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학적 합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학적 합의는 특정 과학 분야의 전문가 집단 사이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의견이나 판단을 의미한다. 과학적 합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새로운 데이터와 이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칼 포퍼는 과학이 반증 가능성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토머스 쿤은 과학적 합의가 패러다임의 형태로 작동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변화한다고 보았다. 대중은 과학적 합의의 정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과학적 합의는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지구 온난화와 진화론이 과학적 합의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과학적 불확실성은 정책 결정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지만, 과학적 합의는 공공의 이익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안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과학적 합의의 변화

과학적 합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과학적 변화에 대한 많은 철학적, 역사적 이론이 존재하지만, 과학적 변화의 역사는 매우 복잡하며, '현재'의 과학적 합의를 기준으로 과거의 "승자"와 "패자"를 구분하려는 경향 때문에 정확하고 엄격한 모델을 제시하기는 어렵다.[17] 과학의 각 분야가 증거와 실험적 접근 방식에서 다양한 형태로 기능한다는 점도 어려움을 더한다.[18][19]

2. 1. 과학적 방법론과 합의

칼 포퍼는 실험을 통해 과학 이론을 ''증명''할 수는 없지만, 단 하나의 반증 사례를 통해 과학 이론을 ''반증''할 수 있으므로, 과학은 반증 가능성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0] 이는 과학에 대한 논리적 이론을 제시하지만, 과학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전하는지에 대한 관점을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토머스 쿤은 실험 데이터가 항상 이론에 완전히 들어맞지 않는 일부 데이터를 제공하며, 반증만으로는 과학적 변화나 과학적 합의의 약화를 초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학적 합의가 특정 분야의 연구자들을 연결하는, 이론의 본질에 대한 상호 연결된 이론과 기본적인 가정인 "패러다임"의 형태로 작동한다고 제안했다. 쿤은 많은 "중대한" 이상 현상이 축적된 후에야 과학적 합의가 "위기" 시기에 접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시점에서 새로운 이론이 모색되고, 결국 하나의 패러다임이 이전 패러다임을 대체하며, 이는 진리를 향한 선형적 진보가 아닌 일련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쿤의 모델은 또한 이론 변화의 사회적, 개인적 측면을 더 명확하게 강조하여, 과학적 합의가 순수한 논리나 사실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역사적 사례를 통해 보여주었다.[21] 그러나 이러한 '정상' 과학과 '위기' 과학의 기간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연구에 따르면 이는 서로 다른 역사적 시기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실천 방식이다.[10]

3. 과학적 합의와 대중의 인식

어떤 문제에 대한 과학적 합의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인식이 얼마나 강한지에 대한 인식은 다른 믿음과 행동의 기반이 되는 "관문 신념"으로 설명되어 왔다.[26]

3. 1.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합의와 대중의 인식 차이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구[23][24][25]에 따르면 과학적 합의는 98.7%에서 10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문제에 대한 과학적 합의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인식이 얼마나 강한지에 대한 인식은 다른 믿음과 행동의 기반이 되는 "관문 신념"으로 설명되어 왔다.[26]

4. 과학의 정치화

공공 정책 논쟁에서 특정 분야의 과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존재한다는 주장은 종종 그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근거로 사용된다. 반대로 과학적 합의가 없다는 주장은 이론에 대한 의심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지구 온난화와 진화론은 과학적 합의가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사례이지만, 이러한 합의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한다.

과학 이론은 '증명'될 수 없고 '반증'만 될 수 있다는 과학의 불확실성은 정책 결정자들에게 어려운 문제를 제기한다. 과학적 질문은 학문적 환경에서 오랫동안 불확실성 속에 머물 수 있지만, 정책 입안자들은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4. 1. 지구 온난화 논쟁

지구 온난화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 합의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지구 표면 온도가 상승했으며, 그 추세는 주로 인간이 유발한 온실 가스 배출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다.[27][28][29] 과학 기술사 나오미 오레스케스는 1993년에서 2003년 사이에 출판된 928개의 과학 논문 초록을 조사한 결과, 인위적 지구 온난화 개념에 명시적으로 반대하는 논문은 없었다고 보고하는 기사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27] 오레스케스는 ''워싱턴 포스트''에 게재된 사설에서 이러한 과학적 발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실에 대한 정상적인 과학적 불확실성을 증폭시켜 과학적 불일치가 크거나 과학적 합의가 부족하다는 인상을 준다고 밝혔다.[30] 오레스케스의 발견은 해석이 필요 없는 다른 방법으로 재현되었다.[10]

4. 2. 진화론 논쟁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 이론은 과학계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으며, 과학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고 경험적으로 검증된 이론 중 하나이다.[31][32] 그러나 진화론 반대론자들은 과학계 내에 진화에 대한 상당한 반대가 있다고 주장한다.[33] 지적 설계 운동은 진화론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다는 대중의 인식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34]

4. 3. 과학적 불확실성과 정책 결정

과학 이론은 반증 가능성을 통해 발전하므로, 과학에는 내재된 불확실성이 항상 존재한다.[10] 하지만 정책 입안자들은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전한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는 "진실"의 최종 형태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10] 따라서 정책 입안자들은 정책 설계 및 구현을 안내하기 위해 '과학적 합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에 의존한다.[10]

과학은 '절대 진실'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공공의 이익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안내하는 데 유용하다.[10] 정책이 "과학적 진실"에만 의존해야 한다는 요구는 정책 마비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실제로는 정책 부작위에 따른 모든 비용과 위험을 수용하는 것과 같다.[10]

과학적 합의를 바탕으로 정책을 형성하더라도, 관련 과학적 합의와 정책의 실질적인 결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책 의존성을 계속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정책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한국 사회와 과학적 합의

한국 사회는 과학기술 의존도가 높고, 사회 전반에 걸쳐 과학적 의사결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과학적 합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참조

[1] 웹사이트 Covering scientific consensus: What to avoid and how to get it right https://journalistsr[...] 2022-09-11
[2] 웹사이트 Scientific Consensus http://www.greenfact[...] Green Facts 2016-10-24
[3] 서적 Science and Values: The Aims of Science and Their Role in Scientific Deba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논문 Disciplinary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n scientific practice and learning http://www.bu.edu/hp[...] 2008
[5] 논문 The person-situation interaction is increasingly outpacing the person-situation debate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A 30-year analysis of publication trends, 1978-2007 2009
[6] 문서 Situational Perception: Its Theoretical Foundation, Assessment, and Links to Personality Wiley Blackwell
[7] 논문 1994 Consensus Conference on Acute GVHD Grading https://pubmed.ncbi.[...] 1995-06
[8] 논문 2012 revised International Chapel Hill Consensus Conference Nomenclature of Vasculitides. https://ora.ox.ac.uk[...] 2013
[9] 논문 Brugada syndrome: report of the second consensus conference: endorsed by the Heart Rhythm Society and the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2005-02-08
[10] 논문 The Temporal Structure of Scientific Consensus Formation 2010-12
[11] 논문 Expert credibility in climate change 2010-06-07
[12] 논문 Consensus on consensus: a synthesis of consensus estimates on human-caused global warming 2016-04
[13]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Teaching of Evolution http://www.aaas.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8-05-02
[14] 웹사이트 NSTA Position Statement: The Teaching of Evolution http://www.nsta.org/[...]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2008-05-02
[15] 문서 Joint Science Academies' Statement https://web.archive.[...] nationalacademies.org
[16] 논문 An overview of the last 10 years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 safety research https://doi.org/10.3[...] 2013
[17] 서적 The Mangle of Practice Chicago University Press
[18] 서적 "Responsible Science: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Research Process: Volume I" https://www.nap.edu/[...]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9] 논문 Changes in perceived scientific consensus shift beliefs about climate change and GM food safety 2018-07-06
[20] 서적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Routledge Classics
[21] 서적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2] 웹사이트 Public perceptions on climate change https://peritia-trus[...] 2022-06
[23] 논문 Scientists Reach 100% Consensus on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https://journals.sag[...] 2019-11-20
[24] 논문 Greater than 99% consensus on human caused climate change in the peer-reviewed scientific literature 2021-10-19
[25] 논문 Consensus revisited: quantifying scientific agreement on climate change and climate expertise among Earth scientists 10 years later 2021-10-20
[26] 논문 Scientists are from Mars, Laypeople are from Venus: An Evidence-Based Rationale for Communicating the Consensus on Climate http://reports.ncse.[...] 2018-04-12
[27] 논문 Beyond the Ivory Tower: The Scientific Consensus on Climate Change 2004-12
[28] 서적 Advancing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http://www.nap.edu/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9] 웹사이트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http://dels-old.nas.[...]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0-05-30
[30] 뉴스 Undeniable Global Warming https://www.washingt[...] 2004-12-26
[31] 논문 Science, Evolution, and Creationism https://archive.org/[...] National Academy Press
[32] 문서 Intelligent Judging – Evolution in the Classroom and the Courtroom http://content.nejm.[...] 2006-05-25
[33] 웹사이트 Evolution as Fact and Theory http://www.stephenja[...] 2019-01-01
[34] 문서 The Wedge Document https://web.archive.[...] Discovery Institute
[35] 웹사이트 Covering scientific consensus: What to avoid and how to get it right https://journalistsr[...] 2022-09-11
[36] 웹사이트 Glossary: Scientific Consensus http://www.greenfact[...] 2009-03-10
[37] 서적 The Mangle of Practice Chicago University Press
[38] 서적 "Responsible Science: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Research Process: Volume I" https://www.nap.edu/[...]
[39] 논문 Changes in perceived scientific consensus shift beliefs about climate change and GM food safety 2018-07-06
[40] 웹인용 consensus http://www.greenfa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