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킬레스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킬레스건은 다리 뒤쪽 아래에 위치한 힘줄로, 종아리 근육을 발꿈치 뼈에 연결하며, 그리스 신화의 영웅 아킬레우스의 치명적인 약점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아킬레스건은 1693년 플랑드르/네덜란드 해부학자 필립 베르헤옌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으며, 발목의 저굴을 가능하게 하고 자세 감각에도 기여한다. 의학적으로는 아킬레스건염, 아킬레스건증, 파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학적 검사에도 활용된다. 또한, 스포츠와 관련된 부상 및 관절 기술과도 연관되며, 다른 동물에서도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킬레우스 - 캡틴 마블 (DC 코믹스)
캡틴 마블은 DC 코믹스에서 출판하는 만화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로, 고아 소년 빌리 뱃슨이 마법사 샤잠의 이름을 외쳐 초능력을 가진 성인 영웅으로 변신하는 설정을 가지며, 만화 황금기 동안 인기를 누렸으나 저작권 소송으로 중단 후 DC 코믹스에 의해 "샤잠!"으로 부활하여 현재 DC 유니버스의 주요 캐릭터이다. - 아킬레우스 - 멤논
멤논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에티오피아의 왕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와 싸우다 죽음을 맞이하고, 그의 어머니 에오스는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며 제우스에게 불멸성을 간청하여 멤논의 부하들은 멤노니데스라는 새가 되었다. - 하지해부학 - 넓적다리
넓적다리는 대퇴골을 중심으로 근막에 의해 세 개의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의 근육들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대퇴동맥과 폐쇄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으며, 다양한 질환 및 사회문화적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 하지해부학 - 발
발은 척추동물의 다리 끝부분으로,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등으로 이루어져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사람의 발은 직립보행에 적합한 구조와 아치를 가지고 있고, 측정 단위나 관용구 등 다양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 근육계 - 힘줄
힘줄은 건세포로 이루어진 밀집규칙결합조직으로, 근육과 뼈를 연결하여 힘을 전달하며, I형 콜라겐 섬유와 프로테오글리칸으로 구성되어 탄성과 강도를 가지며, 위치 힘줄과 에너지 저장 힘줄로 기능이 나뉘고, 손상 시 염증, 수복/증식, 개조 단계를 거쳐 치유되며, 과거에는 섬유로 활용되고 일부 문화권에서는 식용으로도 사용되었다. - 근육계 - 단백질 보충제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 훈련과 함께 섭취 시 근육량 증가 및 근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과체중인 사람의 체중 및 지방 감소, 노인의 단백질 섭취 요구량 충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아킬레스건 | |
---|---|
개요 | |
![]() | |
이름 | 아킬레스건 |
라틴어 | tendo calcaneus, tendo Achillis |
위치 | 다리 아래쪽 뒤쪽 |
세부 정보 | |
기능적 해부 | 종아리근과 가자미근에서 발꿈치뼈로 이어짐 |
역할 | 발바닥 굽힘에 중요 |
임상적 중요성 | 아킬레스건 파열, 아킬레스건염 |
2. 유래
고대 그리스의 전설적인 영웅 아킬레우스는 어머니인 바다의 여신 테티스가 저승의 스틱스 강에 담가 상처를 입지 않는 무적의 몸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테티스가 잡고 있었던 발목 부분은 강물에 닿지 않았기 때문에, 발목 뒤 힘줄은 아킬레우스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유일한 부분으로 남았다. 이후 트로이 전쟁에서 파리스가 쏜 화살을 뒤꿈치에 맞고 아킬레우스가 죽었다는 이야기에서 이 힘줄의 이름이 유래했으며,[40] 여기서 아킬레스건은 치명적인 약점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2. 1. 의학적 기록
아킬레스건이 아킬레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1693년 플랑드르/네덜란드 해부학자 필립 베르헤옌에 의해 기록되었다. 베르헤옌은 그의 저서 Corporis Humani Anatomiala에서 힘줄의 위치를 묘사하고 그것이 일반적으로 "아킬레스의 끈"이라고 불린다고 말했다.[8][9] 이 힘줄은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묘사되었는데, 히포크라테스는 tendo magnus|텐도 마그누스la (라틴어로 "큰 힘줄")라고 불렀으며, 베르헤옌 이전의 해부학자들은 chorda Hippocratis|코르다 히포크라티스la (라틴어로 "히포크라테스의 끈")이라고 불렀다.[9]베르헤옌은 아킬레우스가 아기였을 때 그의 어머니 테티스가 그를 스틱스 강에 담가 그의 몸을 무적으로 만들었던 신화적 이야기를 언급했다. 테티스가 아킬레우스를 잡았던 발 뒤꿈치는 물에 닿지 않았기 때문에, 그곳은 그의 유일한 약점이었고 (따라서 "아킬레스의 건"이라는 표현이 생겨났다) 결국 아킬레우스는 발 뒤꿈치에 독 화살을 맞아 죽었다. 따라서 이 이름은 이 힘줄 부상의 특히 무능하고 고통스러운 영향력을 나타낸다.[9] 첫 번째 폐쇄성 파열은 앙브루아즈 파레에 의해 16세기에 묘사되었다.[9]
아킬레스건은 tendo calcaneus|텐도 칼카네우스la (라틴어로 "발꿈치 힘줄")이라고도 알려져 있다.[9] 이름씨 (사람과 관련된 이름)는 주제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부학적 이름씨는 과학적으로 설명적인 용어를 가지고 있다. 'calcaneal'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calcaneum|칼카네움l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발꿈치를 의미한다.
3. 구조
아킬레스건은 근육을 뼈에 연결하는 힘줄의 일종으로, 다리 뒤쪽 아래에 위치한다.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을 종골의 종골 결절에 연결한다.[10] 힘줄은 종아리 중간 부근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며, 종골 뒤쪽 중간 부분에 붙는다. 가장 좁은 부분은 힘줄이 붙는 지점에서 위로 약 4cm 정도이다.[12]
힘줄은 근막과 피부로 덮여 있으며 뼈 뒤쪽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힘줄과 종골 사이에는 성긴결합조직과 지방 조직으로 채워진 공간이 있고, 활액낭은 힘줄과 종골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다. 길이는 약 15cm이다.
근육 측면에는 작은 saphenous 정맥이 지나가고, 비골신경은 작은 saphenous 정맥을 따라 내려오다 아킬레스건의 외측 경계를 가로지를 때 바깥쪽 아래로 이동한다.[11] 아킬레스건은 인체에서 가장 두꺼운 힘줄로,[12] 보행 시 체중의 3.9배, 달리기 시 체중의 7.7배에 달하는 하중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13]
아킬레스건은 사람의 장딴지 세 갈래근이 종골에 부착된 부분으로, 약 15cm 길이의 밧줄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힘줄이다.[40] 위쪽은 굵고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장딴지 세 갈래근 중 가자미근은 안쪽 머리와 바깥쪽 머리의 두 갈래로 나뉘어 위쪽은 넙다리뼈 아래쪽에 연결되고, 아래쪽은 가자미근 아래에 있는 가자미근과 합류하여 종아리 중간에서 아킬레스건을 형성하여 종골에 연결된다.
3. 1. 혈액 공급
아킬레스건의 혈액 공급은 대부분 후경골 동맥의 재발성 가지와 주변 근육을 통과하는 동맥 가지를 통해 이루어져 원활하지 않다.[12] 이로 인해 아킬레스건은 인체에서 가장 큰 힘줄임에도 불구하고, 일단 통증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려워지기 쉽다.[41]4. 기능
아킬레스건은 장딴지 세 갈래근이 종골에 부착된 부분으로, 길이 약 15cm의 굳건한 밧줄 모양을 한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힘줄이다.[40] 위쪽은 굵고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보행, 질주, 도약 등 운동 시 발끝을 차올릴 때 발뒤꿈치를 들어 올리거나, 착지 시 발끝을 땅에 디디는 등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힘을 주어 버티는 등 순간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면 염증이나 아킬레스건 파열 등의 외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전에는 아킬레스건을 꼼꼼히 늘리는 스트레칭이 권장된다. 또한, 혈관이 부족하여 통증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려워지기 쉽다.[41]
아킬레스건 반사는 척수 반사의 하나로, 신경 질환 감별에 사용된다. 특히 길랭-바레 증후군이나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척수 손상에 유용하다.
4. 1. 자세 감각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은 아킬레스건을 통해 발목에서 발을 아래로 굽히는 작용을 일으킨다. 이 작용은 발바닥을 다리 뒤쪽에 더 가깝게 한다. 장딴지근은 또한 무릎에서 다리를 굴곡시킨다. 두 근육 모두 경골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14] 힘줄 섬유는 약 90도 정도 꼬여있기 때문에, 장딴지근에서 나온 섬유는 뼈의 바깥쪽에, 가자미근에서 나온 섬유는 정중선에 더 가깝게 붙는 경향이 있다.[12]시각 없이 힘줄을 진동시키면 인체 자세의 방향 감각에 큰 영향을 준다.[15] 힘줄 진동은 몸을 뒤로 움직이게 하고, 서 있는 사람에게는 몸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듯한 환상을 일으킨다.[16] 이는 진동이 종아리 근육의 근방추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근방추는 뇌에 몸이 앞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알리고, 이에 따라 중추 신경계는 몸을 뒤로 움직여 보상한다.
5. 임상적 중요성
아킬레스건은 부상이나 질병에 취약하며, 이와 관련된 여러 임상적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 아킬레스건염: 아킬레스건염은 아킬레스건에 생기는 염증이다. 건병증을 동반하며, 운동 시 악화되고 주로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흔한 증상으로는 아킬레스건 주변의 날카로운 통증과 부종이 있으며,[25][18][19] 통증은 운동 시작 시 심해졌다가 감소한다.[20] 발목 뻣뻣함도 동반될 수 있고,[17] 이러한 증상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25]
- 아킬레스건증: 아킬레스건 변성(tendinosis)은 MRI나 초음파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 힘줄이 두꺼워지거나, 힘줄주위염, 후종골 또는 후아킬레스 점액낭염 등으로 인해 주변 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힘줄 내부에서는 혈류 증가, 힘줄 섬유 배열 이상, 부분 파열 등이 관찰될 수 있다.
- 아킬레스건 파열: 아킬레스건 파열은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는 현상이다.[28] 발꿈치에 갑작스러운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나며, 건이 끊어질 때 '퍽'하는 소리가 들릴 수 있고 보행이 어려워진다.[25][26]
- 힘줄 황색종: 힘줄 황색종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지질 대사 장애 환자의 아킬레스건에 주로 발생하는 콜레스테롤 침착물이다.[32]
- 신경학적 검사: 신경학적 검사 시 건 반사 망치로 아킬레스건을 두드려 S1 및 S2 척수 신경을 검사한다. 정상적인 반응은 발의 족저 굴곡(아래쪽 움직임)이다.[33] 아킬레스건 반사는 척수 반사의 일종으로, 길랭-바레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척수 손상과 같은 신경 질환 진단에 활용된다.
아킬레스건은 강한 힘줄이지만 혈관 분포가 적어 손상 시 회복이 더딜 수 있다.[41] 따라서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부상을 예방하고, 통증 발생 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5. 1. 염증 (아킬레스건염)
아킬레스건에 생긴 염증은 아킬레스건염이라고 불린다. 아킬레스 건병증은 건에 통증이나 뻣뻣함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특히 운동할 때 심해지며 일반적으로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17] 가장 흔한 증상은 아킬레스건 주변의 날카로운 통증과 부종이다.[25][18][19] 통증은 보통 운동 시작 시점에 심해졌다가 감소한다.[20] 발목이 뻣뻣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7]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점진적으로 나타난다.[25]아킬레스건염은 흔히 달리기와 같은 과사용 때문에 발생한다.[17][20]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외상, 운동 부족, 하이힐, 류마티스 관절염, 플루오로퀴놀론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계열 약물 복용 등이 있다.[25] 진단은 일반적으로 증상과 신체 검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20]
스트레칭과 종아리 근육 강화 운동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는 부족하다.[21][22][23] 치료는 보통 휴식, 얼음찜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복용, 물리 치료 등을 포함한다.[17][25] 힐 리프트나 보조기도 도움이 될 수 있다.[17][20] 만약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17] 아킬레스건염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다.[17]
5. 2. 퇴행성 변화 (아킬레스건증)
아킬레스건 변성(tendinosis)은 일반적으로 MRI 또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조사한다. 두 경우 모두 힘줄이 두꺼워지고, 힘줄주위염, 후종골 또는 후아킬레스 점액낭염의 존재로 주변 염증이 나타날 수 있다. 힘줄 내부에서는 혈류 증가, 힘줄 섬유의 무질서, 부분 두께 파열 등이 확인될 수 있다. 아킬레스건증은 종종 힘줄의 중간 부분을 포함하지만, 삽입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부착부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부착부병증은 노화와 함께 나타날 수 있지만, 통풍과 같은 관절염 및 척추관절병증과 관련이 있다. 아킬레스건증은 종아리 근육 파열의 알려진 위험 요소이다.[24]5. 3. 파열
아킬레스건 파열은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는 경우를 말한다.[28] 증상으로는 발꿈치에 갑작스러운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나며, 건이 끊어질 때 찰칵하는 소리가 들릴 수 있고 걷기가 어려워진다.[25][26]파열은 일반적으로 종아리 근육이 사용될 때 발이 갑자기 위로 굽혀지거나, 직접적인 외상, 또는 오랫동안 지속된 건염으로 인해 발생한다.[26][28]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플루오로퀴놀론 사용, 운동량의 큰 변화,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 등이 있다.[27][28] 진단은 일반적으로 증상과 신체 검사를 바탕으로 하며, 의료 영상으로 뒷받침된다.[28]
아킬레스건 파열은 연간 인구 1만 명당 약 1명꼴로 발생하며, 남성이 여성보다 더 흔하게 영향을 받는다. 주로 30대에서 50대 사이의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다.[27][28]
예방 방법으로는 활동 전에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있다.[26] 치료는 수술이나 발가락을 약간 족저 굴곡시킨 상태에서 정형용 석고 붕대로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28][29] 비교적 빠른 체중 부하(4주 이내)는 허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29][30] 석고 고정 시 재파열 위험은 약 25%이다.[28] 부상 후 4주 이내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과가 좋지 않다.[31]
아킬레스건은 힘을 주어 버티는 등 순간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면 염증이나 파열 등의 외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전에는 아킬레스건을 꼼꼼히 늘리는 스트레칭이 권장된다. 또한, 인체에서 가장 큰 힘줄임에도 불구하고 혈관이 부족하여, 일단 통증이 발생하면 치료가 어려워지기 쉽다.[41]
5. 4. 황색종
힘줄 황색종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지질 대사 장애가 있는 사람의 아킬레스건에 흔히 생기는 콜레스테롤 침착물이다.[32]5. 5. 신경학적 검사
아킬레스건은 신경학적 검사의 일부로 종종 검사된다. 이 검사에서는 건 반사 망치로 아킬레스건을 타진한다. 이는 S1 및 S2 척수 신경을 검사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반응은 발의 족저 굴곡 (아래쪽 움직임)이다.[33]아킬레스건 반사는 척수 반사의 하나로, 길랭-바레 증후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척수 손상과 같은 신경 질환 감별에 사용된다.
6. 기타
Achilles tendon영어이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영웅 아킬레우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테티스는 아킬레우스를 불사신으로 만들기 위해 스틱스강에 담갔는데, 이때 테티스가 잡고 있던 발뒤꿈치 부위는 강물에 닿지 않아 약점으로 남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1]
소의 아킬레스건은 우족이라고 하여 각종 조림 요리에 이용된다. 사슴의 아킬레스건을 말린 것은 예로부터 한약에서는 녹근이라 하여 한습 치료에 이용되었다.[42]
6. 1. 스포츠와 아킬레스건
아킬레스건 파열은 스포츠 외상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이다.[40] 프로 레슬링 등의 격투기에서 사용되는 관절 기술에는 아킬레스건 굳히기가 있다. 토끼뜀은 한때 이 힘줄을 단련하는 데 유효하다고 여겨졌지만, 최근 스포츠 의학에서는 무리한 자세로 반복해서 강한 부하를 주는 것에 대한 해로움이 지적되고 있다.6. 2. 다른 동물의 아킬레스건
긴팔원숭이와 사람의 아킬레스건은 길다.[38] 이는 뜀뛰기,[39] 걷기, 달리기에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38] 컴퓨터 모델은 아킬레스건의 에너지 저장이 최고 속도를 80% 이상 증가시키고, 달리기 비용을 4분의 3 이상 줄인다고 제시한다.[38] 아프리카 유인원 이외의 동물에게 잘 발달된 아킬레스건이 없다는 것은 이들이 고속으로, 그리고 장거리를 효과적으로 달리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주장이 있다.[38]소의 아킬레스건은 우족이라고 하여 각종 조림 요리에 이용된다.
사슴의 아킬레스건을 말린 것은 예로부터 한약에서는 녹근이라 하여 한습 치료에 이용되었다.[42]
참조
[1]
논문
Functional anatomy of the Achilles tendon
2010-05-01
[2]
서적
Elements of human anatomy: general, descriptive, and practical
https://archive.org/[...]
Lippincott, Grambo, and Co.
[3]
서적
McGlamry's comprehensive textbook of foot and ankle surger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06-01
[4]
서적
Robert Kennedy's Musclemag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Bodybuilding: The Ultimate A-Z Book on Muscle Building!
https://archive.org/[...]
Musclemag International
[5]
서적
Fascia: The Tensional Network of the Human Body: The science and clinical applications in manual and movement therapy
Elsevier Health Sciences
2013-02-01
[6]
서적
Muscles
https://archive.org/[...]
Heinemann Library
2003-06-27
[7]
서적
The Amazing Language of Medicine: Understanding Medical Terms and Their Backstor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1-01
[8]
문서
Corporis humani anatomia
https://archive.org/[...]
Aegidium Denique
2018-03-12
[9]
논문
The early history of tendo Achillis and its rupture
2007-04-01
[10]
서적
Elsevier's integrated anatomy and embryology
Elsevier Saunders
2007-01-01
[11]
논문
Locating the sural nerve during calcaneal (Achilles) tendon repair with confidence: a cadaveric study with clinical applications
2013-01-01
[12]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01-01
[13]
논문
Calcaneal loading during walking and running
2000-03-01
[14]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15]
논문
Effects of bilateral Achilles tendon vibration on postural orientation and balance during standing
2007-11-01
[16]
논문
Effect of Achilles tendon vibration on postural orientation
2007-04-01
[17]
웹사이트
Achilles Tendinitis
https://orthoinfo.aa[...]
2018-07-04
[18]
논문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el pai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revision 2010
2010-05-01
[19]
논문
Heel Pain: Diagnosis and Management
https://pubmed.ncbi.[...]
2018-01-01
[20]
웹사이트
Achilles Tendinitis
https://www.msdmanua[...]
2018-06-27
[21]
논문
Stretching for prevention of Achilles tendon injur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12-01
[22]
논문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tendinopathy: A systematic review
2016-03-01
[23]
웹사이트
Achilles tendinitis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18-06-27
[24]
논문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injuries to the calf muscle complex
2007-10-01
[25]
논문
Common Soft Tissue Musculoskeletal Pain Disorders
2018-06-01
[26]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7]
웹사이트
Achilles Tendon Tears
https://www.msdmanua[...]
2018-06-26
[28]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6 E-Book: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01-01
[29]
논문
Effect of Early Versus Late Weightbearing in Conservatively Treated Acute Achilles Tendon Rupture: A Meta-Analysis
2018-03-01
[30]
논문
Rerupture rate after early weightbearing in operative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 of Achilles tendon ruptures: a meta-analysis
2012-01-01
[31]
논문
Management of chronic ruptures of the Achilles tendon
2008-06-01
[32]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012-01-01
[33]
서적
Clinical Examination: A Systematic Guide to Physical Diagnosis
Elsevier India
[34]
웹사이트
Achilles tendinopathy
https://emiratesinte[...]
2020-10-20
[35]
논문
Achilles tendon disorders
2014-03-01
[36]
논문
Radiographic, clinica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of insertional Achilles tendinopathy
2014-03-00
[37]
논문
Treatment for insertional Achilles tendinopathy: a systematic review
2013-06-00
[38]
논문
Evolutionary Robotic Approaches in Primate Gait Analysis
[39]
논문
In vivo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uman Achilles tendon during one-legged hopping
2005-12-00
[40]
간행물
アキレス腱断裂の治療 - 本誌91号特集で語られたこと(要約版)
Book House HD
[41]
간행물
臨床雑誌整形外科≪月刊≫整形外科(Vol.62 No.1)
2011-01-00
[42]
논문
琉球におけるシカの利用と移入の目的について(補遺)
http://okinawa-repo.[...]
沖縄地域学リポジトリ
[43]
뉴스
<우리말 다듬기>‘아킬레스건’은 ‘치명(적)약점’
http://news.nate.com[...]
동아일보
2010-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