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우르바노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우르바노 1세는 222년부터 230년까지 재위한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성인이다. 그는 로마 제국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 치하에서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으며, 미사 중 신자들의 헌금을 지시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여 전설적인 일화가 많이 전해지며, 특히 독일 프랑켄 지방에서는 포도와 와인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는다. 우르바노 1세의 묘소는 프라에텍스타투스 공동묘지에 묻혔다는 설과 칼릭스투스 지하묘지에 묻혔다는 설이 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교황관을 쓰고 있는 모습 등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30년 사망 - 종요
후한 말부터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서예가였던 종요는 조조를 도와 옹주 내정을 담당했고 위나라 건국 후 상국, 태위에 올랐으며, 특히 해서체 발전에 기여하여 "해서체의 아버지"로 불린다. - 230년 사망 - 무선황후
무선황후는 기생 출신으로 조조의 첩이 되었다가 부인이 되었으며, 아들 조비가 황제가 된 후 황태후와 태황태후로 불렸고, 검소하고 지혜로운 성품으로 칭송받았으며, 230년에 사망하여 조조와 합장되었다. - 3세기 교황 - 교황 식스토 2세
교황 식스토 2세는 257년부터 258년까지 로마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했고, 아프리카 및 동방 교회와의 관계 회복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의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 3세기 교황 - 교황 스테파노 1세
교황 스테파노 1세는 254년부터 257년까지 재임한 제23대 교황으로,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 이후 배교자 재세례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가톨릭교회는 그의 축일을 8월 2일에 기념하고 흐바르와 모딜리아나 대성당의 수호성인으로 공경한다. - 3세기 대주교 - 교황 식스토 2세
교황 식스토 2세는 257년부터 258년까지 로마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했고, 아프리카 및 동방 교회와의 관계 회복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의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 3세기 대주교 - 교황 스테파노 1세
교황 스테파노 1세는 254년부터 257년까지 재임한 제23대 교황으로,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 이후 배교자 재세례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가톨릭교회는 그의 축일을 8월 2일에 기념하고 흐바르와 모딜리아나 대성당의 수호성인으로 공경한다.
교황 우르바노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교황 성인 |
이름 | 우르바노 1세 |
직함 | 로마의 주교 |
교회 | 초기 교회 |
임기 시작 | 222년 |
임기 종료 | 230년 5월 23일 |
이전 교황 | 갈리스토 1세 |
다음 교황 | 폰시아노 |
출생일 | 175년? |
출생지 | 로마 제국 로마 |
사망일 | 230년 5월 23일 |
사망지 | 로마, 로마 제국 |
축일 | 5월 25일 |
기타 | 우르바노 |
2. 교황
우르바노 1세는 비교적 순탄한 시대에 교황직을 수행했다. 그러나 히폴리토가 로마에서 대항 조직을 이끌며 교회의 분열을 획책하고 있었다. 히폴리토는 저서 《철학적 사상》을 통해 우르바노 1세의 전임자인 교황 갈리스토 1세를 비판했다.[17] 우르바노 1세는 분리주의자들을 대할 때, 갈리스토 1세의 적대적인 방침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전해진다.[15]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가 로마 제국을 통치하는 동안, 다른 황제 치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독교는 자유를 누렸고, 로마 교회는 급격하게 성장했다. 이는 우르바노 1세가 탁월한 목자라는 신망을 얻는 결과로 이어졌다. 우르바노 1세는 미사 중 신자들이 예물을 바칠 것을 지시했다고 전해진다.
우르바노 1세의 생애는 많은 부분이 수수께끼에 싸여 있어, 여러 신화와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자료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그는 재위 기간을 확실히 추정할 수 있는 최초의 교황이다.[3] 우르바노 1세의 교황 재위에 관한 두 가지 주요 자료는 에우세비우스의 초기 교회사인 교회사와 ''칼릭스투스 묘지''의 비문이다.[1] 우르바노는 222년, 엘라가발루스 황제가 암살된 해에 교황에 올랐으며,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의 통치 기간 동안 봉직했다. 세베루스가 기독교 박해를 조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르바노 1세의 교황 재위 기간은 로마 제국 내 기독교인들에게 평화로운 시기였던 것으로 여겨진다.[1]
분열을 일으킨 히폴리토스는 여전히 로마에서 경쟁하는 기독교 공동체를 이끌고 있었고, 우르바노의 전임자인 칼릭스투스 1세를 공격하는 ''필로소푸메나''를 출판했던 것으로 여겨진다.[4] 우르바노는 분열파를 다룰 때 칼릭스투스의 적대적인 정책을 유지했다고 한다.[1]
세베루스 통치 기간 동안 기독교 공동체가 상대적으로 자유를 누렸기 때문에, 로마의 교회는 성장했고, 이는 우르바노가 능숙한 개종자였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이어졌다.[4] 미사에서 신자들의 헌금에 관한 교황령은 우르바노 교황에게서 기인한다.
주님께 바치는 신자들의 예물은 교회의 목적, 기독교 공동체의 공동선,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신자들의 성별된 예물이자, 죄인들의 속죄 제물이며, 빈곤한 사람들의 재산이기 때문입니다.[5]
역사가 유세비우스도 우르바누스 1세에 대해 기록하고 있지만, 전설적인 일화 외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성 세실리아의 남편 베렐리아누스를 개종시킨 것은 우르바누스 1세라고 전해진다. 그의 시대에는 히포리토스가 로마 주교로서 자신의 정통성을 주장했기 때문에, 후세에는 히포리토스가 최초의 반교황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독일 프랑켄 지방에서는 포도와 와인의 수호성인으로 유명하다. 이에 대해서는 반대파의 박해를 받아 포도나무 그늘에 숨었으나, 화살에 맞아 순교했다는 설과, 화를 면했기 때문에 사후에 와인의 수호성인이 되겠다고 맹세했다는 설이 있다. 그 외에도 성배나 성체 접시에 금, 은을 사용하는 것을 제정하고, 그 성배를 제기로 삼았다는 설도 있다. 순교일은 5월 25일이다.
또한, 5세기경 랑그레의 주교에도 우르반(우르바누스)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이쪽의 순교일은 1월 23일이지만, 역시 포도원 주인들에게 숭배되었고, 두 사람이 언젠가 혼동되어 기념일도 5월 25일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 날에는 예전에 성대한 축제가 행해졌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성 우르반으로 분장한 사람이 말을 타고 악대와 농가 사람들과 함께 도시를 화려하게 행진하고, 권하는 와인을 마셔대다가 결국 만취했다고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와인 장수가 성 우르반의 조각상을 들고 다니거나, 주교관을 쓰고 말을 타고 행진하기도 했다. 밤에는 포도원 주인들의 연회도 열렸다. 이 축제는 순교 기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이 시기에 피는 포도꽃으로 그 해의 풍년을 점치는 농민들의 행사였으며, 교회력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다. 점차 교회의 엄격함과 어울리지 않고 소란을 일으킬 수 있는 난장판에 대해 교회나 영주가 자주 금지령을 내리게 된다. 실제로 1549년 주교 에라스무스 드 림부르와 그 2년 후인 1551년 아노 리히텐베르크(하나우 리히텐베르크) 백작에 의해 금지되었다.[12][13][14]
2. 1. 전설과 민담

우르바노 1세의 교황직 수행에 대한 당대 기록은 전무하여, 그에게 귀속되는 많은 전설과 행적은 사실 여부를 판가름하기 어렵거나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18] 이러한 이야기들은 《성녀 체칠리아 행전》과 《교황 연대표》에 주로 담겨 있지만, 그 신빙성은 의심스럽다.
한때 가톨릭교회의 성무일도서에 수록되었던 이야기에 따르면, 우르바노 1세는 성녀 체칠리아의 남편 발레리아누스와 그의 형제 티부르티우스를 포함한 많은 사람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고 한다. 또한, 기도를 통해 우상을 무너뜨리는 기적을 행했다는 전승도 전해진다.[8]
6세기경의 허구로 알려진 또 다른 믿음은 우르바노 1세가 25개의 명칭 교회를 위해 은으로 된 전례용 그릇과 제병을 만들도록 명령했다는 것이다.
독일 프랑켄 지방에서는 포도와 와인의 수호성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그가 박해를 피해 포도나무 그늘에 숨었다는 설과 관련이 있다. 성배나 성체 접시에 금, 은을 사용하는 것을 제정하고, 그 성배를 제기로 삼았다는 설도 있다.
프랑스 랑그레의 주교에도 우르바누스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이 인물 역시 포도원 주인들에게 숭배되었고, 두 사람이 혼동되어 기념일이 5월 25일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과거에는 5월 25일에 성 우르바노를 기리는 성대한 축제가 열렸다. 성 우르바노로 분장한 사람이 말을 타고 도시를 행진하거나, 와인 장수가 성 우르바노 조각상을 들고 다니는 등의 행사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는 교회력에서 인정받지 못했고, 소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교회나 영주에 의해 금지되기도 했다.[12][13][14]
2. 2. 묘소 논쟁
우르바노 1세는 프라에텍스타투스 공동묘지에 그의 이름이 새겨진 묘에 묻혔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이탈리아 고고학자 조반니 데 로시가 칼릭스투스 지하묘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우르바노 1세가 그곳에 묻혔음을 시사하는 사르코파구스의 뚜껑을 발견했다.[4][6] 데 로시는 성 칼릭스투스에 묻힌 순교자와 고백자들의 명단에서 우르바노 1세의 이름을 발견하고, 프라에텍스타투스 공동묘지에 묻힌 우르바노는 다른 주교이며, 교황 우르바노 1세는 성 칼릭스투스 지하묘지에 있다고 결론지었다.[4]많은 역사가들이 이 의견을 받아들였지만, 시크스트 3세가 성 칼릭스투스 지하묘지에 묻힌 성인들의 목록에서 우르바노 1세를 교황들의 계승 순서가 아닌 외국 주교들의 목록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교황 우르바노 1세가 실제로 프라에텍스타투스 공동묘지에 묻혔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4][6]
우르바노 1세는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의 성인이다.[7] 그의 유해 일부는 헝가리 모노크 로마 가톨릭 교회에 있는데, 1773년 클레멘스 14세가 안드라시 가문에 기증했다.
3. 문화적 영향
3. 1. 예술 작품
우르바노는 다양한 미술 작품에서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종종 교황관을 쓰고 교황의 예복을 입고 땅을 향해 겨눈 칼을 들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또는 교황 복장과 주교관을 쓰고 성경과 포도송이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도 묘사된다.[9][10] 베리 미술관의 샬리부아-밀롱에 있는 12세기 프레스코화에도 우르바노의 이미지가 있다.[11]다른 덜 흔한 묘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참수된 후, 그의 옆에 교황관이 있는 모습.
- 그가 참수되는 동안 기둥에서 우상이 떨어지는 모습.
- 기둥에 매달려 채찍질을 당하는 모습.
- 젊은 시절(성 발레리아누스)의 모습으로 풍경 속에 앉아 있는 모습이며, 한 사제가 책을 들고 그의 앞에 무릎을 꿇고 있다.
3. 2. 포도주 수호성인
참조
[1]
서적
Pope Urban I
Robert Appleton Company
[2]
웹사이트
Pope Urban I
https://www.newadven[...]
New Advent, LLC.
2022-10-09
[3]
서적
The Catholic Church: A Short History
The Modern Library
[4]
백과사전
Pope Urban I
[5]
문서
Roman Breviary
[6]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7]
웹사이트
Orthodox Calendar
https://www.holytrin[...]
null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처리 불가
[8]
문서
Roman Breviary
[9]
이미지
Portrait of Urban
http://www.wilsonsal[...]
[10]
이미지
Portrait of Urban
http://www.agrokompl[...]
[11]
이미지
Image of Pope Saint Urbanus
http://picasaweb.goo[...]
[12]
서적
ヨーロッパの祭りと伝承
講談社学術文庫
[13]
서적
守護聖者 人になれなかった神々
中公新書
[14]
웹사이트
ワイン好きなウルバンスブルーダー (果物狩りじゃー!)
http://changenavigat[...]
[15]
서적
Pope Urban I
Robert Appleton Company
[16]
서적
The Catholic Church: A Short History
The Modern Library
[17]
웹사이트
Pope Urban 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8]
문서
로마 성무일도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