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루치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루치오 1세는 253년 6월 25일경에 선출된 로마 출신 교황이다. 그는 전임 교황인 코르넬리우스가 추방된 박해 기간에 선출되었으며, 노바티아누스를 비난한 키프리아누스의 서한에서 칭찬받았다. 루치오 1세의 축일은 3월 5일이었으나, 로마 전례력에서 삭제되었고, 그의 사망 날짜에 맞춰 로마 순교록으로 옮겨졌다. 그는 순교하지 않았으며, 그의 묘비는 갈리스토 지하묘지에, 유해는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에 안치되었다. 그의 머리 유해는 덴마크 코펜하겐의 성 안스가르 대성당에 보존되어 있었으나, 탄소 연대 측정 결과 루치오 1세의 것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년대 출생 - 교황 파비아노
교황 파비아노는 평신도에서 기적적으로 교황이 되어 로마 교회를 재정비하고 갈리아에 선교사를 파견했으며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20대 교황이다. - 254년 사망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254년 사망 - 하후현
하후현은 조위의 문신으로, 조예에게 미움을 받기도 했지만 조상의 정권 장악 후 승진했으며, 사마의에게 구품관인법을 비판하고 촉한을 공격했으나 실패하여 사마사의 암살을 시도하다 처형당했다. - 3세기 교황 - 교황 식스토 2세
교황 식스토 2세는 257년부터 258년까지 로마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했고, 아프리카 및 동방 교회와의 관계 회복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의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 3세기 교황 - 교황 우르바노 1세
교황 우르바노 1세는 222년부터 230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17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교회 성장에 기여했고, 미사 중 신자들이 예물을 바칠 것을 지시했으며,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의 성인이자 독일 프랑켄 지방의 포도와 와인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
교황 루치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교황 성 |
이름 | 루치오 1세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초대 교회 |
재임 시작 | 253년 6월 25일 |
재임 종료 | 254년 3월 5일 |
선임자 | 코르넬리오 |
후임자 | 스테파노 1세 |
출생지 | 로마 제국, 로마 |
사망일 | 254년 3월 5일 |
사망 장소 | 로마, 로마 제국 |
기타 | 루치오 |
축일 | 3월 5일 |
공경 |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
개인 정보 | |
본명 | 루치오 |
출생 연도 (추정) | 200년경 |
2. 생애
루치오는 로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이름은 포르피리아누스였으며, 그 외 가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253년 6월 25일경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루치오의 선출은 전임 교황 코르넬리우스가 추방된 박해 기간에 이루어졌으며, 루치오 역시 축성 직후 추방되었다가 귀환 허가를 받았다.[1]
교황 루치오 1세의 축일은 3월 5일이며, 이 날 그는 로마 순교록에 다음과 같이 기념된다. "로마 아피아 가의 칼리스토 묘지에 성 코르넬리우스의 후계자인 성 교황 루치오의 매장이 있다. 그리스도를 믿는 그의 믿음 때문에 그는 추방을 겪었고, 자신의 시대에 겪었던 어려운 시기에 신앙의 탁월한 고백자로서 절제와 신중함을 보였다."[2]
교황 루치오 1세의 축일은 3월 5일이며, 이 날 그는 로마 순교록에 다음과 같이 기념된다. "로마 아피아 가의 칼리스토 묘지에 성 코르넬리우스의 후계자인 성 교황 루치오의 매장이 있다. 그리스도를 믿는 그의 믿음 때문에 그는 추방을 겪었고, 자신의 시대에 겪었던 어려운 시기에 신앙의 탁월한 고백자로서 절제와 신중함을 보였다."[2]
성 루치오 1세의 묘비는 갈리스토 카타콤바에 보존되어 있다. 그의 유해는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으로 옮겨져 성녀 체칠리아 등의 성인 유해와 함께 안치되었다.
루치오는 박해 아래 타락했다가 회개한 기독교인들의 성찬 재개를 거부한 노바티아누스를 비난한 것에 대해 키프리아누스의 여러 서한(Epist. lxviii. 5 참조)에서 칭찬받았다.
3. 공경
그의 축일은 교황 비오 5세의 트리엔트 전례력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1602년, 이 축일은 3월 4일자로 로마 전례력에 추가되었다. 1621년 같은 날 성 카시미르의 축일이 추가되면서, 교황 루치오의 기념은 성 카시미르의 미사 안에서 기념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1969년 개정에서 교황 루치오의 축일은 로마 전례력에서 삭제되었는데, 이는 그가 이전에 존경받았던 "순교자"라는 칭호가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3] 그리고 그의 죽음 날짜에 따라 로마 순교록으로 옮겨졌다.
교황 연대기에 잘못 언급된 것과는 달리, 그는 실제로 순교를 겪지 않았다.[4] 그가 순교했다고 알려진 발레리아누스의 박해는 교황 루치오가 사망한 254년 3월 이후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순교?
그의 축일은 교황 비오 5세의 트리엔트 전례력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1602년, 이 축일은 3월 4일자로 로마 전례력에 추가되었다. 1621년 같은 날 성 카시미르의 축일이 추가되면서, 교황 루치오의 기념은 성 카시미르의 미사 안에서 기념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1969년 개정에서 교황 루치오의 축일은 로마 전례력에서 삭제되었는데, 이는 그가 이전에 존경받았던 "순교자"라는 칭호가 근거가 없었기 때문이다.[3] 그리고 그의 죽음의 날짜에 따라 로마 순교록으로 옮겨졌다.
''교황 연대기''에 잘못 언급된 것과는 달리, 그는 실제로 순교를 겪지 않았다.[4] 그가 순교했다고 알려진 발레리아누스의 박해는 교황 루치오가 사망한 254년 3월 이후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무덤
5. 1. 머리 유해
성 루치오 1세의 머리 유해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성 안스가 대성당의 성해함에 안치되었다. 이 유해는 성 루치오 1세가 덴마크 질란드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되면서 1100년경 로스킬레로 옮겨졌다. 전설에 의하면, 당시 이 지역에는 악마들이 활개를 치고 있었는데 이들이 성 루치오 1세의 머리 유해 외에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함에 따라, 덴마크로 가져와 평화가 찾아왔다고 전해진다.[12] 종교 분열 이후 성 루치오 1세의 머리 유해는 코펜하겐에 있는 프레데리크 3세의 전시실로 옮겨졌다. 그곳에서 한 여성이 28년간 태중에 지녔던 석화된 태아를 비롯하여 왕의 각종 기괴한 소집품들과 함께 전시되었다가 코펜하겐 국립 미술관으로 다시 옮겨졌다. 성 루치오 1세의 머리 유해는 덴마크의 종교 분열 이후로도 보존된 몇 안 되는 성유해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노르웨이 연구원 외스테인 모르텐[7]은 루치오의 두개골이 노르웨이 왕 십자군 시구르(1090–1130)의 두개골과 혼동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이후 덴마크 국립 박물관의 전문가들이 두개골을 연구했고,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해당 두개골이 서기 340년에서 431년 사이에 살았던 사람의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루치오가 254년에 사망한 지 거의 100년 후의 시점이다. 따라서 문제의 두개골은 서기 254년경에 사망한 루치오의 것이 아니었다. 이 결과는 또한 십자군 시구르 왕의 것일 가능성도 배제한다.[8]
참조
[1]
서적
Pope St. Lucius I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2]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3]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4]
웹사이트
St. Lucius I
http://www.catholic.[...]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5]
웹아카이브
When they entered Isefjord from the Kattegat, the ship carrying the priests was attacked by a vile demon that demanded a human sacrifice in order to let them pass
https://web.archive.[...]
[6]
서적
Det gamle København
Thanning and Appel
1978
[7]
웹사이트
Øystein Morten – Spartacus Forlag
http://www.spartacus[...]
[8]
웹사이트
Skull and cross wires
https://cphpost.dk/?[...]
2014-12-15
[9]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0]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1]
웹사이트
St. Lucius I
http://www.catholic.[...]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2]
서적
Det gamle København
Thanning and Appel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