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래턱신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래턱신경은 삼차신경의 가지로, 턱과 구강 부위에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이다. 삼차신경절에서 시작하여 타원구멍을 통해 두개강을 빠져나온 후, 입천장긴장근과 가쪽날개근 사이를 지나면서 뇌막가지와 안쪽날개근신경을 낸다. 이후 앞갈래와 뒤갈래로 나뉘어 씹기근육, 볼, 귓바퀴, 혀, 아래 치아 등에 분포하며 운동 및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 아래턱신경은 뇌막가지, 깨물근신경, 볼신경, 귓바퀴관자신경, 혀신경, 아래이틀신경 등의 가지를 내며, 턱목뿔근과 턱두힘살근에도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래턱신경 - 혀신경
    혀신경은 아래턱신경에서 시작하여 혀 앞쪽 2/3의 일반 감각을 담당하고 고실끈신경과 합류하여 미각과 침샘에 분포하며, 손상 시 통증, 감각 변화, 무감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삼차신경 - 빛 재채기 반사
    빛 재채기 반사는 밝은 빛에 노출될 때 나타나는 억제할 수 없는 재채기 현상이며, 삼차 신경과 시신경의 상호작용, 유전적 요인 등과 관련되어 있고,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는 가능하다.
  • 삼차신경 - 위턱신경
    위턱신경은 삼차신경의 두 번째 가지로서 얼굴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며, 삼차신경절에서 시작해 머리뼈, 눈확을 거쳐 얼굴에 분포하고, 뇌막, 날개입천장오목 등에서 여러 가지를 내며, 부교감신경계 섬유를 통해 눈물샘과 코, 입천장, 인두 점막샘을 조절한다.
아래턱신경
개요
라틴어nervus mandibularis
분지 시작삼차신경(제5뇌신경)
해부학적 특징
담당아래쪽 얼굴
이미지
아래턱신경
아래턱신경
[[삼차신경]]의 [[아래턱신경]], 정중선에서 바라본 모습. 작은 그림은 [[귀신경절]].
삼차신경의 아래턱신경, 정중선에서 바라본 모습. 작은 그림은 귀신경절.

2. 구조

아래턱신경은 삼차신경의 가지 중 가장 큰 가지로, 감각신경 성분과 운동신경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4]

2. 1. 주행 경로

큰 감각신경 뿌리는 삼차신경절의 측면에서 나와 타원구멍을 통해 머리안을 빠져나간다. 삼차신경의 작은 운동신경 뿌리는 삼차신경절 아래로 주행하여 타원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빠져나가고 머리뼈 바깥에서 감각신경 뿌리와 합쳐진다.[4]

아래턱신경은 즉시 안쪽의 입천장긴장근과 가쪽의 가쪽날개근 사이로 주행하며 신경의 안쪽에서 뇌막가지와 안쪽날개근신경을 낸다. 그 후 아래턱신경은 작은 앞줄기와 큰 뒤줄기로 나뉜다.

앞갈래는 세 개의 주요 씹기근육들과 뺨의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볼신경으로 가지를 낸다. 뒤갈래는 세 개의 주요 감각신경 가지인 귓바퀴관자신경, 혀신경, 아래이틀신경을 내며 턱목뿔근턱두힘살근 앞힘살로 운동신경 가지를 낸다.

2. 2. 가지

삼차신경절의 측면에서 나온 큰 감각신경 뿌리는 타원구멍을 통해 머리안을 빠져나간다. 삼차신경의 작은 운동신경 뿌리는 삼차신경절 아래로 주행하여 타원구멍을 통해 머리뼈를 빠져나가고 머리뼈 바깥에서 감각신경 뿌리와 합쳐진다.[4]

아래턱신경은 즉시 안쪽의 입천장긴장근과 가쪽의 가쪽날개근 사이로 주행하며 신경의 안쪽에서 뇌막가지와 안쪽날개근신경을 낸다. 그 후 아래턱신경은 작은 앞줄기와 큰 뒤줄기로 나뉜다.

앞갈래는 세 개의 주요 씹기근육들과 뺨의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볼신경으로 가지를 낸다. 뒤갈래는 세 개의 주요 감각신경 가지인 귓바퀴관자신경, 혀신경, 아래이틀신경을 내며 턱목뿔근턱두힘살근 앞힘살로 운동신경 가지를 낸다.

아래턱신경이 내는 가지는 다음과 같다.

구분가지
신경이 갈라지기 이전안쪽날개근, 고막긴장근, 입천장긴장근에 대한 날신경섬유인 근육가지들 (운동신경)[5]
뇌막가지 (감각신경)
앞갈래에서깨물근신경 (운동신경)
깊은관자신경, 앞뒤 모두(운동신경)
볼신경 (감각신경)
가쪽날개근신경 (운동신경)
뒤갈래에서귓바퀴관자신경 (감각신경)
혀신경 (감각신경)
아래이틀신경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턱끝신경 (감각신경 가지), 턱목뿔근에 분포하는 턱목뿔근신경(운동신경 가지)



아래턱신경의 분지는 다음과 같다.

구분가지
주간에서 (분지되기 전)뇌막가지 (돌기신경) (감각)
내측익돌근신경 (운동)
앞분지에서교근신경 (혼합)
심부측두신경 (혼합)
협측신경 (감각)
외측익돌근신경 (운동)
뒷분지에서이개측두신경 (감각)
혀신경 (감각)
아래치아이 alveolar nerve (혼합)
턱설골근신경 (운동), 절치가지 (감각), 이신경 (감각)


3. 분포

아래턱신경은 다음과 같은 구조들에 분포한다.

구분상세 분포
앞갈래
뒤갈래


3. 1. 앞갈래

아래턱신경의 앞갈래는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나뉜다.
운동신경 분포

  • 깨물근신경 - 깨물근
  • 안쪽날개근신경 - 안쪽날개근, 고막긴장근
  • 입천장긴장근신경 - 입천장긴장근
  • 뇌막동맥구멍을 통해 나오는 뇌막가지
  • 가쪽날개근신경 - 가쪽날개근
  • 깊은관자신경 - 관자근

감각신경 분포

  • 볼신경 - 뺨 안(볼 점막)

3. 2. 뒤갈래

혀신경 부분

: ('''맛을 제외한''' 감각)

:* 의 앞쪽 2/3 (점막)

아래이틀신경 부분

: (운동신경)

:* 턱목뿔근신경 - 턱목뿔근

:* 턱두힘살근 앞힘살

: (감각신경)

:* 이빨과 아래턱 이빨의 점막뼈막

:* 과 아랫입술

귓바퀴관자신경 부분

:* 머리덮개, 귓바퀴와 관자영역

참조

[1] 논문 A review of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nerve supplies and their clinical relevance http://dx.doi.org/10[...] 2012-04
[2] 논문 A New Classification for Facial Pain https://academic.oup[...] 2003-11-01
[3] 논문 A review of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nerve supplies and their clinical relevance https://www.scienced[...] 2012-04-01
[4] 논문 A New Classification for Facial Pain https://doi.org/10.1[...] 2003-11-01
[5]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