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이저우성 (중화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이저우성은 중화민국의 성으로, 동쪽으로 후난성, 북쪽으로 쓰촨성, 서쪽으로 시캉성 및 윈난성, 남쪽으로 광시성과 접했다. 1911년 신해혁명 발발 후 구이양에 귀주군정부가 성립되었고, 이후 여러 행정 기구의 변화를 거쳐 1949년 중국 공산당 세력에 의해 구이양이 '해방'되면서 중화민국은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성회는 구이양현에 설치되었다가 구이양시로 이전되었으며, 역대 성장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 구이저우성은 1시 79현을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이저우성의 역사 - 양응룡의 난
    양응룡의 난은 1598년 양응룡이 주도하여 14만 명의 반군이 명나라에 대항한 반란으로, 토사 제도의 모순, 명나라의 무능, 지방 세력 간 갈등이 원인이 되었으며, 명나라 쇠퇴를 가속화하고 말기 혼란의 전조가 되었다.
  • 구이저우성의 역사 - 아시아 독감
    아시아 독감은 1957년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H2N2 아형)에 의한 질병이며, 100만에서 40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성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성 - 광시성
    광시성은 중화민국 시기에 존재했던 성으로, 청나라 광서성의 관할 구역을 계승하여 현재의 광시 좡족 자치구 대부분과 광둥성 화이지현을 관할했으며, 신해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하고 국공내전 결과 중국 공산당에 점령되어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구이저우성 (중화민국)
지도
귀주성의 위치
귀주성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귀주성
간체자贵州
정체자貴州
병음Guìzhōu
가타카나구이저우
별칭해당 정보 없음
사용된 이름해당 정보 없음
이름 유래해당 정보 없음
역사
건치1912년
소멸1949년
이전귀주성 (청나라)
이후귀주성
행정
국가중화민국
구분
소재지귀양현 (1912년-1941년)
귀양시 (1941년-1949년)
지리
면적170,196
인구
총 인구해당 정보 없음
인구 조사 기준해당 정보 없음
인구 밀도해당 정보 없음

2. 관할 구역

동쪽으로는 후난성, 북쪽으로는 쓰촨성, 서쪽으로는 시캉성윈난성과 접했으며, 남쪽으로는 광시성과 접했다.

3. 행정 연혁

1911년 (선통 3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11월 4일에 '''귀주군정부'''가 구이양에 성립되었다. 군정부는 도독, 행정원, 추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도독이 군정과 행정 실무를 총괄하고 추밀원이 군사 계획 수립 및 민정 지도를 담당하는 체제였다. 1912년 (민국 원년) 6월에는 민정 장관으로 민정장이 설치되었고, 1914년(민국 3년)에는 순안사로, 1916년 7월에는 성장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27년 (민국 16년) 2월 21일, 귀주성 정무위원회가 설치되어 우한 국민정부에 귀속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4월 21일 상하이 쿠데타가 발생하자, 6월 3일 난징 국민정부에 의해 귀주성 정부위원회가 설치되어 두 행정 기구가 한동안 병존하게 되었다. 1929년 10월 2일, 국민정부는 정무위원회를 해체하고 귀주성 정부로 개편했다. 1936년 (민국 25년) 6월, 행정독찰구가 시행되어 성 전체에 8개 구가 설치되었다. 1949년 (민국 38년) 11월 15일, 중국 공산당 세력에 의해 성도인 구이양 시가 '해방'되면서, 중화민국은 구이저우성에 대한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4. 성회(省會)

성회는 당초 귀양현에 설치되었으나, 1941년(민국 30년) 이후 구이양 시로 이전되었다.

5. 역대 성장(省長)

wikitext

성명취임일퇴임일
1양근성1912년 3월-
2탕지야오1912년 4월-
3룽진광1916년 2월-
4류셴스1916년 7월-
5루타오1921년 1월-
6위안쭈밍1922년 4월-
7탕지야오1923년 3월-
8위안쭈밍1925년 1월-
9왕톈페이1925년 2월-
10저우시청1926년 6월-
11마오광샹1929년 10월-
12왕자리에1932년 3월-
13유궈차이1932년 12월-
14왕자리에1933년 4월-
15우충신1935년 4월-
16구주퉁1936년 8월-
17쉐위에1937년 11월-
18쑨시원1937년 9월-
19우딩창1937년 11월-
20양선1945년 1월-
21구정룬1948년 4월-


6. 행정 구역

중화민국 건국 초기에는 청나라 시대의 도(道)가 폐지되었으나, 1913년(민국 2년) 4월 베이징 정부는 첸중도(黔中道), 첸둥도(黔東道), 첸시도(黔西道)의 3도를 설치하고 관찰사를 임명했다. 1914년 6월에는 첸중도가 전원도(鎮遠道)로, 첸시도가 구이시도(貴西道)로 개칭되었고, 도윤(道尹)이 설치되었다. 1915년(민국 4년) 12월 시작된 호국 전쟁 기간 중 구이저우성은 독립을 선언했으며, 도윤은 자사(刺史)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전쟁이 종결된 1916년(민국 5년) 8월에는 다시 도윤으로 명칭이 돌아왔다[1]。1920년 첸중도가 폐지되어 성 직할 지역이 되었고, 1923년(민국 12년)에는 전원도와 구이시도가 폐지되면서 도제(道制)는 완전히 사라졌다.

6. 1. 현급 행정 구역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직전, 구이저우성은 1개의 시와 79개의 현을 관할하고 있었다.

  • 현:

아래 표는 당시 관할했던 79개 현의 목록과 주요 변경 사항을 나타낸다.

현 이름비고
안순현
안룽현1913년 9월 난룽현으로 성립, 1926년 9월 개칭.
웨이닝현
인장현
옌허현
웡안현
카이양현1913년 9월 카이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쯔장현으로 개칭, 1930년 4월 카이양현으로 개칭.
허장현1941년 더성현으로 성립, 같은 해 7월 개칭.
관링현1913년 9월 융닝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개칭.
구이주현청나라 시대 구이양부 직할지. 1913년 9월 구이양현으로 설치, 1930년 10월 구이주현으로 개칭.
구이딩현
위핑현
진사현1941년 7월, 첸시현 일부에 신설.
진핑현
후이수이현1913년 9월 딩판현으로 성립, 1941년 9월 개칭.
젠허현1913년 9월 칭장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개칭.
첸시현
싱이현
장커우현청나라 시대의 퉁런현. 1913년 9월 개칭.
싱런현1912년 11월 신청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개칭.
황핑현
처헝현
산후이현1913년 9월 충수이현으로 성립, 1926년 6월 링산현으로 개칭, 1941년 10월 산후이현으로 개칭.
산두현1941년 2월, 산허현과 두장현을 합병하여 성립.
쯔윈현1913년 9월 구이화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개칭.
즈진현1913년 9월 핑위안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개칭.
스빙현
쓰난현
충장현1941년 4월, 융충현샤장현을 합병하여 성립.
시수이현1915년 9월, 런화이현 퉁쯔허 이북 지역에 신설.
슈원현
쭌이현
쑹타오현
런화이현
청궁현1913년 9월 스현으로 성립, 1940년 9월 개칭.
수이청현
쑤이양현
정안현
칭전현
칭룽현청나라 시대의 안난현. 1941년 9월 개칭.
츠수이현
스첸현
시펑현청나라 시대의 구이주현. 신해혁명 후 구이양부에 편입. 1913년 구이젠현으로 설치, 1914년 8월 개칭.
타이지앙현1913년 9월 타이궁현으로 성립. 1941년 9월 단장현 동부와 통합하며 개칭.
다딩현
단자이현1941년 9월, 단장현과 바자이현을 합병하여 성립.
창순현1942년 6월, 창자이현광순현을 합병하여 성립.
전위안현
전닝현
전펑현
톈주현
퉁쯔현
퉁런현
다오전현1932년 9월, 정안현의 일부에 신설.
두윈현
더장현청나라 시대의 안화현. 1914년 1월 개칭.
두산현
나용현1932년 9월, 다딩현의 일부에 신설.
판현
메이탄현
비제현
푸안현
푸딩현
핑위에현
핑탕현1942년 1월, 핑저우현다탕현을 합병하여 성립.
핑바현1913년 9월 안핑현으로 성립, 1914년 1월 개칭.
펑강현청나라 시대의 룽취안현. 1914년 1월 펑취안현으로 개칭, 1930년 4월 펑강현으로 개칭.
왕모현1938년 전펑현 왕무 지역에 왕무현 설치. 1939년 8월 솽장현으로 개칭, 같은 해 11월 왕모현으로 개칭.
마장현1913년 9월 마하현으로 성립, 1930년 4월 개칭.
우촨현
룽장현
위칭현
레이산현1943년 11월 단자이현, 타이지앙현의 일부에 레이산설치국 설치. 1948년 10월 레이산현으로 개편.
뤄뎬현1913년 9월 뤄후현으로 성립, 1930년 4월 개칭.
룽리현
리보현
리핑현
랑다이현
루산현청나라 시대의 칭핑현. 1914년 1월 개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