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53호선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53호선 (미국)은 미국 위스콘신주와 미네소타주를 연결하는 간선 도로이다. 라 크로스에서 시작하여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특히 위스콘신주 오클레어와 미네소타주 덜루스 구간은 고속도로로 건설되었다. 이 도로는 여러 주간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며, 미네소타주에서는 캐나다 온타리오주로 연결되는 노선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지니아주의 도로 - 국도 제11호선 (미국)
미국 국도 제11호선은 루이지애나주에서 뉴욕주까지 2,647.5km를 뻗어 있으며, 10개 주를 통과하고 남북 전쟁 당시 주요 이동 경로로 사용되었다. - 버지니아주의 도로 - 주간고속도로 제66호선
주간고속도로 제66호선은 버지니아주에서 워싱턴 D.C.까지 총 76.38마일(122.92km)을 연결하며, 일부 구간은 가변 통행료가 부과되는 유료 도로이고, 1956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982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위스콘신주의 도로 - 국도 제61호선 (미국)
국도 제61호선은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미네소타주 와이오밍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주요 남북축 국도로, 과거 더 긴 노선에서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의 건설로 단축되었으며, 특히 미시시피 델타 지역은 "블루스 하이웨이", 세인트루이스 남쪽 구간은 "엘 카미노 리얼"의 경로를 따라 건설되어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위스콘신주의 도로 - 국도 제10호선 (미국)
국도 제10호선은 미국 북부를 횡단하는 과거의 국도로, 주간고속도로 개통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현재는 미네소타, 위스콘신, 미시간, 노스다코타 주를 지나며 SS 배저 페리를 통해 미시간 호를 횡단하고 미시간 주 베이 시티에서 끝난다. - 미네소타주의 도로 - 국도 제71호선 (미국)
국도 제71호선은 루이지애나주에서 미네소타주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6개 주를 통과하며 미래에는 주간고속도로 제49호선으로 승격될 예정이다. - 미네소타주의 도로 - 국도 제69호선 (미국)
국도 제69호선은 텍사스주의 포트아서에서 미네소타주의 앨버트 리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남북축 국도로, 6개 주를 통과하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다양한 도로와 교차하며 여러 특별 노선을 포함한다.
국도 제53호선 (미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국가 | 미국 |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53 |
![]() | |
노선 통계 | |
총 연장 | 404 mi (650 km) |
개통 년도 | 1926년 |
방향 | 남-북 |
주요 경유지 | |
기점 | 위스콘신주 라크로스 (WI-14/US-61/WI-16) |
종점 | 미네소타주 인터내셔널폴스 (Hwy-71/Hwy-11, Hwy-11 방면) |
주요 교차로 | 위스콘신주 라크로스 (I-90) 위스콘신주 오클레어 (I-94) 위스콘신주 알투나 (US-12) 위스콘신주 레이크홀리 (WI-29) 위스콘신주 스푸너 (US-63) 위스콘신주 슈피리어 (US-2) 미네소타주 덜루스 (I-35/I-535) 미네소타주 인디펜던스 (MN-33) 미네소타주 버지니아 (US-169/MN-169) 미네소타주 인터내셔널폴스 (US-71/MN-11) |
경유 주 | |
경유 군 | 위스콘신주: 라크로스, 트렘피로, 오클레어, 치페와, 배런, 워시번, 더글러스 미네소타주: 세인트루이스, 쿠치칭 |
2. 노선 설명
2. 1. 위스콘신 주
라 크로스, 오날라스카, 홀멘에서 위스콘신 주도 제53호선의 시작점
국도 제53호선은 라 크로스 시내의 남쪽 종점에서 시작하며, 이 곳에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61호선, 위스콘신 주도 제16호선과 교차로에서 만난다. 이후 주간고속도로 90호선을 지나 오날라스카와 홀멘을 우회하는 고속도로가 되었다가, 오클레어로 북쪽으로 향하는 두 차선 도로가 된다. 주간고속도로 94호선과의 오클레어 교차로는 국도 제53호선이 수피리어 시 경계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제한 출입 도로 구간의 시작점이다. 2006년경 오클레어의 고속도로는 도시 대부분을 우회하며, 원래 노선(현재 비즈니스 국도 제53호선과 헤이스팅스 웨이로 표기됨)의 교통 체증을 완화한다. 비즈니스 국도 제53호선/헤이스팅스 웨이는 입체 교차로와 평면 교차로가 혼합된 형태로, 오클레어를 지나 오클레어 시내에서 약 1km 거리에 있다. 오클레어와 수피리어 사이의 미농과 솔론 스프링스도 비슷한 방식으로 우회되었다.
위스콘신 주 최초의 단일 지점 도시 교차로는 국도 제53호선이 알투나의 국도 제12호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2] 이 교차로는 프로젝트 개발국으로부터 2005년 우수 고속도로 건설상을 수상했다.[3]
국도 제53호선은 치페와 폴스를 지나 라이스 레이크까지 고속도로로 계속 이어지며, 그 후 세 개의 입체 교차로만 있는 간선도로가 된다(하우겐의 28번 애비뉴(CTH-V)에서 하나, 스푸너 근처의 위스콘신 주도 제70호선에서 하나, 수피리어 바로 남동쪽의 위스콘신 주도 제13호선에서 하나). 국도 제53호선은 애미콘 타운의 국도 제2호선과 부분적으로 입체 교차로를 이루지만, 국도 제2호선 서쪽에서 국도 제53호선 남쪽으로 좌회전하는 차량은 교차로를 지나 평면 교차로에서 유턴해야 한다.
수피리어 시를 4차선 시내 도로(이스트 세컨드 스트리트)로 8km 구간을 통과한 후, 국도 제53호선은 세인트 루이스 만에 접근한다. 국도 제53호선은 주간고속도로 제535호선과 함께 운행하며 존 블라트니크 다리를 통해 만을 건너 미네소타 주로 진입한다.
위스콘신주 수피리어 시의 4차선 도시 표면 도로(이스트 세컨드 스트리트)인 8km 구간을 제외하고, 위스콘신 주 내의 전체 경로는 고속도로 또는 간선도로 표준에 맞춰 완공되었다. 이 회랑의 남쪽 끝에서는 주간 고속도로 94호선과의 연결이 오클레어-치페와 폴스 도시권을 통과하는 12.1km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년간의 법적, 정치적 논쟁 끝에, 1990년대 후반 현재의 고속도로를 고속도로 표준으로 전환하는 대신 현재 노선을 우회하기로 결정했다. 이 우회로의 북쪽 절반은 WIS 312의 남쪽까지 2005년 중반에 개통되었다. 오클레어강 위에 여러 차선이 있는 다리 한 쌍을 포함하는 우회로의 남쪽 절반은 주로 알투나를 통과하며 WIS 312, U.S. Highway 12, WIS 93과의 분기점을 포함한다. 이 프로젝트는 2005년과 2006년에 여러 상을 수상했다.[3] 이 우회로 구간은 2006년 8월 21일 오전 중반에 개통되었다.
2. 1. 1. 주요 경유지
미국 53번 국도가 경유하는 주는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버지니아주 등 3개의 주이다. 미네소타주를 두 번씩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 2. 교차 도로
2. 2. 미네소타 주
미네소타주 덜루스에서 세인트루이스 만을 가로지르는 존 블라트닉 다리를 통해 주에 진입한다. 국도 제53호선은 미네소타 주에 진입하면서 4.5 km 동안 I-535와 동시 운행한다. I-535/국도 제53호선은 덜루스에서 I-35와 교차로를 이루는데, 이 교차로는 현지에서 "벌레 통"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교차로는 I-35에서 좌회전 출구 한 쌍, 신호등, I-35 다리 위에서 차선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4]I-35와의 합류점 이후, 국도 제53호선은 피에드몬트 애비뉴와 트리니티 로드를 따라 5.6 km 동안 덜루스를 통과한다.
국도 제53호선은 이후 주도 제194호선(MN 194)과 함께 덜루스의 트리니티 로드에서 허만타운 시의 린달 로드까지 9.7 km 동안 동시 운행한다. 국도 제53호선과 MN 194의 이 4차선 구간은 덜루스와 허만타운 시에서 밀러 트렁크 하이웨이로도 알려져 있다.
허만타운에서 이 도로는 북쪽으로 버지니아 시로 이어진다. 덜루스에서 버지니아까지의 구간은 4차선 고속도로이다. 국도 제53호선은 세인트루이스군의 미편입 지역인 인디펜던스에서 MN 33과 합류한다. 북쪽으로 계속 진행하면 국도 제53호선은 버지니아에서 US 169와 교차로를 이룬다. US 169와 MN 135 교차로 사이에는 토마스 루카비나 기념 다리가 있다. 이 다리는 주에서 가장 높은 다리로, 4차선 고속도로를 가로지른다. 버지니아 바로 북쪽에서 국도 제53호선은 우오리 타운십에서 MN 169과 교차로를 이룬다.
국도 제53호선은 이후 북서쪽으로 인터내셔널 폴스로 가서 US 71 및 MN 11과 합류한다.
미네소타주의 국도 제53호선은 세인트루이스 및 쿠치칭 군을 통과한다. 법적으로, 미네소타주 국도 제53호선 구간은 미네소타 법률 § 161.115(37), (246) 및 161.114(2)에 따라 미표기된 입법 노선 106, 11, 315로 정의된다. 국도 제53호선은 실제 고속도로를 따라 이러한 입법 번호로 표시되어 있지 않다.
2003년, 미네소타 북부 지역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은 94만 달러였으며, 2004년에는 약 60만 달러였다.[19] 현재, 둘루스 시(피에몬트 애비뉴 및 트리니티 로드) 내 5.6 km 구간을 제외하고는, 이 노선은 쿡 시까지 고속도로로 완공되었으며, 인터내셔널 폴스까지 약 117 km 구간이 고속도로 표준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 주요 경유지 ===
미네소타주를 2번씩 경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주요 경유지로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
=== 교차 도로 ===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535호선
국도 제169호선
국도 제71호선
=== 명칭 ===
미네소타주 내 53번 국도의 일부는 공식적으로 "보이저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보이저 고속도로"는 미네소타주의 여러 다른 주 고속도로에도 적용되는 주 지정 명칭이다.
버지니아 시의 경계에서 인터내셔널 폴스의 MN 11까지의 53번 국도 구간은 전 주 하원 의장 어빈 앤더슨을 기리기 위해 2009년 "어빈 N. 앤더슨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5]
2008년 미네소타 주 의회는 덜루스 시의 수페리어 거리와 센트럴 입구 사이의 53번 국도를 "월터 F. 먼데일 드라이브"로 명명했다. 2008년 6월 12일, 이 고속도로 구간(피에몬트 애비뉴 및 트리니티 로드)은 대한민국에서 존경받는 정치인이자, 민주당 출신의 월터 몬데일 전 부통령의 공공 봉사를 기리기 위해 월터 F. 먼데일 드라이브로 지정되었다.[6][7]
2. 2. 1. 주요 경유지
미네소타주를 2번씩 경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주요 경유지로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2. 2. 2. 교차 도로
주간고속도로 제90호선주간고속도로 제94호선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
주간고속도로 제535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61호선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12호선
국도 제8호선
국도 제63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69호선
국도 제71호선
온타리오주도 제71호선
온타리오주도 제11호선
2. 2. 3. 명칭
미네소타주 내 53번 국도의 일부는 공식적으로 "보이저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보이저 고속도로"는 미네소타주의 여러 다른 주 고속도로에도 적용되는 주 지정 명칭이다.버지니아 시의 경계에서 인터내셔널 폴스의 MN 11까지의 53번 국도 구간은 전 주 하원 의장 어빈 앤더슨을 기리기 위해 2009년 "어빈 N. 앤더슨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5]
2008년 미네소타 주 의회는 덜루스 시의 수페리어 거리와 센트럴 입구 사이의 53번 국도를 "월터 F. 먼데일 드라이브"로 명명했다. 2008년 6월 12일, 이 고속도로 구간(피에몬트 애비뉴 및 트리니티 로드)은 대한민국에서 존경받는 정치인이자, 민주당 출신의 월터 몬데일 전 부통령의 공공 봉사를 기리기 위해 월터 F. 먼데일 드라이브로 지정되었다.[6][7]
3. 역사
1934년, 국도 제53호선은 미네소타 주로 연장되었다. 표지 설치 당시에는 위스콘신 주 경계에서 버지니아의 국도 제169호선과의 분기점까지, 브리트와 이딩턴 사이의 짧은 구간, 그리고 커슨에서 캐나다 국경까지 포장되었다.[8] 버지니아에서 브리트까지의 구간은 그 해에 포장되었고,[9] 나머지 구간은 1935년에 포장되었다.[10]
1964년, 버지니아를 우회하는 우회로가 완공되어 그 해 11월에 개통되었다. 기존 노선을 따라 주도 제135호선이 도시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었다.[12]
덜루스와 버지니아 사이의 고속도로 구간은 포 코너스와 인디펜던스 사이를 제외하고 1970년까지 건설되었다.
1989년, 위스콘신 주의 국도 제53호선 전체는 국제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노력한 위스콘신 시민들을 기념하여 "평화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13]
2004년, 덜루스에 국도 제53호선의 새로운 4차선 분리된 고속도로 구간이 건설되었다. 이 구간은 지역에서 "피에드몬트 애비뉴"로 알려져 있다. 이전에는 1934년부터 2004년까지 이 동일한 국도 제53호선 구간은 좁은 2차선 도로였으며, 덜루스의 "스카이라인 파크웨이"를 포함하는 7갈래 교차로로 언덕을 올라갔다. 지역에서는 이 지금은 폐지된 유명한 교차로가 70년 동안 "세븐 코너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2006년, 우오리 타운십에 있는 주도 제169호선과의 새로운 국도 제53호선 나들목이 건설되었다.
버지니아 시의 북쪽에서 쿡 시의 남쪽 경계까지 이어지는 4차선 고속도로는 "'''폴스-투-폴스 회랑'''"의 일부로 캐나다까지 4차선 고속도로를 제공하려는 장기 목표의 일환으로 2009년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카운티 도로 307번에서 카운티 도로 652번(굿델 로드) 남쪽 0.25마일까지의 1단계는 2009년에 완공되었고,[14] 2단계는 2013년 가을에 완공되었다.
3. 1. 이블레스-버지니아 구간 재배치
클리프스 천연자원(Cliffs Natural Resources)은 1960년 계약에 따라 미국 53번 국도의 유나이티드 타코나이트 광산 통행권이 광산 확장을 위해 종료될 것이라고 2010년 5월 5일 미네소타 교통부(MnDOT)에 통보했다. 유나이티드 타코나이트와 MnDOT는 2017년까지 도로를 이전하기로 합의했다.[15]주도 제37호선과 세인트루이스 군도 제7호선을 따르는 서쪽 우회로, 오번 채석장을 통과하는 중앙 우회로, 루셜로 채석장을 돌아서 지나가는 동쪽 우회로 등 세 가지 우회로가 제안되었다.[16]
최종적으로 동쪽 경로가 선택되어 2015년 11월에 공사가 시작되었고,[17] 2017년에 재정비가 완료되었다. 2017년 9월 15일, 새로운 도로가 개통되었으며, 루셜로 채석장을 가로지르는 다리 준공식이 열렸다. 이 다리는 미네소타 주에서 가장 높은 다리이다.[18]
4. 폴스-투-폴스 회랑
'''폴스-투-폴스 회랑'''(공식 명칭: '''폴스-투-폴스 회랑—미국 53번 국도, 미네소타/캐나다 국경의 인터내셔널 폴스에서 위스콘신주 치페와 폴스까지''')는 미국 연방 정부가 인정한 무역 회랑이다.
1990년대에 연방 정부는 이 회랑을 개발 우선순위로 지정했다. 주요 개발 계획은 인프라 관련으로, 특히 미국 국도 제53호선을 치페와 폴스에서 인터내셔널 폴스까지 완전한 고속도로 표준으로 확장하여 위스콘신 북서부와 미네소타 북동부의 경제 개발을 촉진하려는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이다. 국간 고속도로 535는 이 노선 중 국간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일한 구간이다.[3]
위스콘신주 수피리어 시의 4차선 도시 표면 도로(이스트 세컨드 스트리트)인 8 km 구간을 제외하고, 위스콘신주 내의 전체 경로는 고속도로 또는 간선도로 표준에 맞춰 완공되었다. 이 회랑의 남쪽 끝에서는 주간 고속도로 94호선과의 연결이 오클레어-치페와 폴스 도시권을 통과하는 12.1 km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년간의 법적, 정치적 논쟁 끝에, 1990년대 후반 현재의 고속도로를 고속도로 표준으로 전환하는 대신 현재 노선을 우회하기로 결정했다. 이 우회로의 북쪽 절반은 WIS 312의 남쪽까지 2005년 중반에 개통되었다. 오클레어강 위에 여러 차선이 있는 다리 한 쌍을 포함하는 우회로의 남쪽 절반은 주로 알투나를 통과하며 WIS 312, U.S. Highway 12, WIS 93과의 분기점을 포함한다. 이 프로젝트는 2005년과 2006년에 여러 상을 수상했다. 이 우회로 구간은 2006년 8월 21일 오전 중반에 개통되었다.
2003년, 미네소타 북부 지역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은 94만 달러였으며, 2004년에는 약 60만 달러였다.[19] 현재, 둘루스 시(피에몬트 애비뉴 및 트리니티 로드) 내 5.6 km 구간을 제외하고는, 이 노선은 쿡 시까지 고속도로로 완공되었으며, 인터내셔널 폴스까지 약 117 km 구간이 고속도로 표준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5. 주요 교차점
미국 53번 국도는 위스콘신주와 미네소타주를 경유하며, 여러 개의 주요 도로와 교차한다.
위스콘신 주에서는 라크로스에서 주간고속도로 제90호선(I-90)과 교차하며, 오널라스카에서는 I-90과 중첩되어 북쪽으로 이동한다.[1][20] 오 클레어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94호선(I-94)과 만난다.[1][20] 치페와 폴스에서는 위스콘신 주도 29번 도로(WI 29)와 교차한다.[1][20] 배런 카운티의 캐머런에서는 미국 국도 제8호선(US 8)과 교차하고,[1][20] 워시번 카운티의 스푸너에서는 미국 국도 제63호선(US 63)과 중첩되어 북쪽으로 이동한다.[1][20] 더글라스 카운티의 솔론 스프링스에서는 미국 국도 제2호선(US 2)과 중첩되어 슈피리어까지 이어진다.[1][20] 슈피리어에서는 주간고속도로 제535호선(I-535)과 만나 존 A. 블라트닉 다리를 통해 미네소타주 덜루스로 연결된다.[1][20]
미네소타주에서는 덜루스에서 I-535와 분기되어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I-35)과 만난다.[1][20] 버지니아에서는 미국 국도 제169호선(US 169)과 교차한다.[1][20] 인터내셔널 폴스에서는 미국 국도 제71호선(US 71)과 중첩되고,[1][20] 포트 프란시스-인터내셔널 폴스 국제 다리를 통해 캐나다 온타리오주 포트 프란시스로 이어진다.[22] 온타리오 주에서는 온타리오주도 제71호선/Ontario Highway 71영어 북쪽과 접촉한다.
6. 캐나다 연결
온타리오 고속도로 제71호선은 포트 프란시스-인터내셔널 폴스 국제 다리를 통해 국도 제53호선과 연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U.S. Route Number Database
https://route.transp[...]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2018-08-05
[2]
웹사이트
Wisconsin Highways - Highway 53
http://www.wisconsin[...]
2006-12-31
[3]
웹사이트
US 53 project
http://www.dot.wisco[...]
Wisconsi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6-10-03
[4]
Google Maps
Overview Map and Aerial Photo of the Can of Worms
https://maps.google.[...]
2009-06-08
[5]
웹사이트
Pawlenty approves Irv Anderson Memorial Highway
https://web.archive.[...]
FOX 21 Online
2010-07-20
[6]
웹사이트
2021 Minnesota Statutes ch. 810.14
https://www.revisor.[...]
Office of the Revisor of Statutes
2022-02-10
[7]
웹사이트
Duluth to dedicate Mondale Drive
https://www.duluthne[...]
Duluth News Tribune
2022-02-10
[8]
지도
1934 Map of Trunk Highway System, State of Minnesota
http://cdm16022.cont[...]
Minnesota Highway Department
2018-09-14
[9]
지도
1935 Map of Trunk Highway System, State of Minnesota
http://cdm16022.cont[...]
Minnesota Highway Department
2018-09-14
[10]
지도
1936 Map of Trunk Highway System, State of Minnesota
http://cdm16022.cont[...]
Minnesota Highway Department
2018-09-14
[11]
간행물
News from Central Offices and Districts - Maintenance Area 1-B
http://cdm16022.cont[...]
Minnesota Department of Highways
2018-12-05
[12]
문서
Construction Project Log Record, Control Section 6918
http://www.dot.state[...]
Minnesota Highway Department
2018-09-14
[13]
웹사이트
Commemorative Highways & Bridges
https://wisconsindot[...]
2022-02-10
[14]
웹사이트
U.S. Highway 53 from Virginia to Cook – Four-lane expansion improvement project
http://www.dot.state[...]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8-03
[15]
웹사이트
U.S. Highway 53 Relocation between Eveleth and Virginia
http://www.dot.state[...]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8-03
[16]
웹사이트
Highway 53 Realignment Study - United Taconite
http://www.dot.state[...]
Short Elliot Hendrickson Inc.
[17]
뉴스
MnDOT to relocate highway to make room for now-idled iron mine
https://www.twinciti[...]
2018-09-15
[18]
뉴스
Tallest bridge in Minnesota is dedicated. You can drive over it really soon.
https://www.twinciti[...]
2018-09-15
[19]
웹사이트
U.S. Transportation Secretary Mineta Announces $3.8 for Minnesota Transportation Projects
https://www.fhwa.dot[...]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0-09-18
[20]
MnDOT logpoint
2010-10-22
[21]
웹사이트
Exit numbers on US 53
http://www.dot.wisco[...]
2007-12-12
[22]
문서
Canada-bound drivers pay US$7 to cross bridge. No toll for US-bound driv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