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10호선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10번 국도는 노스다코타, 미네소타, 위스콘신, 미시간 4개 주를 통과하는 총 연장 1,147.30km의 국도이다. 노스다코타에서는 파고와 웨스트파고를 연결하며, 미네소타에서는 무어헤드에서 시작해 세인트폴 북부 교외를 지나 위스콘신으로 이어진다. 위스콘신에서는 프레스콧에서 시작하여 매니토웍에서 끝나며, 페리 서비스를 통해 미시간 호수를 건너기도 한다. 미시간에서는 러딩턴에서 시작하여 베이 시티에서 I-75와 만나 끝난다. 과거에는 몬태나, 아이다호, 워싱턴 주를 지나 시애틀까지 이어졌으나, I-90과 I-94의 건설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다코타주의 도로 - 국도 제83호선 (미국)
국도 제83호선은 미국 중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주요 도로로, 텍사스주에서 노스다코타주까지 6개 주를 지나며 미국-멕시코 국경과 캐나다-미국 국경을 연결한다. - 노스다코타주의 도로 - 국도 제12호선 (미국)
미국 12번 국도는 미국 중서부와 북서부를 가로지르는 주요 간선 도로로, 워싱턴 주에서 미시간 주까지 이어지며 여러 주에서 주간 고속도로 및 다른 국도와 교차하고 지역 교통과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시간주의 도로 - 주간고속도로 제73호선
주간고속도로 제73호선은 미국 동부의 남북을 잇는 고속도로로, 여러 주의 재정 및 환경 문제로 계획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 구간만 완공되었고 다른 구간은 건설 또는 보류 중이다. - 미시간주의 도로 - 주간고속도로 제96호선
미시간주를 횡단하는 주간고속도로 제96호선은 머스키건에서 디트로이트까지 이어지며 농촌 지역부터 도시 지역까지 통과하여 지역 경제와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위스콘신주의 도로 - 국도 제61호선 (미국)
국도 제61호선은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미네소타주 와이오밍까지 이어지는 미국의 주요 남북축 국도로, 과거 더 긴 노선에서 주간고속도로 제35호선의 건설로 단축되었으며, 특히 미시시피 델타 지역은 "블루스 하이웨이", 세인트루이스 남쪽 구간은 "엘 카미노 리얼"의 경로를 따라 건설되어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위스콘신주의 도로 - 국도 제63호선 (미국)
국도 제63호선은 아칸소주, 아이오와주, 위스콘신주, 미주리주를 지나는 미국의 국도로, 1926년 지정되었으며 아이오와주에서 노선 변경이 있었고, 아칸소주 북동부, 아이오와주 남북, 위스콘신주를 지난다.
국도 제10호선 (미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 | |
국가 | 미국 |
종류 | 일반국도 |
노선 번호 | 10 |
개통 | 1926년 11월 11일 |
방향 | 동-서 |
서쪽 기점 | 웨스트파고, 노스다코타주 (I-94, US 52) |
동쪽 종점 | 베이시티, 미시간주 (I-75, US 23) |
총 연장 | 713.18 mi (1,147.76 km) |
통과 지역 | 노스다코타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미시간주 |
주요 교차로 | |
교차로 | 파고에서 I-29, US 81 마운즈뷰에서 I-35W 세인트폴에서 I-35E, I-94, US 12, US 52, US 61 오시오에서 I-94 스티븐스포인트에서 I-39, US 51 메나샤에서 I-41, US 41 매니토웍 근처에서 I-43 러딩턴 근처에서 US 31 리드시티 근처에서 US 131 클레어 근처에서 US 127 |
기타 정보 | |
이전 노선 | 9 |
다음 노선 | 11 |
관련 항목 | SS 배저 |
2. 노선 설명
미국 10번 국도는 노스다코타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미시간주를 경유한다. 각 주별 경유 거리는 다음과 같다.
주 | 거리 |
---|---|
노스다코타 | 약 12.94km |
미네소타 | 약 443.32km |
위스콘신 | 약 473.16km |
미시간 | 약 224.76km |
총합 |
각 주별 상세 노선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
2. 1. 노스다코타주
노스다코타주에서 미국 10번 국도는 94번 주간고속도로/미국 52번 국도 343번 출구에서 시작하여 레드강까지 약 8km 뻗어 있다. 이 도로는 웨스트파고와 파고의 주요 동서 간선 도로 중 하나이며, 노스다코타주 내에서는 전체 구간이 메인 애비뉴로 불린다. 레드강에서 미국 10번 국도는 다리를 건너 무어헤드로 이어진다.2. 2. 미네소타주
미국 10번 국도는 미네소타주 대부분의 구간에서 주요 분리 고속도로이다. 이 도로는 무어헤드에서 미네소타주로 진입하여 디트로이트 레이크스, 와데나, 스테이플스, 리틀 폴스, 세인트 클라우드, 엘크 리버를 통과한다. 아노카에서 고속도로가 되어 미니애폴리스와 세인트 폴의 북부 교외 지역을 통과한다. 세인트 폴에서는 I-35E와 합류하여 진입하며, US 61과 합류하여 세인트 폴을 벗어난다. 헤이스팅스 바로 북쪽에서 US 61을 벗어나 위스콘신주로 진입하기 직전까지 2차선 고속도로로 이어진다.2. 3. 위스콘신주
위스콘신주 프레스콧에서 시작하는 10번 국도는 남동쪽으로 듀랜드, 닐스빌, 마쉬필드, 스티븐스포인트, 애플턴을 지나 미시간 호수 인근 매니토웍에서 동쪽 종점에 이른다. 10번 국도의 서쪽과 동쪽 구간 사이에는 5월에서 10월 사이에 SS Badger영어 페리가 운행된다.[7] 10번 국도는 주간 고속도로 80번 (WIS 80)에서 마쉬필드 남쪽 약 3.22km 지점부터 I-39까지 4차선 분리 고속도로로 운영되어, 휴잇, 오번데일, 블렌커, 밀라 도르, 정션 시티, 스티븐스포인트 시내를 우회할 수 있다. 이는 마쉬필드에서 메나샤까지 10번 국도를 고속도로 또는 간선도로로 업그레이드하려는 계획의 일환이다. 10번 국도는 스티븐스포인트와 와우페카 사이는 간선도로이며, 와우페카 지역과 프레몬트와 애플턴 사이는 고속도로로 운영된다.2. 4. 미시간주
미시간주 내 US 10의 서쪽 종점은 러딩턴에 있다. US 10은 러딩턴 동쪽에서 US 31과 함께 스코트빌까지 이어지다가 US 31은 북쪽으로 갈라진다. 그 후 도로는 볼드윈과 리드 시티를 지나 M-115 고속도로 분기점 근처의 US 127 서쪽에서 고속도로가 된다. US 127과 US 10은 클레어 근처에서 짧은 구간 겹친다. US 10은 미들랜드를 우회하여 베이 시티의 I-75에서 끝난다.[9]3. 통과하는 도로
미국 10번 국도는 여러 주를 통과하며 다양한 고속도로와 교차한다.
; 노스다코타주
: 웨스트고에서 94번 주간고속도로, 52번 국도와 교차하며, 파고에서는 29번 주간고속도로, 81번 국도와 교차한다.
; 미네소타주
: 무어헤드에서 75번 국도와 만나 도시를 관통하며 함께 운행한다. 디트로이트 레이크스에서는 59번 국도와, 와데나에서는 71번 국도와 교차한다. 엘크 리버에서는 169번 국도와 만나 아노카까지 함께 운행한다.
: 세인트 폴에서는 61번 국도와 합류하여 덴마크 타운십까지 함께 운행한다.
; 위스콘신주
: 엘스워스 서쪽에서 63번 국도와 만나 엘스워스 동쪽까지 함께 운행한다. 오세오 서쪽에서는 53번 국도와 합류하여 오세오까지 함께 운행하며, 페어차일드 남쪽에서 12번 국도와 만나 페어차일드 동남쪽까지 함께 운행한다.
: 프레몬트 동남동쪽에서는 45번 국도와 함께 운행한다. 매니토웍에서는 151번 국도와 교차한다.
; 미시간주
: 미시간호를 건너 러딩턴에 도착한 후, 앰버 타운십에서 31번 국도와 합류하여 타운십을 관통하며 함께 운행한다. 리치몬드 타운십에서는 131번 국도와 교차하며, 그랜트 타운십에서는 127번 국도와 만나 클레어까지 함께 운행한다.
3. 1. 주간고속도로
; 노스다코타주
: 웨스트고에서 94번 주간고속도로, 52번 국도와 분기한다.
: 파고에서 29번 주간고속도로, 81번 국도와 분기한다.
; 미네소타주
: 마운즈 뷰–쇼어뷰 시 경계선에서 35W번 주간고속도로와 합류하여 마운즈 뷰–아덴 힐스 시 경계선까지 함께 운행한다.
: 아덴 힐스에서 694번 주간고속도로와 합류하여 리틀 캐나다까지 함께 운행한다.
: 리틀 캐나다에서 35E번 주간고속도로와 합류한다. 35E번 주간고속도로, 10번 국도는 세인트 폴까지 함께 운행한다.
: 세인트 폴에서 94번 주간고속도로와 합류한다. 94번 주간고속도로, 10번 국도는 도시를 관통하며 함께 운행한다.
: 뉴포트에서 494번 주간고속도로와 분기한다.
; 위스콘신주
: 오세오에서 94번 주간고속도로와 분기한다.
: 스티븐스 포인트 북북서쪽에서 39번 주간고속도로와 합류하여 스티븐스 포인트까지 함께 운행한다.
: 니나 북쪽에서 41번 주간고속도로와 분기한다.
: 매니토웍 북서쪽에서 43번 주간고속도로와 합류하여 매니토웍 서쪽까지 함께 운행한다.
; 미시간주
: 모니터 타운십에서 75번 주간고속도로와 분기한다.
3. 2. 국도
주 | 주요 경유 국도 |
---|---|
노스다코타주 | |
미네소타주 | |
위스콘신주 | |
미시간주 |
4. 역사
원래 10번 국도는 몬태나 주(몬태나 주도 2호선 일부 구간 포함), 아이다호 팬핸들, 워싱턴 주를 통과하여 시애틀에서 끝났다. I-90와 I-94의 완공으로 이 경로를 따라 10번 국도가 대체되었지만, 옛 10번 국도의 일부 구간은 비스마크, 미줄라, 스포캔, 클리 엘럼과 엘렌스버그 사이의 주도 10호선 등에 여전히 남아 있다. I-90의 마지막 완공 구간은 1990년대 초 쿠어달렌과 윌리스 사이였다. 이 경로의 상당 부분은 아이다호를 통과하는 I-90이 최종적으로 완공될 때까지 I-90과 10번 국도로 함께 번호가 매겨졌다.[10]
폐지된 10번 국도의 일부 구간은 I-90 비즈니스 또는 I-94 비즈니스 노선으로 지정되었다. 최소 두 개의 10번 국도 대체 노선(US 10 Alt.)이 사용되었는데, 여기에는 1941년부터 1967년까지 샌드포인트를 경유하여 스포캔에서 미줄라까지 연결되는 노선(현재 US 2, 주도 200호선, MT 200, US 93으로 표시됨)과 필립스버그, 아나콘다를 통과하는 핀틀러 풍경 노선(MT 1)이 포함된다. 10번 국도는 1936년부터 1960년까지 개리슨과 스리 포크스 사이에서 10N번과 10S번으로 분리되었다.[10] 10N번은 헬레나를 경유하여 스리 포크스로 내려갔으며, 분리의 남쪽 구간은 디어 로지와 뷰트를 거쳐 로키 산맥을 건너는 10번 국도의 전통적인 노선을 따랐다.[11] 분리 이전에는 10N번이 또 다른 10번 국도 대체 노선으로 지정되었다.[12]
동쪽 종점에서 10번 국도는 원래 미들랜드에서 세기노로 현재 M-47번 고속도로 구간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했다. 그런 다음 세기노에서 US 23과 합류하여 플린트 근처에서 US 23에서 분리될 때까지 남쪽으로 계속 이어졌다. 그 후 딕시 고속도로를 따라 동남쪽으로 폰티악까지 이동하여, 현재 M-1으로 지정된 우드워드 애비뉴를 따라갔다. 거기에서 10번 국도는 거의 직선으로 디트로이트 시내까지 이어졌으며, US 16, US 25, US 12와 교차했다. 그 다음 2 블록 떨어진 곳에서 끝났고, 디트로이트-윈저 터널을 통해 캐나다로 연결되었다.[8]
1970년대에 10번 국도는 메트로 디트로이트의 우드워드 애비뉴에서 벗어나 존 C. 로지 고속도로(구 비즈니스 스퍼 696, 현재 M-10) 및 텔레그래프 로드로 우회되었다. 1986년 10번 국도는 베이 시티로 단축되었고, 이 시점에서 로지 고속도로는 M-10으로 변경되었다.
1925년에 10번 국도는 원래 디트로이트에서 시카고를 거쳐 위스콘신 주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제안되었으나, 나중에 12번 국도가 되었다.
2015년, 미국 고속도로 및 교통 공무원 협회는 자동차 페리를 고속도로의 공식 노선 일부로 지정하여, US 9와 함께 페리 연결이 있는 유일한 두 개 노선이 되었다.[6]
5. 관련 국도
- 국도 제110호선
- 국도 제210호선
- 국도 제310호선
- 국도 제410호선
미국 10번 국도는 과거에 대체 노선이 지정되었지만, 2017년 현재 활성화된 노선은 없다. 워싱턴주와 몬태나주 사이의 다주 대체 노선은 1947년에 US 2의 서쪽 연장으로 대폭 대체되었고, 이후 1967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14][15]
1926년에서 1934년 사이에는 미네소타주 세인트클라우드와 무어헤드 사이에 접미사가 붙은 노선이 있었다. US 10N은 두 노선의 북쪽 구간으로, 세인트클라우드, 리틀폴스, 모틀리, 디트로이트레이크스를 거쳐 무어헤드에 도달했다. US 10S는 세인트클라우드에서 알렉산드리아와 퍼거스폴스를 거쳐 무어헤드에서 US 10N과 다시 합류했다. 1930년대 중반에 US 52가 미네소타주로 연장되면서 US 10S는 US 52(현재 I-94)로 이름이 바뀌었다. US 10N은 US 10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Route and Mileage Map Insets
http://www.dot.nd.go[...]
North Dak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1-07-08
[2]
웹사이트
Statewide Trunk Logpoint Listing
http://www.dot.state[...]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12-22
[3]
지도
Street Atlas USA 2007
DeLorme
[4]
간행물
MDOT PRFA
2010-11-18
[5]
지도
United States System of Highways Adopted for Uniform Marking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Officials
https://commons.wik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11-07
[6]
뉴스
SS Badger Bridges the Gap Between State Highway System
http://www.upnorthli[...]
WPBN-TV
2015-07-08
[7]
웹사이트
SS Badger History
http://www.ssbadger.[...]
Lake Michigan Carferry
2014-09-28
[8]
웹사이트
End of U.S. Highway 10
http://usends.com/10[...]
Endpoints of US highways
2006-12-20
[9]
웹사이트
US 10
http://www.michiganh[...]
2016-07-16
[10]
지도
Map of the Montana State Highway System
https://www.mdt.mt.g[...]
H.M. Gousha
2022-05-29
[11]
지도
Map of the Montana State Highway System
https://www.mdt.mt.g[...]
Rand McNally & Company
2022-05-29
[12]
지도
Map of Montana
https://www.mdt.mt.g[...]
H.M. Gousha
2022-05-29
[13]
서적
The Road Atlas
Rand McNally
[14]
웹사이트
U.S. 2: Houlton, Maine, to Everett, Washington
https://www.fhwa.do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20-09-06
[15]
지도
Official Highway Map of Idaho
https://www.flickr.c[...]
Idaho Department of Highways
2020-09-06
[16]
웹사이트
The Unofficial Minnesota Highways Page: Details of Routes 1-25
http://www.steve-rin[...]
2006-04-05
[17]
문서
"20, 30, 40, 50, 60, 70, 80, 90호선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