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킨리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리치는 534년부터 560년까지 웨섹스 왕국을 통치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이름은 "족속의 지배자"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개-왕"을 의미하는 브리튼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킨리치는 495년 아버지 체르디치와 함께 영국에 도착했으며, 552년 올드 세럼을 공격하고 556년에는 아들 체울린과 함께 베런부르흐에서 브리튼족과 싸워 승리했다. 그러나 연대기 기록의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그의 가계에 대해서도 이견이 존재한다. 2004년 영화 《킹 아서》에서는 색슨족 침략자로 묘사되어 란슬롯에게 죽임을 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로마 브리튼의 군주 - 아서왕
    아서왕은 5~6세기 브리튼의 전설적인 왕으로, 역사적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12세기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를 통해 아서 왕 전설이 정립되어 중세 문학 전통에서 널리 다루어졌다.
  • 후로마 브리튼의 군주 - 구이드노 가란히르
    구이드노 가란히르는 웨일스 전설 속 칸트레르 과엘로드의 통치자로, 항상 충분한 양의 음식을 제공하는 '구이드노의 바구니'와 관련되며, 일각에서는 그를 7세기 데메티아 왕국의 왕 구이드노르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 잉글랜드의 영웅전설 - 고다이바 부인
    고다이바 부인은 11세기 영국의 귀족 여성으로, 남편의 가혹한 세금 정책에 반대하여 알몸으로 말을 타고 마을을 돌며 세금 감면을 요구한 전설적인 인물이다.
  • 잉글랜드의 영웅전설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는 9세기 스칸디나비아와 서유럽에서 활동한 전설적인 바이킹 영웅으로, 뛰어난 전사이자 전략가로 묘사되며, 845년 파리 약탈과 잉글랜드 침략을 통해 명성을 얻었고, 바이킹 시대를 대표하는 영웅으로 다양한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560년 사망 - 북주 명제
    북주 명제는 우문태의 맏아들로 효민제 폐위 후 옹립되어 천왕을 칭하다 황제가 되었으나 우문호에 의해 독살당했다.
  • 560년 사망 - 클로도알두스
    클로도알두스는 프랑크 왕족 출신으로 삼촌들의 음모로 형제들이 살해당한 후 종교적인 삶을 선택하여 파리의 주교에게 서품을 받고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킨리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왕위웨섹스의 왕
통치 기간534년–560년
사망560년
왕가웨섹스 가문
아버지케르디치 또는 크레오다
자녀체울린
쿠타 또는 쿠트울프

2. 이름의 어원

킨리치라는 이름은 표면적으로는 "족속의 지배자"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이름의 일반적인 고대 영어 형태는 'Cyneric'이다. 킨리치의 선임자인 체르디크와 후임자인 케울린이 모두 켈트어 이름을 가졌다는 일부 학자들의 제안에 따라[10] "개-왕"을 의미하는 브리튼어 "Cunorix"에서 유래했다는 다른 어원이 제기되었다(이는 고대 웨일스어의 'Cinir', 중세 웨일스어의 'Kynyr'로 발전했다).[5][6][7] 킨리치(Cynric)이라는 이름은 "Kin-ruler"라는 오래된 어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의 전임자인 체르디치와 후임인 체울린 모두 켈트 이름을 가졌듯[19] 킨리치라는 뜻의 어원도 브리튼어의 "Cunorix"(뜻은 Hound-king이라는 뜻으로, 키니르/Cinircy, 중세 웨일스어에서는 키니르/Kynyrcym로 발전했을 것이라 보고 있음.)라는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21][22][23]

2. 1. 브리튼어 어원설

킨리치(Cynric)이라는 이름은 "Kin-ruler"라는 오래된 어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의 전임자인 체르디치와 후임인 체울린 모두 켈트 이름을 가졌듯[19] 킨리치라는 뜻의 어원도 브리튼어의 "Cunorix"(뜻은 Hound-king이라는 뜻으로, 키니르/Cinircy, 중세 웨일스어에서는 키니르/Kynyrcym로 발전했을 것이라 보고 있음.)라는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21][22][23]

3. 정복 활동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의하면 체르디치와 킨리치는 다섯 척의 배와 함께 495년 사우샘프턴 근처에 도착하였다고 한다.[17][18][8][9] 연대기는 체르디치와 킨리치는 Ealdormen(왕이 임명한 영토를 다스리는 관리)로 묘사되지만, 519년 게위새(7세기 말 이전의 웨스트 색슨족의 명칭)에 대한 통치만을 했다고 한다.[19][10] 이는 킨리치가 왕실의 지도자는 아니었고, 킨리치와 아버지인 체르디치가 후에 웨식스의 중심지를 정복했다고 기록이 되었을 때 진짜 왕위에 올랐다는 것을 알려준다.

4. 통치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기술된 바에 따르면, 킨리치는 552년에 솔즈베리 근처에 위치해 있던 올드 세럼을 공격하였고, 556년에는 킨리치가 자신의 아들인 체울린을 데리고 현재 바버리 성으로 확인된 베런부르흐(Beranburh)에서 브리튼족과 싸워서 승리했다고 한다.[20][11] 만약 이 날짜가 정확하다면, 킨리치가 495년에 아버지 체르디치와 함께 영국에 도착했다는 등의 웨섹스 왕국 초기 날짜들은 잘못 표기가 된 것이다. 데이비드 덤빌은 이 연도를 554년부터 581년까지라고 제안했고[11] 몇몇 사람들은 단지 체울린과 킨리치가 친척이거나 후대의 웨섹스 왕국 혈통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킨리치의 아들이라는 걸 암시한 것이라고 말한다.[18][9]

4. 1. 연대기 기록의 문제점

체르디치와 함께 브리튼 섬에 상륙하여 웨섹스 왕국을 창설했다고 전해지지만, 체르디치와 마찬가지로 존재 자체에 대한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 재위 기간은 534년부터 560년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있다[13]

여기서는 그가 체르디치의 아들로 언급되지만, 동시에 기록된 왕조의 재위 왕 목록에서는 그가 체르디치의 아들 크레오다(Creoda of Wessex)의 아들, 즉 그의 손자로 되어 있어 일치하지 않는다.

그의 통치 기간에 웨섹스 왕국은 솔즈베리 근교의 올드 사럼(Old Sarum)을 552년에 공략했고, 556년에는 아들 체울린과 함께 브리튼인과 싸워 베란브루흐(Beranburh, 또는 베란 뷔르그 Beran Byrg)를 공략했다. 하지만, 만약 이 사건의 연대가 옳다면, 연대기에 기록된 495년에 그가 체르디치와 함께 브리튼 섬에 상륙했다는 기술은 사실과 다르다.

4. 2. 가계 논란

5.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2004년 영화 《킹 아서》에서 킨리치는 색슨 침략자로 묘사되었으며, 바돈 산 전투에서 란슬롯에게 죽임을 당한다.[14] 킨리치 역은 배우 틸 슈바이거가 맡았다.[14]

참조

[1] 문서 According to the Online DNB article on Ceol, he was the son of Cutha (probably Cuthwulf) and grandson of Cynric
[2]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eval Warfare Routledge
[3] 서적 Arthurian Figures of History and Legend: A Biographical Dictionary McFarland
[4] 논문 "The West Saxon Genealogical Regnal List and the Chronology of Early Wessex"
[5] 문서 Clemoes, p. 30
[6] 문서 Whittock, p. 193
[7] 문서 Sims-Williams, p. 30
[8] 문서 A theory specifically identifies the site of the landing, at Cerdicesora, as Christchurch Harbour so that the axis of penetration was along the Avon.
[9] 서적 Wessex to 1000 AD Routledge
[10] 서적 People on the Move: Attitudes Toward and Perceptions of Migration in Medieval and Modern Europe Praeger Publishers
[11] 서적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Routledge
[12] 문서 大沢一雄訳『アングロサクソン年代記(朝日出版社)』より
[13] 문서 現代イギリスの歴史学者デヴィッド・ダンヴィル(en:David Dumville)はキュンリッチの在位は554年から581年までとしている。
[14] 문서 バドン山の戦いと思われる。
[15]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eval Warfare https://archive.org/[...] Routledge
[16] 서적 Arthurian Figures of History and Legend: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McFarland
[17] 문서 어떤 가설은 체르디치와 킨리치가 도착한 곳이 Cerdicesora, 현재의 크라이스트처치 항만 지점이고, 아본 강을 따라갔다고도 한다.
[18] 서적 Wessex to 1000 AD Routledge
[19] 서적 People on the Move: Attitudes Toward and Perception of Migration in Medieval and Modern Europe Prager Publishers
[20] 문서 Myres, 162쪽.
[21] 문서 Clemoes, 30쪽.
[22] 문서 Whittock, 193쪽.
[23] 문서 Sims-Williams, 30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