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그레고리오 6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그레고리오 6세는 1045년부터 1046년까지 재임한 교황이다. 그는 교황 베네딕토 9세가 교황직을 사임하려 하자 돈을 주고 교황직을 매수하여 즉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교회 개혁을 시도했으나, 교황직 매수 혐의로 인해 1046년 수트리 교회회의에서 퇴위당했다. 이후 독일로 가서 1048년 쾰른에서 사망했으며, 훗날 그레고리오 7세가 그를 합법적인 교황으로 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48년 사망 - 비루니
알 비루니는 호라즘에서 태어난 페르시아의 박식가로서 천문학, 수학, 지리학, 역사, 물리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인도 아대륙의 문화와 과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 1048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리노부
가와치 겐지의 시조로 여겨지는 미나모토노 요리노부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무장으로, 간토 및 도고쿠 지방에서 기반을 다지고 다이라노 타다쓰네의 난을 평정하여 미나모토 가문의 권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 11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073년 교황이 되어 교황권 강화, 교회 개혁, 하인리히 4세와의 서임권 투쟁, 성직 매매 금지, 성직자 독신 강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업적은 교황 수위권 발전에 기여했으나 로마 침공으로 망명 중 사망 후 시성되었다. - 11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베네딕토 9세
교황 베네딕토 9세는 투스쿨룸 백작 가문 출신으로, 1032년부터 1048년까지 세 차례 교황으로 재임하며 성직 매매와 방탕한 생활로 비판받고 재임과 사임을 반복하는 혼란스러운 행보로 교회의 권위를 실추시킨 인물이다. - 11세기 교황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1세기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073년 교황이 되어 교황권 강화, 교회 개혁, 하인리히 4세와의 서임권 투쟁, 성직 매매 금지, 성직자 독신 강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업적은 교황 수위권 발전에 기여했으나 로마 침공으로 망명 중 사망 후 시성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책 | 로마 교황 |
재임 시작 | 1045년 5월 1일 |
재임 종료 | 1046년 12월 20일 |
이전 교황 | 베네딕토 9세 |
다음 교황 | 클레멘스 2세 |
이름 | 그레고리오 6세 |
본명 | 요한네스 그라티아누스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교황령 로마 |
사망 년도 | 1048년 |
사망 장소 | 신성 로마 제국 독일 쾰른 (추정) |
추기경 임명 | 1012년 |
추기경 서임 교황 | 베네딕토 8세 |
추가 정보 | |
교회 | 가톨릭 교회 |
2. 생애
그라티아누스는 산 조반니 아 포르타 라티나 성당의 수석사제[4]로서 매우 강직한 성품을 지닌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는 교황 베네딕토 9세의 대부였는데, 베네딕토 9세는 20세에 그의 강력한 가문인 투스쿨룸 백작 테오필락티 가문에 의해 교황직에 올랐다.[2] 베네딕토 9세는 결혼하고 가문에 의해 강요된 직책을 내려놓고 싶어 자신의 대부에게 교황직에서 물러날 수 있는지 상의했고, 교황직을 대부에게 넘겨주겠다고 제안했다.[2] 요한 그라티아누스는 부적절한 교황을 로마 교황청에서 몰아내고자 그에게 돈을 지불하고 교황으로 인정받았다.[3]
그라시아누스는 교황 그레고리오 6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좌에 착좌하였다. 그러나 성 베드로 다미아노와 같이 엄격한 인물들로부터 크게 환영과 지지를 받았음에도 교회에 평화는 찾아오지 않았다.[3] 교황 베네딕토 9세가 교황직을 팔고 로마를 떠날 때, 실베스테르 3세가 교황 자리를 노리고 있었고, 추방되었던 베네딕토 9세가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돌아오면서 실베스테르 3세는 내쫓기고 말았다.[3]
1046년 수트리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6세는 교황직을 매수했다는 혐의를 받았고, 이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당시 상황을 고려할 때, 그러한 행위가 성직매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 하지만 교회회의의 주교들은 그레고리오 6세에게 그의 행위가 사실상 성직매매에 해당한다고 설득하며, 교황직 사임을 요구하였다.[3] 결국, 그레고리오 6세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깨닫고, 교회회의의 요청에 따라 스스로 교황직을 내려놓았다.[3]
그레고리오 6세는 교황직에서 물러난 후, 1047년 5월 하인리히 3세를 따라 독일로 갔다.[3] 1048년 쾰른에서 선종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선종할 때까지 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되는 힐데브란트가 그의 곁을 함께 있었다.[3]
2. 1. 교황이 되기 이전
그라티아누스는 산 조반니 아 포르타 라티나 성당의 수석사제[4]로서 매우 강직한 성품을 지닌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그는 또한, 테오필락투스 가문의 권력에 힘입어 20세의 어린 나이에 교황이 된 교황 베네딕토 9세의 대부였다.[5] 베네딕토 9세는 가족의 강요로 교황직에 오른 것을 후회하며 결혼을 원했기에, 대부에게 교황직 사임 가능 여부를 상담했다. 교황직을 포기하는 것이 옳다는 확신을 얻은 베네딕토 9세는 대부 그라티아누스에게 교황직을 넘겨주는 대가로 1,000-2,000 파운드의 은[6]을 요구했다. 요한네스 그라티아누스는 로마 교구와 보편 교회를 위해 부적절한 교황은 필요없다고 판단하여 이 제안을 수락했다.그라티아누스는 라틴 문 앞의 성 요한의 수석 사제였으며[1], 정직한 성품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는 교황 베네딕토 9세의 대부였는데, 베네딕토 9세는 20세에 그의 강력한 가문인 투스쿨룸 백작 테오필락티 가문에 의해 교황직에 올랐다. 베네딕토 9세는 결혼하고 가문에 의해 강요된 직책을 내려놓고 싶어 자신의 대부에게 교황직에서 물러날 수 있는지 상의했다. 그는 교황직을 대부에게 넘겨주겠다고 제안했다.[2] 요한 그라티아누스는 부적절한 교황을 로마 교황청에서 몰아내고자 그에게 돈을 지불하고 교황으로 인정받았다.[3]
2. 2. 재임 기간
그라시아누스는 교황 그레고리오 6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좌에 착좌하였다. 그러나 성 베드로 다미아노와 같이 엄격한 인물들로부터 크게 환영과 지지를 받았음에도 교회에 평화는 찾아오지 않았다.[3] 한편 교황 베네딕토 9세가 교황직을 팔고 로마를 떠날 때, 실베스테르 3세가 교황 자리를 노리고 있었다. 실베스테르 3세는 1044년 로마 귀족들에 의해 교황으로 옹립되었던 인물이다. 그러나 1045년 추방되었던 베네딕토 9세가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돌아오면서 실베스테르 3세는 내쫓기고 말았다.[3]사비나로 물러나 있었던 실베스테르 3세는 자신만이 합법적으로 선출된 교황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던 중 베네딕토 9세의 사임 소식을 접하자 정치적 동맹을 통해 로마에 들어가 복위를 꾀하며 기회를 엿보았다. 그런데 로마의 상황은 훨씬 더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결혼하기 위해 교황직을 중도 사임한 베네딕토 9세가 자신의 결정을 철회하고 로마로 돌아와 다시 자신이 교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자신을 지지하는 귀족들을 등에 업고 일부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행사하기도 했다.[3]
설상가상으로 교회 재정은 바닥을 드러냈고, 적지 않은 성직자에게서 목자다운 능력이나 품성을 찾아볼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마주한 그레고리오 6세는 고뇌에 가득 찼다. 그렇지만 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되는 힐데브란트 신부([1])의 도움을 받아 교회를 올바로 쇄신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서신과 교회회의라는 수단을 통해 교회의 질서를 바로잡으려 애썼으며, 정치 사회 면에서는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질서를 안정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와 정치적 갈등을 빚고 있던 경쟁 파벌들의 세력은 너무나 막강해 쉽게 굴복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혼란만 가중되었다.
결국 성직자와 평신도들은 군사적인 힘을 가진 외부 세력의 개입 외에는 당시 로마와 교회가 직면한 여러 난국을 타개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교회 개혁파 성직자로 구성된 대표단이 알프스 산맥을 넘어가 이탈리아 왕이자 독일 왕인 하인리히 3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하인리히 3세는 이러한 요청을 받아들여 1046년 가을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향했다.[3]
그레고리오 6세는 자신의 교황 즉위 과정이 교회 개혁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기에 죄가 될 수 없다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래서 하인리히 3세를 만나러 북쪽으로 향했다. 그는 하인리히 3세로부터 교황으로서 융숭한 대접을 받았고, 그의 요청에 따라 수트리에서 교회회의를 소집했다.[3] 이때 실베스테르 3세 역시 교회회의에 참석했다. 1046년에 소집된 수트리 교회회의에서는 3명을 모두 폐위하기로 결정하였다. 실베스테르 3세는 처음부터 교황좌를 강탈한 자로 간주되어, 성직품 자체를 박탈당하고 여생을 수도원에 갇혀 지내게 되었다.
그레고리오 6세는 교황직을 매수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그 자신도 그것을 순순히 인정했다. 그러나 당시 상황으로 볼 때, 그러한 행동이 성직 매매에 해당되는지에 대해서는 반론을 제기했다. 하지만 교회회의의 주교들은 그레고리오 6세에게 그와 같은 행위는 사실상 성직 매매라는 것을 이해시키며, 그에게 교황직 사임을 요구하였다. 그레고리오 6세는 자신에게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깨닫고, 교회회의의 요청에 따라 스스로 교황직을 내려놓았다.
그레고리오 6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된 이는 독일인이며 밤베르크의 주교인 수이드거였다. 하인리히 3세의 이번 방문을 수행하여 이탈리아로 왔으며 하인리히 3세의 추천을 수트리 교회회의에서 수용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자신을 클레멘스 2세로 명명하였다. 클레멘스 2세는 교황으로 선출되자마자 하인리히 3세와 함께 로마로 갔다. 그리고 하인리히 3세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봉하는 대관식을 집전하였다. 또한 1047년 로마에서 공의회를 소집하여 성직 매매를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를 시작으로 후임 교황들은 지속적으로 교회를 개혁해 나갔다. 클레멘스 2세는 1047년 10월 9일에 독일로 여행을 다녀온 뒤 갑자기 죽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베네딕토 9세를 지지하는 자들에 의해 독살당했다는 설이 있다.
그레고리오 6세는 1047년 5월 하인리히 3세를 따라 독일로 가서, 1048년 쾰른에서 선종한 것으로 전해진다. 선종할 때까지 그의 곁에는 힐데브란트가 함께 있었다. 이후 힐데브란트는 클뤼니에서 1년 정도를 지낸 다음 1049년 1월 교황 클레멘스 2세와 교황 다마소 2세의 뒤를 이어 교황이 되는 브루노(교황 레오 9세)와 함께 로마로 돌아갔다. 그리고 본인이 1073년 교황으로 선출되자, 자신의 새 이름으로 그레고리오 7세를 선택함으로써 그레고리오 6세가 합법적인 교황이었음을 공표하였다.
2. 3. 수트리 교회회의와 퇴위
1046년 수트리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6세는 교황직을 매수했다는 혐의를 받았고, 이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당시 상황을 고려할 때, 그러한 행위가 성직매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 하지만 교회회의의 주교들은 그레고리오 6세에게 그의 행위가 사실상 성직매매에 해당한다고 설득하며, 교황직 사임을 요구하였다.[3] 결국, 그레고리오 6세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깨닫고, 교회회의의 요청에 따라 스스로 교황직을 내려놓았다.[3]수트리 교회회의에서는 그레고리오 6세를 포함한 세 명의 교황(그레고리오 6세, 교황 실베스테르 3세, 교황 베네딕토 9세)을 모두 폐위하기로 결정하였다. 실베스테르 3세는 처음부터 교황좌를 강탈한 자로 간주되어 성직품 자체를 박탈당하고 수도원에 갇혀 여생을 보내게 되었다.[3]
2. 4. 퇴위 이후
그레고리오 6세는 교황직에서 물러난 후, 1047년 5월 하인리히 3세를 따라 독일로 갔다.[3] 1048년 쾰른에서 선종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선종할 때까지 훗날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되는 힐데브란트가 그의 곁을 함께 있었다.[3] 힐데브란트는 클뤼니에서 1년 정도를 지낸 다음 1049년 1월 교황 레오 9세와 함께 로마로 돌아갔다. 힐데브란트는 1073년 교황으로 선출되자, 자신의 새 이름으로 그레고리오 7세를 선택함으로써 그레고리오 6세가 합법적인 교황이었음을 공표하였다.참조
[1]
서적
Pope Gregory VII, 1073-1085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8
[2]
서적
Gregory V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3]
웹사이트
Pope Gregory VI
http://www.newadvent[...]
1909
[4]
서적
Gran Dizionario Illustrato dei Papi
[5]
서적
Liber pontificalis
[6]
문서
Manoscritto Vaticano latino 13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