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해혁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신해혁명은 1911년 청나라를 타도하고 중화민국을 수립한 혁명이다. 청나라의 쇠퇴, 서구 열강의 침략, 보로운동, 철도 국유화 조치 등이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쑨원을 중심으로 한 혁명 단체들이 결성되었고, 우창 봉기를 시작으로 각 성에서 독립이 선포되었다. 청나라는 위안스카이를 불러들여 진압을 시도했지만, 결국 선통제의 퇴위로 청나라는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었다. 이후 위안스카이의 독재 정치와 군벌들의 혼전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으나, 신해혁명은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 수립이라는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아시아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 20세기 아시아 - 9국 공약
    9국 공약은 1921년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서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등 9개국이 중국의 주권과 독립 존중, 문호 개방 및 기회 균등을 지지하는 내용으로 체결된 조약이다.
  • 1912년 분쟁 -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은 1911년부터 1912년까지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이탈리아의 리비아 침공을 배경으로 이탈리아의 승리로 끝났으며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
  • 1912년 분쟁 - 로렌스 섬유 파업
    1912년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섬유 노동자들이 임금 삭감에 항의하며 IWW의 주도하에 임금 인상과 노동 시간 단축을 요구한 파업은 열악한 노동 환경과 낮은 임금 문제, 노동자 자녀를 다른 도시로 보내는 운동, 경찰의 강경 진압 등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고 노동자들의 일부 요구가 수용되며 미국 노동 운동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마무리되었다.
신해혁명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신해혁명
한자 표기辛亥革命
로마자 표기Xīnhài gémìng
웨이드-자일스 표기Hsin¹-hai⁴ ko²-ming⁴
민난어 표기Sin-hāi kek-bēng
광둥어 표기Sān-hoih gaak-mihng
의미신해(辛亥)년의 혁명
날짜1911년 10월 10일 ~ 1912년 2월 12일
장소중국
배경
원인청나라 타도
민주공화제 국가 수립
교전 세력
교전국 1청나라 군
교전국 1 지휘관선통제
융유태후
순친왕
원세개
풍국장
마안량
단기서
장작림
양증신
조이풍
마기
교전국 1 병력200,000명
교전국 1 사상자약 170,000명
교전국 2중국동맹회
교전국 2 지휘관손문
장개석
황흥
여원홍
송교인
진기미
채악
후한민
교전국 2 병력100,000명
교전국 2 사상자약 50,000명
분리주의 세력몽골
티베트
투바
혁명 세력중국동맹회
후베이 군정부
황사(黃沙)회
산시
쓰촨
윈난
저장
가로회
천지회
결과
주요 결과청나라 멸망
중화민국 수립
군주제 폐지
기타 결과몽골티베트 독립 선언
위안스카이의 임시 대총통 집권
청나라 소조정 수립
관련 단체
관련 단체중국동맹회
관련 사건
관련 사건우창 봉기
상하이 봉기
이미지
상하이에서 촬영된 신해혁명
신해혁명 당시 상하이 난징루
기타 정보
관련 기념신해혁명 100주년 기념 행사 개최
관련 방송NHK 고교 강좌 세계사에서 중국 현대사 주제로 다룸

2. 배경

1842년 아편전쟁에서 서구 열강에 패배한 청나라는 자강운동을 통해 서구 기술을 도입하며 근대화를 추진했지만, 1895년 청일 전쟁 패배는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4]

서태후
--

47년 동안 궁정 정치를 장악했던 서태후(왼쪽)와 187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청나라를 통치했던 광서제(오른쪽)

1898년 광서제캉유웨이, 량치차오 등 개혁파의 주도로 100일 개혁을 단행했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반발로 실패했다.[4][5] 이후 의화단 운동과 팔국 연합군의 침략으로 청조는 막대한 배상금을 부담하며 재정이 악화되었다.
망명으로 도피한 캉유웨이(왼쪽)와 량치차오(가운데), 그리고 처형된 탄시통(오른쪽).

의화단 의정서 체결 후, 청 조정은 재정과 행정 개혁을 시행했지만, 민중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주룽 등은 반만주 편견을 느끼며 청나라를 비난했고, 캉유웨이량치차오는 황제 복위를, 쑨원 등은 왕조 전복을 추구했다. 이들은 비밀 조직, 외국 조계지, 해외 망명 등을 통해 활동하며 중국인들과 신군 내에서 지지 세력을 확보했다. 1906년과 1907년의 기근 또한 혁명에 영향을 주었다.[6] 1908년 광서제와 서태후가 사망하고, 2세의 선통제가 순친왕의 섭정으로 즉위했으나, 궁정 내 보수 세력의 반대로 혁명 세력에 대한 지지가 높아졌다.

2. 1. 쓰러져 가는 청나라

1905년에 발행된 청 제국의 공식 지도


1842년 아편전쟁에서 서구 열강에게 처음 패배한 이후, 청나라 조정은 보수적인 문화로 인해 개혁에 소극적이었고, 지방 관리들에게 권한을 양보하는 것을 꺼렸다. 1860년 제2차 아편전쟁에서 패배한 후, 자강운동을 통해 서구 기술을 도입하여 근대화를 추진했다. 태평천국 운동, 니안의 난, 윈난 반란, 둥간 봉기 등 여러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지방 관리들이 모은 군대에 의존하게 되었다.

1895년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제도적 변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4] 위안스카이 휘하에 신군이 설립되었고, 기술 및 상업 발전을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근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1898년 광서제캉유웨이량치차오 등 개혁가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100일 개혁을 단행했다.[4] 이들은 일본의 개혁을 본보기로 교육, 군사, 경제 등에서 개혁을 추진하려 했다. 그러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쿠데타로 인해 개혁은 중단되었다.[5] 광서제는 1898년 6월부터 1908년 사망할 때까지 가택 연금되었고, 캉유웨이와 량치차오는 망명해야 했다.

의화단 운동 이후 팔국 연합군이 징벌적 합의를 강요하자, 청 조정은 재정 및 행정 개혁을 실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정치 활동가들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주룽 등은 반만주 편견을 느끼며 청나라를 비난했다. 캉유웨이와 량치차오는 황제 보호 협회를 결성하여 황제 복위를 시도했지만, 쑨원 등은 혁명 단체를 조직하여 왕조 전복을 추구했다. 이들은 비밀 조직, 외국 조계지, 해외 망명 등을 통해 활동하며 중국인들과 신군 내에서 지지 세력을 확보했다. 1906년과 1907년의 기근 또한 혁명에 영향을 주었다.[6] 1908년 광서제와 서태후가 사망하고, 2세의 선통제가 순친왕의 섭정으로 즉위했다. 순친왕은 개혁을 이어갔지만, 궁정 내 보수적인 만주 세력의 반대로 혁명 세력에 대한 지지가 높아졌다.

2. 1. 1. 양무운동

제2차 아편전쟁태평천국운동을 계기로 서구의 무기에 주목하게 된 의 관리들은 1860년대 중반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시도는 점차 민수 부문으로 확산되어 근대적인 광공업 발전, 전신선과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신식 교육기관 설립 등 광범위한 서구식 개혁으로 이어졌다. 양무운동 초기에는 청나라 정부가 반란 진압에 성공하여 "동치중흥(同治中興)"으로 불리기도 했다.[202]

그러나 양무운동 기간에 있었던 1884년 청불전쟁, 1894년 청일전쟁 등 중요한 대외 전쟁에서 군사적으로 승리하지 못했고, 양무 기업 대다수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1894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할 무렵에는 부국강병이라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202]

양무운동의 실패 요인과 한계로는 관리의 기업 통제로 인한 부패와 비능률, 전통적인 경제 구조의 잔존, 운동 추진 주체가 지역에 국한된 점 등이 주로 꼽힌다. 특히 개혁을 지향하는 관리들이 지방에 분산되어 통일된 계획 없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세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점이 큰 문제였다.[202]

2. 1. 2. 변법자강운동

청일 전쟁을 계기로 양무 운동의 실패가 명확해지자, 서구의 정치 제도 도입을 포함한 제도 개혁을 주장하는 변법론이 힘을 얻었다. 캉유웨이(강유위)는 광서제의 지지를 받아 1898년 약 100일 동안 '무술변법' 개혁을 주도했다.[202] 캉유웨이는 입헌군주제 도입을 주장하며, 개혁 추진을 위한 새로운 기구(제도국) 마련에 착수했다.[202]

캉유웨이


그러나 새로운 기구 설치, 개혁 지향적 하급 관리 임용, 상공업 진흥 및 신식 학교 개설 등의 개혁 구상은 기존 제도와 관습을 고수하려는 관리들과 서태후에게는 기득권 위협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캉유웨이의 '공자개제론'(자신의 개혁이 공자의 정신을 계승했다는 주장)은 수구파의 공격을 초래했다.[202] 결국 변법파가 영국, 일본과 연합 외교 방침을 세우고 이토 히로부미가 청을 방문하여 광서제를 만나자, 서태후 측과 수구파는 정변을 일으켜 광서제를 연금하고 서태후가 훈정을 재개하면서 변법자강운동은 실패로 끝났다.[202]

2. 1. 3. 의화단 운동

19세기 말, 청나라에서는 서구 열강의 침략과 기독교 확산에 반발하여 의화단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부청멸양(扶淸滅洋)"을 내세우며 외국 공사관을 공격하고 외국인과 기독교인을 살해하는 등 과격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8개국 연합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청나라는 막대한 배상금을 물게 되면서 더욱 쇠퇴하였다.[202] 의화단 운동의 참혹한 결과는 민심의 동요와 불만을 야기했고, 열강의 이권 침탈 심화를 증폭시켜 청나라의 멸망을 가속화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2. 2. 청조의 개혁

제2차 아편 전쟁태평천국운동을 겪으면서 청나라 관리들은 서구 무기의 중요성을 깨닫고, 1860년대 중반부터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육성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민간 부문으로 확대되어 광공업 발전, 전신선 및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신식 교육기관 설립 등 서구식 개혁을 광범위하게 추진했다. 이를 양무 운동이라고 한다. 양무운동 초기에는 청조가 반란 진압에 성공하여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1884년 청불전쟁, 1894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하고, 양무 기업 대다수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1894년 청일전쟁 패배 즈음에는 부국강병이라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02]

양무운동의 실패 요인으로는 관리의 기업 통제로 인한 부패와 비효율, 전통적인 경제 구조의 잔존,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점 등이 꼽힌다. 특히 개혁을 추진하는 관리들이 지방에 분산되어 통일된 계획 없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세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이 큰 문제였다.[202]

청일 전쟁 패배로 양무운동의 한계가 드러나자, 서구의 정치 제도 도입, 즉 제도 개혁을 주장하는 변법론이 힘을 얻었다. 강유위(캉유웨이)를 비롯한 변법파 관리들의 개혁 주장은 광서제의 지지를 얻어 1898년 4월 하순부터 약 100일 동안 '무술변법' 개혁을 시도하게 되었다.[202] 강유위는 입헌군주제 도입을 주장했으나, 우선 개혁 추진을 위한 새로운 기구(제도국) 마련에 착수하려 했다.[202] 그러나 새로운 기구 마련, 개혁 지향적인 하급관리 임용, 상공업 진흥, 신식학교 개설 등은 기존 제도와 관습을 지키려는 관리들과 서태후에게는 기득권 위협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강유위의 '공자개제론'(자신의 개혁이 공자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라는 주장)은 수구파의 공격을 초래했다. 결국 변법파가 영국, 일본과 연합하는 외교 방침을 세우고 이토 히로부미을 방문해 광서제를 만나자, 서태후 측과 수구파는 정변을 일으켜 광서제를 연금하고 서태후가 훈정(訓政)을 재개하면서 변법자강운동은 실패로 끝났다.[202]

1899년-1900년 산둥성에서 시작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서 의화단운동이 일어났다. 백련교의 일파로 알려진 의화단은 종교 비밀결사로서, 당시 사회 모순, 기독교 전파, 독일 진출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부청멸양'을 외치며 무력으로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1899년 산둥성 서부에서 의화단은 폭동을 일으켜 외국인, 특히 기독교인(개신교, 가톨릭, 정교회)을 박해했고, 청조는 이를 선동하여 폭동을 확대시켰다.[203] 1900년에는 베이징까지 진출하여 관군과 함께 11개국 공사관[204]을 공격했으나, 영국, 러시아,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8개국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1901년 9월 베이징 의정서 체결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지만, 막대한 배상금 지불을 포함한 12개 항 조약은 의 위신을 크게 실추시키고 식민지화를 더욱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03]

신축 조약 체결서.


변법자강운동은 서태후와 수구파 때문에 실패했지만, 의화단 운동의 참혹한 결과로 인해 국내적으로는 막대한 세금 징수로 민심의 동요와 불만이 커지고, 국외적으로는 열강의 이권 침탈이 심화되면서 조정은 내정과 외교 모두 위기에 처했다. 1901년 1월, 청의 실권자 서태후는 "외국의 장점을 취하고 중국의 단점을 버려 부강을 꾀한다"는 방침 아래 고위 관료들에게 국정에 관한 의견을 상신(上申)하라고 명했다. 이를 기점으로 청 정부는 생존을 위한 '신정(新政)'을 시작했는데, 이를 서태후의 존호인 자희(慈禧)를 따 '자희신정(慈禧新政)'[205]이라고 한다. 직례총독 원세개(袁世凱), 양강총독 유곤일(劉坤一), 호광총독 장지동(張之洞)이 추진한 신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06]

내용



신정이 실시되는 가운데, 청조를 유지하면서 입헌군주제로 국가 부흥을 꾀하려는 입헌 운동도 전개되었다. 특히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것을 계기로 “아시아인도 입헌하면 유럽을 이길 수 있다”는 양계초(량치차오)(梁啟超)의 주장이 널리 호응을 얻었다. 실업 진흥 정책으로 민족자본이 어느 정도 성장했지만, 외국 자본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에 신흥 자본가 계층은 입헌 개혁을 지지했다. 위안스카이는 1905년 황족과 귀족을 국외에 파견해 정치를 시찰시키면서 입헌 준비를 해야 한다고 황실에 상주했고, 서태후의 측근 대신들도 “입헌해야 군권(君權)이 영구히 굳건해진다”고 설득했다.[213]

청 조정은 1905년 7월 헌정시찰단을 유럽, 미국, 일본에 파견했고, 1906년에는 9년 뒤에 입헌군주제를 실시하겠다고 약속하는 '상유(上諭)'를 선포했다. 1908년 8월에는 《흠정헌법대강》(欽定憲法大綱)을 공포하여 9년 후 헌정을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213]

흠정헌법대강》은 일본 제국의 메이지 헌법을 모방하여 황제의 만세일계(萬世一係)와 신성불가침, 황제의 광범위하고 강력한 권한을 규정했다. 그러나 입헌군주제 추진 몇 달 후인 1908년 11월 14일, 청 제11대 황제 광서제가 사망했다. 서태후는 당일 광서제의 조카이자 3살 부의(溥儀)를 황제로 선포하고 그의 생부인 순친왕(醇親王) 재풍(載灃)을 섭정으로 임명했다. 다음 날인 11월 15일 서태후도 급사했다.[213]

부의가 즉위하면서 청나라 마지막 황제 선통제가 되었다. 섭정 순친왕은 1909년 1월 원세개를 해임했다.[214] 선통제 즉위 후, 입헌파는 국회 조기 개설을 청원했으나 거절당했고, 이를 계기로 청조를 타도하려는 혁명파의 입지가 강화되었다.[213]

청조가 추진한 교육 개혁으로 신식 학교가 설립되고 유학생이 대거 파견되면서, 전통적인 독서인과는 다른 유형의 지식 계층이 탄생했다. 1908년에는 전국에 학교 47,000여 개, 학생 약 130만 명, 교원 약 63,500여 명이 있었다. 이들 새로운 지식 계층은 점차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으로 기울어졌다. 특히 일본으로 유학 간 중국인 유학생들은 급속하게 입헌 사상과 혁명 사상을 수용했다.[213]

한편, 중국 내 경제 상황은 매우 심각했다. 청 조정은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서양 열강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215]해야 했고, '신정' 실행에도 많은 재원이 필요하여 각종 세금이 신설되면서 민중의 고통이 매우 컸다. 농민 봉기는 1906년에 199회, 1907년에 188회, 1909년에 112회, 1910년에 266회나 일어날 정도로 만연했고, 1911년 이후에는 더욱 급증했다.[213]

2. 2. 1. 과거 제도 폐지와 학당 설립 개혁

1899년부터 1900년 사이 산둥성에서 일어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 퍼진 의화단 운동이 진압된 후, 청 정부는 교육 개혁에 착수했다. 청조는 국외 유학을 장려하고 전국의 서원을 신식 학교로 바꾸도록 했다.[209]

그러나 이 교육 개혁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학교 수와 학생 수는 급격히 늘어났지만, 신식 교육을 받은 교사는 부족했고, 전체 교사의 절반이 구식 교원이었다. 또한, 사립학교와 공립학교 대부분이 과거 학당의 간판만 바꾼 형태였으며, 설립자와 운영자는 신사층으로 과거 제도 폐지를 반대하는 세력이었다.[209] 이들은 교육 개혁으로 기득권을 잃을 것을 우려하여 학당을 신식 학교로 개조해 기득권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에, 내용은 거의 바뀌지 않은 채 신식 학교도 과거 준비 기능을 벗어나지 못했다.[209]

1905년, 청조는 과거 제도를 완전히 폐지했으나, 신식 학교에서 여전히 과거 교과를 가르치고 유교 경전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당하는 등 교육 개혁의 한계가 드러났다. 초등 교육 과정에서는 외국어 교육을 금지하고, 중국어의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래어 사용을 금지했으며, 여성 교육도 러일 전쟁 이후인 1907년에야 허용되었다.[209]

결국, 청조의 교육 개혁은 실효성이 없었고,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청조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특히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중국인 유학생들 사이에서 청조의 무능에 대한 불만이 커졌고, 이는 반청, 공화 혁명 주장에 영향을 미쳤다.[209]

2. 2. 2. 군사 제도 개혁

청조는 제1차, 제2차 아편 전쟁, 청불 전쟁, 청일 전쟁, 의화단 운동 등 여러 전쟁에서 계속 패배하면서 신식 군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이에 따라 군사 제도 개혁에 착수했는데, 의화단 운동 이후에는 주력 군대인 무위우군만 남기고 나머지는 해산시켰다. 위안스카이는 직례총독이 되어 무위우군을 이끌고 톈진에 주둔했다.[210]

1901년 8월, 청조는 기존 군대의 부패와 무능을 인식하고 무과 과거제를 폐지했다. 각 성에는 북양(위안스카이의 신건육군)과 양강(장지동의 자강군)을 본떠 무비학당을 설립하도록 명령하고, 기존 군대를 해산하고 상비군을 새로 편성하여 훈련하도록 지시했다.[210]

1901년, 위안스카이를 중심으로 서양식 군대인 '신건육군'(신군)이 36개 사단으로 재조직되었다. 특히 '자희신정'의 결과, 북양 군벌이 급성장하여 정치에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1905년 북양 군벌은 약 7만 명의 병력과 6개 사단 규모의 북양 신군을 보유했다. 이 중 4개 사단은 즈리 성에, 2개 사단은 만주산둥성에 배치되었다. 위안스카이는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고, 교통은행을 설립하고 영국의 지원 아래 철도 운수 부문의 실권도 장악했다.[211][212]

이전까지 청조는 사농공상 신분 차별과 문관을 숭상하고 무관을 멸시하는 풍조가 있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전쟁 패배와 군대의 필요성이 절박해지자 군사 개혁을 서둘렀다. 신군 조직과 군사 제도 개혁 결과, 군의 위상이 크게 달라져 무관의 위상이 문관과 동등해질 정도로 높아졌다. 일본에 파견된 군관들은 중국인 유학생들 사이에 퍼져 있던 혁명 사상에 영향을 받아 훗날 '공화 혁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209]

2. 2. 3. 입헌군주제 추진

1840년의 아편전쟁으로 청나라는 서구 열강과 외교적으로 대치해야 할 필요성에 몰렸다. 1860년대부터 1890년대에 걸쳐 일부 관료와 지식인들에 의해 양무운동이 일어났고, 서구의 지식을 도입하여 흥업(殖産興業)과 부국강병(富國强兵)을 목표로 하는 정치 활동이 제창되었다. 그러나 청나라 내부의 자발적인 이 운동으로는 북송부터 이어져 온 문관 중심의 전통적인 정치 체제 개혁은 제한적인 것에 그쳤다. 더욱이 1894년의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배하면서 양무운동의 한계가 드러났다.

이에 강유위(康有為)를 중심으로 한 개혁파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하여 입헌군주제를 유지하면서 정치·사회 제도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내용의 상소를 올렸고, 1895년 광서제(光緒帝)의 지지를 얻어 1898년 무술변법(戊戌變法)이 실행되었다. 그러나 급진적인 개혁은 보수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 개혁은 불과 103일 만에 실패로 돌아가 개혁파는 해외 망명을 강요당했다.

1900년에 의화단의 난이 발생하고, 진주한 팔국 연합군(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영국, 미국)에 의해 북경이 점령되는 사태가 발생하자, 그동안 개혁에 신중했던 보수파 사이에서도 개혁의 필요성이 간신히 인식되었고, 무술변법과 유사한 개혁안이 제출·실행되었다. 1906년 9월 1일에는 헌정 이행 방침을 정한 『흠정헌법대강』(欽定憲法大綱)을 발표했고, 1910년에는 중국 최초의 의회로서 중앙에는 자정원(資政院), 신강성(新疆省)을 제외한 각 성에는 자의국(諮議局)이 각각 발족했다. 1911년 5월에는 내각이 설치되었으나, 내각 구성원의 절반이 만주족, 황족이 5명을 차지하는 황족 내각이었고, 헌정 이행을 요구하는 지식인들 사이에 실망감이 퍼져나갔다.

2. 3. 당시 중국 내 상황

제2차 아편전쟁태평천국운동을 계기로 서구의 무기에 주목하게 된 은 1860년대 중반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시작했다. 이러한 시도는 민수 부문으로 확산되어 광공업 발전, 전신선과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신식 교육기관 설립 등 서구식 개혁을 광범위하게 추진했다. 이를 양무운동이라고 한다. 양무운동 초기에는 청조가 반란 진압에 성공하여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1884년 청불전쟁, 1894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하고, 양무 기업 대다수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1894년 청일전쟁 패배 무렵에는 부국강병이라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02]

양무운동의 실패 요인으로는 관리의 기업 통제로 인한 부패와 비능률, 전통적인 경제구조, 지역적 한계 등이 꼽힌다. 특히 개혁을 지향하는 관리들이 지방에 분산되어 통일된 계획 없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세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점이 큰 문제였다.[202]

1899년-1900년 산동성에서 일어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 반제국주의 농민 투쟁이 확산되었는데, 이를 의화단 운동이라고 한다. 의화단백련교의 일파로 여겨지는 종교 비밀결사로서, 당시 사회 모순, 기독교 전파, 독일 진출에 반감을 품고 '부청멸양(扶淸滅洋)'을 외치며 무력으로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1899년 산동성 서부에서 의화단은 폭동을 일으켜 외국인, 특히 기독교인(개신교, 가톨릭, 정교회)을 박해했고, 청조는 이를 선동하여 폭동을 확대시켰다.[203]

1900년에는 북경까지 진출하여 관군과 함께 11개국 공사관[204]을 공격했으나, 영국, 러시아,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8개국 연합군에게 격파되었다. 1901년 9월 베이징 의정서 체결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지만, 막대한 배상금 지불을 포함한 12개 항의 조약 내용은 의 위신을 크게 떨어뜨리고 식민지화를 더욱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03]

의화단 운동의 참혹한 결과로 청 조정은 내정과 외교 모두 위기에 처했다. 1901년 1월, 청의 실권자 서태후는 "외국의 장점을 취하고 중국의 단점을 버려 부강을 꾀한다"는 방침하에 고위 관료들에게 국정에 관한 의견을 상신(上申)하라고 명했다. 이를 기점으로 청 정부는 생존을 위한 '신정(新政)'을 시작했는데, 이를 서태후의 존호인 자희(慈禧)를 따 '자희신정(慈禧新政)'[205]이라고 한다. 직례총독 위안스카이, 양강총독 유곤일, 호광총독 장지동이 추진한 신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06]

  • 36개 사단의 신군(新軍)[207] 건설을 중심으로 한 군대 근대화
  • 상부(商部)[208] 신설, 회사 설립 장려, 상법 제정을 통한 실업 진흥
  • 과거 제도 폐지, 교육 개혁, 외국(특히 일본)으로 유학생 대거 파견


중국동맹회 기관지 《민보》. 1906년 발행.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자 쑨원의 흥중회를 비롯하여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혁명단체들이 "통합하여 혁명운동을 더욱 강화하자"는 움직임을 보였다. 1907년 7월,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에 왔을 때 이러한 움직임은 결실을 맺었다.[222] 쑨원은 혁명 동지 황싱과 혁명 단체들의 연합을 제창하여 호응을 얻었다. 대표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새로 결성되는 단체의 이름을 중국동맹회로 하며, 쑨원이 제창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동맹회의 강령으로 결정하였다. 혁명파의 지도적 인물로는 쑨원, 황싱, 장병린 등이 있었다. 그들은 1906년 공동으로 전략을 세워 혁명 봉기 후의 정권 수립에 대비한다는 데 합의하였다.[222]

청나라 말기에는 각지에서 천지회를 비롯한 비밀결사들이 결성되어 반청(反清) 활동을 전개했다. 고로회(哥老会) 등이 대표적이었으며, 이들은 지주, 사족, 농민, 수공업자, 상인, 군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포함했고 "반청복명(反清復明)" 사상을 제창했다. 고로회는 화흥회, 청방(青幇)은 광복회, 삼합회(三合會)는 흥중회와 각각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쑨원도 과거 광동성 출신 홍문(洪門) 지공당(致公堂)의 회원이었다. 1908년 이전, 혁명 인사들은 이러한 결사들과 긴밀하게 연락하면서 무장봉기 준비를 진행했고, 청(清) 타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1906년과 1907년의 기근 또한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6]

2. 3. 1. 경제 상황

1842년 아편전쟁에서 서구 열강에 패배한 후, 청나라는 자강운동을 통해 서구 기술을 도입하여 근대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1895년 청일 전쟁 패배는 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4]

1898년 광서제캉유웨이, 량치차오 등 개혁파의 주도로 100일 개혁을 단행했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파의 반발로 실패했다.[4][5] 이후 의화단 운동과 팔국 연합군의 침략으로 청조는 막대한 배상금을 부담하게 되어 재정이 악화되었다.

의화단 의정서 체결 후, 청 조정은 재정과 행정 개혁을 시행했지만, 민중의 신뢰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6]

2. 3. 2. 사회 상황

청조는 교육개혁을 통해 신식 학교를 설립하고 유학생을 대거 파견했다. 그 결과, 전통적인 독서인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지식 계층이 탄생했다.[213] 1908년에는 전국에 47,000여 개의 학교가 있었고, 학생은 약 130만 명, 교원은 약 63,500여 명에 달했다. 이들 새로운 지식 계층은 점차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일본으로 유학을 간 중국인 유학생들은 빠르게 입헌 사상과 혁명 사상을 받아들였다.[213]

하지만, 청조가 주도한 교육 개혁은 여러 한계를 드러냈다. 신식 학교로 바뀌었어도 가르치는 내용에는 여전히 과거 교과가 포함되어 있었고, 유교 경전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당했다. 초등 교육 과정에서는 외국어 교육을 금지하고, 외래어 사용을 막아 중국어의 순수성을 유지하려 했다. 여성 교육은 1907년이 되어서야 허용되었다.[209]

결국, 이러한 청조의 교육 개혁은 실효성이 없었고,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청조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중국인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청조의 무능에 대한 불만이 커졌고, 일본 내 중국 유학생 단체들은 반청, 공화 혁명을 주장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209]

3. 혁명 조직 결성

중국동맹회일본 도쿄에 본부를 두고 국내외에 8개 지부를 두었다. 국내에는 상하이의 동부, 충칭의 서부, 홍콩의 남부, 옌타이의 북부 등 5개 지부를 설치했다. 각 지부의 관할 지역은 다음과 같다.[223]



해외에는 미국 호놀룰루의 하와이 지부, 샌프란시스코의 미주 지부, 유럽 벨기에 브뤼셀의 구주 지부, 싱가포르의 남양 지부 등 4개 지부를 설치했다.[223]

1890년 홍콩에서 설립된 흥문사(Furen Literary Society)는 채찬태(Tse Tsan-tai) 등 15명의 회원이 있었고,[7] 1894년 호놀룰루에서 설립된 쑨원의 흥중회(Revive China Society)는 혁명 자금 모금을 주 목적으로 했다.[8] 두 조직은 1894년에 합병되었다.[9]

1907년 9월부터 10월, 청나라는 자정원자의국을 설치하여 사신(士紳)과 상신(商紳)에게 참정의 기회를 제공했다. 1909년 신강성(新疆省)을 제외한 각 성에 자의국이 설치되었고, 많은 사신과 상신이 선거를 통해 자의국에 선출되었으며, 각 성의 자의국을 통한 간접선거로 자정원의 민선 의원(98석)이 선출되었다. 이들은 본래 입헌파였으나, 이후 출범한 내각이 조정 주도였던 것에 실망하여, 무창 봉기 이후 입헌파도 신해혁명에 참여하게 되었다.

3. 1. 쑨원의 혁명 운동

런던의 쑨원


쑨원은 1894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흥중회를 결성하여 혁명 자금을 모으는 데 주력했다.[8] 이후 흥중회는 다른 조직과 합병되었다.[9]

1895년 봄, 홍콩에 본부를 둔 흥중회는 乙未廣州起義|광저우 의거중국어를 계획했다. 루하오둥은 혁명가들의 청천백일만지홍기 깃발을 디자인했다. 1895년 10월 26일, 양취윈과 쑨원은 정스량과 루하오둥을 광저우로 이끌고 광저우를 장악하려 했으나, 계획이 청나라 정부에 누출되어 루하오둥을 포함한 혁명가들이 체포되었고, 루하오둥은 처형되었다.[35]

제1차 광저우 봉기의 깃발


광저우 봉기 실패 후, 청나라 정부의 압력으로 홍콩 정부는 쑨원과 양취윈을 5년 동안 홍콩에서 추방했다. 쑨원은 망명 생활을 하며 일본, 미국, 캐나다, 영국에서 중국 혁명을 홍보하고 자금을 모았다. 1901년 회주 의거 이후 양취윈은 홍콩에서 청나라 요원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가족은 그의 묘비에 이름 대신 "6348"이라는 숫자만 새겨 그의 신원을 보호했다.[36]

쑨원을 비롯한 많은 혁명가들과 단체들은 청나라 정부를 타도하고 한족 중심의 정부를 재건하고자 했다. 봉기의 중심에는 주로 중국동맹회와 쑨원 및 그 하부 조직이 있었다. 쑨원은 무창 봉기 이전까지 8~10차례의 봉기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모두 실패로 끝났다.

신해혁명을 지지하는 외국인도 적지 않았으며, 특히 일본메이야 쇼키치 등의 지원이 두드러졌다. 기타 잇키를 비롯한 일본인도 동맹회에 참가했으며, 무장봉기 참가 일본인 중에도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3. 2. 중국 동맹회 결성

1899년부터 1900년까지 산둥성에서 일어난 의화단 운동은 반기독교 폭동으로 시작하여 화북 일대로 퍼진 반제국주의 농민 투쟁이었다. 백련교의 일파인 의화단은 '부청멸양'을 외치며 무력으로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이들은 1900년 베이징까지 진출하여 11개국 공사관을 공격했으나, 8개국 연합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1901년 베이징 의정서 체결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지만, 청나라는 막대한 배상금과 불평등 조약으로 인해 식민지화가 가속화되었다.[203]

이러한 상황에서 청조의 교육 개혁으로 신식 학교가 설립되고 유학생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지식 계층이 등장했다. 이들은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일본 유학생들은 이러한 사상을 빠르게 받아들였다.[213] 한편, 청 조정의 과도한 세금 징수와 '신정' 실행으로 인한 재정 부담은 민중의 고통을 심화시켰고, 이는 잦은 농민 봉기로 이어졌다.[213]

이런 가운데, 여러 혁명 단체들이 통합하여 혁명 운동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907년 7월,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으로 건너오면서 이러한 움직임은 결실을 맺었다.[222] 쑨원은 황싱과 함께 혁명 단체들의 연합을 제창하여 흥중회,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단체가 통합된 중국동맹회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채택했다.[222] 1906년에는 혁명 봉기 후 정권 수립에 대한 전략을 공동으로 수립했다.[222]

3. 2. 1. 동맹회 지부 설치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둔 중국동맹회는 국내외에 8개 지부를 설치했다.

국내에는 5개 지부를 두었는데, 각 지부의 관할 지역은 다음과 같다.[223]



해외에는 미국 호놀룰루의 하와이 지부, 샌프란시스코의 미주 지부, 유럽 벨기에 브뤼셀의 구주 지부, 싱가포르의 남양 지부 등 4개 지부를 설치했다.[223]

3. 3. 혁명 참가자의 구성원

신해혁명은 일본에서 귀국한 유학생, 지식인뿐만 아니라 여러 단체에 참가한 일반 군중, 해외 화교, 신군 병사, 신사층, 농민 등 폭넓은 계층이 참여한 혁명이었다.[224]

동맹회일본 도쿄에 본부를 두고 국내외에 8개 지부를 두었다. 국내에는 상하이의 동부, 충칭의 서부, 홍콩의 남부, 옌타이의 북부 등 5개 지부를, 해외에는 미국 호놀룰루의 하와이 지부, 샌프란시스코의 미주 지부, 유럽 벨기에 브뤼셀의 구주 지부, 싱가포르의 남양 지부 등 4개 지부를 설치했다.[223]

1890년 홍콩에서 설립된 흥문사(Furen Literary Society)는 채찬태(Tse Tsan-tai) 등 15명의 회원이 있었고,[7] 1894년 호놀룰루에서 설립된 쑨원의 광복회(Revive China Society)는 혁명 자금 모금을 주 목적으로 했다.[8] 두 조직은 1894년에 합병되었다.[9] 1903년 1월 25일부터 28일까지는 채찬태(Tse Tsan-tai), 이기당(李紀堂) 등이 참여한 대명순천국(大明順天國) 건설 시도가 있었다.[37]

1908년 12월부터 청나라 정부는 지주와 사업가들의 정치 참여를 위해 일부 장치를 마련했다. 이들은 입헌주의 지지자들이었으나, 친왕 이광을 총리로 임명한 내각 구성에 환멸을 느꼈다.[21] 1911년 초, 이 내각은 13명 중 9명이 황실에서 선발된 만주족이었다.[21]

1898년 이래 청조철도부설권, 광산채굴권 등 막대한 이권을 외국에 넘겨주면서 민간에서 이권 회수 운동이 일어났다. 호남, 호북, 사천, 광동에서 이 운동이 활발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철도 부설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238]

3. 3. 1. 신흥 지식인 참여

과거제 폐지 이후, 은 서구식 교육을 도입하고 해외 유학을 장려했다. 이에 해외, 주로 일본에서 신지식을 배운 유학생들과 신식 학당에서 배운 학생들이 신흥 지식인층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224] 타오청장(도성장)(陶成章)의 제창 아래, 서석린(徐錫麟)을 비롯한 많은 유학생들이 일본으로 유학하여 최신 군사 교육을 받고 귀국했다.[224]

1900년대 청에서는 일본 유학 열풍이 거세게 불면서, 신해혁명 직전에는 수만 명의 학생들이 일본에서 유학하고 있었다. 이들 일본 유학생들 사이에서는 혁명 사상이 널리 퍼져 있었는데, 1905년 중국동맹회도쿄에서 결성되었을 때 회원의 90% 이상이 일본 유학생이었다.[224] 이처럼 일본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신해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쑨원을 비롯하여 황싱, 쑹자오런, 후한민, 왕징웨이 등 혁명 지도자들 대부분이 일본 망명 또는 유학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224]

1908년 이후, 혁명파는 군대 내 신군에 혁명 사상을 전파하는 데 주력했다. 과거제 폐지와 청의 군대 개혁으로 많은 청년 지식인들이 신군에 합류했고, 이들은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224]

3. 3. 2. 비밀결사 참가자 참여

청조 말기, 각지에서 홍문회, 가로회, 치공당, 삼합회, 홍강회 등의 비밀결사 단체가 결성되어 반청(反淸)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224] 이들은 '반청복명'(反淸復明) 사상을 제창했으며 신사층, 농민, 수공업자, 상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224]

비밀결사 중 가로회는 화흥회와, 청방(靑幇)은 광복회와, 삼합회는 흥중회와 각각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쑨원 역시 홍문치공당(洪門致公堂)의 회원이었다.[224] 1908년 이전, 혁명파 인사들은 이러한 비밀결사 단체들과 긴밀하게 연락하며 무장 봉기를 준비했고, 이는 청조 타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24]

3. 3. 3. 해외 화교의 참여

해외 화교는 신해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들은 해외 각지의 거주지에서 중국동맹회에 자금을 지원하는 동시에, 귀국 후 출신지에서 혁명 단체를 조직하고 많은 무장 봉기에 참여했다.[224] 1894년 11월, 쑨원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중회를 결성했을 때 20명의 화교가 참여했다. 황화강 봉기 당시 사망한 '72명의 열사' 가운데 29명이 해외 화교였을 정도로, 많은 화교들이 혁명 활동에 참여했다.[224]

3. 3. 4. 신군 참여

1908년 이후, 혁명파는 신군 내 혁명 동조자 포섭에 주력했다. 이들은 신군 내에서 비밀리에 혁명 사상을 보급했다.[224] 과거제 폐지와 청조의 군대 개혁으로 많은 청년 지식인들이 신군에 들어갔고, 이들은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224]

3. 3. 5. 신사층의 참여

1907년 9월부터 10월, 청조는 자정원자의국을 설치하여 신사층에게 참정권을 제공했다.[224] 1909년에는 각 성(省)에 자의국이 설치되어 많은 신사층이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다. 이들은 지방 정치에서 상당한 지위를 차지했다.[224]

이러한 신사층은 본래 입헌파를 지지했으나, 1911년 5월 경친왕을 필두로 발족한 내각 정책에 크게 실망했다. 당시 내각 구성원 13명 중 9명이 황실에서 선발된 만주족이었다.[21] 결국 우창 봉기 이후, 신사층을 비롯한 입헌파 세력도 신해혁명에 참여하게 되었다.[224]

3. 3. 6. 외국인 참여

신해혁명에는 중국인 외에도 여러 외국인들이 참여했는데, 특히 일본인들의 지원이 두드러졌다.[225] 1905년 일본 도쿄에서 결성된 중국동맹회를 비롯한 많은 혁명 단체들이 일본에서 조직되었고, 기타 잇키 등 일본 지식인 다수가 동맹회에 참여하여 1911년 우창 봉기와 신해혁명에 참가했다.[226] 미야자키 도텐, 우메야 쇼키치 등도 신해혁명을 지원한 대표적인 일본인들이다.[225]

한국인 중에서는 신규식1911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동맹회 기관지 민립보(民立報)[227] 기자 서혈아(徐血兒)의 소개로 천치메이, 황싱 등 중국동맹회 간부들과 교류하며 1911년 3월 중국동맹회에 가입했다. 이후 신규식은 10월 우창 봉기에 직접 참여하며 신해혁명에 기여했다.[228][229]

4. 혁명 봉기의 계속과 실패

1905년 중국동맹회 결성 이후, 쑨원을 비롯한 혁명파들은 청조를 타도하고 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해 여러 차례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1895년 흥중회가 주도한 제1차 광주 봉기는 청나라에 발각되어 육호동이 사망하고 쑨원은 해외로 망명했다.[233] 1900년 혜주 봉기는 사견여, 야마다 요시마사 등이 목숨을 잃으며 실패했다.[233]

1907년에는 황강기의, 칠녀호기의, 왕화순의 흠주 봉기, 황명당의 정난관 의거 등 여러 봉기가 일어났으나 모두 실패했다.[47] 특히 정난관 의거는 쑨원이 직접 지휘했으나 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쑨원은 싱가포르로 피신했다.[48][49] 1908년 황흥이 일으킨 흠주와 렴주 작전, 황명당과 황흥의 혁구사건 역시 실패했다.[50]

이러한 초기 봉기들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혁명 사상은 계속 확산되었으며, 이후 더 큰 규모의 봉기들로 이어졌다.

신해혁명 이전 주요 봉기
발생년도봉기 주도 세력봉기 명칭봉기 지역결과 및 기타
1895년흥중회제1차 광주봉기(廣州起義)광저우실패, 육호동 사망, 쑨원 해외 망명
1900년흥중회혜주기의(惠州起義)선전 삼주전실패, 사견여, 야마다 요시마사 등 사망
1907년 5월혁명당, 삼합회황강기의(黄岡起義)조주 요평현실패, 혁명당원 200명 사망
1907년 6월삼합회칠녀호기의(七女湖起義)회주실패
1907년 9월왕화순흠주(欽州) 봉기광시 나팽, 나려, 나탁실패
1907년 12월황명당정난관 의거(鎮南關起事중국어)중국-베트남 국경 정난관실패
1908년 2월황흥흠주(欽州)와 렴주(廉州) 작전광둥성 흠주, 렴주실패
1908년 4월황명당, 황흥혁구사건(雲南河口起義)윈난성 혁구실패


4. 1. 동맹회 활동

중국동맹회일본 도쿄에 본부를 두고 국내외에 8개 지부를 설치하여 혁명 운동을 전개했다. 국내에는 상하이에 동부, 충칭에 서부, 홍콩에 남부, 연대에 북부 등 4개 지부를 두어 각 지역을 관할하게 했다.[223] 해외에는 미국 호놀룰루샌프란시스코, 유럽 브뤼셀, 싱가포르에 4개 지부를 설치했다.[223]

당시 중국 각지에는 홍문회, 가로회, 치공당, 삼합회, 홍강회 등 비밀결사 단체가 조직되어 반청 활동을 벌이고 있었다.[224] 이들은 신사층, 농민, 수공업자, 상인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반청복명' 사상을 내세웠다.[224] 혁명파 인사들은 이들 비밀결사 단체와 긴밀히 연계하여 무장 봉기를 준비했고, 이는 청조 타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24]

그러나 동맹회의 활동은 캉유웨이의 입헌파에 비해 어려움이 많았다. 혁명 활동은 비밀 유지가 필수적이었고, 중국 국내에는 본부를 둘 만한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230] 또한, 무력 혁명을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했지만, 이를 구하기 어려웠다.[230]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쑨원은 해외에서 혁명 이론으로 무장한 세력을 본토에 침투시켜 전국적인 봉기를 유도하는 전략을 세웠다.[231] 그는 삼민주의를 바탕으로 군법, 약법, 헌법 순서로 혁명을 진행하는 3단계 혁명 방안을 구상했다.[230]

동맹회는 선전 활동과 더불어 1905년부터 1911년 우창 봉기 이전까지 수십 차례의 반청 무장 봉기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230] 1908년 안휘성 신군 봉기, 1910년 경술 신군 봉기, 1911년 황화강 봉기 등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러한 실패는 동맹회에 큰 타격을 주기도 했다.[232]

1910년 2월, 광둥성 신군 봉기(경술 신군 봉기)는 혁명파 청년들이 신군에 잠입하여 일으키려 했으나, 탄약 부족으로 실패했다.[233] 봉기 주동자 예영전은 전사하고, 책임자 조성은 탈출했다.[233]

1907년 12월, 정난관 의거는 쑨원이 직접 지휘했으나 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쑨원은 싱가포르로 피신해야 했다.[47][48][49] 1908년 3월, 황싱이 일으킨 친렴상사의거 역시 혁명군의 보급품 부족으로 중단되었다.[50]

계속된 무장 봉기 실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혁명적 분위기는 확산되어 갔다.[232]

4. 2. 주요 사건

1899년-1900년 산둥성에서 일어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 퍼진 반제국주의 농민 투쟁인 의화단 운동이 있었다. 의화단백련교 일파로 불리는 종교 비밀결사로서 당시 사회 모순, 기독교 전파, 독일 진출에 반감을 품고 '부청멸양'을 부르짖으며 무력으로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1900년 베이징에서 관군과 함께 11개국 공사관[204]을 공격했으나, 영국, 러시아,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8개국 연합군에게 격파되었다. 1901년 베이징 의정서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으나, 배상금 지불을 포함한 12개 항 조약은 의 식민지화를 촉진했다.[203]

청의 교육개혁으로 신식 학교가 설립되고 유학생이 대거 파견되면서, 전통 독서인과 다른 유형의 지식 계층이 탄생했다. 이들은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으로 기울어졌고, 특히 일본 유학생들은 이러한 사상을 빠르게 수용했다.[213]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인한 막대한 배상금[215]과 ‘신정’ 실행에 필요한 재원 마련으로 각종 세금이 신설되어 민중의 고통이 심해졌다. 농민 봉기는 1906년 199회, 1907년 188회, 1909년 112회, 1910년 266회로 만연했고, 1911년 이후 더욱 급증했다.[213]

중국동맹회는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두고 국내외에 8개 지부를 두었다. 국내에는 상하이, 충칭, 홍콩, 연대에, 해외에는 미국 호놀룰루, 샌프란시스코, 유럽 벨기에 브뤼셀, 싱가포르에 지부를 설치했다.[223] 청조 말기, 홍문회(洪門會) 등 비밀결사 단체가 결성되어 '반청복명'(反淸復明)을 주장하며 반청(反淸)활동을 전개했다.[224]

중국동맹회캉유웨이의 입헌파와 사상 논쟁을 벌이면서도 혁명운동의 구심체로 활동했다. 쑨원은 삼민주의를 내세워 군법, 약법, 헌법 순서로 혁명을 전개하는 3단계 혁명 방안을 구상하고, 선전 활동 외에 1905년부터 1911년 우창 봉기 이전까지 수십 차례 반청 무장봉기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230]

많은 혁명가와 단체들이 청 정부 타도와 한족 중심 정부 재건을 목표로 했다. 1890년 홍콩에서 설립된 양굴완(Yeung Ku-wan)의 흥문사(Furen Literary Society),[7] 1894년 호놀룰루에서 설립된 쑨원의 광복회(Revive China Society)가 그 예시이며,[8] 두 조직은 1894년에 합병되었다.[9]

봉기의 중심은 주로 통맹회(Tongmenghui)와 쑨원 및 그 하부 조직이었고, 일부 봉기에는 통맹회와 합병하지 않은 단체도 참여했다. 쑨원은 8~10차례 봉기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되나, 우창 봉기 이전의 모든 봉기는 실패했다.

1895년부터 1911년까지 흥중회와 동맹회에 의해 총 10차례의 무장봉기가 일어났으며, 주요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신해혁명 이전 주요 봉기
발생년도봉기 주도 세력봉기 명칭봉기 지역결과 및 기타
1895년흥중회제1차 광주봉기(廣州起義)광저우실패, 육호동 사망, 쑨원 해외 망명
1900년흥중회혜주기의(惠州起義)선전 삼주전실패, 사견여, 야마다 요시마사 등 사망
1907년 5월혁명당, 삼합회황강기의(黄岡起義)潮州 饒平県실패, 혁명당원 200명 사망
1907년 6월삼합회칠녀호기의(七女湖起義)회주실패
1907년 9월왕화순흠주(欽州) 봉기광시 나팽, 나려, 나탁실패
1907년 12월황명당정난관 의거(鎮南關起事중국어)중국-베트남 국경 정난관실패
1908년 2월황흥흠주(欽州)와 렴주(廉州) 작전광둥성 欽州, 廉州실패
1908년 4월황명당, 황흥혁구사건(雲南河口起義)윈난성 혁구실패


4. 2. 1. 안휘 신군 봉기

1908년 10월 안휘성에서 ‘신군 사건’(新軍事件)이 발생했는데, 이를 ‘안휘 신군 봉기’라고 부른다.[233] 신군은 위안스카이가 새로 편성한 신식 육군으로, 신군 청년 장병 가운데에는 쑨원의 혁명 사상에 동조하는 민족주의자들이 많았다. 이들은 악왕회라는 비밀단체를 만들어 한족 국가 건설의 결의를 다졌다.[233]

1908년 10월 23일 악왕회 간부 범전갑은 광서제서태후의 죽음 소식을 듣고 10월 26일을 기하여 봉기하기로 하고 각 진영의 간부와 연락하여 웅성기를 사령관으로 추대하였다.[233] 그러나 성 밖에 있던 신군은 일제히 봉기하였으나 탄약 부족과 성 안의 군대가 내응하지 않고 해군 또한 봉기에 반대했기 때문에 실패로 돌아갔다.[233] 주동자였던 범전갑은 체포, 처형되고 웅성기는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중국동맹회에 가입하였다. 그 후 웅성기는 다시 청나라에 잠입하여 유럽에서 귀국하는 섭정왕의 두 동생 재도(載濤)와 재순(載洵)을 하얼빈 역에서 암살하려다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에 처해졌다.[233]

1908년 11월 19일, 안휘성에서 혁명 단체 악왕회 회원 웅성기가 마포영의거(馬炮營起義)를 일으켰다.[52] 당시 악왕회는 통맹회의 하부 조직이었다. 이 의거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52]

4. 2. 2. 경술 신군 봉기

1910년 2월, 경술 신군봉기(庚戌新軍起義중국어) 또는 광저우 신군봉기(廣州新軍起義중국어)로 알려진 사건이 발생했다.[53] 이 봉기는 시민과 지역 경찰이 신군과 충돌한 사건이다. 1910년 2월 12일, 황흥, 호한민과 신군(新軍) 내의 니영전(倪映典)은 광저우 경찰과 신군의 충돌을 이용하여 광저우 신군을 조직하고 무장봉기(武裝蜂起)를 일으켰다. 그러나 혁명 지도자 니잉뎬(倪映典)이 청나라군에 의해 사망한 후, 남은 혁명가들은 신속하게 패배하여 봉기는 실패로 끝났다. 이 봉기로 100명이 넘는 사상자와 100명이 넘는 체포자가 발생했고, 100명 이상의 참가자가 홍콩으로 퇴각했다.

4. 2. 3. 왕조명의 순친왕 암살 기도

중국동맹회 기관지 《민보》의 격렬한 비난에 분통을 터뜨린 왕조명은 《민보》의 보도가 잘못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베이징으로 갔다. 그는 혁명 투사들뿐 아니라 자신도 혁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겠다는 결의를 보이기 위해서였다.[233] 베이징에 온 왕조명은 웅성기가 하얼빈에서 암살하려다 실패한 바 있는 두 황족을 베이징 도착 때 폭살할 계획을 세웠으나,[233] 많은 출영 인파로 그들을 분별할 수 없어 계획을 변경하였다. 왕조명은 섭정왕인 순친왕을 암살할 계획으로 순친왕이 자주 다니는 다리 밑에 폭탄을 설치하였으나, 이마저도 사전에 통행인에게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수색 끝에 폭탄 표피를 만든 대장간이 적발되면서 왕조명도 체포되어 무기형을 선고받았다. 왕조명의 순친왕 암살 기도 사건은 1910년 4월의 일이었다.[233]

4. 2. 4. 황화강 사건

1910년 10월, 쑨원, 황싱, 조성(趙聲) 등 중국동맹회 지도층 간부들은 남양에서 비밀회의를 열고 광저우에서 다시 무장봉기를 일으키기로 계획했다.[236] 이들은 동맹회원 500명으로 결사대를 조직하고 신군(新軍)을 주축으로 반청 단체들과 연합하기로 했다. 봉기에 성공하면 광저우를 근거지로 삼고 군대를 둘로 나누어 북벌할 계획이었다. 한 부대는 황싱이 지휘하여 호남을 거쳐 우창을 점령하고, 다른 한 부대는 조성이 지휘하여 강서를 거쳐 난징을 점령하기로 했다. 그 후 두 부대가 합류하여 장강을 건너 베이징으로 진격하는 것이었다.[236]

같은 해 10월, 황싱과 조성은 홍콩에 봉기조직부를 설치하고 광저우에 38곳의 비밀 연락 거점을 마련했다.[236] 이듬해 1911년 3월 5일, 봉기 날짜를 3월 15일로 정했다가 28일로 변경했다. 광저우에 도착한 황싱과 조성은 봉기 총지휘부를 설치했으나, 무기 도착 지연으로 봉기를 하루 연기하여 4월 27일(3월 29일)에 일으키기로 했다. 원래 계획했던 열 갈래 공격로를 네 갈래로 통합하여 총독부, 북문, 순경교련소, 남대문 등을 공격하기로 했다.[236]

황화강 사건의 희생자들이 묻힌 72열사들의 묘.


4월 27일 오후 5시 30분, 황싱은 100여 명의 선봉대를 이끌고 봉기를 일으켰다.[236] 그러나 다른 세 갈래 봉기군은 여러 이유로 참여하지 못했고, 신군도 성 밖에 발이 묶여 합류하지 못했다. 황싱은 계획대로 총독부를 점령했으나, 신임 총독 장명기는 이미 도주한 후였다. 총독부에 불을 지르고 퇴각하던 중 수사제독(水師提督) 이준(李準)의 친병대대와 마주쳐 시가전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말았다. 황싱은 이 전투에서 오른쪽 손가락 두 마디를 잃었지만, 완강히 싸우다 후에 그의 처가 된 서종한의 권유로 옷을 갈아입고 그녀의 호위 아래 홍콩으로 피신했다.[236]

이 봉기는 실패로 끝났고, 많은 이들이 희생되었다. 붙잡혀 살해된 사람까지 모두 86명이었다. 4일 후, 유지들이 나서서 수습한 72구의 시신을 황화강(黃花岡)에 안장했는데, 이들을 '''황화강 72열사'''라고 부른다.[236]

4. 3. 말레이 반도에서의 혁명 활동

말레이 반도에서의 혁명 활동은 말레이시아싱가포르에서 이루어진 신해혁명과 관련된 활동을 가리킨다. 쑨원은 1906년부터 1910년까지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해외에서 자금을 얻고 혁명사상을 전파했다. 당시 말레이 반도는 중국 본토를 제외하면 화교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었으며, 화교의 경제적 위치도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237] 쑨원은 여러 차례 말레이 반도를 방문해 현지 화교들에게 혁명 참여를 호소했고, 많은 화교들의 지지를 받아 말레이 반도는 혁명 운동의 주요 활동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237]

1911년 12월 16일, 쑨원과 그의 군사 고문이었던 우마리는 천징종다샤에 머물렀다. 이는 쑨원의 마지막 싱가포르 체류였다.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에서 쑨원과 동맹회의 혁명 활동은 순탄치 않았다. 영국 식민지 정부와 청나라는 외교 관계를 유지했고, 싱가포르와 페낭에 영사관을 설치하여 혁명 활동을 저지했다. 청나라는 외교관특사를 말레이 반도 각지에 파견했고, 이들은 현지 화교들로부터 환영받았다. 이러한 관료들의 방문 목적은 현지 화교들의 청나라 정부 지지 확보와 매관(賣官)을 통한 현지 화교 회유였다. 후한민은 만주족 출신의 하급 관리가 남양에 가서 자신을 3대에 걸친 고관이라고 자칭하며 현지 화교들의 존경을 얻었고, 말레이 반도의 화교들이 보수적이어서 보황당의 캉유웨이가 현지 화교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캉유웨이를 중심으로 한 보황당과 쑨원을 중심으로 한 혁명당은 공화제 수립에 대한 이념적 차이가 컸고, 당시 양측은 말레이 반도에서 대규모 논쟁을 벌였다. 보황당과 혁명당은 각자의 신문을 발행하여 입헌군주제민주 혁명의 과제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이 논쟁에서 현지 화교 상류층은 자신의 재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보황당을 지지했고, 상인, 교육자, 노동자 등 중하층 시민들은 혁명당을 지지했다. 필전(筆戰)은 싱가포르에서 시작되었고, 보황당 지지 신문으로는 『력보(叻報)』, 『성보(星報)』, 『천남신보(天南新報)』가, 혁명당 지지 신문으로는 『중흥일보(中興日報)』와 『총회신보(總匯新報)』가 발행되었다. 당시 『력보』와 『중흥일보』, 『총회신보』의 필전은 말레이 반도 중국어 신문의 최초 논쟁이 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1906년 황금경이 『빈성일보(檳城日報)』를 창간하여 페낭 최초의 혁명당 신문이 되었다. 1910년 12월 10일, 쑨원, 진신정, 장은안 등에 의해 페낭에서 『광화일보』가 창간되어 말레이시아 혁명당 기관지이자 신문 역사상 가장 오래된 중국어 신문이 되었다.

5. 혁명의 전야

제2차 아편전쟁태평천국운동을 계기로 서구 무기의 힘을 실감한 은 1860년대 중반부터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육성했다. 이는 양무운동으로 이어져 광공업 발전, 전신 및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등 다방면의 서구식 개혁을 추진했다. 초기에는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 불릴 정도로 성과를 거두었으나, 청불전쟁(1884년)과 청일전쟁(1894년)에서 패배하면서 양무운동의 한계가 드러났다.[202] 양무운동의 실패는 관리들의 부패, 전통 경제 구조의 잔존, 지방 분산적인 개혁 추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특히, 통일된 계획 없이 지방별로 사업이 추진되어 급변하는 정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202]

청일전쟁 이후에는 서구의 정치 제도 도입을 주장하는 변법론이 힘을 얻었다. 강유위(캉유웨이) 등은 1898년 무술변법을 통해 입헌군주제 도입 등 제도 개혁을 시도했으나,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수구파의 반발로 실패했다.[202]

1899년부터 1900년 사이에는 산동성에서 시작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서 의화단운동이 일어났다. 의화단백련교의 일파로, 당시 사회 모순과 기독교 전파, 독일의 진출에 반감을 품고 '부청멸양'(扶淸滅洋)을 외치며 무력으로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1900년 의화단은 베이징까지 진출하여 관군과 함께 11개국 공사관[204]을 공격했으나, 영국, 러시아,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8개국 연합군에게 진압되었다. 1901년 신축 조약 체결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지만, 막대한 배상금 지불과 12개 조항의 조약 내용은 의 식민지화를 가속화했다.[203]

한편, 청조의 교육 개혁으로 신식 학교가 설립되고 유학생이 늘어나면서 전통적인 지식인과는 다른 새로운 지식 계층이 등장했다. 1908년에는 전국에 47,000여 개의 학교와 약 130만 명의 학생, 63,500여 명의 교원이 있었다. 이들은 점차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에 경도되었으며, 특히 일본 유학생들은 이러한 사상을 빠르게 수용했다.[213] 중국 내 경제 상황도 악화되었다. 의화단운동으로 인한 막대한 배상금[215]과 '신정' 추진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각종 세금이 신설되면서 민중의 고통이 심화되었다. 농민 봉기는 1906년 199회, 1907년 188회, 1909년 112회, 1910년 266회로 만연했고, 1911년 이후에는 더욱 급증했다.[213]

손문(쑨원)(1900년)


중국 공화 혁명의 시초는 1894년 손문(쑨원) 등이 하와이에서 결성한 비밀결사 흥중회(興中會)였다. 쑨원은 1895년 홍콩에서 흥중회를 조직하고 광주(광저우) 무장 점령을 계획했으나 실패하고 망명했다. 영국 런던에서 청국 공사관에 억류되기도 했던 쑨원은 이 사건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석방 후 삼민주의 사상의 기초를 다졌다.[216] 이후 쑨원은 일본을 거점으로 화교와 유학생들에게 혁명 사상을 전파하고 봉기 자금을 모금했다.[217] 1900년 의화단운동 전후, 쑨원은 이홍장을 황제로 추대하여 양광(兩廣) 지방을 독립시키려다 실패했다.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 봉기도 실패했고, 쑨원은 다시 망명했다. 의화단운동은 청조의 존립 근거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고,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혁명 주장이 확산되었다.[217]

1905년 화흥회 요인들. 앞줄 왼쪽 첫 번째가 황흥(황싱), 네번째가 송교인(쑹자오런), 뒷줄 오른쪽 끝이 류보.


러시아에 대한 저항 운동은 학생과 지식인들 사이에 '청조 타도'의 정당성을 확산시켰다. 러시아는 의화단 진압 후 만주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한 약속을 어기고 청에 새로운 요구를 하며 만주를 자국의 세력권으로 만들려 했다. 일본 유학생들은 러시아에 저항하기 위해 의용대와 학생군을 조직했지만, 청 정부는 이를 탄압했다.[217] 이 저항 운동이 실패한 후, 일본 유학생 사회에서는 혁명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화흥회(華興會)[218]광복회(光復會)[219] 등 국내 반청 혁명 단체가 결성되었고, 반제국주의 선전이 반청 혁명 선전으로 전환되었다. 추용의 '혁명군'과 같은 선전 책자가 널리 읽혔고, 장병린의 필화 사건, 진천화[221]의 투신 자살 등으로 혁명 사상은 더욱 확산되었다.[217]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면서, 쑨원의 흥중회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이 통합 움직임을 보였다. 1907년 쑨원과 황싱은 혁명 단체들의 연합을 제창하여 중국동맹회를 결성했다. 이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채택했다.[222]

1911년 5월, 조정은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지만, 각료 대부분이 만주족 황족으로 구성되어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저버렸다.[239] 이 내각은 '철도 국유화령'을 발표하여 민간의 반발을 샀으며, 이후 내용은 '보로운동의 확산과 쓰촨 폭동' 섹션에서 다룬다.

많은 혁명가들과 단체들은 청나라 정부를 타도하고 한족 중심의 정부를 재건하고자 했다. 초기 혁명 조직 중 하나는 1890년 홍콩에서 설립된 양굴완(Yeung Ku-wan)의 흥문사(Furen Literary Society)였다. 채찬태(Tse Tsan-tai) 등 15명의 회원이 있었는데, 채찬태는 "극동의 상황"과 같은 정치 풍자 만화(manhua)를 그렸고, 훗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의 핵심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7] 손문(Sun Yat-sen)의 광복회(Revive China Society)는 1894년 호놀룰루(Honolulu)에서 설립되었으며, 주된 목적은 혁명 자금을 모으는 것이었다.[8] 두 조직은 1894년에 합병되었다.[9]

같은 날, 경정성(景定成), 천정(錢鼎), 정무목(井勿幕) 등이 이끄는 섬서성(陝西省)의 동맹회(同盟會)와 각로회(各老會)는 2일간의 싸움 끝에 서안(西安)을 점령하며 봉기를 일으켰다.[62] 회족(回族) 공동체는 혁명에 대한 지지 여부가 분열되었다. 섬서성의 회족은 혁명가들을 지지했지만, 감숙성(甘肅省)의 회족은 청(清)을 지지했다. 서안의 토착 회족은 한족(漢族) 혁명가들과 함께 만주족(滿洲族)을 학살했다.[63][64] 마안량(馬安良) 장군이 이끄는 감숙성의 토착 회족은 20개 이상의 회족 군대 대대를 이끌고 청 황실을 방어하기 위해 섬서성(혁명가 장봉휘(張鳳翽)가 장악)을 공격했다.[65] 공격은 성공적이었고, 푸이(溥儀)의 퇴위 소식이 전해지자 마안량은 새로운 공화국에 합류하기로 동의했다.[65] 혁명가들은 "진룡복한군정부(秦隴復漢軍政府)"를 수립하고 원일지회(原日知會) 회원인 장봉휘를 새로운 주지사로 선출했다.[62] 10월 24일 서안 만주인 거주지가 함락된 후, 신해혁명 세력은 도시의 만주인들을 모두 살해했고, 약 2만 명의 만주인이 학살되었다. 많은 만주인 수비대원들이 자살했는데, 청 장군 문뢰(文瑞)는 우물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몸값을 지불한 부유한 만주인들과 여성들만 살아남았다. 부유한 한족은 만주 여성들을 노예로 삼았고, 가난한 한족 군인들은 젊은 만주 여성들을 아내로 삼았다. 젊은 만주 여성들은 학살 중 서안의 회족에게 붙잡혀 무슬림으로 자랐다.[66]

신해혁명에서 청이 퇴위하자 회족 장군 마안량은 청을 버렸지만, 만주인 총독 성운(盛雲)은 혁명에 분노했다. 섬서성 주지사 마유귀(馬玉貴)와 북경 이맘 왕관(王寬)과 같은 혁명 지지 회족들은 청 황실을 위해 서로 죽이는 일을 하지 말고 공화주의 혁명가들 편에 서라고 회족들에게 말하며 청의 회족 장군 마안량에게 싸움을 멈추도록 설득했다. 마안량은 원세개(袁世凱)의 행동과 다른 회족들의 메시지가 결합되어 청을 버리기로 동의했다.[68][69][70][71][72][73][74][75][76][77]

1911년 10월 만주인 학살 1년 전, 1911년 서안의 대안탑(大雁塔)에서 각로회(各老會)가 만주인에 대한 맹세를 했다.[78][79][80] 남경, 진강, 태원, 서안, 무창에서 만주족 기병대가 학살당했다.[81][82][83][84] 만주인 거주지는 서안 북동부에 위치해 있었고,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던 반면, 회족 거주지는 서안 북서부에 위치해 있었지만 한족 지역과 구분하는 성벽은 없었다. 서안 남부는 완전히 한족 지역이었다.[85][86][87][88] 서안은 파괴되기 전까지 면적이 가장 큰 만주족 기병대 주둔지였다.[89]

혁명가들은 군사학교 학생들로 이루어졌으며, 서안 성문의 경비병을 제압하고 성문을 닫은 후, 무기고를 확보하고 사원에 있던 만주인들을 모두 학살한 다음, 도시의 만주인 거주지에 난입하여 만주인들을 학살했다. 만주인 거주지는 불에 탔고 많은 만주인들이 불에 타 죽었다. 만주 남녀노소가 3일 동안 학살당했고, 그 후 만주 여성과 소녀들만 살아남았고 만주 남성과 소년들은 계속 학살당했다. 많은 만주인들이 아편 과다복용과 우물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혁명가들은 만주인들이 집에 화약을 저장했기 때문에 불이 붙으면 폭발하여 안에 있던 만주인들을 죽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1만 명에서 2만 명의 만주인이 학살당했다.[90]

마안량은 보이 노예 창갱(常庚)과 만주인 성운(盛雲)에 의해 섬서성의 혁명가들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91][92]

마안량이 섬서성을 공격하기 시작하자 원세개는 새로운 공화국의 동부 군인들을 동원했지만, 청 황제의 퇴위 소식이 서안을 공격하기 전에 마안량에게 전해졌고, 마안량은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하고 중화민국에 충성을 바꾸었다. 이로써 북서부의 모든 친청 군사 활동이 종식되었다.

원세개는 각로회가 섬서성을 장악한 후 마안량이 섬서성을 공격하지 않고 1912년 자신의 대통령직 아래 중화민국을 수용하도록 유도했다. 1916년 공화파와 원세개의 군주제 사이의 국토보호전쟁 중에 마안량은 군인들을 준비하고 공화파에게 자신과 무슬림들이 끝까지 원세개를 지킬 것이라고 알렸다.[93] 원세개는 마안량에게 한중(漢中)과 풍향부(鳳翔府)를 봉쇄하여 백랑(白狼)이 사천성과 감숙성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으라고 명령했다.[94]

프로테스탄트 섬서 선교부는 서안에 병원을 운영했다.[95] 서안에서 일부 미국 선교사들이 살해당했다는 보고가 있다. 만주인들이 서안 교외에서 선교사들을 학살했다는 보고가 있다. 서안과 태원에서 선교사들이 살해당했다는 보고가 있다. 섬서성은 10월 24일에 혁명에 참여했다. 성운은 1905년 섬서성 주지사였다.[96]

마복상(馬福祥)이 이끄는 일부 감숙성 회족은 공화파에 합류했다. 감숙성 회족 장군 마복상은 섬서성 혁명가들과의 전투에서 마안량과 함께 참여하지 않았고, 청 퇴위 전 청을 방어하려는 시도에서 청의 만주인 성운과 창갱에 합류하기를 거부했으며, 대신 비무슬림 유력자들과 회족 마복상이 함께 감숙성의 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



10월 23일, 린썬(林森), 장춘(蔣群), 채혜(蔡蕙) 그리고 장시성(江西省)의 통맹회(同盟會) 회원들이 신군(新軍) 부대의 반란을 계획했다.[61][98] 청나라 해군 함대도 국가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무창 봉기(武昌起義)의 승리를 확고히 했다.[99] 승리를 거둔 후 그들은 독립을 선포했다. 그 후 구강 군정부(九江軍政府)가 수립되었다.[98]

10월 29일, 신군의 연희산(Yan Xishan)이 산서성(Shanxi)의 성도인 태원(Taiyuan)에서 봉기를 일으켰다.[98][100] 태원의 반란군은 기인(Banner people)들이 거주하는 거리를 포격하여 모든 만주인들을 살해했다.[101] 그들은 산서성의 청나라 순무인 륙종기(Lu Zhongqi, 陸鍾琦|륙종기중국어)를 살해하는 데 성공했다.[102] 그 후 그들은 연희산을 군사 총독으로 하는 산서군정부(Shanxi Military Government)의 수립을 선포했다.[62]

5. 1. 보로운동의 확산과 쓰촨 폭동

1911년 5월, 조정은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고 13명의 각료를 임명했다.[239] 그러나 각료 중 한족 출신은 4명뿐이었고, 나머지 9명은 만주족이었으며 그중 6명은 황족이어서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는 인사였다.[239]

청조 황족 고위 내각관료들(중앙에 경친왕 혁광). 이들은 ‘철도국유화’를 추진해 민중들로부터 격분하게 만들었다.


더 큰 문제는 이 내각에서 우전부대신 성선회가 '철도를 국유화하여 국가가 건설하자'고 건의하여, 청 조정이 즉각 철도 국유화령을 내린 것이다.[238] 이는 쓰촨~한커우, 한커우~광저우 간 철도 건설을 정부가 외국 차관을 얻어 진행하고, 이미 투자한 민간인에게는 공채를 발행하여 보상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보상 능력이 부족하여 철도 건설 완료 후에나 보상해 주기로 하였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피해를 보게 되었다.[238][239]

보로운동 희생자 추모비


청조의 철도 국유화 조치는 민간의 이권을 침해하고, 당시 중국 민족주의 정서에 반하는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는 행위로 여겨져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조치는 내각이 의회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 통보한 것으로, 민주적 절차를 무시한 처사였다.[238][239] 호남 장사에서 처음으로 국유화령 취소 요구가 일어났고, 상인들의 철시와 동맹휴학도 발생했다.[238][239] 6월 17일 '보로 동지회'가 조직되었고, 호북과 양광에서도 보로운동이 확산되었다. 특히 사천성에서 가장 격렬하게 일어났다.[238]

성도(成都)에 ‘사천보로동지회(四川保路同志會)’가 조직되어 각 주현에 분회를 설치하고 동맹 휴학과 납세 거부 운동을 전개했다. 사천총독(四川總督) 조이풍은 초기에는 보로운동에 동정적이었으나, 조정의 강경책에 따라 적극적인 진압 정책으로 전환했다.[238]

진압 과정에서 군대가 군중에게 발포하여 20명이 사망하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고, 이는 1911년 9월 무장 폭동으로 이어졌다. 조이풍은 성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했으나, '사천혁명당'이 조직한 '보로동지군(保路同志會)'이 성도를 포위하고 10여 개 주현(州縣)을 점령하여 청조가 진압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238]

청조는 각 성(省)에 진압군 파병을 명령했으나, 호북 신군(新軍)을 이끌던 단방(端方)은 사천성 자주(資州)에서 부하들에게 살해당하고 시위대에 가담했다. 전임총독 잠춘훤도 사태 수습 명령을 받았으나 무한(武漢)에서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사천으로 가지 못했다. 결국 성도는 '보로동지군'에게 점령되었고, 청조가 진압하지 못한 채 무창봉기가 발생하게 되었다.[240]

5. 1. 1. 배경

제2차 아편전쟁태평천국운동을 겪으면서 의 관리들은 서구 무기의 우수성에 주목하게 되었다. 1860년대 중반부터 이들은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민간 부문으로 확산되어 광공업 발전, 전신선 및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신식 교육기관 설립 등 서구식 개혁으로 이어졌다. 초기에는 청조가 반란 진압에 성공하여 "동치중흥(同治中興)"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양무운동 기간 중 발생한 1884년 청불전쟁, 1894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하고, 양무 기업 대다수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1894년 청일전쟁 패배 즈음에는 부국강병이라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202]

양무운동의 실패 원인으로는 관리들의 기업 통제로 인한 부패와 비능률, 전통적인 경제 구조의 잔존, 지역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점 등이 꼽힌다. 특히 개혁을 추진하던 관리들이 지방에 분산되어 통일된 계획 없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세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이 큰 문제였다.[202]

청일전쟁으로 양무운동의 한계가 명확해지자, 서구의 정치 제도 도입 등 제도 개혁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강유위(캉유웨이)를 비롯한 변법론자들의 주장이 광서제의 지지를 얻어 1898년 4월 하순부터 약 100일 동안 '무술변법' 개혁이 추진되었다.[202] 강유위는 입헌군주제 도입을 주장했지만, 우선 개혁 추진을 위한 새로운 기구(제도국) 설립에 착수하고자 했다.[202] 그러나 이러한 개혁 시도는 기존 제도와 관습을 고수하려는 관리들과 서태후에게는 기득권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강유위의 '공자개제론'(자신의 개혁이 공자의 정신을 계승한 것이라는 주장)은 수구파의 반발을 샀다. 결국 변법파가 영국, 일본과 연합하는 외교 정책을 추진하고 이토 히로부미을 방문하여 광서제를 만나자, 서태후와 수구파는 정변을 일으켜 광서제를 연금하고 서태후가 섭정을 재개하면서 변법자강운동은 실패로 끝났다.[202]

]중국 공화 혁명의 시작은 1894년 손문(쑨원) 등 지식인들이 '청조 타도'를 목표로 미국 하와이에서 결성한 비밀결사 '흥중회(興中會)'였다. 쑨원은 이듬해 1895년 홍콩에서도 흥중회를 조직하고, 광주(광저우) 무장 점령을 계획했으나 실패하고 망명길에 올랐다. 영국 런던에서 청국 공사관에 억류되기도 했던 쑨원은 이 사건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석방 후 대영박물관에서 삼민주의 사상의 기초를 다졌다.[216] 1897년 전후로 쑨원은 일본을 거점으로 하와이, 베트남, 타이, 싱가포르 등지를 순회하며 화교와 유학생들에게 혁명 사상을 전파하고 봉기 자금을 모금했다.[217]

1900년 의화단운동을 전후하여 쑨원은 이홍장을 황제로 추대하여 양광(兩廣) 지방을 독립시키려다 실패했다.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에서 조직한 봉기도 한때 2만여 명을 모았으나 외부 지원이 끊겨 실패했고, 쑨원은 다시 망명했다. 쑨원이 비밀결사를 중심으로 제한적인 봉기를 추진하던 중 발생한 의화단운동은 청조의 존재 기반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고, 일본 유학생을 비롯한 지식인들 사이에서 혁명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217]

러시아에 대한 저항 운동은 학생과 지식인들 사이에 '청조 타도'의 정당성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러시아는 의화단 진압 후 만주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한 약속을 어기고 청에 새로운 요구 조건을 제시하며 만주를 자국의 세력권으로 만들려 했다. 일본 유학생들은 러시아에 저항하기 위해 의용대와 학생군을 조직했다. 이들은 많은 유학생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청 정부는 "러시아 저항을 핑계로 혁명을 꾀한다"며 탄압했다.[217]

이 저항 운동이 청의 탄압으로 실패한 후, 일본 유학생 사회에서는 본격적으로 혁명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에 참여했던 학생들이 조직한 단체가 기반이 되어 화흥회(華興會)[218]광복회(光復會)[219] 등 국내 반청 혁명 단체가 결성되었고, 반제국주의 선전이 반청 혁명 선전으로 전환되었다. 이 시기 추용의 '혁명군'과 같은 선전 책자가 널리 읽히며 급진적인 청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17] 장병린이 '혁명군'[220]을 소개하는 글을 『소보(蘇報)』라는 잡지에 게재했다가 추용과 함께 투옥되는 필화 사건을 겪으면서 이 책은 더욱 널리 알려졌다. 진천화[221]가 쓴 『경세종(警世鐘)』, 『맹회두(猛回頭)』 등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일본 정부가 중국인 유학생 단속 규칙을 제정하자, 이에 항의하며 진천화가 투신 자살한 사건은 그의 혁명 주장을 더욱 각인시켰다. 이들은 청조가 대외 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중국이 멸망 위기에 처했으므로 청조를 타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17]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면서, 쑨원의 흥중회를 비롯하여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혁명 단체들이 "통합하여 혁명 운동을 강화하자"는 움직임을 보였다. 1907년 7월, 혁명의 선구자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이러한 움직임은 결실을 맺었다.[222] 쑨원은 혁명 동지 황싱과 함께 혁명 단체들의 연합을 제창하여 호응을 얻었다. 대표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새로 결성되는 단체의 이름을 중국동맹회로 하며, 쑨원이 제창한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동맹회의 강령으로 채택했다. 혁명파의 주요 인물로는 쑨원, 황싱, 장병린 등이 있었다. 이들은 1906년 공동 전략을 수립하고 혁명 봉기 후 정권 수립에 대비하기로 합의했다.[222]

많은 혁명가들과 단체들은 청나라 정부를 타도하고 한족 중심의 정부를 재건하고자 했다. 초기 혁명 조직 중 하나는 1890년 홍콩에서 설립된 양굴완(Yeung Ku-wan)의 흥문사(Furen Literary Society)였다. 채찬태(Tse Tsan-tai) 등 15명의 회원이 있었는데, 채찬태는 "극동의 상황"과 같은 정치 풍자 만화(manhua)를 그렸고, 훗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의 핵심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7]

손문(Sun Yat-sen)의 광복회(Revive China Society)는 1894년 호놀룰루(Honolulu)에서 설립되었으며, 주된 목적은 혁명 자금을 모으는 것이었다.[8] 두 조직은 1894년에 합병되었다.[9]

같은 날, 경정성(景定成), 천정(錢鼎), 정무목(井勿幕) 등이 이끄는 섬서성(陝西省)의 동맹회(同盟會)와 각로회(各老會)는 2일간의 싸움 끝에 서안(西安)을 점령하며 봉기를 일으켰다.[62] 회족(回族) 공동체는 혁명에 대한 지지 여부가 분열되었다. 섬서성의 회족은 혁명가들을 지지했지만, 감숙성(甘肅省)의 회족은 청(清)을 지지했다. 서안의 토착 회족은 한족(漢族) 혁명가들과 함께 만주족(滿洲族)을 학살했다.[63][64] 마안량(馬安良) 장군이 이끄는 감숙성의 토착 회족은 20개 이상의 회족 군대 대대를 이끌고 청 황실을 방어하기 위해 섬서성(혁명가 장봉휘(張鳳翽)가 장악)을 공격했다.[65] 공격은 성공적이었고, 푸이(溥儀)의 퇴위 소식이 전해지자 마안량은 새로운 공화국에 합류하기로 동의했다.[65] 혁명가들은 "진룡복한군정부(秦隴復漢軍政府)"를 수립하고 원일지회(原日知會) 회원인 장봉휘를 새로운 주지사로 선출했다.[62] 10월 24일 서안 만주인 거주지가 함락된 후, 신해혁명 세력은 도시의 만주인들을 모두 살해했고, 약 2만 명의 만주인이 학살되었다. 많은 만주인 수비대원들이 자살했는데, 청 장군 문뢰(文瑞)는 우물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몸값을 지불한 부유한 만주인들과 여성들만 살아남았다. 부유한 한족은 만주 여성들을 노예로 삼았고, 가난한 한족 군인들은 젊은 만주 여성들을 아내로 삼았다. 젊은 만주 여성들은 학살 중 서안의 회족에게 붙잡혀 무슬림으로 자랐다.[66]

신해혁명에서 청이 퇴위하자 회족 장군 마안량은 청을 버렸지만, 만주인 총독 성운(盛雲)은 혁명에 분노했다.[67]

섬서성 주지사 마유귀(馬玉貴)와 북경 이맘 왕관(王寬)과 같은 혁명 지지 회족들은 청 황실을 위해 서로 죽이는 일을 하지 말고 공화주의 혁명가들 편에 서라고 회족들에게 말하며 청의 회족 장군 마안량에게 싸움을 멈추도록 설득했다. 마안량은 원세개(袁世凱)의 행동과 다른 회족들의 메시지가 결합되어 청을 버리기로 동의했다.[68][69][70][71][72][73][74][75][76][77]

1911년 10월 만주인 학살 1년 전, 1911년 서안의 대안탑(大雁塔)에서 각로회(各老會)가 만주인에 대한 맹세를 했다.[78][79][80] 남경, 진강, 태원, 서안, 무창에서 만주족 기병대가 학살당했다.[81][82][83][84] 만주인 거주지는 서안 북동부에 위치해 있었고,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던 반면, 회족 거주지는 서안 북서부에 위치해 있었지만 한족 지역과 구분하는 성벽은 없었다. 서안 남부는 완전히 한족 지역이었다.[85][86][87][88] 서안은 파괴되기 전까지 면적이 가장 큰 만주족 기병대 주둔지였다.[89]

혁명가들은 군사학교 학생들로 이루어졌으며, 서안 성문의 경비병을 제압하고 성문을 닫은 후, 무기고를 확보하고 사원에 있던 만주인들을 모두 학살한 다음, 도시의 만주인 거주지에 난입하여 만주인들을 학살했다. 만주인 거주지는 불에 탔고 많은 만주인들이 불에 타 죽었다. 만주 남녀노소가 3일 동안 학살당했고, 그 후 만주 여성과 소녀들만 살아남았고 만주 남성과 소년들은 계속 학살당했다. 많은 만주인들이 아편 과다복용과 우물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혁명가들은 만주인들이 집에 화약을 저장했기 때문에 불이 붙으면 폭발하여 안에 있던 만주인들을 죽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1만 명에서 2만 명의 만주인이 학살당했다.[90]

마안량은 보이 노예 창갱(常庚)과 만주인 성운(盛雲)에 의해 섬서성의 혁명가들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91][92]

마안량이 섬서성을 공격하기 시작하자 원세개는 새로운 공화국의 동부 군인들을 동원했지만, 청 황제의 퇴위 소식이 서안을 공격하기 전에 마안량에게 전해졌고, 마안량은 모든 군사 작전을 중단하고 중화민국에 충성을 바꾸었다. 이로써 북서부의 모든 친청 군사 활동이 종식되었다.

원세개는 각로회가 섬서성을 장악한 후 마안량이 섬서성을 공격하지 않고 1912년 자신의 대통령직 아래 중화민국을 수용하도록 유도했다. 1916년 공화파와 원세개의 군주제 사이의 국토보호전쟁 중에 마안량은 군인들을 준비하고 공화파에게 자신과 무슬림들이 끝까지 원세개를 지킬 것이라고 알렸다.[93] 원세개는 마안량에게 한중(漢中)과 풍향부(鳳翔府)를 봉쇄하여 백랑(白狼)이 사천성과 감숙성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으라고 명령했다.[94]

프로테스탄트 섬서 선교부는 서안에 병원을 운영했다.[95] 서안에서 일부 미국 선교사들이 살해당했다는 보고가 있다. 만주인들이 서안 교외에서 선교사들을 학살했다는 보고가 있다. 서안과 태원에서 선교사들이 살해당했다는 보고가 있다. 섬서성은 10월 24일에 혁명에 참여했다. 성운은 1905년 섬서성 주지사였다.[96]

마복상(馬福祥)이 이끄는 일부 감숙성 회족은 공화파에 합류했다. 감숙성 회족 장군 마복상은 섬서성 혁명가들과의 전투에서 마안량과 함께 참여하지 않았고, 청 퇴위 전 청을 방어하려는 시도에서 청의 만주인 성운과 창갱에 합류하기를 거부했으며, 대신 비무슬림 유력자들과 회족 마복상이 함께 감숙성의 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했다.

10월 23일, 린썬(林森), 장춘(蔣群), 채혜(蔡蕙) 그리고 장시성(江西省)의 통맹회(同盟會) 회원들이 신군(新軍) 부대의 반란을 계획했다.[61][98] 청나라 해군 함대도 국가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무창 봉기(武昌起義)의 승리를 확고히 했다.[99] 승리를 거둔 후 그들은 독립을 선포했다. 그 후 구강 군정부(九江軍政府)가 수립되었다.[98]

10월 29일, 신군의 연희산(Yan Xishan)이 산서성(Shanxi)의 성도인 태원(Taiyuan)에서 봉기를 일으켰다.[98][100] 태원의 반란군은 기인(Banner people)들이 거주하는 거리를 포격하여 모든 만주인들을 살해했다.[101] 그들은 산서성의 청나라 순무인 륙종기(Lu Zhongqi, 陸鍾琦|륙종기중국어)를 살해하는 데 성공했다.[102] 그 후 그들은 연희산을 군사 총독으로 하는 산서군정부(Shanxi Military Government)의 수립을 선포했다.[62]

5. 1. 2. 청조의 철도 국유화령

1911년 5월, 조정은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고 13명의 각료를 임명했다.[239] 그러나 이 13명의 각료 중 한족 출신은 4명뿐이었고, 나머지 9명은 만주족이었으며 그중 6명은 황족이어서 개혁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는 인사였다.[239]

더 큰 문제는 이 내각에서 우전부대신 성선회가 '철도를 국유화하여 국가가 건설하자'고 건의하여, 청 조정이 즉각 철도 국유화령을 내린 것이다.[238] 이는 건설 예정인 쓰촨~한커우, 한커우~광저우 간 철도를 정부가 외국의 차관을 얻어 건설하고, 이미 투자한 민간인에게는 공채를 발행하여 보상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보상 능력이 부족하여 철도 건설 완료 후에나 보상해 주기로 하였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피해를 보게 되었다.[238][239]

5. 1. 3. 보로운동 확산



청조의 철도 국유화 조치는 민간의 이권을 침해하고, 당시 중국 민족주의 정서에 반하는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는 행위로 여겨져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239] 이러한 조치는 내각이 의회와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 통보한 것으로, 민주적 절차를 무시한 처사였다.[238][239] 피해 지역 중 호남 장사에서 처음으로 국유화령 취소 요구가 일어났고, 상인들의 철시와 동맹휴학도 발생했다.[238][239] 6월 17일 '보로 동지회'가 조직되었고, 호북과 양광에서도 보로운동이 확산되었다. 특히 사천성에서 가장 격렬하게 일어났다.[238]

성도(成都)에 ‘사천보로동지회(四川保路同志會)’가 조직되어 각 주현에 분회를 설치하고 동맹 휴학과 납세 거부 운동을 전개했다. 사천총독(四川總督) 조이풍은 초기에는 보로운동에 동정적이었으나, 조정의 강경책에 따라 적극적인 진압 정책으로 전환했다.[238]

진압 과정에서 군대가 군중에게 발포하여 20명이 사망하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고, 이는 1911년 9월 무장 폭동으로 이어졌다. 조이풍은 성도 전역에 계엄령을 선포했으나, '사천혁명당'이 조직한 '보로동지군(保路同志會)'이 성도를 포위하고 10여 개 주현(州縣)을 점령하여 청조가 진압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238]

청조는 각 성(省)에 진압군 파병을 명령했으나, 호북 신군(新軍)을 이끌던 단방(端方)은 사천성 자주(資州)에서 부하들에게 살해당하고 시위대에 가담했다. 전임총독 잠춘훤도 사태 수습 명령을 받았으나 무한(武漢)에서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사천으로 가지 못했다. 결국 성도는 '보로동지군'에게 점령되었고, 청조가 진압하지 못한 채 무창봉기가 발생하게 되었다.[240]

6. 혁명의 전개

제2차 아편전쟁태평천국운동을 거치며 서구 무기의 위력을 실감한 은 1860년대 중반부터 부국강병을 목표로 군수산업을 일으켰다. 이러한 움직임은 민간 부문으로 확산되어 광공업 발전, 전신선 및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신식 교육기관 설립 등 서구식 개혁으로 이어졌다. 이를 양무 운동이라 한다. 초기에는 청조가 반란 진압에 성공하여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 불리기도 했지만, 1884년 청불전쟁, 1894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하고, 양무 기업 대다수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1894년 청일전쟁 패배 무렵에는 부국강병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02]

양무운동의 실패 요인으로는 관리의 기업 통제로 인한 부패와 비능률, 전통 경제 구조의 잔존,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점 등이 꼽힌다. 특히 개혁을 추진하는 관리들이 지방에 분산되어 통일된 계획 없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세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이 큰 문제였다.[202]

1899년-1900년 산둥성에서 일어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 퍼진 반제국주의 농민 투쟁인 의화단 운동이 일어났다. 의화단백련교 일파로 불리는 종교 비밀결사로서, 당시 사회 모순, 기독교 전파, 독일 진출에 반감을 품고 '부청멸양'을 외치며 무력으로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1899년 산둥성 서부에서 의화단은 폭동을 일으켜 외국인, 특히 기독교도(개신교, 가톨릭, 정교회)를 박해했고, 청조는 이를 선동하여 폭동을 확대시켰다.[203]

1900년 의화단은 베이징까지 진출하여 관군과 함께 11개국 공사관[204]을 공격했으나, 영국, 러시아,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8개국 연합군에게 격파되었다. 1901년 9월 베이징 의정서 체결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지만, 막대한 배상금 지불을 포함한 12개 항 조약 내용은 의 위신을 크게 실추시키고 식민지화를 더욱 촉진했다.[203]

보로운동은 1911년 청나라가 철도 국유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발생한 민중 봉기이다. 청조는 1911년 5월, 서구 열강으로부터 차관을 얻기 위해 민영 철도를 국유화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이 조치는 민간 철도 회사에 투자한 사천, 광동, 호남, 호북 등지의 신사, 상인, 지주들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238]

청조의 조치는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만주족이 독점한 내각에서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려 했다는 점에서 당시 중국 민족주의 정서에 크게 어긋났으며, 이미 투자한 민간인들의 이권을 박탈하는 조치였다. 후난성 장사에서 처음으로 국유화령 취소 요구가 일어났고,[238][239] 조세 항거, 상인 철시, 동맹 휴학도 발생했다. 6월 17일 ‘보로 동지회’가 조직되어 호북광동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났는데, 그중 가장 격렬했던 곳이 사천이었다.[238]

사천의 주요 도시 성도(成都)에는 ‘사천보로동지회(四川保路同志會)’가 조직되었고, 각 주현에 분회를 조직하고 동맹 휴학과 납세 거부 운동을 전개했다. 사천총독(四川總督) 조이풍은 초기에는 동정적이었으나, 조정의 강경책에 따라 진압 정책으로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진압 군대가 군중에게 발포하여 20명이 사망하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고, 이는 1911년 9월 무장 폭동으로 이어졌다. ‘사천혁명당’이 조직한 ‘보로동지군(保路同志會)’은 성도를 포위하고 10여 개 주현(州縣)을 점령하여 청조가 진압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238] 청조는 각 성(省)에 진압군 파병을 요청했으나, 진압군 지휘관 단방(端方)은 호북 신군(新軍)에게 살해되었고, 전임총독 잠춘훤도 사태의 심각성 때문에 성도로 들어가지 못했다. 결국 성도는 '보로동지군'에게 점령당하고, 청조가 진압하지 못한 채 우창 봉기가 발생하게 되었다.[240]

우창 봉기, 각 성의 호응과 독립, 청조의 대응과 위안스카이의 등장, 북양군의 혁명군 진압, 남북 의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우창 봉기

장이우(왼쪽)와 쑨우(오른쪽). 이들은 각각 문학사와 공진회를 이끌었던 동맹회 회원 혁명파로 우창 봉기를 계획했었으나, 사전에 발각되었다.


우창 봉기 당시 우창성 지도. 빨간색 화살표는 봉기를 일으킨 혁명군, 파란색 화살표는 청군이다.


봉기를 일으킨 신군(新軍) 포병들.


1911년 10월 11일 ‘호북 군정부’ 수립. 공화혁명으로 가장 먼저 수립된 호북 군정부는 청조의 고위 장교였던 리위안훙을 군정부 도독으로 선출하였다.


사천성 사태가 급해지자 청조는 호북의 신군(新軍)을 파견하여 진압하려 했다. 이로 인해 우창에는 일부 신군만 남게 되어 혁명파에게 좋은 기회가 주어졌다. 당시 우창에는 이미 혁명당인 공진회(共進會)와 문학사(文學社)가 활동하며[241] 신군 내에 혁명 사상을 전파하고 있었다. 1911년 7월에는 쑹자오런을 중심으로 중국동맹회 중부총회가 성립되어 우창으로 사람을 보내 이들 단체와 연합하였다.[242]

1911년 가을, 우창의 신군 15,000명 중 1/3인 5,000여 명이 혁명파에 가담했다. 9월, 문학사와 공진회는 연석 회의를 통해 통합 지휘부를 설립하고, 장이우(蔣翊武)를 총사령관, 쑨우(孫武)를 참모장으로 추대했다. 이들은 봉기 준비를 하며 상하이에 사람을 보내 쑹자오런, 황싱을 우창으로 오게 하여 봉기 후 연락 계획을 수립하고, 10월 16일 봉기하기로 결정했다.[243]

그러나 10월 9일 한커우의 러시아 조계에서 폭탄 제조 중 화약이 폭발하여 봉기 준비가 발각되었다.[244] 관련자들이 체포되고 처형되자, 혁명당원들은 봉기를 앞당겼다. 우창 신군부 공병 제8대대의 부사관과 병들이[245] 먼저 봉기했고, 보병·포병 부대와 군사학교 사관생도도 가세했다.[243]

호광총독 서징은 도망쳤고, 혁명군은 당일 우창성을 점령하고 ‘호북 군정부’를 수립했다. 혁명군은 신군 여단장 리위안훙을 군정부 도독으로 선출했다.[246] 그날 밤 한양, 다음 날 아침 한커우를 함락하여 ‘무한 3진’(武漢三鎭)을 확보했다. 이 봉기가 10월 10일에 일어나 중화민국에서는 '''중화민국 국경일''',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기념한다.[243][242]

6. 2. 각 성의 호응과 독립

우창 봉기에 이어 10월 22일 호남섬서에서 처음으로 봉기가 일어났다. 호남에서는 혁명당의 초달봉(焦達峰)이 회당과 신군을 이끌고 장사를 공격하여 호남 군정부를 수립하고 도독이 되었다. 섬서에서도 동맹회원들이 봉기를 일으켜 섬서 군정부를 조직하고 신군의 장봉홰(張鳳翽)가 도독이 되었다.[243]

날짜성(省)내용
10월 23일강서구강(九江)과 남창(南昌)에서 봉기가 일어나 강서 군정부를 조직하고, 동맹회 회원 이열군(李烈鈞)이 도독이 됨.
10월 29일산서신군 혁명당원이 봉기를 일으켜 산서 군정부를 조직하고 신군의 옌시산을 도독으로 선출.
10월 30일운남동맹회 회원 이근원(李根源)은 신군의 차이어와 연락하여 봉기를 일으키고 운남 군정부를 조직, 차이어를 도독으로 선출.
11월 3일상하이중국동맹회 중부총회가 봉기를 일으켜 동맹회 회원 천치메이가 상하이 군정부 도독으로 추대됨.
11월 4일절강상하이의 지원 아래 혁명당원이 신군과 연락하여 항저우를 점령하고 입헌파 탕수잠(湯壽潛)을 도독으로 선출. 같은 날 귀주에서도 혁명당은 신군 및 육군학당 학생들과 함께 봉기하여 귀양(貴陽)을 점령하고 신군 장교 양진성(楊盡誠)을 도독으로 선출.
11월 5일강소, 안휘강소는 입헌파들이 신상(紳商), 관료들과 함께 순무 정덕전(程德全)에게 독립을 선포하도록 요구하여 청조 순무가 새 군정부 도독으로 추대됨. 안휘는 동맹회 회원과 회당(會黨)이 함께 일어나자 입헌파들이 순무에게 독립을 선포하도록 요구, 순무 주가보(朱家寶)가 독립을 선포하고 도독으로 선출된 후, 손육군(孫毓筠), 백문울(柏文蔚)이 차례로 도독이 됨.
11월 6일광서광서 자의국에서 청정에서 벗어나자고 결의하여 다음날 독립을 선포, 육영정(陸榮廷)이 정변을 일으켜 도독에 오름.
11월 9일광둥, 복건광둥은 독립을 선포하고 후한민이 도독이 됨. 복건은 복주 동맹회 회원 허숭지(許崇智)가 봉기를 일으켜 제10진 통제(統制) 손도인(孫道仁)을 복건 군정부 도독으로 선출.
11월 13일산둥독립을 선포하고 순무 손보기(孫寶琦)가 도독으로 선출되었으나, 위안스카이와 결탁하여 독립을 취소, 혁명당원이 많은 피해를 입음.
11월 27일쓰촨성도에서 독립을 선포하여 입헌파 포전준(浦殿俊)을 도독으로 선출.



이처럼 여러 지역에서 동맹회 회원들이 우창 봉기에 자극받아 일제히 봉기하여 11월 하순에는 24성 가운데 14성이 청조의 지배로부터 이탈, 독립하였다.[243][247]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각 성은 통일 혁명 중앙정부 수립을 위해 “각성도독부대표연합회”, “각성대표회의” 등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들의 혁명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중국 동맹회 등 통일된 혁명 세력이 각 성의 무장 봉기에 가담하여 봉기를 일으킨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주체적이고 일률적인 규율이나 지도 체제가 없었다.[243] 청조와 구체제에 반대하기만 하면 입헌파든 공화파든 가리지 않고 무장 봉기에 나섰기 때문에, 봉기가 성공하여도 실제 지배권은 입헌파 등 반동 세력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243][248]

6. 3. 청조의 대응과 위안스카이의 등장

북양신군 훈련.


산동순무(山東巡撫) 시절 위안스카이. 의화단운동 이후 급부상하여 실권자로 대두했다.


내각총리대신 시절의 위안스카이.


1900년 의화단 운동의 참혹한 결과로 조정은 내정과 외교에 큰 위기를 맞았다. 1901년 1월, 서태후는 “외국의 장점을 취하고 중국의 단점을 버려 부강을 꾀한다”는 방침으로 ‘신정(新政)’을 시작했다. 이를 서태후의 존호인 자희(慈禧)를 따 ‘자희신정(慈禧新政)’이라고 한다.[205] 신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06]

1905년 과거제도가 폐지되었으나, 신식 학교는 과거 교과 내용을 그대로 가르치는 등 교육 개혁은 한계를 드러냈다. 반면 군사 제도 개혁은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아편 전쟁, 청불 전쟁, 청일 전쟁 등에서 패배를 거듭한 청은 신식 군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군사 개혁에 착수했다. 1901년 위안스카이를 중심으로 서양식 군대인 ‘신건육군(新軍)’이 36개 사단으로 재조직되었다. 특히 북양대신 겸 직례총독인 위안스카이를 영수로 하는 북양 군벌이 급성장하여 정치에 강한 영향력을 확보하였다.[211]

1908년 11월 14일 광서제가 사망하고, 다음날 서태후도 사망하면서 부의(溥儀)가 선통제로 즉위했다. 섭정인 순친왕은 1909년 1월 위안스카이를 해임했다.[214]

베이징의 청조는 10월 11일 오후에 '우창 봉기' 소식을 듣고, 다음날 혁명군 진압을 위해 육군부 대신 음창과 해군부 부대신 살진빙을 파견했다.[249] 그러나 이들이 제대로 청군을 통솔하지 못하자, 청조는 북양 신군의 지휘관들이 개인적으로 충성하는 위안스카이를 다시 불러들였다.[248]

청조는 위안스카이를 호광총독에 임명했으나, 그는 꾀병을 핑계로 움직이지 않았다. 청 조정 내에서는 위안스카이 재등용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었으나, 결국 10월 27일 모든 전권을 위임받은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되어 호북반란 진압군과 장강 해군을 총지휘하게 되었다.[248] 11월 1일에는 내각총리대신이 되었고,[243] 11월 3일에는 《헌법신조 19조》를 발표하여 황제의 대권을 대폭 축소했다. 이로써 위안스카이는 군사력과 정치 권력을 모두 장악하고 혁명군에게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248]

6. 4. 북양군의 혁명군 진압



10월 11일 오후, 베이징의 청조는 '우창에서 봉기가 일어났다'는 소식을 접했다. 다음 날인 10월 12일, 청조는 우창에서 도망쳐온 총독 서징을 파면하고, 육군부 대신 음창과 해군부 부대신 살진빙에게 혁명군 진압을 명했다.[249] 또한, 패전 책임을 서징에게 전가하고, 철도 국유화 정책을 추진하던 우전부 대신 성선회를 '민란의 책임자'로 몰아 민심을 수습하려 했다.

하지만 음창과 살진빙이 청군을 제대로 통솔하지 못하자, 청조는 혁명군 진압을 위해 2년 전 축출했던 위안스카이를 다시 불러들일 수밖에 없었다. 돤치루이, 펑궈장 등 북양 신군의 고급 지휘관들이 위안스카이에게 개인적으로 충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248] 위안스카이는 ‘북양 신군’을 만든 장본인이자 실질적인 권한자였다.

청조는 위안스카이를 호광총독에 임명하고 혁명군 토벌을 명했으나, 위안스카이는 꾀병을 핑계로 움직이지 않았다. 청조 내각에서는 위안스카이 재기용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지만, 결국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248]

10월 27일, 청 정부는 위안스카이에게 모든 전권을 위임하고 흠차대신(欽差大臣)으로 임명하여 호북반란 진압군과 장강 해군을 총지휘하게 했다.[248] 11월 1일에는 경친왕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총리대신이 되었다.[243] 순친왕은 섭정에서 물러났으며, 11월 3일 청조는 《헌법신조 19조》를 발표하여 황제의 권한을 대폭 축소했다. 이로써 위안스카이는 내각총리로서 청나라의 군정(軍政) 대권을 장악하고, 호북의 혁명군에게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248]

위안스카이는 북양군의 돤치루이와 펑궈장을 동원하여 진압에 나섰다. 11월 2일 청군이 한커우에 진입하면서 혁명군과 청군 간의 전쟁이 시작되었고, 혁명군은 한양으로 철수했다.[243] 11월 17일, 혁명군 황싱이 한커우를 공격하여 일시적으로 수복하기도 했지만, 결국 11월 27일 한양마저 돤치루이 군에게 함락당하고 황싱은 우창으로 퇴각했다. 혁명군은 훈련 부족과 조직력, 화력 면에서 북양군에 비해 열세였다.[243][250]

6. 5. 남북 의화

남북의화 교섭. 왼쪽은 탕사오이, 오른쪽은 우팅팡. 중앙은 중개역의 영국인 상인 리틀(Edward Selby Little).


위안스카이는 청으로부터 전권을 위임받고 북양군을 동원하여 혁명군과 교전했지만, 실제로는 전투 의사가 없었다. 그는 베이징 주재 영국 공사 존 조던(Jordan, John)에게 부탁하여 혁명군과의 화의를 모색했다.[243][248]

당시 혁명군 활동 지역은 장강 중류 지역으로 영국의 세력 범위였기 때문에 영국으로서도 이 지역에서의 전투는 원치 않았다. 영국 영사관 조던은 상하이 주재 영국 영사에게 지시하여 쌍방의 화의를 주선하게 되었다. 한편, 이 무렵 혁명군은 한양(漢陽)을 빼앗긴 직후로 수세에 몰렸던 상황이었다. 이에 한커우에 주재하고 있던 영국 영사의 중재로 ‘남북의화’를 제안했고, ‘호북 군정부’ 도독인 리위안훙도 정전(停戰)을 요청하는 뜻을 전국에 알렸다. 12월 2일 한커우에 모인 각 성의 대표들은 위안스카이가 반정(反正)한다면 그를 임시대총통으로 선출하기로 결의했다.[243][248]

영국 영사의 중재 주선 하에 위안스카이 대표 탕사오이와 혁명군 대표 우팅팡이 상하이 영국 영사관에서 만났다. 12월 3일 남북 양측은 3일간 정전하기로 합의했다.[243][248]

이러한 협상은 '''남북의화(南北議和)'''라고 하는데 혁명세력이 강했던 남부지방과 위안스카이 등 청조세력의 북부지방의 협상을 의미한다. 혁명군이 이러한 정치적 타협의 길로 나갈 수밖에 없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이런 정전과 타협의 움직임은 중국 신해혁명의 전개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 12월 3일부터 시작된 남북간의 정전이 지속됨에 따라 신해혁명은 무장투쟁에서 정치적 타협으로 전환됐다. 12월 5일 각 성 대표들이 모인 회의에서 청 왕조 타도와 공화정부 수립을 내용으로 하는 《의화강요》(議和綱要)가 통과되고 청 왕조와의 협상이 결의되었다.[243][248] 정전 기간은 당초 12월 2일부터 3일간으로 되어 있었으나 위안스카이의 요청으로 2번이나 연장되어 정전기간은 무려 15일간에 이르렀다.[243]

남북의화는 상하이에서 정식으로 개시되었다. 양측 대표의 협상 중 12월 29일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대총통으로 하는 임시정부를 세우자, 담판은 일시 중지되었으나 쑨원이 위안스카이에게 조건부로 총통직을 양보하겠다는 제안을 한 후 협상이 지속되었다.

정전에 이어 강화교섭이 시작되어 혁명군측에서 우팅팡, 청조측에서 탕사오이가 각각 대표로 선출되어 12월 18일 1차 교섭에서 우팅팡은 다음 4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그러나 1차 교섭에서 잠정적인 정전만 합의하고 12월 20일 다시 2차 교섭에 들어가 국체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우팅팡은 1차 교섭에서 주장한 대로 조건을 제시했다. 이에 대하여 탕사오이는 '국민대회를 열어 정체 문제를 결정한다'는 선까지 양보했다. 이는 위안스카이가 모두 조종한 결과였다.[243]

위안스카이는 대총통의 자리를 꿈꾸고 있었고 우창회의에서 혁명파가 자기를 임시 대총통으로 추대한다는 결의를 현실화시키려고 하였다. 그는 입헌군주파를 설득, 무마하여 자기편으로 끌여들이고 혁명파와 강화교섭만 성공한다면 대총통 자리는 따논 당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무렵 세계 열강은 위안스카이를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이고 있었는데, 위안스카이에 의해 남북 통일이 실현된다면 중화민국은 승인하지만 난징 임시정부는 승인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성명을 내걸었고 경제적으로도 임시정부가 지배한 지역의 세관은 열강의 억제정책으로 인하여 임시정부의 재정이 매우 곤란한 상태였다. 이 같은 모든 사태는 모두 위안스카이가 비밀리에 책동하였고 조종하고 있었다.[243]

7. 중화민국의 수립

1899년부터 1900년 사이 산둥성에서 일어난 반기독교 폭동을 계기로 화북 일대에 퍼진 반제국주의 농민 투쟁인 의화단 운동이 일어났다.[203] 중심 세력인 의화단백련교 일파로 불리는 종교 비밀결사로서 당시 사회 모순, 기독교 전파, 독일 진출에 반감을 품고 '부청멸양'(扶淸滅洋)을 부르짖으면서 무력으로써 배외 운동을 전개했다.[203]

1900년 베이징에까지 들어와 관군과 함께 11개국 공사관[204]을 공격했으나, 영국, 러시아,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8개국 연합군에게 격파되었다.[203] 1901년 9월 베이징 의정서의 성립으로 사건은 마무리되었으나 엄청난 배상금 지불을 포함한 12개 항 조약 내용은 의 면모를 크게 실추시키면서 식민지화를 더욱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203]

청조의 교육개혁으로 신식 학교가 설립되고 유학생이 대거 파견되면서, 전통적인 독서인과 다른 유형의 지식 계층이 탄생했다. 이들은 점차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으로 기울어졌으며, 특히 일본으로 유학 간 중국인 유학생들은 급속하게 이러한 사상을 수용했다.[213]

한편, 의화단 운동으로 인한 막대한 배상금 지불[215]과 '신정' 실행에 필요한 재원 마련으로 인해 각종 세금이 신설되어 민중의 고통이 심해졌다. 농민 봉기는 1906년에 199회, 1907년에 188회, 1909년에 112회, 1910년에 266회나 일어날 정도로 만연했고, 1911년 이후에는 더욱 급증했다.[213]

중국 공화 혁명의 시초는 1894년 쑨원을 비롯한 지식인들이 '청조 타도'를 목표로 미국 하와이에서 결성한 비밀결사인 흥중회로부터 시작되었다.[216] 쑨원은 삼민주의 사상의 기초를 닦고, 화교와 유학생들에게 혁명 사상을 전파하며 봉기 자금을 모금했다.[217] 의화단 운동은 청조의 존재 근거에 의문을 제기했고,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 지식인들 사이에서 혁명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217]

러시아 제국에 대한 저항 운동은 학생과 지식인들에게 '청조 타도'의 정당성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운동에 참여한 학생들이 조직한 단체가 모태가 되어 화흥회[218]광복회[219]가 성립되었으며, 반제국주의 선전이 반청 혁명 선전으로 집중되었다. 추용의 '혁명군'과 같은 선전 책자는 급진적인 청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17]

각지에서 혁명 단체가 결성되자 쑨원의 흥중회, 화흥회, 광복회 등은 통합하여 혁명 운동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1907년 쑨원을 주축으로 한 중국동맹회가 결성되었고,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채택했다.[222]

위안스카이는 북양군을 동원해 혁명군과 교전했지만, 처음부터 전투 의사가 없었기에 영국 공사 존 조던에게 부탁하여 혁명군과의 화의를 모색했다.[243][248] 영국의 중재로 '남북의화'가 제안되었고, 12월 2일 각 성 대표들은 위안스카이가 반정(反正)한다면 임시대총통으로 선출하기로 결의했다.[243][248] 12월 3일 남북 양측은 3일간 정전에 합의했다.[243][248]

오족공화를 주제로 한 삽화. 신해혁명 기간 동안 십팔성기(왼쪽), 오색기(가운데), 청천백일만지홍기(오른쪽)가 사용되었다.


남북화의가 진행되는 동안 각 성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정부 수립 문제가 논의되었다. 상하이와 우창에서 각각 대표단이 모였으나, 난징 함락 소식에 따라 난징에서 총통 선거를 하기로 합의했다.[251]

7. 1. 중화민국 임시정부 조직 대강

中華民國臨時政府組織大綱|중화민국 임시정부 조직 대강중국어1907년 7월 혁명의 선구자 쑨원이 유럽에서 일본에 들렀을 때, 흥중회, 화흥회, 광복회 등 여러 혁명단체들을 통합하여 혁명운동을 더욱 강화하자는 움직임이 중국동맹회로 결실을 보면서 만들어졌다.[222] 쑨원은 혁명의 동지 황싱과 혁명 단체들의 연합을 제창하여 호응을 얻었다. 대표들은 쑨원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새로 결성되는 단체의 이름을 중국동맹회로 하며, 쑨원이 제창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중화를 회복하며, 민국을 창립하여 지권을 평균한다’는 4개 강령을 동맹회의 강령으로 결정하였다. 혁명파의 지도적 인물로는 쑨원, 황싱, 장병린 등이 있었다. 그들은 1906년 공동으로 전략을 세워 혁명 봉기 후의 정권 수립에 대비한다는 데 합의하였다.[222]

7. 2. 쑨원의 귀국과 초대 임시대총통 취임

1912년 중화민국 임시대총통 추대 당시 쑨원.


미국에서 혁명 자금을 모금하던 쑨원은 콜로라도주 덴버의 신문 기사를 통해 국내에서 혁명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접했다.[252] 쑨원은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열강의 간섭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유럽으로 건너가 영국프랑스로부터 "청 정부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이후 12월 21일 홍콩을 거쳐 12월 25일 상하이에 도착하여 임시 정부 조직 문제를 협의하였다.[251]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 건국 기념으로 출간된 달력.


난징에서 열린 각 성 대표 회의에서 12월 29일 17성 대표는 선거를 통해 쑨원을 '난징 임시정부'의 임시대총통으로 선출했다.[248] 리위안훙이 임시부총통으로 선출되었고, 1912년 1월 1일 쑨원은 난징에서 총통에 취임하며 국호를 '''중화민국'''으로 선포하고 1912년 1월 1일을 '민국 원년'으로 삼았다.[252][251]

1월 3일 쑨원은 대총통 명의로 각성대표회에 국무원(國務院) 9부(部)의 총장 명단을 제출했다. 명단은 다음과 같다.

부서총장
육군부황싱
해군부황종영(黃鐘瑛)
외교부왕총혜
사법부우팅팡
재정부진금도(陳錦濤)
교육부차이위안페이
실업부장건
내무부정덕전(程德全)
교통부탕수잠(湯壽潛)[252]



이로써 아시아 최초의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북쪽에는 청나라 정부가 여전히 존재했고, 내부의 입헌파와 구관료들은 위안스카이를 지지하며 청 정부를 무너뜨린 사람이 대총통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쑨원에게는 더 큰 과제가 남아있었다.[252][251]

7. 3. 임시참의원과 임시약법

1912년 1월 28일 임시정부조직대강에 따라 18개 성의 대표들이 임시참의원을 구성하고 각 성 대표회의는 해산했다.[252] 참석자 43명 중 동맹회 회원이 33명으로 4분의 3을 차지했고, 입헌파는 8명, 기타 2명으로 4분의 1이 채 되지 않았다.[252] 표면적으로는 혁명파, 입헌파, 구관료의 연합이었지만, 실질적으로는 혁명파가 장악한 형태였다.[252]

임시참의원이 성립된 후 국회 조직은 미국 의회 제도를 따라 원로원과 대의원의 양원제를 채택했다.[252] 원로원은 2년마다 3분의 1을 다시 뽑고, 대의원의 임기는 4년이었다.[252] 대의원 수는 인구 비례주의를 채택했다.[252]

임시참의원의 가장 큰 임무는 ‘중화민국 임시약법’을 심의하는 것이었다.[252] 2월 7일 기초위원회가 구성되었고, 한 달 간의 토의 끝에 3월 11일 임시약법이 공포되었다.[252] 임시약법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임시약법은 주권재민, 내각제도, 국민의 기본권을 정한 것으로 쑨원의 삼민주의 사상에 기초하여 중화민국의 골격을 이루었다.[252]

8. 청나라 멸망과 중화민국 초기

제2차 아편 전쟁태평천국운동을 겪으면서 서구 무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860년대 중반부터 양무운동을 통해 부국강병을 추구했다. 군수산업에서 시작된 양무운동은 광공업, 철도 부설, 해군 양성, 유학생 파견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지만, 청불전쟁(1884년)과 청일전쟁(1894년)에서 패배하면서 그 한계를 드러냈다.[202]

양무운동의 실패는 관리들의 부패, 전통 경제 구조의 잔존, 지역 중심의 개혁 추진 등 여러 요인에 기인했다. 특히, 개혁을 추진하는 관리들이 지방에 분산되어 통일된 계획 없이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급변하는 정세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202]

변법자강운동이 실패하고 의화단 운동으로 인해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면서 청 조정은 내정과 외교 모두에서 위기에 처했다.[213] 1901년 서태후는 '신정(新政)'을 실시하여 군대 근대화, 실업 진흥, 교육 개혁 등을 추진했다. 신식 학교 설립과 유학생 파견은 새로운 지식 계층을 탄생시켰고, 이들은 점차 혁명 사상과 입헌 사상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213]

그러나 청 조정의 과도한 세금 징수는 민중의 고통을 심화시켰고, 1906년부터 1910년까지 농민 봉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213]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혁명가들과 단체들은 청나라 정부를 타도하고 한족 중심의 정부를 재건하고자 했다.

쑨원(손문)은 1894년 호놀룰루에서 광복회(Revive China Society)를 설립하여 혁명 자금을 모으기 시작했다.[8]

상하이 군사 총독 진기미(陳其美)


1911년 우창 봉기 이후, 상하이에서 진기미(陳其美) 등을 중심으로 무장 봉기가 일어났고(1911년 11월 3일), 상하이 군사 정부가 수립되었다(1911년 11월 8일).[98] 1911년 11월 21일에는 광안에서 대한(大漢) 촉한(蜀漢) 북방 군정부가 조직되었고,[62][121] 1911년 11월 22일에는 청두와 사천이 독립을 선언했다.[62]

1912년 2월 12일, 의 내각총리대신 원세개 등의 내각 권고에 따라 선통제의 어머니인 융유태황태후는 청 황실에 대한 우대 조건을 받아들이고, 『선통제 퇴위조서』를 발표하여 선통제의 퇴위와 원세개중화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권한 이양이 이루어졌다. 이로써 청나라는 멸망하였고, 2000년 이상 지속된 중국에서의 제정은 마침내 폐지되었다.

8. 1. 선통제 퇴위·청조 멸망

1912년 1월 16일 위안스카이는 황태후에게 황실 우대 조건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프랑스 혁명 당시 루이 16세처럼 될 것이라고 협박했다.[254] 1월 17일에 열린 황족회의에서는 공화정 수용을 놓고 찬반 양론이 격렬하게 대립하여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254]

1월 19일 황족회의에서는 청 황실의 지도력 부재와 무능이 드러났다. 위안스카이를 물리치고 혁명군에 끝까지 무력으로 대항하자는 입장이었던 공친왕이 반대파인 선통제의 숙부에게 병력 상황을 질문하자, 얼마 전까지 육군을 관리했던 25세의 황숙(황제의 숙부)은 전쟁을 해보지 않아 알 수 없다고 대답했다.[254]

1월 26일, 위안스카이의 사주로 진압군 총사령관인 돤치루이 등 47인의 고위 지휘관들이 연명으로 공화정을 요구했다. 같은 날, 군주입헌유지회를 만들어 공화정 반대 운동을 벌이던 만주족 청년 장교 양필(良弼)이 피격되어 1월 28일 사망했다. 양필의 암살은 청조에 큰 타격을 주었다.[254]

1월 30일 어전회의에서 결론이 났고, 내각에 공화정 선포를 준비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2월 3일 청나라 황실은 위안스카이에게 전권을 부여하고 난징 임시정부(중화민국) 측과 퇴위 조건에 관한 구체적인 협상을 하게 했다.[254]

일본은 처음에는 중국 혁명에 대응해 입헌군주제로 내란을 수습하려 했으나, 영국미국이 위안스카이 집권을 통해 내란을 조기 수습하려는 입장을 보이자, 일본은 입헌군주제를 통한 청조 존속 의도를 버렸다.[254][255]

2월 9일 대청황제에 대한 퇴위 후 우대 조건 8개항이 확정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통제의 퇴위칙서

  • 대청황제가 사위(辭位)한 뒤에도 그 존칭은 그대로 보존되며, 민국정부는 그를 외국 군주의 예로 대우한다.
  • 대청황제가 사위한 뒤에 황실 세비는 400만 량으로 하고 민국이 지급한다.
  • 대청황제는 사위한 뒤에 잠시 궁성(宮城)에 거처하다가 훗날 이화원으로 옮겨간다. 시위인(侍衛人)들은 이전대로 부릴 수 있다.
  • 대청황제가 사위한 뒤에 그 종묘와 능묘는 영원히 봉사(奉祀)될 것이며, 민국이 위병(衛兵)을 배치해 적절히 보호한다.
  • 덕종(德宗)의 숭릉(崇陵)의 아직 완성되지 못한 공정은 규정에 맞게 마무리할 것이며, 봉안예식은 옛 법도대로 한다. 그에 드는 실제 비용은 민국에서 지출한다.
  • 이전에 궁전 안에서 부리던 여러 집사들은 이전대로 부릴 수 있다. 다만 앞으로 환관은 쓸 수 없다.
  • 대청황제가 원래 갖고 있던 사유재산은 사위한 뒤에 민국이 특별히 보호한다.
  • 원래 있던 궁중경비군은 민국 육군부(陸軍部)의 편제에 편입되며, 그 정원과 보수는 이전대로 한다.[254][255]


그 밖에 청나라 황족에 대한 대우규정 4개조와 만주족, 몽고족, 회족에 대한 대우규정 7개조도 함께 확정됐다.[255]

2월 11일 황태후가 위와 같은 황실우대 조건을 받아들였고, 2월 12일 궁전 안에 있는 양심전(養心殿)에서 마지막 조회(朝會)가 열렸다. 황태후는 공화국 체제 도입을 위하여 황실의 통치권을 포기하며 만한몽회장(滿漢蒙回藏) 5족으로 중화민국을 구성한다는 뜻을 담은 사위조서(辭位調書)를 외무부대신 호유덕에게 건네주고 공표하게 했다. 이로써 진나라진시황 이래 2천년 넘게 지속돼온 중국의 황제 체제가 종식되고 청나라는 멸망했다.[254][255]

8. 2. 위안스카이의 중화민국 임시대총통 취임과 독재 정치

1912년 2월 13일 쑨원(손문)은 난징 임시정부 임시대총통직을 사임했고, 2월 15일 위안스카이(원세개)가 임시대총통으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혁명군은 무력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위안스카이의 내응(內應)을 얻어 열강의 무력 간섭 없이 공화정체 성립에 성공했다.[254] 쑨원은 임시대총통직 사임 조건으로 난징을 임시정부 수도로 할 것을 위안스카이에게 요구했으나, 위안스카이는 2월 말 베이징 등지에서 일어난 군사 반란을 구실로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254]

1912년 3월 10일 위안스카이는 베이징에서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에 취임했다. 4월 1일 쑨원은 정식으로 임시대총통직에서 해제되었고, 4월 5일 임시공화정부 의회는 수도를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이전하기로 결의하여, 혁명파가 위안스카이를 난징에서 견제하려는 시도는 무산되었다.[254]

임시대총통이 된 위안스카이는 여러 수단으로 혁명파를 무력화시켰다. 군사적 기반을 잃은 혁명파에게 남은 길은 국회와 정당을 통해 위안스카이를 견제하는 것뿐이었다. 이에 쑹자오런(송교인)의 주도로 1912년 8월 25일 ‘중국혁명동맹회’가 개조되어 국민당이 창설되었다.[254]

국민당은 1913년 1월과 2월에 걸쳐 시행된 국회선거에서 민중의 지지를 받아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국민당 내각 구성을 꺼린 위안스카이는 3월 20일 암살범을 보내 국무총리로 예정된 쑹자오런을 저격했고, 3월 22일 쑹자오런은 숨을 거두었다. 위안스카이는 국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13년 4월 25일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러시아 5개국 은행단으로부터 2500만파운드에 달하는 거액의 차관 도입 협정을 체결하여 독재를 위한 재정 기반을 확보했다.[254][256] 1913년 6월, 위안스카이가 국민당 계열 도독 3인을 파면하자 쑨원, 천치메이 등 국민당 세력은 '''제2차 혁명'''을 호소하며 봉기했다. 1913년 6월 9일부터 7월 12일까지 장강 중류와 하류 지역 일대에서 전투가 일어났으나, 당시 전란 재발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1913년 9월 위안스카이의 압도적인 무력에 진압되었다. 쑨원은 1913년 7월 일본 도쿄로 망명하여 1914년 7월 '중화혁명당'을 결성, 국외에서 위안스카이 군벌 정부에 저항했다.[257][258] 1913년 10월, 국회는 '공민단'이라 자칭하는 폭도들에게 협박받는 가운데 위안스카이를 정식 대총통으로 선출했다. 곧이어 위안스카이는 국민당 해산을 명하고 대총통 권한을 대폭 강화한 '신약법'을 제정했다. 결국 '위안스카이를 배려한 혁명'이 되고 말았다.[254] 이후 일본이 위안스카이에게 "황제 등극을 인정해 주는 대가로 '21개조 요구'를 들어달라"고 요구하자, '황제 등극'을 원했던 위안스카이는 이를 수용[259]하여 1915년 12월 '황제 제도' 부활을 시도했다가 군중의 지탄을 받고 실패('''제3차 혁명''')했으며, 1916년 6월 위안스카이는 사망했다.[260]

9. 영향

중화민국의 탄생을 알리는 포스터


1912년 2월 15일 임시대총통에 취임한 위안스카이(가운데)


1912년 2월 13일 쑨원은 난징 임시정부 임시대총통직을 사임했고, 2월 15일 위안스카이가 임시대총통으로 선출되었다. 혁명군은 위안스카이의 내응(內應)을 얻어 열강의 무력 간섭 없이 공화정체 성립에 성공했다. 쑨원은 임시대총통직 사임 조건으로 난징을 임시정부 수도로 정할 것을 요구했으나, 위안스카이는 베이징 등지에서 일어난 군사 반란을 구실로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254]

1912년 3월 10일 위안스카이는 베이징에서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에 취임했다. 4월 1일 쑨원은 임시대총통직에서 해제되었고, 4월 5일 임시공화정부 의회는 수도를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이전하기로 결의하여, 혁명파가 위안스카이를 난징에서 견제하려는 시도는 무산되었다.[254]

임시대총통이 된 위안스카이는 혁명파를 무력화시켰다. 군사적 기반을 잃은 혁명파는 국회와 정당을 통해 위안스카이를 견제하려 했다. 이에 쑹자오런의 주도로 1912년 8월 25일 국민당이 창설됐다.[254]

국민당은 1913년 국회선거에서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위안스카이는 3월 20일 쑹자오런을 암살했다. 3월 22일 쑹자오런은 숨을 거두었다. 4월 25일 위안스카이는 국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개국(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러시아) 은행단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여 독재 기반을 확보했다.[254][256] 6월 9일에서 7월 12일까지 장강 중류와 하류 지역 일대에서 국민당 세력이 봉기하여 '''제2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13년 9월 위안스카이의 무력에 진압되었다. 쑨원은 7월 일본 도쿄로 망명하여 1914년 7월 ‘중화 혁명당’을 결성, 위안스카이 군벌 정부에 저항했다.[257][258] 10월, 국회는 위안스카이를 정식 대총통으로 선출했다. 위안스카이는 국민당을 해산하고 대총통 권한을 강화한 ‘신약법’을 제정했다. ‘위안스카이를 배려한 혁명’이 되어버렸다.[254] 이후 일본이 위안스카이에게 21개조 요구를 요구하자 이를 수용[259] 하여 1915년 12월 ‘황제 제도’ 부활을 시도했다가 실패하고('''제3차 혁명'''), 1916년 6월 위안스카이는 사망했다.[260]

위안스카이 사후 북양 정부는 군벌 세력들(직예파, 안휘파)간 혼전이 시작되었고, 남부 광둥 지역에서는 쑨원이 1917년 광저우에서 ‘호법정부’(護法政府)를 조직해 호법운동을 전개했다. 이는 분단과 혼란 시대에 돌입한 중국 정세를 뜻했고, 공화제는 명목상으로만 남게 되었다.[261]

1911년 12월 말, 에 복속하던 외몽골티베트가 신해혁명에 영향받아 독립을 선언했다.[262] 1912년 7월 8일 일본과 러시아는 ‘제3차 러일협약’에서 베이징을 지나는 경도선을 경계로 양국의 특수이익지역을 규정했다.[262]

티베트는 신해혁명이 일어났을 때 티베트인들이 봉기해 중국군을 축출하고, 13대 달라이라마인 툽텐 갸초의 지도 아래 1917년 티베트 영토 대부분을 회복했다.[263] 달라이라마는 영국에 원조받아 독립 정권을 수립했다.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티베트에 회유책을 구사했으나 실제로는 많은 분쟁을 일으켰다.[263]

만주는 청조 몰락과 함께 열강의 쟁탈 대상이 되었다. 신해혁명 이후 중국 중앙정부가 주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자, 일본은 만주에서 정치, 경제적 기반을 확충해 나아갔다.[262]

신강 지역에서는 신해혁명 발발 당시 양증신이 도독이 되어 신강을 지배하여 독립을 선포했다.[263][264]

우창 봉기 당시 ‘호북 군정부’가 수립되었던 자리의 쑨원 동상. 현재는 신해혁명 기념박물관이다.


쑨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동맹회가 신해혁명을 일으켰으나, 혁명 성공은 혁명당만의 힘으로 이룩한 것이 아니었다. 입헌파, 신군, 화교, 회당, 구관료가 참여하여 성공하였으므로, 철저한 혁명을 기대하기 어려웠다.[267]

혁명당 목표였던 삼민주의 이념 중 민족주의는 ‘만주족 축출, 한족 회복’이었으나, 혁명 후 5족(族) 평등을 내세워 약화되었고, 제국주의의 반식민지 하에 있는 중국 위상을 바꾸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쑨원은 혁명 성공을 위해 제국주의와 손잡고 의 불평등조약을 그대로 인정해야 했다.[267]

민권주의는 중국사 이래 전제군주를 무너뜨리고 공화정을 수립하여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평화롭게 황제를 물러나게 한 점은 의의가 있으나, ‘황실우대조건’은 혁명 의의를 반감시켰다.[267]

민생주의가 내세우는 자본 절제와 지권 평균 문제는 혁명운동 시작 당시부터 제기되었고, 혁명 후 삼민주의 이념 실현은 더욱 어려웠다.[267]

쑨원은 평화롭게 청 황제를 퇴위시키면서 중국 통일이라는 대명제를 실현하고자 위안스카이에게 임시대총통 자리를 양보했다. 이는 구 관료가 권력을 장악할 기회를 주었고, 혁명세력 약화를 초래해 ‘반쪽짜리 혁명’으로 전락했다. 신해혁명이 봉건제도를 무너뜨리고 공화제도를 이룩하였으나, 중국 사회와 경제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신해혁명은 제국주의와 봉건 통치를 반대하는 기치를 내걸어 아시아 각국 민족 해방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나[268], 반식민지, 반봉건 사회성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했다.[267]

9. 1. 국외 영향

신해혁명에 앞서 1906년부터 1910년까지 쓰촨성(四川省) 총독(總督) 조이풍(趙爾豊)이 티베트 동부 지역 일대에서 라싸(拉薩)에 이르는 지역을 제압했고, 달라이 라마 13세는 1910년 인도로 망명했다.

조이풍은 (カム) 지역[196]에 서강성(西康省)을 설치했고, “시짱(西蔵)”[197]에 대해서도 간덴포탄(ガンデンポタン)을 폐지하고 성을 설치하려고 시도했지만, 1911년 무창 봉기(武昌蜂起) 소식을 접하고 청두(成都)로 귀환, 혁명파와의 항쟁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

인도에서 티베트로 귀환한 달라이 라마 13세는 티베트의 독립을 선언하고 중국 통치 기구의 일소를 지시했으며, 티베트 군은 라싸에서 중국군을 일소한 후 동진을 시작, 촉군(蜀軍)(=쓰촨 군벌)을 대신하여 캄 지역 동부에 진출해 온 윈난 군벌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1913년부터 영국도 참가하여 시작된 심라 회의(シムラ会議)가 시작되어 휴전이 실현되었지만, 그 후에도 티베트 전역의 회복을 목표로 하는 간덴포탄(ガンデンポタン)과 중국 지방 군벌(암도(アムド) 지역[198] 중앙부를 장악하는 이슬람교도 마보방(馬歩芳)과 그의 일족, 암도 지역 동남부와 캄 지역 동부를 장악하는 쓰촨 군벌, 캄 지역 남부를 장악하는 윈난 군벌)이 대치하는 구도가 계속되었다.

9. 2. 국내상 영향

중화민국 성립으로 황제 체제가 무너지면서 혁명의 영향으로 민주주의와 자유 분위기가 어느 정도 형성되었지만, 그 기간은 짧았다.[266] 위안스카이 집권 이후 독재 통치와 복고 풍조, ‘존공(尊孔) 운동’이 기승을 부렸고, 위안스카이 사후에는 베이징 군벌 행정부를 장악하려는 여러 군벌 세력 간 혼전이 만성화되었다. 중국 정치 중심지는 군벌 세력 간 혼전으로 사실상 무정부 상태에 놓여 있었고, 그 결과 국내 문제와 대외 문제는 모두 불안정한 상황이 반복되는 시기가 이어졌다.[265]

그러나 신해혁명을 계기로 국내에서 사상과 문화는 크게 변화하였다.[266] 천두슈를 위시한 지식인들은 신문화운동을 주도하여 기존 유교를 비판하고 문화혁명, 서구 ‘과학과 민주주의’ 숭배를 주창했다. 이는 특히 학생과 청년층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으며, 사상계와 문화계에서 무정부주의나 사회주의가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반제국주의와 반봉건주의 의식에 영향을 주었다.[266]

10. 평가



신해혁명은 쑨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동맹회가 주도했지만, 혁명의 성공은 혁명 세력만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입헌파, 신군, 화교, 회당, 구관료까지 혁명에 참여했기 때문에 처음부터 철저한 혁명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267]

혁명당의 목표였던 삼민주의민족주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한족을 회복하자'는 것이었으나, 혁명 후 조정을 타도했음에도 불구하고 곧 5족 평등을 내세워 그 의미가 약화되었다. 또한 제국주의의 반식민지 상태에 있던 중국의 위상을 변화시키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쑨원은 혁명 성공을 위해 제국주의와 손을 잡고 청 조정 당시에 맺은 불평등 조약을 그대로 인정해야 했다.[267]

민권주의는 중국사에서 전제군주를 무너뜨리고 공화정을 수립한 점에서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시아에서 최초로 평화롭게 황제를 퇴위시킨 점은 큰 의미를 가지지만, 마지막 황제에 대한 예우와 '황실 우대 조건'은 혁명의 의의를 반감시켰다.[267]

민생주의가 내세운 자본의 절제와 지권의 평균 문제는 혁명 운동 초기부터 제기되었고, 혁명 후 삼민주의 이념을 실현하기는 더욱 어려웠다.[267]

위안스카이를 중심으로 한 구 관료들이 권력을 장악하고 혁명 세력이 약화되면서, 신해혁명은 '반쪽짜리 혁명'으로 전락했다. 봉건제도를 무너뜨리고 공화 제도를 이룩했지만, 중국 사회와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제국주의와 봉건 통치에 반대하는 기치를 내걸어 아시아 각국의 민족 해방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268] 반식민지, 반봉건 사회성을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못했다.[267]

오늘날 분단국가중화인민공화국 학계와 중화민국 학계에서는 신해혁명에 대한 평가가 크게 엇갈린다. 중국공산당은 '자산계급 부르주아에 의하여 이루어진 혁명'으로 규정하고, 구(舊) 민주주의 혁명으로 평가하며, '신사층이 자신의 보신을 위해 일으킨 단순한 정권 교체적 정변에 불과하다'[269]고 평가절하하기도 한다. 이는 중국공산당 주도의 공산주의 혁명을 내세우기 위함이다.[267]

반면, 중화민국 학계와 중국국민당은 신해혁명을 '전민혁명'(全民革命)으로 규정하며, 쑨원이 농민 출신이고, 혁명에 화교, 신지식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는 점을 들어 중국공산당의 '부르주아 혁명' 주장에 반박한다.[267]

많은 혁명가들과 단체들은 청나라 정부를 타도하고 한족 중심의 정부를 재건하고자 했다. 초기 혁명 조직들은 중국 밖에서 설립되었는데, 1890년 홍콩에서 설립된 양굴완(Yeung Ku-wan)의 흥문사(Furen Literary Society)가 그 예이다. 채찬태(Tse Tsan-tai)를 포함한 15명의 회원이 있었는데, 채찬태는 "극동의 상황"과 같은 정치 풍자 만화(manhua)를 그렸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의 핵심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다.[7]

쑨원(Sun Yat-sen)의 광복회(Revive China Society)는 1894년 호놀룰루(Honolulu)에서 설립되었으며, 주된 목적은 혁명 자금을 모으는 것이었다.[8] 두 조직은 1894년에 합병되었다.[9]

10. 1. 긍정적 평가

저우언라이는 신해혁명이 청나라의 지배를 타도하고 4000년간 지속된 군주제를 종식시켜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크게 해방하고 미래 혁명의 발전을 위한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위대한 승리로 평가했다.[172] 류사오치는 신해혁명이 공화국의 개념을 일반 대중에게 심어주었다고 평가했다.[170][171]

10. 2. 한계점

쑨원을 중심으로 한 중국동맹회가 신해혁명을 주도했지만, 혁명의 성공은 혁명 세력만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입헌파를 비롯해 신군, 화교, 회당, 그리고 구관료까지 혁명에 참여했기 때문에, 처음부터 철저한 혁명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267]

혁명당의 목표였던 삼민주의 이념 중 민족주의는 '만주족을 몰아내고 한족을 회복하자'는 것이었지만, 혁명 이후 만주족의 조정을 타도했음에도 불구하고 곧 5족(族) 평등을 내세워 그 의미가 약화되었다. 또한, 제국주의의 반식민지 상태에 있던 중국의 위상을 변화시키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쑨원은 혁명의 성공을 위해 제국주의와 손을 잡고 조정 당시에 맺은 불평등 조약을 그대로 인정해야만 했다.[267]

민권주의는 중국사에서 전제군주를 무너뜨리고 공화정을 수립함으로써 어느 정도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최초로 평화롭게 황제를 퇴위시킨 점은 큰 의미를 가지지만, 마지막 황제에 대한 예우와 이른바 '황실 우대 조건'은 혁명의 의의를 반감시켰다.[267]

민생주의가 내세운 자본의 절제와 지권의 평균 문제는 혁명 운동 초기부터 제기되었고, 혁명 이후 삼민주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267]

혁명 이후 새 공화국의 임시 대총통이었던 쑨원은 평화롭게 청 황제를 퇴위시키고 중국 통일을 이루고자 스스로 그 자리를 위안스카이에게 양보했다. 그 결과, 위안스카이를 중심으로 한 구 관료들이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고, 혁명 세력은 약화되어 '반쪽짜리 혁명'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신해혁명이 봉건제도를 무너뜨리고 공화 제도를 이룩했지만, 중국 사회와 경제에는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즉, 신해혁명은 제국주의와 봉건 통치에 반대하는 기치를 내걸어 아시아 각국의 민족 해방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268] 실제로는 반식민지, 반봉건 사회성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했다.[267]

10. 3. 논쟁

중국공산당중국국민당은 쑨원을 국부로 인정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서로 다르다.[169]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와 중국공산당은 신해혁명을 '자산계급 부르주아에 의하여 이루어진 혁명'으로 규정하고, 구(舊) 민주주의 혁명으로 평가한다. 최근에는 '신사층이 자신의 보신을 위해 일으킨 단순한 정권 교체적 정변에 불과하다'며[269] 혁명의 의의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도 있다. 이는 중국공산당 주도로 성공한 공산주의 혁명을 더 내세우기 위함이다.[267]

반면, 중화민국 학계와 중국국민당은 신해혁명을 '전민혁명'(全民革命)으로 규정하며, 중국공산당의 '부르주아 혁명' 주장에 반박한다. 이들은 혁명의 중심이었던 쑨원이 농민 출신이며, 혁명에 화교, 신지식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는 점을 강조한다.[267]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부터 신해혁명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였다는 믿음에 변화가 시작되었지만, 혁명의 성공 여부는 여전히 논쟁적이다.[173] 옌자치(閻家琪)는 쑨원이 1912년 중국의 첫 공화국을 건설한 공로가 있다고 평가했지만,[167] 친융민(秦永敏) 등은 신해혁명이 독재자를 교체했을 뿐, 민주주의를 실현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176][177]

11. 영화·문학 속에서의 신해혁명

일본 최초의 영화사 중 하나인 M. 파테(우메야 쇼키치 소유)는 무창 봉기부터 쑨원의 취임까지 이르는 혁명의 성공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세 편을 제작했다.[179]

; 영화


  • 孙中山 (1986年电影)|손문|label=손문중국어 (1986년, 중국, 감독: 딩인남, 출연: 류원치)
  • 손문 (1986년, 대만·홍콩, 감독: 딩선희, 출연: 람 와이산)
  • 마지막 황제 (1987년, 이탈리아·중국·영국,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출연: 존 론)
  • 송가 삼자매 (1997년, 홍콩·일본, 감독: 매빌 찬, 출연: 매기 찬, 미셸 여, 비비안 우)
  • 1911 (2011년, 중국·홍콩, 총감독: 성룡, 감독: 장리, 출연: 성룡, 윈스턴 차오)


; 텔레비전 드라마

  • 마지막 황제 (1988년, 중국, 출연: 천다오밍, 주쉬)
  • 장향공화 (2003년, 중국)


'''소설'''

참조

[1] 서적 Anglo-Chinese Diplomacy 1906–1920: In the Careers of Sir John Jordan and Yuan Shih-kai Hong Kong University Press
[2]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Chinese Arm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3] 서적 The Rise of China and the Capitalist World Order Ashgate
[4]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Theory Sage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Political Routes to Starvation: Why Does Famine Kill? https://books.google[...] Vernon
[7] 뉴스 Hong Kong played a key role in the life of Sun Yat-sen 2011-03-29
[8] 서적 Sun Yat-sen in Hawaii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9] 서적 Connected Worlds: History in Transnational Perspective ANU E-Press
[10] 서적 Provincial Patriots: The Hunanese and Modern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Religious Question in Modern Chin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서적 China's Republican Revolution University of Tokyo Press
[13] 서적 Hong Kong Comics: A History of Manhua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4] 서적 走入近代中國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15] 서적 建立民國, Vol. 2. 國民革命戰史: 第1部 黎明文化事業公司 2011-02-14
[16] 서적 辛亥革命與清末民初社會/中國近代史事論叢 中華書局 publishing
[17] 서적 晚淸民國史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18] 서적 繁華落盡──洋場才子與小報文人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19] 서적 The Chinese Anarchist Movement http://theanarchistl[...] Center for Chinese Studies,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 서적 中國近代史, V. 1 Chinese University Press
[21] 서적 洪秀全政治人格之研究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Publishing
[22] 서적 Orphan Warrio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서적 Pioneers of Modern China World Scientific
[24] 서적 Complete works of Sun Yat-sen 《總理全集》
[25] 서적 Homer Lea American Soldier of Fortu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6] 서적 China, Britain and Hong Kong, 1895–1945 Chinese University Press
[27] 서적 Caught in the Chinese Revolution https://archive.org/[...] T. Fisher Unwin
[28] 서적 Spies: A Narrative Encyclopedia of Dirty Tricks and Double Dealing from Biblical Times to Today https://books.google[...] M. Evans
[29] 서적 Sun Yat-sen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Race War!: White Supremacy and the Japanese Attack on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31] 서적 Élitist fascism: Chiang Kaishek's Blueshirts in 1930s China https://books.google[...] Ashgate
[32] 서적 A re-evaluation of Chiang Kaishek's blueshirts: Chinese fascism in the 1930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London
[33] 서적 Encyclopedia of Intelligence and Counter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4]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 W. Norton
[35] 서적 中國近代史, Vol. 1 Chinese University Press
[36] 뉴스 Waiting may be over at the grave of an unsung hero South China Morning Post 2011-04-06
[37] 서적 孫中山年谱長編 Vol. 1 中华书局
[38] 서적 报王黃世仲 中囯社会科学出版社
[39] 서적 Print and politics: 'Shibao' and the culture of reform in late Qing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Archives of the 1911 Revolution in the Palace Collection of the Qing Dynasty Released http://big5.china.co[...] 2011-10-16
[41] 서적 中山先生與國際人士 Vol. 1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42] 웹사이트 On May 27, 1907, the Huanggang Uprising failed. http://www.baojinews[...] 2011-05-27
[43] 서적 晚淸民國史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44] 서적 中国二十世紀通鉴, 1901–2000, Vol. 1 线装書局
[45] 서적 Capturing Chinese Capturing Chinese
[46] 서적 故紙眉批── 一個傳媒人的讀史心得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47] 서적 辛亥革命史地圖集 中國地圖出版社
[48] 서적 中華民國史資料叢稿: 譯稿 中華書局
[49] 서적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and Beyond: Socioeconomic and Political Dimension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50] 서적 廣西通志: 軍事志 廣西人民出版社
[51] 서적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52] 서적 安徽近代经济史 黄山书社
[53] 서적 中国人权辞书 海南出版社
[54] 서적 中國歷史講堂 No. 5 清 中華書局
[55] 서적 Maya Lin Greenwood
[56] 서적 Science and Football III Taylor & Francis
[57] 서적 The heritage of Han: the Gelaohui and the 1911 revolution in Sichu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owa 2012-03-02
[58] 서적 中國歷史講堂 No. 6 民國 中華書局
[59] 서적 中國通史. 清 Intelligence Press
[60] 서적 China Revolutionized https://archive.org/[...] Bobbs-Merrill
[61] 서적 中国政治制度史 Tsinghua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武昌起義之後各省響應與國際調停 http://big5.xinhuane[...] 2011-10-16
[63] 서적 Annals & Memoirs of the Court of Peking: (from the 16th to the 20th Centur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64] 서적 The Atlantic https://books.google[...] Atlantic Monthly
[65]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66] 서적 The Horizo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American Heritage
[67] 서적 Yuan Shikai: A Reappraisa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68] 서적 The Muslim Midwest in Modern China: The Tale of the Hui Communities in Gansu (Lanzhou, Linxia, and Lintan) and in Yunnan (Kunming and Dali)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69] 서적 The Border World of Gansu, 1895–193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70] 서적 Islam in Chin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71] 서적 Herrschaft und Widerstand in der "Musterkolonie" Kiautschou: Interaktionen zwischen China und Deutschland, 1897–1914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72] 서적 The Paper Road: Archive and Experience in the Botanical Exploration of West China and Tibe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3] 서적 China's Wars: Rousing the Dragon 1894–1949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3
[74] 서적 Salt and Light, Vol. 1: Lives of Faith That Shaped Modern China Wipf & Stock
[75] 서적 Yuan Shikai: A Reappraisa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76]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7] 서적 History of China's Military Vij Books India Pvt
[78] 서적 Accidental Holy Land: The Communist Revolution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9] 서적 Accidental Holy Land: The Communist Revolution in Northwest China https://www.luminos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0] 서적 Accidental Holy Land: The Communist Revolution in Northwest China https://www.luminoso[...] Univ of California Press
[81] 서적 Making Local China: A Case Study of Yangzhou, 1853–1928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82] 서적 Yuan Shikai: A Reappraisa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83] 서적 Lao She in London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84] 서적 Underground Asia: Global Revolutionaries and the Assault on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China's Millions, Issues 79–90 https://books.google[...] Morgan and Scott
[86] 서적 The Chinese Empire: A General and Missionary Survey, Vol. 678–679 https://books.google[...] Morgan at Scott
[87] 서적 The Chinese Empire https://books.google[...]
[88] 서적 China's Millions https://books.google[...] China Inland Mission
[89] 서적 The Magic Square: Cities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Edition Axel Menges
[90] 서적 Caught in the Chinese revolution: a record of risks and rescue https://archive.org/[...] T. Fisher Unwin
[91] 서적 The Border World of Gansu, 1895–193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92] 서적 National Review: Zhongguo Gong Lun Xi Bao, Vol. 14 https://books.google[...]
[93] 서적 Travels of a Consular officer in North West China; with original maps of Shensi and Kansu and illus. by photograph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1
[94] 서적 The National Review, China: Literary and educational supplement, Vol. 15 https://books.google[...] National Review
[95] 서적 Andrew Young of Shensi :Adventure in Medical Missions https://archive.org/[...] The Carey Press
[96] 서적 Japan Weekly Mail https://books.google[...]
[97] 웹사이트 中華民國海軍 – 旗海圖幟 https://www.globalfl[...] 2024-05-19
[98] 서적 中国1911 (辛亥年)
[99] 웹사이트 http://www.xhgmw.com[...] xhgmw.com 2024-05-19
[100] 서적 山西王阎锡山/中华民国史丛书 河南人民出版社
[101] 서적 Remote Homeland, Recovered Borderland: Manchus, Manchoukuo, and Manchuria, 1907–1985
[102] 웹사이트 http://big5.xhgmw.or[...] Big5.xhgmw.org 2011-10-16
[103] 간행물 新湘評論, Issues 7–12 新湘評論雜誌社
[104] 웹사이트 http://www.chinanews[...] Chinanews.com.cn 2011-10-16
[105] 서적 民国初年的政党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Publishing
[106] 웹사이트 http://big5.xinhuane[...] 2011-10-16
[107] 웹사이트 http://big5.xinhuane[...] 2011-11-17
[108] 웹사이트 http://www.xinhai.or[...]
[109] 간행물 Bulletin of historical research, Issue 31 國立臺灣師範大學歷史學系 publishing 2003
[110] 서적 Warlord Soldiers: Chinese Common Soldiers 1911–193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Republican Chin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12] 서적 民国史论集, Volume 2 南天書局 publishing
[113] 간행물 傳記文學, Volume 34 傳記文學雜誌社 Publishing
[114] 서적 Zhonghua shuju
[115] 서적 民国广东大事记 广东省中山图书馆
[116] 서적 丘逢甲傳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publishing
[117] 서적 居正文集, Volume 1 華中師範大學出版社 publishing
[118] 서적 Travels of a Consular Officer in North-Wes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1921
[119] 서적 湖南反正追记 湖南人民出版社
[120] 서적 辛亥革命史地圖集 辛亥革命武昌起義紀念館
[121] 서적 辛亥革命史地圖集 中國地圖出版社 publishing
[122] 서적 Institute of Modern History, Academia Sinica
[123] 웹사이트 http://www.hkcna.hk/[...] Hkcna.hk 2011-10-23
[124] 서적 Eurasian Crossroads Columbia University Press
[125] 웹사이트 Xinhai Revolution in Xinjiang: Qing Dynasty's plan of moving westward shattered http://www.chinanews[...] 2011-10-07
[126] 서적 Warlords and Muslims in Chinese Central Asia: a political history of Republican Sinkiang 1911–19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rchive 2010-06-28
[127] 서적 Struggle by the Pen: The Uyghur Discourse of Nation and National Interest, c. 1900–1949 https://books.google[...] Brill
[128] 서적 Authenticating Tibet: Answers to China's 100 Ques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9] 서적 The Making of Modern Tibet M. E. Sharpe
[130] 서적 Population and Society in Contemporary Tibet Hong Kong University Press
[131] 서적 Tibet St. Martin's
[132] 서적 Asia's First Modern Revolution Brill
[133] 서적 The Mongolia-Tibet Interface Brill
[134] 서적 Chinese Foreign Policy: pragmatism and strategic behavior M. E. Sharpe 2004
[135] 서적 The Political Institutions of Modern China Springer
[136] 서적 Wu Tingfang (1842–1922) Hong Kong University Press
[137] 서적 Struggle for Democra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8] 서적 Recollections of the Revolution of 1911 Minerva
[139] 서적 中國近代史 三民書局 publishing
[140] 학술지 Investing in the New Republic: Multinational Banks, Political Risk, and the Chinese Revolution of 1911 https://www.cambridg[...]
[141] 간행물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集刊, Volume 2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 2007-08-02
[142] 간행물 辛亥革命研究論集: 1895–1929, Vol. 1 崇文書店 2007-08-16
[143] 서적 The Hall of Three Pines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44] 서적 A Thousand Miles of Dreams Rowman & Littlefield
[145] 서적 A Journey into China's Antiquity: Yuan Dynasty, Ming Dynasty, Qing Dynasty Morning Glory Publishers
[146] 서적 Awakening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47] 서적 中華文明傳真#10 清 Commercial press publishing company
[148] 서적 Modern China's Ethnic Frontiers Taylor & Francis
[149] 서적 胡適前傳 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15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Republica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51] 웹사이트 温馨提示 https://dnspod.qclou[...] 2021-12-30
[152] 서적 Autocratic tradition and Chinese politics: Zhengyuan Fu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3] 서적 Huang Hsing and the Chinese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54] 서적 Autocratic Tradition and Chinese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5] 서적 The Chinese Hsinhai Revolution: G. E. Morrison and Anglo-Japanese Relations, 1897–192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6] 서적 The Gate of Heavenly Peace: The Chinese and Their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157] 서적 The 1911 Revolution: A Retrospective After 70 Years https://books.google[...] New World
[158] 서적 The National Review, China https://books.google[...]
[159] 서적 Monumenta Serica https://books.google[...] H. Vetch
[160] 서적 The Passing of the Manchus https://archive.org/[...] E. Arnold 1912
[161] 서적 The Search for a Vanishing Beijing: A Guide to China's Capital Through the Ages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62] 서적 Modernisation of Chinese Culture: Continuity and Chan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63] 웹사이트 Sun Yatsen and the 1911 Revolution https://www.chinafil[...] Sinica 2011-10-13
[164] 웹사이트 Chinese Literature: Man-Qing yeshi 滿淸野史 http://www.chinaknow[...] chinaknowledge.de 2011-09-28
[165] 서적 China: A History Hackett
[166] 뉴스 China's Manchu speakers struggle to save languag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3-16
[167] 서적 Toward a Democratic China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68] 서적 上海玩全指南 Travelcom press
[169] 뉴스 Replacing chairman Mao with Sun Yat-sen South China morning post 2011-03-29
[170] 웹사이트 1911 http://source.takung[...] Takungpao.com 2011-11-17
[171] 웹사이트 劉少奇談辛亥革命(摘要) http://dangshi.peopl[...] People's Daily 2011-09-19
[172] 웹사이트 王志昆講重慶辛亥革命:為什麼兵不血刃,一次成功_重慶_重慶站_鳳凰網 http://big5.ifeng.co[...] Big5.ifeng.com 2008-12-30
[173] 서적 孫、黃遺劄密詮 Wenhui chubanshe
[174] 뉴스 Who is the Father of China? South China morning post 2010-07-04
[175] 뉴스 China's Wen calls for greater democracy, reforms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6-27
[176] 웹사이트 China grapples with revolutionary past, 100 years on http://www.geo.tv/10[...] GEO.tv 2011-11-17
[177] 웹사이트 Democracy Activist Qin Yongmin Released from Prison after 12-Year Sentence http://www.hrichina.[...] Human Rights in China 2010-11-29
[178] 웹사이트 China grapples with revolutionary past, 100 years on http://au.news.yahoo[...] Yahoo! News 2011-10-09
[179] 서적 Revolutionary Becomings: Documentary Media in Twentieth-Century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80] 웹사이트 NHK高校講座 世界史 第36回 中国の現代史 https://www.nhk.or.j[...] 2021-11-30
[181] 웹사이트 中国における辛亥革命100周年記念活動: アジア情報室通報 第9巻第3号 アジア諸国の情報をさがす 国立国会図書館 https://rnavi.ndl.go[...] 2021-11-30
[182] 웹사이트 産経新聞の優れた辛亥革命論 http://sakainobuhiko[...] 日本ナショナリズム研究所 2011-10-21
[183] 서적 軍国日本の興亡―日清戦争から日中戦争へー 中央公論社 1995-03-25
[184] 웹사이트 保路運動(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85] 기타
[186] 웹사이트 童保暄 http://202.107.212.1[...] 宁波市图书馆 2019-04-07
[187] 서적 蔣介石年谱:1887~1926 2012
[188] 웹사이트 杭州起义时,蔣介石担任敢死队长,指挥进攻巡抚衙门 http://www.jidianol.[...] 辛亥革命 2019-04-07
[189] 서적 大清王朝4 https://books.google[...] 2013
[190] 웹사이트 辛亥风云在新疆 http://theory.people[...] 人民網 2019-04-29
[191] 기타
[192] 서적 1910-30年代の日本 アジア支配への途 岩波書店 1994-07-28
[193] 논문 近代日中関係の担い手に関する研究(中清派遣隊) ―漢口駐屯の日本陸軍派遣隊と国際政治― 麗澤大学経済社会総合研究センター 2008
[194] 서적 図説 日中戦争 河出書房新社 2000-01-25
[195] 기타
[196] 기타
[197] 기타
[198] 기타
[199] 서적 중국근현대사: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하)
[200] 서적 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201] 서적 세계사 100장면 실천문학사
[202] 서적 세계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3] 서적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4] 기타
[205] 기타
[206]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07] 기타
[208] 기타
[209] 웹사이트 이원복의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32) 청조의 개혁 https://news.joins.c[...]
[210]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하) 대명출판사
[211] 뉴스 이야기 중국사 https://news.joins.c[...] 청아출판사
[212]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13]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14] 서적 이야기 중국사 청아출판사
[215]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史
[216] 서적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217] 서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18] 서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219] 서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220] 서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221] 서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222] 서적 이야기 중국사3 청아출판사 2006
[223] 서적 중국근현대사 :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하)
[224] 웹사이트 신해혁명 https://ja.wikipedia[...]
[225] 뉴스 신해혁명 100년 중국을 알자 ④ 쑨원에게 길을 다시 묻는다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26] 서적 기타 잇키 교양인 출판사 2010
[227] 서적 시대를 앞서간 민족 혁명의 선각자 신규식
[228] 서적 시대를 앞서간 민족 혁명의 선각자 신규식 역사공간 2010
[229] 뉴스 1993년 4월 14일자 동아일보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3-04-14
[230] 서적 중국근현대사 :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하)
[231] 뉴스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34) 쑨원①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32] 서적 세계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33] 서적 이야기 중국사3 청아출판사 2006
[234] 서적 세계의 역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35] 서적 이야기 중국사 청아출판사
[236] 서적 중국을 말한다 15-포성속의 존엄
[237] 서적 Penang conference & the 1911 Chinese revolutin http://www.worldcat.[...]
[238] 서적 세계각국사 중국사 (하) 미래엔(대한교과서) 2005-07-16
[239] 뉴스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38) 신해혁명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40] 서적 중국근현대사: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상.하) 대명출판사 2004-04-10
[241] 서적 세계각국사 중국사 (하)
[242]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 대명출판사
[243] 서적 세계각국사 중국사 (하) 미래엔(대한교과서) 2005-07-16
[244] 서적 중국근현대사: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하)
[245] 기타
[246] 서적 중국근현대사: 근대중국 개혁과 혁명(하) (출판사 정보 없음)
[247]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하) 대명출판사
[248]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49] 서적 신중국사 3 좋은글
[250] 뉴스 먼나라 이웃나라 https://news.joins.c[...]
[251] 서적 세계각국사 중국사 (하) 미래엔(대한교과서) 2005-07-16
[252] 서적 이야기 중국사2 청아출판사 2006
[253] 뉴스 (제목 없음) https://news.joins.c[...]
[254]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55] 뉴스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39) 청의 멸망 https://news.joins.c[...]
[256] 웹인용 먼나라 이웃나라-위안스카이 https://news.joins.c[...] 2020-08-30
[257] 웹인용 먼나라 이웃나라-제3혁명 https://news.joins.c[...] 2020-08-30
[258] 뉴스 (제목 없음) https://news.joins.c[...]
[259] 웹인용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41) 일본의 21개 요구 https://news.joins.c[...] 2020-08-30
[260] 뉴스 ‘먼나라 이웃나라’ 중국편 (42) 제3 혁명 https://news.joins.c[...] 2020-08-30
[261] 서적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262]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63]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필맥 2010-12-05
[264] 서적 객관적 20세기 전반기 史 (출판사 정보 없음)
[265] 서적 반조류의 중국 돌베게
[266] 서적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267] 서적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하) 대명출판사
[268] 서적 중국역사를 뒤바꾼 100가지 사건 도서출판 채움
[269] 서적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에버리치홀딩스
[270] 뉴스 성룡, '신해혁명' 제작 발표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