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자근은 턱관절에서 가장 강력한 근육으로, 관자우묵과 관자근막에서 기시하여 광대뼈활 안쪽을 지나 아래턱뼈의 근육돌기에 정지한다. 턱을 닫거나 뒤로 움직이는 기능을 하며, 턱 통증 및 두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강 재건 수술에 사용되기도 하며, 발작 시 근힘줄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관자근 | |
---|---|
근육 정보 | |
![]() | |
라틴어 이름 | musculus temporalis |
이는곳 | 마루뼈의 관자선, 관자근막, 접형골의 위관자면 |
닿는곳 | 아래턱뼈 근육돌기, 아래턱뼈 턱뼈가지, 어금니뒤오목 |
혈액 공급 | 깊은관자동맥 |
신경 지배 | 아래턱신경 앞갈래 가지인 깊은관자신경 |
작용 | 아래턱뼈를 올리고 들임 |
대항근 | 넓은목근 |
2. 구조
관자근은 머리뼈의 관자우묵과 관자근막에서 넓게 시작하여 아래턱뼈 근육돌기에 닿는 강한 힘줄을 형성한다.[11][12] 광대활 안쪽을 통과하며, 힘줄은 아래턱에서 가장 먼쪽 어금니 뒤에 위치한 어금니뒤오목까지 연장된다.[12] 관자근막으로 덮여 있으며, 고실성형술 (고막의 외과적 재건 수술)에 사용된다.[12] 관자놀이에서 볼 수 있으며, 턱을 꽉 깨물었다 풀 때 수축하는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다.[12]
2. 1. 기시부와 정지부
인간의 관자근은 관자오목과 관자근막의 깊은 부분에서 매우 넓게 일어난다.[11][2] 광대뼈활의 안쪽을 통과한다. 이 근육은 아래턱뼈의 근육돌기에 부착되는 힘줄을 형성하며, 그 부착 부위는 가장 먼쪽 아래턱 어금니 뒤쪽의 어금니뒤오목까지 확장된다.[3][12] 다른 포유류의 경우, 이 근육은 일반적으로 머리뼈의 등쪽 부분을 정중선까지 연결하며, 파란트로푸스 아에티오피쿠스와 같은 초기 호미닌(hominin)에서 볼 수 있듯이 시상능에 부착될 수 있다.2. 2. 근섬유의 배열
관자근은 관자우묵과 관자근막의 깊은 부분에서 매우 넓게 일어난다.[11] 그 후 광대활 안쪽을 통과하여 아래턱뼈의 근육돌기에 닿는 힘줄을 형성하며, 이 힘줄은 아래턱에서 가장 먼쪽 어금니 뒤의 어금니뒤오목까지 뻗어 있다.[12]다른 포유류의 관자근은 일반적으로 머리뼈 등쪽 부분에서 안쪽 선까지 뻗어 있으며, 파란트로푸스 아에티오피쿠스와 같은 초기 호미닌에서는 시상능에 붙어 있기도 하다.
2. 3. 덮개
관자근은 관자근막으로 덮여 있다. 이 근막은 고실성형술 (고막의 외과적 재건 수술)에 사용된다.[12]2. 4. 관찰
관자근은 관자놀이에서 볼 수 있으며, 턱을 꽉 깨물었다 풀었다 할 때 수축하는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다.[12]2. 5. 혈액 공급
깊은관자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으며, 깊은관자동맥은 중간관자동맥과 문합한다.[1]2. 6. 신경 지배
다른 씹기근육들과 마찬가지로 관자근에는 삼차신경의 세 번째 가지인 아래턱신경이 분포한다. 특히 관자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아래턱신경 앞갈래에서 유래한 깊은관자신경이다.[4]2. 7. 발생
관자근은 발생 과정 중 첫째 인두활에서 유래한다.2. 8. 변이
관자근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13][2] 근절(sacromere)은 길이가 일정하지만 더 큰 규모인 근섬유는 근육 안에서도, 그리고 사람마다도 그 길이가 다르다.[11][2]3. 기능
관자근은 턱관절에서 가장 강력한 근육으로, 아래턱뼈를 올리고 뒤로 당기는 주된 역할을 한다. 앞부분은 수직으로 주행하며 수축하면 아래턱뼈가 올라가고, 뒷부분은 수평으로 주행하며 수축하면 아래턱뼈가 뒤로 이동한다. 중간 부분은 비스듬하게 주행하며 아래턱뼈의 올림과 들임에 모두 사용된다.
3. 1. 턱의 움직임
관자근은 턱관절에서 가장 강력한 근육이다. 관자근은 기능적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앞부분은 수직으로 주행하며 수축하면 아래턱뼈가 올라가 입을 닫는다. 뒷부분의 근섬유는 수평으로 뻗어 있으며 수축하면 아래턱뼈가 뒤로 이동한다(들임). 아래앞쪽으로 비스듬하게 근섬유가 뻗어 있는 중간 부분은 아래턱뼈의 올림과 들임에 사용되며 한쪽만 수축하면 아래턱뼈는 가쪽으로 움직인다.[14] 운동 단위는 최대 지레 작용을 할 때 가장 많이 동원되어 수축력을 최대화한다.[4]아래에 의치를 낄 때는 관자근이 수축하여 점막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어금니뒤오목까지 의치가 들어가게 끼면 안 된다.[12] --
3. 2. 의치 장착 시 고려사항
아래에 의치를 낄 때는 관자근이 수축하여 점막에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어금니뒤오목까지 의치가 들어가게 끼면 안 된다.[12][3]4. 임상적 중요성
관자근은 턱 통증과 두통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 이 갈이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턱을 악무는 행동은 관자근의 과로를 유발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15] 발작 중에는 턱을 심하게 악물기 때문에 드물게 관자근의 근힘줄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16] 또한, 관자근은 구강 재건 수술에 사용될 수 있으며,[17] 관자놀이점을 통한 개두술 시 절개 위치를 선정할 때 관자근을 다시 붙이기 쉬운 곳을 고려하기도 한다.[18]
4. 1. 턱 통증 및 두통
관자근은 턱 통증 및 두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잠자는 동안 이를 가는 이갈이와 스트레스를 받을 때 턱을 꽉 깨무는 행위는 관자근의 과로를 유발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15][6]
4. 2. 발작
발작 중에는 턱을 심하게 악물기 때문에 드물게 관자근의 근힘줄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16] 발작 중에는 반대쪽 측두근이 경련성 마비에 걸릴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특히 아래턱뼈 근육돌기에서 근힘줄이 닿는 곳이 파열될 수 있다.[16]4. 3. 수술
관자근은 구강 재건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17]관자놀이점을 통한 개두술 시 절개 위치는 종종 뼈 조각을 교체한 후 관자근을 다시 붙이기 쉬운 곳으로 선택된다.[18]
5.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2]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uman temporalis muscle
1996
[3]
서적
Human Anatomy
Elsevier
2008
[4]
논문
Electromyographic Heterogeneity in the Human Temporalis Muscle
https://doi.org/10.1[...]
1990-10-01
[5]
서적
Woelfel's dental anatomy: Its relevance to dent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6]
논문
Exteroceptive suppression of temporalis muscle activity in chronic headache
https://n.neurology.[...]
1987-12-01
[7]
논문
Myotendinous rupture of temporalis muscle: A rare injury following seizure
2014
[8]
논문
The temporalis muscle flap in oral reconstruction: A cadaveric, animal and clinical study
https://www.scienced[...]
1981-01-01
[9]
논문
Reconstruction of the temporalis muscle for the pterional craniotomy: Technical note
https://thejns.org/v[...]
1990-10-01
[10]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11]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uman temporalis muscle
https://onlinelibrar[...]
1996
[12]
서적
Human Anatomy
Elsevier
2008
[13]
논문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uman temporalis muscle
https://onlinelibrar[...]
1996
[14]
서적
Woelfel's dental anatomy: Its relevance to dent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15]
논문
Exteroceptive suppression of temporalis muscle activity in chronic headache
https://n.neurology.[...]
1987-12-01
[16]
논문
Myotendinous rupture of temporalis muscle: A rare injury following seizure
2014
[17]
논문
The temporalis muscle flap in oral reconstruction: A cadaveric, animal and clinical study
https://www.scienced[...]
1981-01-01
[18]
논문
Reconstruction of the temporalis muscle for the pterional craniotomy: Technical note
https://thejns.org/v[...]
199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