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드노 가란히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이드노 가란히르는 영국 섬의 13가지 보물 중 하나인 바구니의 주인이었던 인물이다. 그는 전설에 따르면 현재의 카디건 만에 위치했던 수몰된 땅인 ''칸트레르 과엘로드(Cantre'r Gwaelod)''의 영주였으며, 그의 요새는 오늘날의 아베리스트위스 북서쪽에 위치한 ''카에르 구이드노''(Gwyddno의 요새)였다. 칸트레르 과엘로드의 멸망은 수문 관리인 세이테닌의 실수로 바다가 밀려들어와 발생했다. 구이드노는 내륙 지역으로 피신했으며, 18세기의 웨일스인 고고학자인 이올로 모건웍에 의해 '케레디기온의 왕'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는 여러 다른 역사적 구이드노와 동일시되며, 16세기 작가들은 6세기 후반 메이리어니드의 왕인 구이드노 압 클리드노를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았다. 수잔 쿠퍼의 ''어둠은 걷히고'' 시리즈에서 구이드노는 '나무 위의 은'에 나오는 잃어버린 땅의 왕으로 등장한다. 그의 이름은 웨일스어로 "키 큰 학"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리에신 - 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
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는 9세기에서 12세기에 편찬된 54면의 웨일스어 코덱스로, 고대 북부 웨일스 영웅들의 전통, 아서 왕과 멀린의 전설, 게린트 아들 에르빈의 비가 등 다양한 시와 산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자외선 램프 연구를 통해 알려지지 않았던 텍스트가 발견되기도 했다. - 후로마 브리튼의 군주 - 아서왕
아서왕은 5~6세기 브리튼의 전설적인 왕으로,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12세기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통해 아서 왕 전설이 정립되어 중세 문학 전통에서 널리 다루어졌다. - 후로마 브리튼의 군주 - 킨리치
킨리치는 6세기 웨섹스 왕국의 왕으로 추정되나, 그의 통치 기간, 족보, 실존 여부에 대한 역사적 근거는 학계에서 논쟁 중이며, 윌트셔 지역 확장, 올드 새럼 점령, 베런부르흐 전투 승리 등의 업적이 있다고 전해진다.
구이드노 가란히르 | |
---|---|
기본 정보 | |
웨일스어 | Gwyddno Garanhir |
로마자 표기 | Gwyddno Garanhir |
통치 | |
직함 | 왕 |
국가 | 칸트레르 그웰로드 |
통치 시기 | 6세기 |
가족 | |
아버지 | 글라스 케린히르 |
배우자 | 없음 |
자녀 | 엘핀 압 그위드노 |
2. 전설
구이드노 가란히르는 영국 섬의 13가지 보물 중 하나인 바구니와 관련된 전설을 가지고 있다.
2. 1. 칸트레르 과엘로드의 멸망
전통에 따르면 구이드노는 현재의 카디건 만에 있는 '칸트레르 과엘로드(Cantre'r Gwaelod)' (저지대 백(Cantref))의 영주였다고 한다. 그의 주요 요새는 오늘날의 아베리스트위스 북서쪽에 위치한 '카에르 구이드노'(Gwyddno의 요새)라고 한다. 이 왕국 전체는 해수면 상승 전에 닫아야 하는 수문으로 바다로부터 보호받았다. 어느 날 홍수 방지문의 관리인인 세이테닌은 술에 취해 수문을 닫지 못했고, 그 결과 바다가 밀려들어와 땅을 덮었다.구이드노가 수몰된 땅에 대한 이야기는 자연적인 수중 능선을 해안 방벽의 잔해로 식별하면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구이드노는 그의 왕국의 내륙 지역을 할당받아 그곳으로 피신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18세기의 웨일스인 고고학자인 이올로 모건웍에 의해 '케레디기온의 왕'으로 불렸는데, 이올로 모건웍은 문학 위조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왕국의 고대 웨일스어 족보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는 다양한 출처에서 여러 다른 역사적 구이드노와 동일시된다. 16세기 작가들은 6세기 후반 메이리어니드의 왕인 구이드노 압 클리드노를 선호했으며, 그가 가장 유력한 후보일 것이다.
2. 2. 수몰 이후
영국 섬의 13가지 보물 중 하나인 구이드노 가란히르의 바구니가 있던 칸트레르 과엘로드(저지대 백)의 영주였던 구이드노는 오늘날의 아베리스트위스 북서쪽에 위치한 '카에르 구이드노'(구이드노의 요새)를 주요 요새로 삼았다. 이 왕국은 수문으로 바다로부터 보호받았는데, 어느 날 홍수 방지문 관리인 세이테닌이 술에 취해 수문을 닫지 않아 바닷물이 밀려와 땅을 덮쳤다.구이드노가 수몰된 땅에 대한 이야기는 자연적인 수중 능선을 해안 방벽의 잔해로 식별하면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구이드노는 왕국의 내륙 지역을 할당받아 피신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는 18세기 웨일스인 고고학자인 이올로 모건웍에 의해 '케레디기온의 왕'으로 불렸지만, 고대 웨일스어 족보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는 여러 출처에서 다른 역사적 구이드노와 동일시되는데, 16세기 작가들은 6세기 후반 메이리어니드의 왕인 구이드노 압 클리드노를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았다.
수잔 쿠퍼의 ''어둠은 걷히고'' 시리즈에서 구이드노는 '나무 위의 은'에 나오는 잃어버린 땅의 왕으로 등장한다.
3. 이름의 의미
그의 이름은 웨일스어로 "구이드노 롱크랭크스"(Gwyddno Long-Shanks), "크레인-레그스"(Crane-Legs), 또는 문자 그대로 "키 큰 학"을 의미한다.
4. 대중문화
수잔 쿠퍼의 ''어둠은 걷히고'' 시리즈에서 구이드노는 '나무 위의 은'에 나오는 잃어버린 땅의 왕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