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곱은 위상 공간과 가환환에 대해 정의되는 선형 변환으로, 특이 호몰로지와 특이 코호몰로지 사이의 연산이다. 캡 곱은 특이 사슬을 특이 코사슬로 수축시키는 연산으로 정의되며, 컵 곱과의 관계, 경계 연산과의 관계 등 다양한 성질을 갖는다. 또한, 캡 곱은 기본류와 푸앵카레 쌍대성을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두아르트 체흐가 1936년에 처음 도입했으며, 해슬러 휘트니가 독립적으로 재발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몰로지 이론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호몰로지 이론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이항연산 - 뺄셈 뺄셈은 두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산으로, 덧셈의 역연산이며, 피감수에서 감수를 빼는 연산으로 차를 구하고, 반교환법칙과 결합 법칙은 성립하지 않으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항연산 - 나눗셈 나눗셈은 하나의 수를 다른 수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기본적인 산술 연산이다.
대수적 위상수학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대수적 위상수학 - 톰 공간 톰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 위의 벡터 다발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르네 톰에 의해 도입되었고, 톰 동형을 통해 기저 공간의 코호몰로지와 관계를 가지며 특성류 이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곱
개요
종류
대수적 위상수학 방법
분야
대수적 위상수학
관련 개념
컵 곱
역사
발명자
에두아르트 체흐, 해슬러 휘트니
정의
정의
만약 $\langle f, [v_0, \dots, v_p] \rangle = f([v_0, \dots, v_p])$ 가 코체인 $f$와 체인 $[v_0, \dots, v_p]$의 쌍대성을 나타낸다면, 특이 코호몰로지의 컵 곱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langle f \smile g, [v_0, \dots, v_{p+q}] \rangle = f([v_0, \dots, v_p])g([v_p, \dots, v_{p+q}])$
설명
이 공식은 코호몰로지류의 곱셈을 체인의 곱셈으로 나타낸다. 컵 곱은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도구이며, 공간의 위상적 성질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응용
응용 분야
대수적 위상수학 다양체의 연구 호모토피 이론
2. 정의
'''교곱'''(cap product영어)은 위상 공간에서 정의되는 연산으로, 특이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를 연결하는 쌍선형 사상이다.
교곱은 특이 호몰로지 군과 특이 코호몰로지 군 사이의 연산으로 정의된다.[1]
:
여기서 는 계수를 갖는 의 특이 호몰로지이고, 는 계수를 갖는 의 특이 코호몰로지이다.
경사곱(Slant Product)은 캡 곱과 유사하지만, 두 위상 공간의 곱에 대한 코호몰로지와 한 위상 공간의 호몰로지 사이의 연산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 1. 캡 곱 (Cap Product)
''X''가 위상 공간이고, ''R''가 가환환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계수의 '''교곱''' 은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