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 상무 축구단 2010 시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상무 축구단의 2010 시즌은 기존 선수들과 신규 자원들을 통해 시즌을 준비했다. 선수단은 2010년 11월 7일 기준으로 구성되었으며, K리그, FA컵, 리그컵 경기에 참여했다. K리그에서는 28경기 3승 8무 17패로 15위를 기록했고, FA컵에서는 8강에서 전남 드래곤즈에 패배했다. 리그컵에서는 B조에 속해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시즌 중에는 다수의 선수를 영입하고 방출하는 선수 이적 변동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단 2010 시즌 - FC 서울 2010 시즌
    FC 서울은 넬루 빙가다 감독 지휘 아래 2010년 K리그와 리그컵에서 우승하고 FA컵 16강에서 탈락했으며, 데얀 다미아노비치의 활약과 함께 K리그 시즌 총 관중 1위를 기록했다.
  • 축구단 2010 시즌 - 전북 현대 모터스 2010 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의 2010 시즌은 K리그 3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리그컵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이동국, 에닝요, 김상식 등이 활약했고 에닝요는 K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광주 상무 축구단 2010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시즌 정보
클럽광주 상무 FC
시즌2010년
감독이강조
구단주박광태 (시장)
구단주 직책구단주
리그 정보
리그K리그
리그 결과14위
컵 대회 정보
컵1한국 FA컵
컵1 결과8강
컵2리그컵
컵2 결과조별 리그
득점 정보
리그 득점왕최성국 (4골)
시즌 득점왕최성국 (5골)
관중 정보
최고 관중21,360명 vs 포항 (3월 14일)
최저 관중200명 vs 포항 (7월 21일)
평균 관중3,300명
시즌 정보
이전 시즌2009
다음 시즌2011

2. 시즌 준비

기존의 최성국 등과 2009년 입대한 김정우 등의 신규 자원들로 착실하게 시즌을 준비하였다.

3. 선수단

2010년 광주 상무는 기존의 최성국과 2009년에 입대한 김정우 등 새로운 선수들을 중심으로 시즌을 준비했다.

}

|-

| 2 || DF || 오창식 || 대한민국|한국어

|-

| 3 || DF || 박병규 || 대한민국|한국어

|-

| 4 || MF || 김영삼 || 대한민국|한국어

|-

| 5 || DF || 배효성 || 대한민국|한국어

|-

| 6 || DF || 황선필 || 대한민국|한국어

|-

| 7 || DF || 박원홍 || 대한민국|한국어

|-

| 8 || MF || 박승민 || 대한민국|한국어

|-

| 9 || MF || 박상욱 || 대한민국|한국어

|-

| 10 || FW || 최성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1 || MF || 전광환 || 대한민국|한국어

|-

| 12 || MF || 김범수 || 대한민국|한국어

|-

| 13 || DF || 최원권 || 대한민국|한국어

|-

| 14 || MF || 김정우 || 대한민국|한국어

|-

| 15 || DF || 정호진 || 대한민국|한국어

|-

| 16 || MF || 서민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7 || DF || 김수연 || 대한민국|한국어

|-

| 18 || MF || 강구남 || 대한민국|한국어

|-

| 19 || MF || 박진옥 || 대한민국|한국어

|-

| 20 || MF || 김태민 || 대한민국|한국어

|-

| 21 || GK || 임인성 || 대한민국|한국어

|-

| 22 || DF || 장현규 || 대한민국|한국어

|-

| 23 || MF || 김영준 || 대한민국|한국어

|-

| 24 || DF || 박정식 || 대한민국|한국어

|-

| 25 || FW || 조용태 || 대한민국|한국어

|-

| 26 || MF || 정경호 || 대한민국|한국어

|-

| 27 || FW || 주광윤 || 대한민국|한국어

|-

| 28 || FW || 김동현 || 대한민국|한국어

|-

| 29 || MF || 천제훈 || 대한민국|한국어

|-

| 30 || DF || 윤여산 || 대한민국|한국어

|-

| 31 || GK || 김지혁 || 대한민국|한국어

|-

| 32 || FW || 이재규 || 대한민국|한국어

|-

| 33 || MF || 김민오 || 대한민국|한국어

|-

| 34 || MF || 권혁진 || 대한민국|한국어

|-

| 35 || DF || 조재용 || 대한민국|한국어

|-

| 36 || DF || 윤신영 || 대한민국|한국어

|-

| 37 || MF || 김지민 || 대한민국|한국어

|-

| 38 || MF || 변웅 || 대한민국|한국어

|-

| 39 || DF || 김주환 || 대한민국|한국어

|-

| 40 || DF || 김선우 || 대한민국|한국어

|-

| 42 || FW || 변윤철 || 대한민국|한국어

|}

2010년 11월 7일 기준 광주 상무 축구단의 선수단이며, FIFA 자격 규칙에 따라 국기는 국가대표팀을 나타낸다. 선수는 여러 국적을 가질 수 있다.

최성국은 K리그와 FA컵에서 총 5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자가 되었고, 최원권, 조용태, 김동현은 각각 4골을 기록했다. 최성국은 K리그와 FA컵에서 총 5회의 경고를 받아 최다 경고를 기록했다.

3. 1. 현재 선수단

번호포지션선수국적
1GK성경일{{lang|ko|대한민국|}
}

|-

| 2 || DF || 오창식 || 대한민국|한국어

|-

| 3 || DF || 박병규 || 대한민국|한국어

|-

| 4 || MF || 김영삼 || 대한민국|한국어

|-

| 5 || DF || 배효성 || 대한민국|한국어

|-

| 6 || DF || 황선필 || 대한민국|한국어

|-

| 7 || DF || 박원홍 || 대한민국|한국어

|-

| 8 || MF || 박승민 || 대한민국|한국어

|-

| 9 || MF || 박상욱 || 대한민국|한국어

|-

| 10 || FW || 최성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1 || MF || 전광환 || 대한민국|한국어

|-

| 12 || MF || 김범수 || 대한민국|한국어

|-

| 13 || DF || 최원권 || 대한민국|한국어

|-

| 14 || MF || 김정우 || 대한민국|한국어

|-

| 15 || DF || 정호진 || 대한민국|한국어

|-

| 16 || MF || 서민국 || 대한민국|한국어

|-

| 17 || DF || 김수연 || 대한민국|한국어

|-

| 18 || MF || 강구남 || 대한민국|한국어

|-

| 19 || MF || 박진옥 || 대한민국|한국어

|-

| 20 || MF || 김태민 || 대한민국|한국어

|-

| 21 || GK || 임인성 || 대한민국|한국어

|-

| 22 || DF || 장현규 || 대한민국|한국어

|-

| 23 || MF || 김영준 || 대한민국|한국어

|-

| 24 || DF || 박정식 || 대한민국|한국어

|-

| 25 || FW || 조용태 || 대한민국|한국어

|-

| 26 || MF || 정경호 || 대한민국|한국어

|-

| 27 || FW || 주광윤 || 대한민국|한국어

|-

| 28 || FW || 김동현 || 대한민국|한국어

|-

| 29 || MF || 천제훈 || 대한민국|한국어

|-

| 30 || DF || 윤여산 || 대한민국|한국어

|-

| 31 || GK || 김지혁 || 대한민국|한국어

|-

| 32 || FW || 이재규 || 대한민국|한국어

|-

| 33 || MF || 김민오 || 대한민국|한국어

|-

| 34 || MF || 권혁진 || 대한민국|한국어

|-

| 35 || DF || 조재용 || 대한민국|한국어

|-

| 36 || DF || 윤신영 || 대한민국|한국어

|-

| 37 || MF || 김지민 || 대한민국|한국어

|-

| 38 || MF || 변웅 || 대한민국|한국어

|-

| 39 || DF || 김주환 || 대한민국|한국어

|-

| 40 || DF || 김선우 || 대한민국|한국어

|-

| 42 || FW || 변윤철 || 대한민국|한국어

|}

2010년 11월 7일 기준 광주 상무 축구단의 선수단이다. FIFA 자격 규칙에 따라 국기는 국가대표팀을 나타내며, 선수는 여러 국적을 가질 수 있다.

3. 2. 시즌 선수 통계

2010년 11월 7일 경기를 기준으로, 시즌 선수 통계는 득점, 경고, 퇴장 등의 기록을 보여준다.

최성국은 K리그에서 4골, FA컵에서 1골로 총 5골을 기록하여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최원권, 조용태, 김동현은 각각 4골을 기록했다.

최성국은 K리그에서 4회, FA컵에서 1회로 총 5회의 경고를 받아 최다 경고를 받았다. 최원권, 김동현, 조용태는 각각 4회의 경고를 기록했다.

이러한 득점, 경고, 퇴장 기록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3. 2. 1. 최다 득점자

2010년 11월 7일 경기 기준

번호포지션선수국적
1GK성경일{{lang|ko|대한민국|}
번호국적포지션이름K리그FA컵리그컵득점
출장득점출장득점출장득점
7MF박원홍0 (5)10 (1)10 (3)02
10FW최성국21 (1)431205
11MF전광환23 (2)031101
13DF최원권20321404
14MF김정우18 (1)31 (1)0003
17DF김수연2 (1)100001
25FW조용태9 (3)21 (1)1314
28FW김동현13 (3)331304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변경 사항이 없습니다.

3. 2. 2. 경고 및 퇴장

2010년 11월 7일 경기 기준

포지션국적등번호선수K리그FA컵리그컵합계
110최성국4105
213최원권3104
28김동현3104
25조용태2114
314김정우3003
47박원홍1102
511전광환0101
17김수연1001
///자책골0000
합계176124


4. 경기 결과

(득점 – 실점)득점자관중2월 27일K리그대구 FC원정2 – 1최성국 32', 66'3,5323월 7일K리그인천 유나이티드원정0 – 210,0723월 14일K리그포항 스틸러스홈1 – 1최원권 90+4'21,3603월 21일K리그부산 아이파크원정0 – 23,4053월 28일K리그제주 유나이티드 FC홈0 – 02,5324월 3일K리그대전 시티즌홈1 – 1최원권 69'(페널티킥)1,5324월 10일K리그전남 드래곤즈원정3 – 2최성국 14, 김정우 45+1, 조용태 84'8,9804월 18일K리그전북 현대 모터스홈0 – 11,9074월 24일K리그성남 일화 천마홈0 – 23,5725월 1일K리그울산 현대 FC원정2 – 2김정우 28', 김동현 33'9,3725월 9일K리그강원 FC홈1 – 0김동현 53'2,3675월 23일리그컵FC 서울홈0 – 04,2195월 26일리그컵제주 유나이티드 FC원정0 – 25786월 2일리그컵성남 일화 천마홈1 – 1조용태 10'1,5386월 6일리그컵울산 현대 FC원정0 – 24,7527월 17일K리그경남 FC원정0 – 110,4587월 21일FA컵포항 스틸러스홈2 – 1최원권 45+2', 박원홍 108'2007월 24일K리그FC 서울홈0 – 26,2157월 31일K리그수원 삼성 블루윙즈원정0 – 222,3268월 8일K리그제주 유나이티드 FC원정0 – 44,1558월 14일K리그부산 아이파크홈1 – 1김동현 57'5,6118월 18일FA컵전남 드래곤즈원정1 – 2최성국 26'6,5348월 28일K리그경남 FC홈1 – 1김정우 22'1,2559월 4일K리그FC 서울원정0 – 321,3299월 12일K리그인천 유나이티드홈1 – 1박원홍 90'1,3189월 19일K리그대전 시티즌원정0 – 34,7889월 26일K리그수원 삼성 블루윙즈홈1 – 1최성국 80'(페널티킥)1,75610월 2일K리그전북 현대 모터스원정0 – 04,14210월 9일K리그포항 스틸러스원정0 – 18,11510월 16일K리그대구 FC홈0 – 31,11810월 27일K리그강원 FC원정0 – 14,72110월 30일K리그성남 일화 천마원정2 – 2김수연 15', 최원권 60'2,03911월 3일K리그전남 드래곤즈홈0 – 11,01911월 7일K리그울산 현대 FC홈1 – 2조용태 10'1,3794월 21일FA컵울산 현대미포조선홈3 – 0김동현 24, 전광환 40, 조용태 55'500


4. 1. K리그

광주 상무는 2010년 K리그에서 8승 6무 14패, 승점 30점으로 15개 팀 중 12위를 기록했다. 총 36득점을 기록하고 52실점을 허용했다.

2월 27일 대구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시즌을 시작했지만,[1] 이후 3월 7일 인천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와 3월 21일 부산 아이파크 원정 경기에서 각각 0-2로 패배하는 등 초반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4월 10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3-2로 승리하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으나, 이후 4월 24일 성남 일화 천마, 7월 24일 FC 서울, 7월 31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 와의 경기에서 각각 0-2로 패배하는 등 연승을 거두지 못했다.

8월 8일 제주 유나이티드 FC 원정 경기에서 0-4로 대패하고, 9월 4일 FC 서울 원정 경기에서도 0-3으로 패배하는 등 수비 불안이 이어졌다. 10월 16일 대구 FC와의 홈 경기에서는 0-3으로 패배하며 최하위인 15위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시즌 막판 성남 일화 천마 원정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거두고, 울산 현대 FC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했지만, 최종 순위는 14위로 마무리되었다.

최성국은 4골, 최원권은 3골, 김동현과 김정우는 각각 2골을 기록하며 팀 공격을 이끌었다.

포지션국가번호이름K리그
경고퇴장
GK1성경일01
DF3박병규30
MF4김영삼20
DF5배효성50
MF6황선필40
FW10최성국51
MF11전광환10
MF12김범수10
MF13최원권41
MF14김정우30
MF16서민국10
DF17김수연10
MF20김태민30
DF22장현규10
MF26정경호30
FW27주광윤42
FW28김동현40
DF30윤여산60
GK31김지혁20
합계535


4. 1. 1. 경기 결과 요약

wikitext

2010 시즌 K리그 경기 결과 요약
구분득점실점
홈 경기
원정 경기
전체535665


4. 1. 2. 리그 순위

2010년 K리그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승점득점실점득실차비고
1FC 서울286219545826+32챔피언결정전 직행
2제주 유나이티드285917835425+29챔피언결정전 직행
3전북 현대 모터스284813964729+18플레이오프 직행
4울산 현대284412883936+36강 플레이오프
5성남 일화 천마284211984636+106강 플레이오프
6경남 FC2841125113738-16강 플레이오프
7수원 삼성 블루윙즈2837107114139+2
8부산 아이파크283389113637-1
9포항 스틸러스283389113948-9
10전남 드래곤즈283288124049-9
11인천 유나이티드283187134251-9
12광주 상무283086143652-16
13대전 시티즌282358152750-23
14강원 FC282365172756-29
15대구 FC281954192857-29


4. 2. FA컵

(득점 – 실점)득점자관중4월 21일32강울산 미포조선홈3 – 0김동현 24, 전광환 40, 조용태 55'5007월 21일16강포항 스틸러스홈2 – 1최원권 45+2', 박원홍 108'2008월 18일8강전남 드래곤즈원정1 – 2최성국 26'6,534


4. 3. 리그컵

광주 상무는 2010년 포스코컵 2010 조별 예선에서 A조에 속해 FC 서울, 제주 유나이티드, 성남 일화 천마, 울산 현대 축구단과 경기를 치렀다. 5월 23일 FC 서울과의 홈경기(0:0 무), 5월 26일 제주 유나이티드 원정 경기(0:2 패), 6월 2일 성남 일화 천마와의 홈경기(1:1 무, 조용태 득점), 6월 6일 울산 현대 축구단 원정 경기(0:2 패)를 치르며 2무 2패, 승점 2점으로 조 5위를 기록, 6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4. 3. 1. 조별 예선

(득점 – 실점)득점자관중조 순위5월 23일FC 서울홈0 – 04,2193위5월 26일제주 유나이티드원정0 – 25785위6월 2일성남 일화 천마홈1 – 1조용태 10'1,5385위6월 6일울산 현대 축구단원정0 – 24,7525위


5. 선수 이적

2010년 시즌 광주 상무는 선수단을 대폭 보강하고, 시즌 후 여러 선수를 내보냈다.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선수 영입 및 방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

5. 1. 영입

2010년 1월 18일, 광주 상무는 김정우(성남 일화 천마), 김동현, 조재용(이상 경남 FC), 주광윤, 정경호(이상 전남 드래곤즈)를 영입하는 등 대거 선수 영입을 단행했다.[1]

포지션이름이전 소속팀
MF김정우성남 일화 천마
FW김동현경남 FC
DF조재용경남 FC
FW주광윤전남 드래곤즈
MF정경호전남 드래곤즈
MF김영삼울산 현대 FC
MF변웅울산 현대 FC
DF오창식울산 현대 FC
MF김민오울산 현대 FC
GK김지혁포항 스틸러스
DF윤여산대구 FC
DF김주환대구 FC
DF박정식대구 FC
FW조용태수원 삼성 블루윙즈
FW이재규대전 시티즌
FW곽철호대전 시티즌
MF김지민대전 시티즌
DF윤신영대전 시티즌
GK임인성인천 유나이티드
DF김선우인천 유나이티드


5. 2. 방출

2010년 10월 30일, 광주 상무는 다수의 선수를 방출했다. 다음은 방출된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이름이적 구단
DF배효성부산 아이파크
DF정호진부산 교통공사 축구단
DF황선필대구 FC
MF권혁진대전 시티즌
MF강구남대전 시티즌
DF최원권FC 서울
MF전제훈FC 서울
GK성경일경남 FC
MF박승민인천 유나이티드 FC
MF서민국인천 유나이티드 FC
FW변윤철인천 유나이티드 FC
MF박진옥제주 유나이티드 FC
MF김태민제주 유나이티드 FC
MF전광환전북 현대 모터스
DF장현규포항 스틸러스
DF김수연포항 스틸러스
MF김범수성남 일화 천마
FW최성국성남 일화 천마
DF박병규울산 현대 FC
MF박원홍울산 현대 FC
MF박상욱울산 현대 FC
MF김영준울산 현대 F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