의 지탄을 받았다.[277] 1997년 2월, 뇌물수수 의혹을 받아온 김영삼의 차남 김현철이 뇌물수수 및 권력남용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김영삼은 대국민 사과 성명을 발표하였다.

1997년 1월부터 한보 철강,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등의 도미노식 부도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대한민국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집권 말기 대통령의 아들인 김현철의 권력형 비리가 드러나고, 외환금융이 악화되어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해 국제 통화 기금의 원조를 받는 수모를 겪게 되었다. 그는 아들인 김현철을 그를 차기 국회의원이나 정치인 등으로 염두에 두었으나 신한국당의 신임 총재로 취임했던 이회창은 김영삼측의 생각을 단호하게 거절하였다. 이 일로 김영삼과 이회창 간의 미묘한 감정싸움의 발단이 되어 알력으로 작용하다가 사이가 틀어지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또한 김영삼의 측근인 홍사덕이회창 간에 언쟁이 벌어지면서 양자의 갈등은 격화되었다. 김영삼과 이회창간의 감정 싸움과는 별개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측에서 측근들을 보내 선거에서 정치적 중립성을 지킬 것을 요구하였다. 김영삼은 김대중의 측근 이강래 등에게 차기에 만약 당선되었을 경우 김영삼 자신의 신변 안전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정치적 중립성을 수용하였다.

임기 후반인 1997년 대한민국은 IMF에 의한 구제금융을 받게 되었다. 12월 정부는 국제 통화 기금(IMF)에 금융 지원을 신청하였다. 1997년 12월 3일, 국제통화기금(IMF)은 구제 금융 패키지로 584억 달러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26] 그 대가로 한국은 구조조정 조치를 취해야 했다.[27] 또한 한국 정부는 금융 부문 개혁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2003년 6월까지 787개의 부실 금융기관이 폐쇄되거나 합병되었다.[28] 한편, 대한민국 원은 미국 달러당 약 800원에서 1700원 이상으로 약세를 보였지만, 나중에 회복되었다. 그러나 재벌과 마찬가지로 김영삼 정부도 피해를 입었다. 위기의 결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약 13%에서 30%).

1997년 11월 22일, 김영삼은 전국에 TV 연설을 통해 사과하고 허리띠를 졸라맬 것을 촉구했다. 그는 기업들이 너무 많은 차입을 했고, 노동자들은 너무 많은 임금을 요구했으며, 자신이 이끄는 정부가 특수 이익 집단의 압력으로 인해 강력한 개혁을 시행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24] 그 결과 김영삼은 6%의 지지율로 역대 최악의 대통령이 되었는데, 이 기록은 박근혜가 2016년 탄핵 전 5%의 지지율로 깨뜨렸다가 1~3%까지 떨어지기 전까지 유지되었다.[25]

1997년 12월, 국가안전기획부(국가정보원)는 김대중 당시 국민회의 총재 겸 대통령 후보의 당선을 저지하기 위해 정치 공작을 자행하였는데, 1998년 3월 국가 안전 기획부와 검찰의 공동 조사에 따르면 이 사건을 당시 국가안전기획부 부장이었던 권영해가 주도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영삼은 대통령 재직 중 줄곧 최소 10% 이상의 지지도를 기록하다가 임기 마지막 해에 가서야 IMF 외환위기로 8.4%의 지지율을 기록했다.[278]

구한말 국채보상운동과 비슷하게 쌓여가는 국가적 외화 채무에 직면한 국가에, 국민들이 도움을 주고자 금모우기 행사가 1998년 1월에 일어났다. 긍정적인 사례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던 애국적인 행사였음에도 불구하고 열성적으로 매달렸던 김수환 추기경과 달리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정도로 달랐다.[279] 모아진 금에 양이 위기 대처에 있어서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었던 수준이었지만, 금의 매각 시점조차 무성의했다는 보고가 있다.

1999년 6월 3일,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한 경제 정책 실패에 분노한 71세 남성이 김영삼에게 페인트칠한 계란을 던지는 사건이 발생했다.[60][61][62]

5. 퇴임 이후

김영삼(왼쪽)과 첸수이볜 타이완 총통(2008)


김영삼은 헌법에 따라 대통령직을 단 한 번의 5년 임기로 제한했기 때문에 1997년 재선에 출마할 수 없었다. 그의 임기는 1998년 2월 24일에 끝났고, 집권 보수당을 물리치고 승리한 정치 라이벌 김대중에게 뒤를 이었다. 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이것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야당에 평화적으로 정권이 이양된 사건이었다.

2002년 4월부터 2007년까지 그는 연구에 전념하여 이전(1994년)에 법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던 와세다 대학에서 명예교수직을 맡았다.[29]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김영삼은 민주주의를 증진하고 2007년 1월 타이완에서 열린 "새로운 민주주의에 관한 세계 포럼"과 같은 행사에서 연설하는 등 세계를 여행했다.[31] 은퇴 후 김영삼 전 대통령은 상도동에 있는 자택에서 여생을 보냈다.

2002년부터 와세다 대학 특명 교수에 취임했다. 공공경영학과 특별 강의나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한 공개 강연회 개최 등 연간 약 2회의 방일 시에는 "이미 많이 잊어버렸다"며 겸손하게 말하기는 했지만, 유창한 일본어로 강의를 맡았고, 텔레비전 출연도 했다.

2015년11월 22일 0시 21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63][64] 87세로 별세[65]했다.

2015년11월 26일, 서울시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한국 역사상 최초로 국가장으로 장례를 치렀다.[66][67][68]

5. 1. 국민의 정부 시절

김영삼은 헌법에 따라 5년 단임의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1998년 2월 24일 퇴임하였으며, 후임 대통령은 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김대중이었다. 이는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여야 간 평화적인 정권 교체였다.[119] 퇴임 후 김영삼은 김대중 정부에 의해 1년 6개월 동안 내사를 당했고, 청문회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하였다.[119] 그는 인터뷰를 통해 김대중이 자신의 뒷조사를 한 것은 용서했지만, 정계 은퇴를 번복한 것은 비판하였다.[119]

1999년 6월에는 일본 출국 과정에서 김포공항에서 70대 노인으로부터 페인트 달걀을 맞는 사건이 발생했다.[134][284] 이 노인은 김영삼의 정치 재개를 반대하여 범행을 저질렀으며, 법원에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134][284] 같은 해 6월 김영삼은 백범 김구 기념사업회로부터 백범기념관 건립위원회 고문에 추대되었다.[285]

2000년 9월 9일에는 팬클럽인 《YS사사모》가 출범했으며,[286] 11월 13일 YS사사모 회원들이 상도동을 방문하여 김영삼과 면담을 가졌다.[287]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후보 이회창을 지지하였다.[289] 2002년 4월부터는 일본 와세다 대학 특명 교수로 출강하였으며,[29] 2003년 9월 30일에는 전 조선노동당 비서 황장엽의 천거로 자유북한방송 방송위원회 명예위원장에 선임되었다.[288]

퇴임 후 김영삼은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국제 행사에서 연설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31]

5. 2. 참여정부 시절

2004년 3월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김영삼은 노무현을 정계에 입문시킨 만큼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며 여러 차례 충고도 했지만, 노무현이 이를 소홀히 하고 일방적으로 국정을 운영하여 이런 결과가 초래되었다며 냉정한 반응을 보였다.[290] 같은 해 12월 13일 황장엽을 만나 북한민주화운동 지원 의사를 밝히고 북한민주화동맹 명예위원장에 추대되었다.[288][291][292]

2005년 조병옥 박사 45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114] 같은 해 8월, 1990년 3당 합당 전후 노태우로부터 40억원 이상의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93] 박철언은 1989년 6월 김영삼 총재의 소련 방문을 앞두고 노태우 대통령의 지시로 20억 원과 여비 2만 달러, 그해 연말에 10억 원, 3당 합당 직후 10억 원 등 총 40억 원 이상을 김영삼 총재에게 전달했다고 주장했다.[293] 또한 박철언은 1989년 3월 16일 김영삼 총재 자택에서 중간평가 유보 및 민정당과의 합당에 사실상 합의했다고 주장하며, 김영삼 총재가 중간평가 유보 성명서 작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고 폭로했다.[293]

2006년 4월 19일 '민주주의 이념연구회' 발족식에 참석하여 축사를 하고,[294] 기자회견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 활동을 비판하며 일본이 노무현 대통령을 '바보'로 취급한다고 독설을 퍼부었다.[295] 김영삼은 1996년 독도 인근 해상시위를 언급하며, 당시 일본 정부가 한국 외무부에 시위 중단을 요청했던 사실을 상기시켰다.[295]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 계획에 대해서는 "누가 오라는 사람도 있는 것도 아니고…. 김정일에게 아무것도 갖다줄 게 없는데 누가 오라고 하겠나"라고 비판했다.[295]

2007년 12월 성균관대학교 김일영 교수와의 인터뷰에서 이승만을 국부로 긍정 평가한 반면, 김구는 정치 감각이 떨어진다고 부정 평가했다.[125] 박정희에 대해서는 5.16 쿠데타를 일으킨 역사의 죄인으로 혹평하며, 장면 정부가 계속되었다면 경제 개발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25] 2008년 5월 광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두환을 비판하고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자신의 평가가 미흡한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296]

2007년 5월 22일, 김영삼은 11년 만에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고 5·18 특별법 제정 공로로 감사패를 받았다.[297] 그는 "5·18은 자유와 정의가 반드시 승리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297] 5·18 묘지 입구에서는 3당 합당 등에 항의하는 일부 대학생들의 시위가 있었으나 충돌은 없었다.[297]

2007년 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회창을 "먼저 인간이 돼야 한다"라며 맹비난한 반면,[298] 여당의 이명박 공격에는 검찰 수사를 언급하며 이명박 후보에게 우호적인 입장을 보였다.[298]

5. 3. 이명박 정부 이후

2008년 3월 가이후 도시키 전 일본 총리의 요청을 수락하여 3월 5일 한국티볼협회 총재에 취임하였다.[299][300] 11월 13일에는 "3·15 의거는 국가기념일로 반드시 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301] 2009년 4월 10일에는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김영삼 대통령 기록전시관이 기공하였다.[302][303]

2008년 3월 26일 김종필 전 총재와 회동, 한나라당 공천 결과가 편파적으로 진행됐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명박 대통령을 강력히 성토했다.[304]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당시, 《노무현국민장 장의위원회》 고문으로 위촉되었고, 5월 29일 경복궁 흥례문 앞에서 열린 노무현 영결식에 참석하였다.[305] 8월 10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을 방문해 김대중을 병문안하고, 이희호 여사에게 위로를 전했다.[306] 9월 일본 잡지 《애플타운》 인터뷰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에 대해 “국민장이 아니라 가족장으로도 충분했다”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다.[307]

2010년 1월 18일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생일축하난을 받았고,[308] 1월 5일 서울 상도동 자택과 거제도 땅을 포함해 50억원에 이르는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할 뜻을 밝혔다.[309] 2월에는 친자 확인 소송에서 패소했고, 5월에는 상도동 자택 근처에 김영삼 민주센터가 건립되었다.[310]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를 지지하였고,[311] 박근혜로부터 감사 전화를 받았다.[312] 2013년 2월 25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였다.

2013년 4월부터 반복적인 뇌졸중, 협심증, 폐렴 등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 여러 차례 입원했으며, 2014년 10월에 퇴원했다.[313]

2002년 4월부터 2007년까지 와세다 대학에서 명예교수직을 맡았다.[29]

2015년11월 22일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63][64] 2015년11월 26일 한국 역사상 최초로 국가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66][67][68]

6. 서거

2015년 11월 10일 건강검진 차 서울대학교 병원을 찾았다가, 19일 고열과 혈액감염 의심 증세로 다시 입원했다.[314] 11월 21일 오후에 증세가 급격히 악화되어 중환자실로 옮겨졌으나, 2015년 11월 22일 오전 0시 21분 32초에 혈액 감염 의심으로 치료를 받던 중 향년 86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314] 사망 원인은 허약한 전신 상태에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이 겹쳐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315] 김영삼은 두 아들과 세 딸, 그리고 다섯 명의 여동생을 남겼다.[31]

장례는 대한민국 최초로 5일간 국가장으로 치뤄졌으며, 11월 26일 국회의사당에서 영결식이 거행된 후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316] 묘소는 제3장군묘역 우측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독 묘역이다.[317]

서울현충원에 안장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소 (2023)


같은 날, 황교안 국무총리가 조사를 낭독했으며, 이승만, 박정희, 김대중 전 대통령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32]

7. 사상과 신념

김영삼의 정치철학은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하고 있었다. 야당에서 활동하였지만 정치학자 김용욱의 지적에 의하면 그의 노선은 보수주의의 성향이었다고 지적되었다.

김씨는 충현 장로교회 신자였으며, 모국어인 한국어 외에 일본어에도 능통했다. 그는 손명순과 결혼했다.[36] 그에게는 여섯 명의 자녀가 있었다: 김혜영(딸, 1952년생), 김혜정(딸, 1954년생), 김은철(아들, 1956년생), 김현철(아들, 1959년생), 김상만(사생아, 1959년생), 그리고 김혜숙(딸, 1961년생).

그가 재임 중이었을 때, 그의 공개 연설은 많은 조사의 대상이 되었고, 그의 경상도 사투리 발음은 비판과 조롱을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그는 한때 '경제 (Gyeongje, 經濟: 경제)'를 '갱제 (Gaengje: 경제의 옛날 경상도식 발음)'로, 그리고 '외무부 장관 (oemubu-janggwan, 外務部長官: 외무부 장관)'을 '애무부 장관 (aemubu-janggwan, 愛撫部長官: 애무부 장관(키스하는 장관))'으로 잘못 발음했다. 그의 또 다른 공개 연설에서 청중들은 그가 '강간'(관광, 觀光 [''gwan gwang'', 관광] > 강간, 強姦 [''gang-gan'', 강간]) 도시로 제주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만들고 '간통하는'(관통하는, 貫通- [''gwantonghaneun'', 관통하는] > 간통하는, 姦通- [''gantonghaneun'', 간통하는]) 고속도로를 건설하겠다는 말을 듣고 놀랐다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37]

7. 1. 자유주의

김영삼은 자유 없는 세계가 공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그는 공산주의를 반대하는 이유로 자유 구속, 독재, 인권 침해 등을 꼽았다.[318] 자유가 없어지면 공산주의에 대한 호기심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몽고메리 원수의 저서를 감명 깊게 읽었다고 한다.[318] 존경하는 인물로는 조병옥, 존 F. 케네디를 꼽았다.[319]

김영삼은 충현장로교회 신자였으며, 한국어 외에 일본어에도 능통했다. 손명순과 결혼하여 김혜영, 김혜정, 김은철, 김현철, 김혜숙 등 여섯 자녀를 두었다.[36]

김영삼의 경상도 사투리 발음은 재임 시절 공개 연설에서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경제'를 '갱제'로, '외무부 장관'을 '애무부 장관'으로 발음하는 등의 실수가 있었다. 또한 '관광'을 '강간'으로, '관통하는'을 '간통하는'으로 잘못 발음하여 청중들을 놀라게 했다는 일화가 있다.[37]

7. 2. 북한과 공산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김영삼은 북한과 공산주의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19] 그는 "공산주의자는 어렵습니다. 아무리 베풀어도 욕을 하는 사람들입니다."라며, 재임 중 쌀 15만 톤 지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쌀을 실은 배의 선장을 사진 촬영 혐의로 감옥에 보내자, '쌀을 안 주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은 매달리다가도 금방 변합니다"라고 덧붙였다.[119] 김영삼은 야당활동과 대통령 재직 기간 내내 공산주의사회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1994년 8월, 김영삼 대통령은 "남북의 체제 경쟁은 끝났다. 언제 갑자기 통일이 눈앞에 닥쳐올지 모른다"고 말하며 북한의 붕괴 가능성을 시사했다.[320] 1996년 1월 9일 신년연설에서는 "북한 경제난의 근본원인은 과다한 군사비와 공산주의 경제체제의 비능률에 있다"며 "북한이 동족을 위협하는 군사력 유지에 모든 국력을 쏟아넣으면서 구호를 바라는 것은 민족에 대한 배신이며 죄악"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북한이 화해와 협력이라는 세계적인 추세를 직시하고 對南 자세를 바꿀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321]

2004년에는 "북한은 인권이 없는 나라다. 김정일을 제거하지 않으면 북한에 자유를 가져올 수 없다", "북한 정권과 대화를 통해서 뭔가를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김정일 멸망 이외에는 그 어떤 경우에도 (한반도에) 평화는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322]

8. 평가

목사 강원룡은 김영삼이 대통령 취임 후 개혁에 착수했으며, 하나회와 율곡 비리에 과감하게 손을 댔고, 금융실명제를 전격 단행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조치들로 김영삼의 지지율은 90%를 넘었다.[199] 1980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국제연감 1979년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151]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오랫동안 낮은 지지율에 시달렸으나, 서거 이후 민주화 운동과 대통령 재임 시절 업적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언론에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갤럽코리아의 여론조사 결과, "잘한 일이 많다"는 응답이 2015년 16%에서 2023년 40%로 급증했고, "잘못한 일이 많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42%에서 30%로 감소했다. 김영삼은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웃도는 소수의 전직 대통령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33] 또한, 여야 지지층 및 보수, 중도, 진보 성향에 관계없이 유사한 평가를 받았다.[33]

대통령직 이후 우파 인사들에게 부끄러운 존재로 여겨졌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재는 주류 보수 정당의 민주적 자격을 강화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34] 2017년 11월 자유한국당 대표였던 홍준표는 당사에 이승만, 박정희와 함께 김영삼의 초상화를 걸었고, 이는 2023년 국민의힘에 계승되었다.[35]

김영삼은 김종필, 박준규와 함께 9선 국회의원으로 최다선 기록을 보유한 의원 중 한 명이다.[76] 또한, 초선 당시 나이가 26세로, 한국 역사상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 기록이다.[48] 훗날 대통령이 된 노무현을 부산의 인권변호사에서, 이명박현대건설 회장에서 정계로 영입했다. 새누리당 전 대표인 김무성, 이회창, 이인제도 김영삼이 발탁하여 중용했다.[79]

2022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1987년 이후 보수 진영의 대통령 또는 대통령 후보 중 전반적으로 가장 신뢰도가 높은 인물이다. 하지만 보수층에서의 신뢰도는 윤석열, 박근혜, 홍준표보다 낮다.[88] 반면, 중도층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등 진보층에서의 신뢰도는 단연 1위이다.[88]

8. 1. 긍정적 평가

목사 강원룡은 김영삼이 대통령 취임 후 개혁에 착수했으며, 하나회와 율곡 비리에 과감하게 손을 댔고, 금융실명제를 전격 단행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조치들로 김영삼의 지지율은 90%를 넘었다.[199] 1980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국제연감 1979년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151]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오랫동안 낮은 지지율에 시달렸으나, 서거 이후 민주화 운동과 대통령 재임 시절 업적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언론에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갤럽코리아의 여론조사 결과, "잘한 일이 많다"는 응답이 2015년 16%에서 2023년 40%로 급증했고, "잘못한 일이 많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42%에서 30%로 감소했다. 김영삼은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웃도는 소수의 전직 대통령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33] 또한, 여야 지지층 및 보수, 중도, 진보 성향에 관계없이 유사한 평가를 받았다.[33]

대통령직 이후 우파 인사들에게 부끄러운 존재로 여겨졌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재는 주류 보수 정당의 민주적 자격을 강화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34] 2017년 11월 자유한국당 대표였던 홍준표는 당사에 이승만, 박정희와 함께 김영삼의 초상화를 걸었고, 이는 2023년 국민의힘에 계승되었다.[35]

김영삼은 김종필, 박준규와 함께 9선 국회의원으로 최다선 기록을 보유한 의원 중 한 명이다.[76] 또한, 초선 당시 나이가 26세로, 한국 역사상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 기록이다.[48] 훗날 대통령이 된 노무현을 부산의 인권변호사에서, 이명박현대건설 회장에서 정계로 영입했다. 새누리당 전 대표인 김무성, 이회창, 이인제도 김영삼이 발탁하여 중용했다.[79]

2022년 여론조사에 따르면, 1987년 이후 보수 진영의 대통령 또는 대통령 후보 중 전반적으로 가장 신뢰도가 높은 인물이다. 하지만 보수층에서의 신뢰도는 윤석열, 박근혜, 홍준표보다 낮다.[88] 반면, 중도층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등 진보층에서의 신뢰도는 단연 1위이다.[88]

8. 2. 부정적 평가

3당 합당을 통한 정권 획득과 재임 기간 중 한보비리와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초래한 점은 부정적으로 평가된다.[334] 1990년 민주정의당과의 3당 합당 참여는 비판받지만, 김대중1987년 통일민주당을 탈당한 점을 들어 반론하기도 한다.[334] 재임 말년 차남 김현철 등 측근들이 연루된 권력형 비리 사건과 IMF 구제금융사건 초래는 비판의 대상이다.[334]

1994년 북미 제네바 북핵 합의 당시 "핵을 가진 자와는 손을 잡지 않겠다"는 논리로 북한과의 대화를 외면했으나, 결국 한국 정부를 배제한 채 북미협상에서 경수로 제공 문제가 합의됐다. 김영삼 정부는 경수로 건설 비용 46억 달러 가운데 70%인 36억 달러를 부담했으나, 미국의 경수로 공사 중단 요구로 막대한 액수를 날리고 대화에는 참여하지 못한 채 비용만 부담한 '들러리'라는 비난을 받았다.[334] 군사정권 관계자 처벌과 관련, 법치보다는 여론재판에 의존하여 기득권 내부의 저항을 야기하고 형평성을 잃었다는 비판을 받았다.[198]

신민당 총재 이민우는 김영삼이 이회창을 공천하고도 자기 아들(김현철)을 2인자로 만들려고 이인제를 밀었다며 정치 도의와 신의가 없다고 비난했다.[335] 새정치국민회의 정한용 의원 등은 비자금 1,000억 원 조성 의혹을 제기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묻혀졌다.[336] 정보정치와 거리를 두는 듯했으나, 1년쯤 지나면서 안기부 정보보고서를 찾는 빈도가 늘어나 정보에 중독되었고, 민심의 추이에는 둔감해졌다는 비판도 있다.[336] 군사정권 출신과 보수 세력은 그가 좌파의 숙주가 되었다고 비판한다.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오랫동안 낮은 국정 지지율에 시달렸으나, 서거 이후 민주화 운동과 대통령 재임 시절 업적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언론에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33] 갤럽코리아의 여론조사 결과, "잘한 일이 많다"는 응답은 2015년 16%에서 2023년 40%로 급증했고, "잘못한 일이 많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42%에서 30%로 감소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웃도는 소수의 전직 대통령들 (박정희, 김대중, 노무현 등)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33] 여야 지지자, 보수, 중도, 진보 성향 응답자들 사이에서도 매우 유사한 평가를 받았다.[33]

우파 인사들에게 부끄러운 존재로 여겨졌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재 그는 주류 보수 정당의 민주적 자격을 강화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34] 2017년 11월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였던 홍준표는 당사에 이승만, 박정희와 함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초상화를 걸었고, 이 초상화들은 2023년 국민의힘에 계승되었다.[35]

참조

[1] 웹사이트 Kim Young Sam Facts http://biography.you[...]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015-11-12
[2] 뉴스 김영삼 대통령의 군 복무 사진 첫 공개 https://imnews.imbc.[...]
[3] 웹사이트 Hospital Official: Ex-SKorean President Kim Young-Sam Dies https://www.nytimes.[...] 2015-11-21
[4] 웹사이트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Kim Young-Sam Dies at 87 https://abcnews.go.c[...] ABC News 2015-11-21
[5] 뉴스 Kim remembered as democracy fighter, economic reformer http://www.koreahera[...] 2015-11-22
[6] 뉴스 Kim Young-sam: the man who would be president https://web.archive.[...] 2011-10-19
[7]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Praeger 1997
[8] 학술지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https://web.archive.[...] 1999-06
[9]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10] 서적 A Concise History of Modern Korea: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Rowman & Littlefield 2010
[11] 뉴스 Inner circle collapses: Kim Jae-gyu and Cha Ji-cheol https://www.koreatim[...] 2012-02-15
[12] 뉴스 Former President Kim Young-sam dies at age 87 http://www.koreahera[...] 2015-11-21
[13] 웹사이트 Kim Young Sam Gets Backing of Only Woman in Korea Race https://www.latimes.[...] 1987-12-06
[14] 뉴스 Thousands in Korea Are Given Amnesty By New President https://www.nytimes.[...] 2015-03-07
[15] 서적 A Handbook of Korea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93-12
[16] 학술지 Korean Reform Efforts Give Chaebol Strength https://www.csmonito[...]
[17] 웹사이트 Commanding Heights: South Korea https://www.pbs.org/[...]
[18] 뉴스 Kim Young-sam, South Korean President Who Opposed Military, Dies at 87 https://www.nytimes.[...] 2015-11-21
[19] 뉴스 Hanbo Scandal Highlights Failings of Kim's Crusade https://www.wsj.com/[...]
[20] 서적 Curbing Corruption in Asian Countries: An Impossible Dream? https://books.google[...] Emerald Group Publishing 2011-07-21
[21] 뉴스 The Kia standard http://www.economist[...] 1997-09-04
[22] 서적 Capital Controls and Capital Flows in Emerging Economies: Policies, Practices,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2-15
[23] 서적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Democracy, Reform, and Culture M.E. Sharpe 2005
[24] 뉴스 LEADER TELLS S. KOREANS TO TIGHTEN THEIR BELTS https://www.washingt[...] 1997-11-22
[25] 뉴스 South Korea's president said tragedy and "loneliness" drove her to rely on a shadowy female confidante https://qz.com/82757[...] 2016-11-04
[26] 간행물 The 1997–98 Korean Financial Crisis: Causes, Policy Response, and Lessons https://www.imf.org/[...]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The Government of Singapore 2006
[27] 논문 Foreign Capital Entry in the Domestic Banking Market of Korea: Bitter Medicine or Poison 2005
[28] 논문 The Resurgence of Banking Institutions in Post-crisis Korea 2005
[29] 웹사이트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大道無門' 거침없었던 YS의 삶 https://n.news.naver[...]
[30] 뉴스 Kim Young Sam: South Korean president ended years of military rule https://www.theglobe[...] Bloomberg News 2015-11-23
[31] 웹사이트 Hospital official: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Kim Young-sam https://web.archive.[...] 2015-11-22
[32] 뉴스 S. Koreans mourn ex-President Kim in state funeral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2015-11-26
[33] 웹사이트 데일리 오피니언 제567호(2023년 11월 5주) - 역대 대통령 10인 개별 공과(功過) 평가 (11월 통합 포함) https://www.gallup.c[...] 2023-11-30
[34] 웹사이트 역대 대통령 공과 평가, 대구경북민들은 어떻게 응답했나 https://www.newsmin.[...] 2023-12-08
[35] 웹사이트 국민의힘 당대표실 이승만·박정희·김영삼 액자 사진 더 커진 이유는? https://m.khan.co.kr[...] 2023-09-05
[36] 뉴스 Yonhap news agency https://web.archive.[...] 1997-03-10
[37] 뉴스 "제주 '강간'의 도시" YS 일화, 사실일까 https://www.khan.co.[...] 2015-11-28
[38] 웹사이트 The Order of Sikatuna https://www.official[...]
[39] 기타
[40] 기타
[41] 웹사이트 김영삼(金泳三) https://encykorea.ak[...] 2023-08-13
[42] text
[43] 웹사이트 김영삼 - 기본약력사항 https://www.pa.go.kr[...] 2023-08-14
[44] 웹사이트 韓国元大統領、金泳三氏が逝去 87歳 https://www.sankei.c[...] 2015-11-22
[45] 뉴스 한국의 김영삼元大統領が死去、87歳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5-11-22
[46] 웹사이트 유신 항거하던 거산 “닭 모가지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https://www.joongang[...]
[47] 웹사이트 대통령과 '창씨개명' https://n.news.naver[...] Naverニュース 2002-09-02
[48] 웹사이트 이준석 같은 2030 정치 스타···원조 김영삼, 그 뒤 누구? https://www.joongang[...] 2021-06-13
[49] 웹사이트 今日の歴史(3月6日) http://japanese.yonh[...] 2009-03-06
[50] text
[51] text
[52] 웹사이트 【萬物相】「私はこんなことをするため大統領になったわけでは…」 https://archive.is/m[...] 2016-11-05
[53] 웹사이트 http://huffpost.com/[...]
[54] 뉴스 金泳三元大統領、米国の北朝鮮爆撃計画阻止を後悔…ウィキリークス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09-06
[55] 뉴스 「北爆撃止めた」金泳三氏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7-05-24
[56] 서적 北朝鮮――変貌を続ける独裁国家 中央公論新社 2013-05-25
[57] 웹사이트 韓宝鉄鋼倒産-金大統領一族に疑惑 https://archive.is/8[...] 1997-02-01
[58] 웹사이트 IMF危機の引き金韓宝鉄鋼6年ぶり正常化へ http://www.toyo-keiz[...] 2003-02-14
[59] 웹사이트 白旗を揚げてIMF救済を受けた25年前に似通う韓国の自己陶酔 https://jbpress.isme[...] 2022-01-22
[60] 방송 김영삼 전 대통령, 김포공항서 페인트 달걀 세례 3802369 1999-06-03
[61] 뉴스 재미동포 박의정 일본 길 YS에게 페인트 달걀 투척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9-06-03
[62] 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 페인트 계란 세례를 던진 박의정씨 인터뷰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9-06-03
[63] 웹사이트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https://www.chosun.c[...] 2015-11-22
[64] 웹사이트 金泳三・韓国元大統領が死去 軍事色を排除、民主化推進 https://www.asahi.co[...] 2015-11-22
[65] 뉴스 韓国:金泳三元大統領死去、87歳「民主化運動の闘士」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11-22
[66] 웹사이트 ‘故 김영삼 前 대통령 국가장 영결식’ 11월 26일 국회의사당 앞뜰에서 엄수 https://www.mois.go.[...] 행정안전부 2022-07-23
[67] 웹사이트 [경향이 찍은 오늘]11월26일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엄수 https://m.khan.co.kr[...] 2015-11-26
[68] 웹사이트 노태우, 김영삼 이어 두번째 ‘국가장’...국장·국민장·국가장 차이점은? https://www.etoday.c[...] 2021-10-27
[69] 웹사이트 「IMF危機」と称された22年前の韓国経済危機は「日本の資金回収が原因」 金泳三元大統領の回顧(辺真一)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1-03-17
[70] 웹사이트 韓国・金泳三元大統領が死去、その功罪とは? https://toyokeizai.n[...] 2015-11-22
[71] 뉴스 「悪い癖を直す」発言より「散歩デモ」が日本に有効だった(1) https://japanese.joi[...] 2014-07-02
[72] 뉴스 【ニッポンの分岐点】日韓関係(3)歴史認識 政治決着も埋まらない溝 (1/3ページ) https://www.zakzak.c[...] 2014-01-27
[73] 뉴스 人間の尊厳に強い思い 金泳三元韓国大統領を悼む http://www.hiroshima[...] ヒロシマ平和メディアセンター 2015-12-05
[74] 뉴스 金泳三氏と日本人恩師 http://www.chugoku-n[...] 中国新聞アルファ 2015-11-24
[75] 웹사이트 【金泳三氏死去】反日愛国に精出す 竹島に埠頭独島愛国主義のスタート切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11-23
[76] 웹사이트 국회의장만 3번, 최다선 국회의원 기록…박준규 前 의장 별세 https://www.kukinews[...] 2014-05-03
[77] 웹사이트 대통령의 아버지, 누구인가?…가난한 농사꾼에서 거제도 갑부까지 ⑤ https://www.joongang[...] 2008-10-31
[78] 웹사이트 “Who are You?”...김영삼 전 대통령 영어 실수에 클린턴이 한 말 (영상) https://www.insight.[...] 2022-07-03
[79] 웹사이트 高度成長と民主化、世界化から一転IMF危機 評伝 金泳三大統領時代と激動期の韓国経済 https://gunosy.com/a[...] グノシー 2015-11-27
[80] 웹사이트 [YS 연일 독설 왜 이러나] https://www.joongang[...] 1999-04-08
[81] 뉴스 공과가 교차하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88년 삶 http://news.khan.co.[...] 2017-06-23
[82] 뉴스 金泳三氏、金大中氏をお見舞い https://japanese.joi[...] 2017-06-23
[83] 뉴스 【金大中元大統領逝去】金泳三元大統領「国の巨木が倒れた」 https://japanese.joi[...] 2017-06-23
[84] 웹사이트 김 대통령 꼬마동지 이규희양/심장병어린이 동지됐다 https://www.chosun.c[...] 2023-09-15
[85] 서적 池東旭 『韓国大統領列伝 権力者の栄華と転落』 中央公論新社 2002
[86] 웹사이트 참외씨앗 어린이 북경에서 만나 https://news.kbs.co.[...] 2023-09-15
[87] 웹사이트 김영삼 "독재자의 딸 박근혜, 대통령하면 안돼" 힐난 https://www.nocutnew[...] 2023-09-15
[88] 웹사이트 (정기여론조사)⑤국민의힘 역대 대선후보 신뢰도는?…김영삼·윤석열·홍준표 순 https://www.newstoma[...] 2023-09-15
[89] 기타
[90] 웹사이트 김영삼 전 대통령의 칼국수 사랑 https://www.chosun.c[...] 2023-09-15
[91] 웹사이트 Taiwan chief to meet with Kim Young-sam https://koreajoongan[...] 2023-09-15
[92] 방송 平成日本のよふけ 출연 당시 발언
[93] 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 혼외자, 3억대 유산 소송 제기 http://www.yonhapnew[...]
[94] 법원자료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가합529456 김상만 소송
[95] 기타 김영삼 호적상 생년월일
[96] 헌정회
[97] 뉴스인용 故 김영삼 전 대통령(1927∼2015) 연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1-22
[98] 뉴스인용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5-11-22
[99] 뉴스인용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22일 0시21분 서울대병원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1-22
[100] 간행물 김영삼의 ‘변신’행로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14-07-14
[101] 뉴스 경향신문 1992-05-23
[102]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03] 뉴스 대통령과 '창씨개명'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104] 뉴스 대통령과 '창씨개명' https://news.naver.c[...]
[105]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06]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07] 뉴스 YS, 김구 선생에 “김구씨 그 양반” 호칭 논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1-15
[108]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09] 뉴스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5-11-25
[110]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11]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12] 뉴스 도로 3김시대? http://www.munhwa.co[...] munhwa.com
[113] 뉴스 나는 이젠 객석의 관람객 박수칠 준비만 하고 있죠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114] 뉴스 조병옥 박사 45주기 추도식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115]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16]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17] 간행물 거제군설치에관한법률 1952-12-14
[118]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19] 뉴스 YS 단독인터뷰-"DJ가 1년6개월 동안 내 뒷조사해, 그러나 용서… http://www.sisaon.co[...] 시사온 2009-10-24
[120]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21]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22] 서적 실물로 만나는 우리들의 역사 웅진씽크빅 2006
[123]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24] 뉴스 동아일보 1958-05-11
[125] 웹인용 계간 시대정신 - 김영삼 전 대통령: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 http://www.sdjs.co.k[...] 2008-07-11
[126] 서적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127] 서적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128]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29]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30]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31] 웹사이트 기자 趙 甲 濟의 세 계 : Cho Gab-Je The Investigative Reporter's World http://www.chogabje.[...]
[132] 웹사이트 인권오름 - 벼리2 예비군, 이제 폐지하자 http://hr-oreum.net/[...] 2010-07-10
[133] 서적 역사의 언덕에서 3:Between and Beyond 한길사 2006
[134] 뉴스 Daum 미디어다음 - 뉴스 http://media.daum.ne[...]
[135] 웹사이트 (김진국 저 | 민연 | 2000.02.01) http://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02-01
[136]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37] 일반
[138]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139]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140]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41]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42]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43]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144]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145]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46]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47] 텍스트
[148]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49]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50]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51]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152] 웹사이트 김진국 저 http://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02-01
[153] 뉴스 김대중 전 대통령 미공개자료 (3)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154] 서적 개혁정치의 논리 나남 2006
[155] 웹사이트 야당이 '김영삼 신민당 총재'에게 배워야 할 것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8-06-30
[156] 방송 KBS 영상실록 KBS 2005-09-25
[157] 웹인용 국회, 김영삼 의원 제명 http://www.imaeil.co[...] 2009-12-14
[158]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992
[159] 서적 내무덤에 침을 뱉어라 조선일보사
[160] 서적 김영삼과 운명의 대권 도서출판 더불어 1992
[161] 뉴스 강원용 목사의 체험 한국 현대사 ④ 12·12 직후 만난 DJ, "군인들은 내게 충성할 것"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4-03-00
[162] 서적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00-00
[163] 서적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00-00
[164] 서적 3일 만에 읽는 OK한국사 미네르바 2008-00-00
[165]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00-00
[166] 서적 너무 늦지 않은 출발 이기를 중앙M&B 2009-00-00
[167] 서적 역사의 언덕에서 4:미완성의 민주화 한길사 2006-00-00
[168] 웹사이트 글로벌대백과 http://enc.daum.net/[...]
[169] 웹사이트 김영삼 -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170]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2006-00-00
[171] 뉴스 정동영式 대장정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7-04-17
[172] 웹사이트 고문저지 보고대회후 철야농성 http://www.demos.or.[...] 2002-10-30
[173] 뉴스 직선개헌 실현되면 김대중씨 출마 권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6-11-06
[174] 뉴스 http://www.demos.or.[...] 2002-10-30
[175] 뉴스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결성 http://www.demos.or.[...] 2002-10-30
[176]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177] 방송 KBS 영상실록 http://www.kbs.co.kr[...] KBS 2005-10-30
[178] 서적 우정이 있는 민주공화국 사군자 2007-11-16
[179] 웹인용 김광일(金光一) - 부산역사문화대전 http://busan.grandcu[...] 2023-04-07
[180] 백과사전 노무현 http://enc.daum.net/[...]
[181] 서적 대통령의 선택 푸른길 2004
[182] 웹사이트 이경현씨 살인폭력사태 국민대책위 결성 http://www.demos.or.[...] 1989-04-27
[183]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2006
[184]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2006
[185] 웹사이트 보안사, 저명인사 1300명 사찰 http://www.cathright[...] 1990-10-05
[186] 서적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187] 서적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188] 서적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189] 뉴스 오늘의 소사-5월 19일 https://news.naver.c[...]
[190] 기타
[191] text
[192] 뉴스 경향신문 1992-12-23
[193] 뉴스인용 YS 민주산악회, 결과적으로 `아웃도어` 개척 http://raythep.mk.co[...] 레이더P 2015-11-24
[194] 서적 도대체 청와대에선 무슨 일이? 네모북스 2007
[195] 서적 도대체 청와대에선 무슨 일이? 네모북스 2007
[196] 서적 도대체 청와대에선 무슨 일이? 네모북스 2007
[197] 뉴스 전직 대통령 북핵실험 진단 `3인3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8]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2006
[199] 서적 역사의 언덕에서 4:미완성의 민주화 한길사 2006
[200] 뉴스 (위안부) "일엔 정신대 보상요구 안해" /김 대통령 http://www.demos.or.[...] 국민일보 1993-03-13
[201] 웹사이트 김영삼 대통령 망언 규탄 및 노동인권 보장 촉구 국민대회 http://www.demos.or.[...] 1995-06-03
[202] 웹사이트 YS-클린턴 http://www.munhwa.co[...]
[203] 웹사이트 딱 네 글자에 3조원 쓴 YS... MB는? http://www.ohmynews.[...]
[204] 뉴스 김영삼 대통령, "남북의 체제 경쟁은 끝났다" https://news.joins.c[...]
[205] 웹사이트 김대통령 국정연설 전문(1996.01.09) https://mk.co.kr/new[...] 2020-10-24
[206] 뉴스 YS "김정일 제거않으면 북한 자유없어" https://news.naver.c[...]
[207] 웹사이트 4자회담 https://terms.naver.[...]
[208] 뉴스 여야, 김대통령의 6.25 만주 폭격 발언 놓고 치열한 성명전 https://imnews.imbc.[...] 1996-06-26
[209] 뉴스 김영삼대통령의 6.25만주폭격주장 회고 관련 안보논쟁 가열 http://mn.kbs.co.kr/[...] 1996-06-26
[210] 뉴스 김영삼 대통령 만주폭격 발언 일파만파 https://newslibrary.[...] 1996-06-27
[211] 뉴스 여야 만주폭격 공방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6-27
[212] 뉴스 하시모토 류타로 日총리, 독도영유권 또 주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6-05-11
[213] 뉴스 金(김)대통령“버르장머리…”발언 日(일) 불쾌감 표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11-18
[214] 웹사이트 냉탕·온탕 오가는 한일관계 'MB式' 해법은 / 샤덴프로이데 (schadenfreude) http://www.cbs.co.kr[...]
[215] 서적 현대 한국정치의 쟁점 을유문화사
[216] 기타
[217] 기타
[218] 뉴스 "5.16은 구데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3-06-04
[219] 뉴스 자민련 창당대회, 총재에 김종필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03-31
[220] 뉴스 광복 50주년 중앙 경축식, 구 조선총독부 건물 첨탑 철거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5-08-15
[221] 서적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222] 서적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223]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2006
[224] 간행물 인권평론 (2007 6월호) 한길사 2007
[225] 웹인용 지미 카터 전 미국대통령 방북, 1994년 6월 15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2011-09-08
[226] 웹인용 카터.김일성 제2차 선상회담,북한에 대한 국제제재 중단 1994년 6월 17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2011-09-08
[227] 웹인용 김영삼대통령,남북정상회담 제의 사실 전달받아 즉각 수락, 1994년 6월 18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2011-09-08
[228] 웹인용 북한 중앙방송과 평양방송, 김일성 주석의 사망보도 1994년 7월 8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2011-12-26
[229] 뉴스 전남대 金日成(김일성)분향소 250명 참배했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4-09-30
[230] 뉴스 金대통령 舊조선총독부건물 해체 지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3-08-09
[231] 논문 구 조선총독부청사의 공간과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 1997-04-00
[232] 뉴스 舊총독부 건물 철거보류 동의안 제출 논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05
[233] 서적 남아있는 역사, 사라지는 건축물 대원사 2001-10-30
[234] 뉴스 舊조선총독부건물 지상부분 철거완료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05
[235] 뉴스 총독부 건물 완전철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6-12-27
[236] 뉴스 조선총독부 철거 부재 전시공원 개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05
[237] 서적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00-00
[238] 뉴스 김영삼 대통령의 5.18 특별법 제정 지시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5-11-24
[239] 웹사이트 1996년 2월 6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2011-09-08
[240] 뉴스 송준원, 송육봉 사면 특별사면 결정 http://imnews.imbc.c[...] mbc뉴스데스크 1997-12-20
[241] 뉴스 이회창 신한국당 대표 전두환 노태우의 사면에 대해 입장 밝힐 예정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4-08
[242] 뉴스 李(이)대표전(전)|노(노)씨 사면건의 검토 김윤환고문"대법 형(형)확정후 실시 이미 건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4-06
[243] 뉴스 전두환.노태우 전직 대통령 최종 판결후 사면 문제 제기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04-17
[244] 뉴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팔일오 사면 실무 검토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07-22
[245] 뉴스 전(전)|노(노)씨 사면결정김(김)대통령 임기내" 김대중(김대중)총재 국민회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31
[246] 뉴스 전(전)·노(노)씨 현정권서 사면해야” 김대중총재 밝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8-31
[247] 뉴스 김대중 총재,김대통령 임기내 전직대통령 사면 요청 http://imnews.imbc.c[...] mbc 뉴스 1997-08-31
[248] 뉴스 국민회의와 자민련, 두 전직 대통령 사면 시기 이견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09-01
[249] 뉴스 '화해의 정치인'부각 영남 끌어 안기6공(공)세력들도 포용 색깔론 차단 효과까지 ‘용서’광주여론도 한몫 국민회의 김대중(김대중)총재가 정치권의「뜨거운 감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01
[250] 뉴스 "전(전)·노(노)씨 사면 바람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0-23
[251] 뉴스 집권하면 대사면 단행” 국민회의 국회 대표연설 박정수 국민회의 부총재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0-23
[252] 뉴스 국민회의, 전두환.노태우씨 사면 촉구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10-23
[253] 뉴스 신한국당 이회창,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추석전 조기 석방 건의 http://imnews.imbc.c[...] mbc 1997-09-01
[254] 뉴스 김영삼 대통령.이회창 대표,두 전직 대통령 특별 사면 파문 관련 심야 긴급 회동 http://imnews.imbc.c[...] mbc 1997-09-02
[255] 뉴스 전노씨 추석 이후로 사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01
[256] 뉴스 "全(전)·盧(노) 추석전 사면 不可(불가)"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7-09-03
[257] 뉴스 한가위'정치오염'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9-11
[258] 뉴스 全(전)·盧(노)씨 대선前(전) 사면 검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18
[259] 뉴스 옥중 전씨 사면건의 고맙다, 이회창 대표에 구두 메세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24
[260] 뉴스 李(이)대표-全(전)씨 비밀메시지 오갔다 사면파동후 변호사 통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9-24
[261] 뉴스 李(이)대표-全(전)씨 비밀메시지 오갔다 사면파동후 변호사 통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9-24
[262] 뉴스 사면 노력해줘 고맙다” 전씨, 이회창대표에 인사말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9-24
[263] 뉴스 이회창, 대표인선 원점 재검토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9-24
[264] 뉴스 97대선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경남,부산 유세,집권후 정계 http://imnews.imbc.c[...] mbc 1997-12-15
[265] 뉴스 이인제 pk다지기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2-16
[266] 뉴스 빠른 시일 내에 전노씨 사면, 이인제 후보 기자회견서 밝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2-16
[267] 뉴스 전두환과 노태우 특별사면 결정 http://imnews.imbc.c[...] mbc 1997-12-20
[268] 뉴스 전두환 노태우 사면 한나라 국민회의 국민신당 모두 환영의사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12-21
[269] 뉴스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대통령 사면에 여야 모두긍정적 반응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2-21
[270] 뉴스 김대중 당선자의 전,노 전직대통령 사면은 용기있는 결정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12-21
[271] 뉴스 한국 全(전)- 盧(노)사면은 국민화합책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2-22
[272] 뉴스 全(전)-盧(노)씨 사면 「12.12사태」서「12.22석방」까지 뒤바뀐 영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2-22
[273] 뉴스 새주소 사업 주요 추진 일지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274] 웹인용 범청학련 시위로 경찰과 학생 모두 1200여명 부상 1996년 8월 16일 mbc뉴스데스크 https://web.archive.[...] 2012-01-17
[275] 웹인용 1996년 10월 11일 mbc뉴스데스크 https://web.archive.[...] 2012-01-17
[276] 웹사이트 김영삼 대통령 노동법 개정의 필요성 강조 등 1997년 1월 7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MBC 뉴스
[277] 웹사이트 1997년 4월 25일 mbc뉴스데스크 http://imnews.imbc.c[...] MBC 뉴스
[278] 뉴스 노대통령 지지도, 역대 대통령중 '최악' 기록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6-12-06
[279] 영화 국가부도의 날 영화사 집 2018
[280] 웹인용 껍데기만 남은 대우의 ‘세계경영 신화’ http://www.sisajourn[...] 시사저널 2020-02-22
[281] 웹인용 [CEO스토리]구본무 회장, 전경련 용서했나?…5분거리 14년 만에 찾아 http://isplus.live.j[...] 일간스포츠 2013-12-20
[282] 웹인용 故 구자경 회장 생전 인터뷰 "LG반도체는 (현대에) 뺏긴 셈" https://monthly.chos[...] 월간조선 2003-02-01 #날짜 형식 수정
[283] 웹인용 이랜드 '프로스펙스' 국제상사 인수 https://www.itnk.co.[...] 국제섬유신문 2002-07-01
[284] 뉴스 Daum 미디어다음 - 뉴스 http://media.daum.ne[...] 한겨레신문 #추정
[285] 뉴스 (풍향계) 박정희기념관 건립과 도덕적 해이 http://www.kyosu.net[...] 교수신문 2001-08-13
[286] 간행물 별난 인터넷 동호회 'YS사사모'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2-02-01
[287] 간행물 별난 인터넷 동호회 'YS사사모'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2-02-01
[288] 뉴스 YS, 북한민주화동맹 명예위원장 수락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4-12-08
[289] 뉴스 김대통령 "이회창후보 지지" https://n.news.naver[...] 문화일보 2002-11-21
[290] 뉴스 DJ "매우 심각한 상황" , YS "사필귀정"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4-03-13
[291] 뉴스 북한민주화동맹 명예위원장 맡겠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4-12-13
[292] 뉴스 북한민주화위원회, 서울서 공식 출범 http://www.voanews.c[...] VOA 뉴스 2007-04-10
[293] 뉴스 박철언 "YS, 3당합당 전후에 40억 받아"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5-08-11
[294] 뉴스 (제목 없음) http://media.daum.ne[...] Daum 미디어다음 2006-04-19
[295] 뉴스 YS "일본이 노무현을 같잖게 보니 그런 것" http://media.daum.ne[...] 데일리안 2006-04-19
[296] 뉴스 김영삼 前 대통령 “전두환은 대통령도 아니야” http://www.pdjournal[...] PD저널
[297] 뉴스 YS, 국립 5·18 민주묘지 첫 참배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298] 뉴스 한국디지털뉴스 종합일간신문 http://www.koreadigi[...] 한국디지털뉴스
[299] 뉴스 한·미·일 전직 정상 나란히 티볼협 총재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3-07
[300] 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 티볼협회 총재직 수락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3-05
[301] 뉴스 3·15의거, 국가기념일로 제정해야 https://news.naver.c[...]
[302] 뉴스 김영삼 前대통령 기록전시관 기공 http://www.gnnews.co[...] 경남일보 2009-04-10
[303] 뉴스 YS 기록관 착공, 지상 2층 규모 … 내년 봄 준공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09-04-10
[304] 웹인용 '김영삼-김종필' 회동, '이명박에 배신당했다' 맹성토 http://polinews.co.k[...] 2009-12-10
[305] 뉴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영결식 오늘 엄수 http://www.ytn.co.kr[...] YTN 2009-05-29
[306] 뉴스 김영삼 前 대통령 "이제는 화해할 때도 됐다" http://imnews.imbc.c[...]
[307] 뉴스 노무현 국민장은 이명박의 실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9-08-28
[308] 뉴스 MB, 김영삼·전두환 前대통령에 생일 축하난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309] 뉴스 김영삼 전대통령 "전 재산 사회환원" https://news.naver.c[...]
[310] 뉴스 상도동에 ‘김영삼 민주센터’ 만든다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1-05-26
[311] 웹인용 김영삼 ˝박근혜 대통령, 얼마나 기쁜 일인가˝ http://www.sisaon.co[...] 2023-04-07
[312] 웹인용 朴당선인, YS에 전화 “지지 감사…열심히 일하겠다"” http://www.kyongbuk.[...] 2023-04-12
[313] 웹인용 김영삼 전 대통령, 폐렴 악화로 중환자실 치료 중 http://www.etoday.co[...] 2013-04-13
[314] 뉴스 김영삼 前대통령, 혈액감염 치료 중 서거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1-22
[315] 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서울대병원 브리핑 http://www.ytn.co.kr[...] YTN 2015-11-22
[316] 뉴스 고 김영삼 전 대통령, 국립현충원에 안장 http://mbn.mk.co.kr/[...] MBN 2015-11-26
[317] 뉴스 김영삼 前 대통령, 서울현충원 제3장군묘역 우측능선에 안장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5-11-22
[318]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319] 서적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320] 뉴스 김영삼 대통령, "남북의 체제 경쟁은 끝났다" https://news.joins.c[...]
[321] 웹사이트 김대통령 국정연설 전문(1996.01.09) https://mk.co.kr/new[...] 2020-10-24
[322] 뉴스 김정일 제거않으면 북한 자유없어 https://news.naver.c[...]
[323] 웹사이트 4자회담 https://terms.naver.[...]
[324] 뉴스 여야, 김대통령의 6.25 만주 폭격 발언 놓고 치열한 성명전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6-06-26
[325] 뉴스 김영삼대통령의 6.25만주폭격주장 회고 관련 안보논쟁 가열 http://mn.kbs.co.kr/[...] kbs뉴스 1996-06-26
[326] 뉴스 김영삼 대통령 만주폭격 발언 일파만파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6-27
[327] 뉴스 여야 만주폭격 공방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6-27
[328] 서적 손세일, 김대중과 김영삼 일월서각 1985
[329] 웹인용 영화 …'노무현이 아닌 김영삼(YS)을 봤다' http://www.sisaon.co[...] 2023-04-07
[330] 웹사이트 엽기국회는 김영삼과 김대중의 유산 http://www.chogabje.[...]
[331] 뉴스 멸치로 아들 뒷바라지…YS ‘삶의 스승’ http://www.heraldbiz[...]
[332] 뉴스 YS, 인터넷 팬클럽과 모임 https://news.naver.c[...]
[333] 뉴스 'YS사사모'와 YS의 만찬모임 http://www.ohmynews.[...]
[334] 뉴스 2006년 7월 7일 연합뉴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7-07
[335] 뉴스 2004년 12월 10일 조선일보 http://monthly.chosu[...] 조선일보 2004-12-10
[336] 간행물 정치생명 정보에 달렸다? http://www.donga.com[...] 주간동아
[337] 서적 도대체 청와대에선 무슨 일이 네모북스 2007
[338] 서적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역사비평사 2008
[339] 웹인용 정치인과 계란의 추억 http://www.cbs.co.kr[...] 2009-08-24
[340]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journalis[...]
[341] 뉴스 김 前대통령 특강, 학생들이 저지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0-10-13
[342] 웹사이트 노무현 국민장은 이명박의 실수 http://www.ohmynews.[...]
[343] 뉴스 YS 기자회견서 "對北 송금 이적행위"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03-02-07
[344] 뉴스 나라 망친 죄값 확실하게 물어야 http://www.sisa-news[...] 시사뉴스 2007-01-08
[345] 뉴스 DJ와 화해했다고 봐도 좋죠 https://www.ytn.co.k[...] 연합뉴스 2009-08-10
[346] 뉴스 동교동 -상도동계 화합의 만찬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09-11-27
[347] 뉴스 이회창 신한국당 대표 전두환 노태우의 사면에 대해 입장 밝힐 예정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4-08
[348] 뉴스 李(이)대표全(전)|盧(노)씨 사면건의 검토 金潤煥(김윤환)고문"대법 刑(형)확정후 실시 이미 건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4-06
[349] 뉴스 전두환.노태우 전직 대통령 최종 판결후 사면 문제 제기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04-17
[350] 뉴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팔일오 사면 실무 검토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07-22
[351] 뉴스 全(전)|盧(노)씨 사면결정金(김)대통령 임기내" 金大中(김대중)총재 국민회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8-31
[352] 뉴스 全(전)·盧(노)씨 현정권서 사면해야” 김대중총재 밝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8-31
[353] 뉴스 김대중 총재,김대통령 임기내 전직대통령 사면 요청 http://imnews.imbc.c[...] mbc 뉴스 1997-08-31
[354] 뉴스 국민회의와 자민련, 두 전직 대통령 사면 시기 이견 https://imnews.imbc.[...] mbc뉴스 1997-09-01
[355] 뉴스 '화해의 정치인'부각 영남 끌어 안기6共(공)세력들도 포용 색깔론 차단 효과까지 ‘용서’광주여론도 한몫 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김대중))총재가 정치권의「뜨거운 감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01
[356] 뉴스 "全(전)·盧(노)씨 사면 바람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0-23
[357] 뉴스 집권하면 대사면 단행” 국민회의 국회 대표연설 박정수 국민회의 부총재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0-23
[358] 뉴스 국민회의, 전두환.노태우씨 사면 촉구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10-23
[359] 뉴스 신한국당 이회창,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추석전 조기 석방 건의 https://imnews.imbc.[...] mbc 1997-09-01
[360] 뉴스 김영삼 대통령.이회창 대표,두 전직 대통령 특별 사면 파문 관련 심야 긴급 회동 https://imnews.imbc.[...] mbc 1997-09-02
[361] 뉴스 전노씨 추석 이후로 사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01
[362] 뉴스 전·노 추석전 사면 불가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7-09-03
[363] 뉴스 한가위'정치오염'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09-11
[364] 뉴스 전·노씨 대선전 사면 검토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18
[365] 뉴스 옥중 전씨 사면건의 고맙다, 이회창 대표에 구두 메세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09-24
[366] 뉴스 이대표-전씨 비밀메시지 오갔다 사면파동후 변호사 통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9-24
[367] 뉴스 이대표-전씨 비밀메시지 오갔다 사면파동후 변호사 통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9-24
[368] 뉴스 사면 노력해줘 고맙다” 전씨, 이회창대표에 인사말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9-24
[369] 뉴스 이회창, 대표인선 원점 재검토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09-24
[370] 뉴스 이인제 pk다지기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2-16
[371] 뉴스 빠른 시일 내에 전노씨 사면, 이인제 후보 기자회견서 밝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2-16
[372] 뉴스 전두환과 노태우 특별사면 결정 http://imnews.imbc.c[...] mbc 1997-12-20
[373] 뉴스 전두환 노태우 사면 한나라 국민회의 국민신당 모두 환영의사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12-21
[374] 뉴스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대통령 사면에 여야 모두긍정적 반응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2-21
[375] 뉴스 김대중 당선자의 전,노 전직대통령 사면은 용기있는 결정 http://imnews.imbc.c[...] mbc뉴스 1997-12-21
[376] 뉴스 "한국 全(전)- 盧(노)사면은 국민화합책" 미) 뉴욕타임스 본사 특약·본지 독점게재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2-22
[377] 뉴스 全(전)-盧(노)씨 사면 「12.12사태」서「12.22석방」까지 뒤바뀐 영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2-22
[378] 웹사이트 시대정신 - 대담 김영삼 전 대통령: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 http://www.sdjs.co.k[...] sdjs.co.kr 2011-11-19
[379] 뉴스 팔순 맞은 YS는 좌파의 숙주인가 http://weekly.hankoo[...] 한국일보 2008-01-26
[380] 뉴스 'YS 서거'촌철살인' 어록…권력엔 저항, 정적엔 돌직구(종합) https://www.yna.co.k[...] YNA 2015-11-22
[381] 뉴스 김영삼 전 대통령 “전두환은 대통령도 아니야” http://www.pdjournal[...] PD저널 2008-05-19
[382] 뉴스 YS "전두환 전 대통령, 뻔뻔하고 염치없는 사람" https://news.sbs.co.[...] SBS 2009-04-23
[383] 뉴스 < YS 서거>'촌철살인' 어록…권력엔 저항, 정적엔 돌직구(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5-11-22 #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추정. 기사 URL 확인 필요.
[384] 웹인용 박근혜 당선인, YS에 전화 “지지 감사…열심히 일하겠다” https://www.donga.co[...] 2012-12-21
[385] 텍스트
[386] 텍스트
[387]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