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나르 자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나르 자우어는 독일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대부분을 베르더 브레멘에서 보냈다. 그는 1987-88 시즌 베르더 브레멘의 분데스리가 우승을 이끌었고, 당대 최고의 수비수이자 리베로로 평가받았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부상으로 인해 국가대표팀에서는 큰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클럽 경력으로는 베르더 브레멘에서 분데스리가 2회 우승, DFB-포칼 2회 우승, DFL-슈퍼컵 1회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VfB 올덴부르크의 축구 선수 - 미하엘 슐츠
미하엘 슐츠는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한 독일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동하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등에서 활약했고, 독일 국가대표팀에서 7경기 출전 및 올림픽 동메달, 유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스포츠 경영 및 축구 해설가로 활동했다. - VfB 올덴부르크의 축구 선수 - 미로슬라프 포타바
미로슬라프 포타바는 체코슬로바키아 출신으로 서독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VfB 올덴부르크,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SV 베르더 브레멘 등에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1. FC 우니온 베를린, SC 메펜 등의 클럽에서 지도자 생활을 했다. - 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의 축구 선수 - 디디에 시스
디디에 시스는 프랑스 국적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프랑스 국가대표팀에서 미셸 플라티니와 함께 활약하며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우승에 기여했고, 여러 클럽을 거쳐 갈라타사라이에서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토고, 모리셔스, 기니 국가대표팀을 지휘했다. - 1. FC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의 축구 선수 - 올라프 마르샬
올라프 마르샬은 동독과 독일에서 활약한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코치로, 공격수로 뛰면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분데스리가 우승을 경험하고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다.
| 구나르 자우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원어 이름 | Gunnar Sauer |
| 출생일 | 1964년 6월 11일 |
| 출생지 | 서독 쿡스하펜 |
| 키 | 1.80m |
| 포지션 | 리베로, 중앙 수비수 |
| 클럽 경력 | |
| 클럽 | 1982–1985: 베르더 브레멘 II (126경기 12골) 1984–1996: 베르더 브레멘 (134경기 8골) 1996–1998: 헤르타 베를린 (8경기 0골) 1998: 라이프치히 (12경기 0골) 1998–1999: 올덴부르크 (11경기 0골) |
| 총 출장 및 득점 | 303경기 8골 |
| 국가대표 경력 | |
| 국가대표팀 | 1987: 서독 U-21 (4경기 0골) |
2. 클럽 경력
Gunnar Sauerde는 니더작센 주 쿡스하펜 출신으로, 현역 시절 대부분을 베르더 브레멘에서 보냈다. 그의 전성기는 1986년부터 1991년까지였다. 1988년 9월 13일, 바이에른 뮌헨과의 안방 경기에서 발 부상을 당했다.[4]
1991년, 쾰른과의 DFB-포칼 결승전에서 아킬레스건이 손상되는 부상을 당해 4차례 수술을 받았고, 1994년 4월이 되어서야 복귀전을 치렀다.[4] 1991년을 기점으로, 장기간 부상으로 빠지는 일이 많았고, 주로 후보로 대기했다.
1996년, 15년 동안 몸담았던 베르더 브레멘을 떠나 헤르타 베를린으로 이적했다.[4] 2부 리그 소속 구단을 1부 리그로 복귀시켰지만,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는 못했다. 이후 라이프치히(2부 리그)와 올덴부르크(지역 리그)에서 각각 한 시즌을 보낸 후, 1999년에 35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2. 1. 베르더 브레멘
니더작센 주 쿡스하펜 출신인 자우어는 현역 시절 대부분을 베르더 브레멘에서 보냈다. 그의 전성기는 1986년부터 1991년까지였다.그는 1987-88 시즌에 베르더 브레멘의 리그 우승에 큰 공을 세웠는데, 단 22골만 내주는 "구단 역사상 손꼽히는 최고의 수비" 주축을 맡았다.[4]
1988년 9월 13일, 그는 바이에른 뮌헨과의 안방 경기에서 발 부상을 당했다.[4]
1991년을 기점으로, 자우어는 장기간 부상으로 빠지는 일이 많았고, 주로 후보로 대기하며, 베르더 브레멘에서 17번 더 분데스리가 경기를 출전하는데 그쳤다.
1991년, 자우어는 승부차기 끝에 베르더 브레멘이 우승한 쾰른과의 DFB-포칼 결승전에서 아킬레스건이 손상되는 부상을 당했다. 이 부상으로 그는 4차례 수술을 받았고, 1994년 4월이 되어서야 복귀전을 치렀다.[4]
2. 2. 말년
1996년, 자우어는 15년 동안 몸담았던 베르더 브레멘을 떠나 헤르타 베를린으로 이적했다.[4] 그는 2부 리그 소속 구단을 1부 리그로 복귀시켰지만,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는 못했다. 이후 라이프치히(2부 리그)와 올덴부르크(지역 리그)에서 각각 한 시즌을 보낸 후, 1999년에 35세의 나이로 은퇴했다.3. 국가대표팀 경력
자우어는 유로 1988을 앞두고 서독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지만, 안방에서 열린 이 대회 본선에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고, 이후에도 차출 기회가 없었다.[4]
같은 시기, 그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차출되었다. 그는 부상으로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지만, 동메달을 받았다.[1]
4. 경기 방식
당대 최고로 손꼽히는 최후방 수비수이자 리베로로 평가받는 자우어는 "우아한 공 제어력"과 뛰어난 공넘김(패스)으로 알려졌다.[4][1]
5. 경력 통계
|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대륙 | 기타 | 합계 |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 베르더 브레멘 II | 1983–84 | 1 | 0 | – | – | 1 | 0 | ||||||||||||
| 베르더 브레멘 | 1984–85 | 분데스리가 | 1 | 0 | 0 | 0 | – | – | 1 | 0 | |||||||||
| 1985–86 | 1 | 0 | 1 | 0 | – | – | 2 | 0 | |||||||||||
| 1986–87 | 25 | 1 | 2 | 0 | 2 | 0 | – | 29 | 1 | ||||||||||
| 1987–88 | 33 | 2 | 4 | 0 | 9 | 3 | – | 46 | 5 | ||||||||||
| 1988–89 | 19 | 2 | 2 | 0 | 2 | 0 | 1 | 0 | 24 | 2 | |||||||||
| 1989–90 | 18 | 2 | 3 | 0 | 5 | 2 | 0 | 0 | 26 | 4 | |||||||||
| 1990–91 | 22 | 0 | 5 | 0 | 0 | 0 | 0 | 0 | 27 | 0 | |||||||||
| 1993–94 | 1 | 0 | 0 | 0 | 0 | 0 | 0 | 0 | 1 | 0 | |||||||||
| 1994–95 | 11 | 0 | 0 | 0 | 1 | 0 | 0 | 0 | 12 | 0 | |||||||||
| 1995–96 | 3 | 1 | 0 | 0 | 0 | 0 | 0 | 0 | 3 | 1 | |||||||||
| 합계 | 134 | 8 | 17 | 0 | 19 | 5 | 1 | 0 | 171 | 13 | |||||||||
| 헤르타 BSC | 1996–97 | 2. 분데스리가 | 8 | 0 | 0 | 0 | 0 | 0 | 0 | 0 | 8 | 0 | |||||||
| VfB 라이프치히 | 1997–98 | 2. 분데스리가 | 12 | 0 | 0 | 0 | 0 | 0 | 0 | 0 | 12 | 0 | |||||||
| VfB 올덴부르크 | 1998–99 | ||||||||||||||||||
| 총합 | 154 | 8 | 17 | 0 | 19 | 5 | 1 | 0 | 191 | 13 | |||||||||
5. 1. 클럽
니더작센 주 쿡스하펜 출신인 자우어는 현역 시절 대부분을 베르더 브레멘에서 보냈다. 그의 전성기는 1986년부터 1991년까지였다.그는 1987-88 시즌에 베르더 브레멘의 리그 우승에 큰 공을 세웠는데, 단 22골만 내주는 "구단 역사상 손꼽히는 최고의 수비" 주축을 맡았다.[4]
1988년 9월 13일, 그는 바이에른 뮌헨과의 안방 경기에서 발 부상을 당했다.[4]
1991년을 기점으로, 자우어는 장기간 부상으로 빠지는 일이 많았고, 주로 후보로 대기하며, 베르더 브레멘에서 17번 더 분데스리가 경기를 출전하는데 그쳤다.
1991년, 자우어는 승부차기 끝에 베르더 브레멘이 우승한 쾰른과의 DFB-포칼 결승전에서 아킬레스건이 손상되는 부상을 당했다. 이 부상으로 그는 4차례 수술을 받았고, 1994년 4월이 되어서야 복귀전을 치렀다.[4]
|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대륙 | 기타 | 합계 | rowspan="2"| |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 베르더 브레멘 II | 1983–84 | 1 | 0 | – | – | 1 | 0 | [5] | ||||||||||||
| 베르더 브레멘 | 1984–85 | 분데스리가 | 1 | 0 | 0 | 0 | – | – | 1 | 0 | [5] | |||||||||
| 1985–86 | 1 | 0 | 1 | 0 | – | – | 2 | 0 | [5] | |||||||||||
| 1986–87 | 25 | 1 | 2 | 0 | 2 | 0 | – | 29 | 1 | [5] | ||||||||||
| 1987–88 | 33 | 2 | 4 | 0 | 9 | 3 | – | 46 | 5 | [5] | ||||||||||
| 1988–89 | 19 | 2 | 2 | 0 | 2 | 0 | 1 | 0 | 24 | 2 | [5] | |||||||||
| 1989–90 | 18 | 2 | 3 | 0 | 5 | 2 | 0 | 0 | 26 | 4 | [5] | |||||||||
| 1990–91 | 22 | 0 | 5 | 0 | 0 | 0 | 0 | 0 | 27 | 0 | [5] | |||||||||
| 1993–94 | 1 | 0 | 0 | 0 | 0 | 0 | 0 | 0 | 1 | 0 | [5] | |||||||||
| 1994–95 | 11 | 0 | 0 | 0 | 1 | 0 | 0 | 0 | 12 | 0 | [5] | |||||||||
| 1995–96 | 3 | 1 | 0 | 0 | 0 | 0 | 0 | 0 | 3 | 1 | [5] | |||||||||
| 합계 | 134 | 8 | 17 | 0 | 19 | 5 | 1 | 0 | 171 | 13 | – | |||||||||
| 헤르타 BSC | 1996–97 | 2. 분데스리가 | 8 | 0 | 0 | 0 | 0 | 0 | 0 | 0 | 8 | 0 | [5] | |||||||
| VfB 라이프치히 | 1997–98 | 2. 분데스리가 | 12 | 0 | 0 | 0 | 0 | 0 | 0 | 0 | 12 | 0 | [5] | |||||||
| VfB 올덴부르크 | 1998–99 | |||||||||||||||||||
| 총합 | 154 | 8 | 17 | 0 | 19 | 5 | 1 | 0 | 191 | 13 | – | |||||||||
6. 수상
| 구단 | 대회 | 시즌 | 비고 |
|---|---|---|---|
| 베르더 브레멘 | 분데스리가 | 1987–88,[4] 1992–93 | 우승 |
| DFB-포칼 | 1990–91,[4] 1993–94 | 우승 | |
| DFB-포칼 | 1988–89, 1989–90 | 준우승 | |
| DFL-슈퍼컵 | 1988[6] | 우승 | |
| 독일 | 하계 올림픽 | 1988[4] | 3위 |
6. 1. 베르더 브레멘
니더작센 주 쿡스하펜 출신인 자우어는 현역 시절 대부분을 베르더 브레멘에서 보냈다. 그의 전성기는 1986년부터 1991년까지였다.그는 1987-88 시즌에 베르더 브레멘의 리그 우승에 큰 공을 세웠는데, 단 22골만 내주는 "구단 역사상 손꼽히는 최고의 수비" 주축을 맡았다.[4]
1988년 9월 13일, 그는 바이에른 뮌헨과의 안방 경기에서 발 부상을 당했다.[4]
1991년을 기점으로, 자우어는 장기간 부상으로 빠지는 일이 많았고, 주로 후보로 대기하며, 베르더 브레멘에서 17번 더 분데스리가 경기를 출전하는데 그쳤다.
1991년, 자우어는 승부차기 끝에 베르더 브레멘이 우승한 쾰른과의 DFB-포칼 결승전에서 아킬레스건이 손상되는 부상을 당했다. 이 부상으로 그는 4차례 수술을 받았고, 1994년 4월이 되어서야 복귀전을 치렀다.[4]
6. 2. 독일
자우어는 1988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를 앞두고 서독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지만, 안방에서 열린 이 대회 본선에 출전 기회를 잡지 못했고, 이후에도 차출 기회가 없었다.같은 시기, 그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차출되었다. 그는 부상으로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지만, 동메달을 받았다.[4]
참조
[1]
뉴스
Bremens Beckenbauer
https://www.weser-ku[...]
Weser Kurier
2017-10-07
[2]
웹사이트
Gunnar Sauer » Club matches
http://www.worldfoot[...]
2018-08-01
[3]
웹사이트
Deutscher Supercup, 1988, Finale
https://www.dfb.de/s[...]
dfb.de
2014-10-16
[4]
뉴스
Bremens Beckenbauer
https://www.weser-ku[...]
Weser Kurier
2017-10-07
[5]
웹인용
Gunnar Sauer » Club matches
http://www.worldfoot[...]
2018-08-01
[6]
웹인용
Deutscher Supercup, 1988, Finale
https://www.dfb.de/s[...]
dfb.de
2014-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