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는 1250년 이전에 제작된 54면의 양피지 코덱스로, 종교적, 세속적 주제, 시, 찬송가 등을 담고 있다. 9세기에서 12세기 사이의 시 모음집으로, 특히 헨 오글레드와 관련된 웨일스 영웅, 아서 왕과 멀린 전설에 대한 시가 포함되어 있다. 주요 시로는 '아팔레나우', '오이아나우', '게린트 아들 에르빈의 비가' 등이 있으며, 2002년 디지털화되었고, 2015년에는 자외선 촬영을 통해 새로운 내용이 발견되었다. 웨일스 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으며, 아서 왕과 멀린 전설은 한국의 문화 콘텐츠에도 영감을 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채식필사본 - 코덱스 기가스
    13세기 초 보헤미아에서 제작된 코덱스 기가스는 불가타 성경, 역사 문서, 삽화, 악마의 전신 초상화 등으로 유명하며 악마에게 영혼을 판 수도사가 하룻밤 만에 완성했다는 전설이 있는 거대한 중세 필사본이다.
  • 탈리에신 - 구이드노 가란히르
    구이드노 가란히르는 웨일스 전설 속 칸트레르 과엘로드의 통치자로, 항상 충분한 양의 음식을 제공하는 '구이드노의 바구니'와 관련되며, 일각에서는 그를 7세기 데메티아 왕국의 왕 구이드노르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
서지 정보
이름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
원어 이름Llyfr Du Caerfyrddin
종류필사본
제작 시기13세기 초 ~ 중반
언어중세 웨일스어
재료송아지 가죽
크기54 폴리오 (108 페이지)
보관 위치Peniarth MS 1
설명
내용
산문
작성자미상, 단일 필경사로 추정

2. 필사본 특징

1250년 이전에 작성된 이 필사본은 작고(170 mm × 125 mm) 불완전한, 54개의 면(108쪽)으로 구성된 8개의 수집으로 이루어진 양피지 코덱스이다.[3] 여러 면이 누락되었다. 한 명의 필사자가 제작했지만, 각 면의 필사 방식, 면당 줄 수, 필기 크기 및 스타일의 불일치로 미루어 보아 오랜 기간에 걸쳐 아마추어적으로 작성되었음을 시사한다.[1] 큰 텍스투라체로 번갈아 가며 필사된 첫 페이지에 이어 훨씬 작고 좁은 서체로 된 페이지가 이어진다.[3]

2. 1. 내용

이 책은 주로 종교적, 세속적 주제, 찬송가 및 애가를 포함한 9세기~12세기 시 모음집이며, 소수의 삼위시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헨 오글레드(고대 북부, 즉 컴브리아와 그 주변 지역)와 관련된 웨일스 영웅들의 전통과 아서와 미르딘(후기 비 웨일스 전통에서는 멀린으로 알려짐)의 전설과 관련된 시는 몬머스의 제프리의 멀린 묘사보다 앞선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게린트 아들 에르빈의 비가'는 "롱보스 전투"를 언급하는데, 그 위치는 더 이상 특정할 수 없으며 아서의 전투 참여를 언급한다.

시 '아팔레나우'와 '오이아나우'는 숲 속에서 사과나무와 돼지에게 이야기하며 남부 웨일스의 노르만과의 전투에서 웨일스 군대의 성공 또는 실패를 예언하는 미친 멀린을 묘사한다.

카마던의 흑색서 (f.29.v)

  • '''아팔레나우''' 및 '''오이아나우''': 숲 속에서 사과나무와 돼지에게 이야기하며 남부 웨일스의 노르만과의 전투에서 웨일스 군대의 성공 또는 실패를 예언하는 미친 멀린을 묘사한다.
  • '''멀린과 탈리에신의 대화''': 미르딘(멀린)과 탈리에신 두 전설적인 인물의 대화를 통해 웨일스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한다.
  • '''몸과 영혼의 대화'''(다들 어 코프 아르 에나이드): 종교적, 철학적 주제를 다룬 시이다.
  • '''마도그 압 마레두드의 비가''': 1160년에 사망한 마도그 압 마레두드를 추모하는 시이다.
  • '''게린트 아들 에르빈의 비가''': 롱보스 전투에서 전사한 게린트 압 에르빈을 기리는 시로, 아서의 전투 참여를 언급한다.
  • '''무덤의 시''': 웨일스 영웅들의 무덤 위치를 읊는 시로, 웨일스 각지의 지명과 관련된 역사적, 문화적 정보를 제공한다.
  • '''킨타우 게이르''': 순례에 대한 참회 시이다.
  • '''게르즈 스콜란''': 스콜란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시이다.

2. 1. 1. 주요 시


  • '''아팔레나우''' 및 '''오이아나우''': 숲 속에서 사과나무와 돼지에게 이야기하며 남부 웨일스의 노르만과의 전투에서 웨일스 군대의 성공 또는 실패를 예언하는 미친 멀린을 묘사한다.
  • '''''' (멀린과 탈리에신의 대화): 미르딘(멀린)과 탈리에신 두 전설적인 인물의 대화를 통해 웨일스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한다.
  • '''몸과 영혼의 대화'''(다들 어 코프 아르 에나이드): 종교적, 철학적 주제를 다룬 시이다.
  • '''마도그 압 마레두드의 비가''': 1160년에 사망한 마도그 압 마레두드를 추모하는 시이다.
  • '''게린트 아들 에르빈의 비가''': 롱보스 전투에서 전사한 게린트 압 에르빈을 기리는 시로, 아서의 전투 참여를 언급한다.
  • '''무덤의 시''': 웨일스 영웅들의 무덤 위치를 읊는 시로, 웨일스 각지의 지명과 관련된 역사적, 문화적 정보를 제공한다.
  • '''킨타우 게이르''': 순례에 대한 참회 시이다.
  • '''게르즈 스콜란''': 스콜란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시이다.

3. 최근 연구 동향

2002년, 카이르버르딘의 흑색서가 디지털화되어 온라인으로 공개되었다.[4] 2015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진은 자외선 촬영과 이미지 편집 기술을 이용하여 이전에 보이지 않던 낙서, 그림, 추가적인 웨일스 시 등을 발견했다.[3][6][7] 이는 필사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해석의 가능성을 열었다.

2014년에는 카마던의 성 베드로 교회에 흑색서 관련 인터랙티브 전시를 설치하자는 제안이 있었다.[5]

4. 한국의 관점

카마던의 흑색서는 웨일스 민족의 정체성과 역사를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한국의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문화유산의 보존과 연구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적 교훈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흑색서에 담긴 아서 왕과 멀린 전설은 한국의 고대 소설 및 판타지 문학에 영감을 줄 수 있는 흥미로운 소재이다. 흑색서에 대한 디지털화 및 추가 연구는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흑색서에 나타난 웨일스의 노르만 정복에 대한 저항 의식은 외세에 맞서 민족의 독립과 주체성을 지키고자 했던 한국의 역사와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lack Book of Carmarthen http://www.llgc.org.[...] National Library of Wales 2016-06-02
[2] 문서 Daniel Huws of the National Library of Wales (''Llyfrau Cymraeg 1250–1400'', Aberystwyth 1993).
[3] 뉴스 Ghosts from the Past Brought Back to Life http://www.cam.ac.uk[...] 2015-04-01
[4] 뉴스 Ancient ‘Black Book’ Goes Online http://news.bbc.co.u[...] 2002-02-22
[5] 뉴스 Carmarthen church needs to find £50k to stay open http://www.carmarthe[...] 2014-04-16
[6] 뉴스 The Black Book of Carmarthen: Scholars left shaken after ultraviolet light reveals ghostly faces staring at them from medieval manuscripts https://www.independ[...] 2015-03-31
[7] 뉴스 Doodles and Poems Found in Black Book of Carmarthen https://www.bbc.co.u[...] 2015-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