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궁륭산 병성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륭산 병성배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개최된 세계 여자 바둑 기전으로,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의 여성 기사들이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국은 총 7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최정 9단은 6회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대회는 중국 규칙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2018년 우칭위안배가 창설되기 전까지 유일한 국제 여자 개인 바둑 기전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바둑 기전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은 SBS 주최, 진로그룹 후원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회 개최된 한국, 중국, 일본 대표 기사들의 국가대항전 바둑 단체전으로, 한국 바둑의 위상을 높이고 바둑계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우승 상금은 20만 달러였다.
  • 국제 바둑 기전 -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은 32명의 프로 기사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되고, 우승 상금은 180만 위안인 바둑 대회이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는 여성 정책,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 아동·청소년 관련 사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출범했지만, 셧다운제 시행, 예산 낭비 논란 등 다양한 논란에 휩싸여 존폐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궁륭산 병성배
대회 정보
이름궁륭산 병성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대회
로마자 표기Gungnyungsan Byeongseongbae Segye Yeoja Baduk Seonsukwon Daehoe
중국어 간체穹窿山兵圣杯世界女子围棋锦标赛
중국어 병음Qiónglóngshān Bīngshèng Bēi Shìjiè Nǚzǐ Wéiqí Jǐnbiāosài
주최중국바둑협회
후원쑤저우시 인민 정부
개최지중국 쑤저우시
대회 시작 연도2010년
역대 우승자
2010년박지은
2011년리허
2012년최정
2013년루이나이웨이
2014년위즈잉
2015년위즈잉
2016년오유진
2017년인취
2018년김채영
2019년저우훙위
2023년우에노 아사미

2. 규칙

궁륭산 병성배는 중국, 일본, 대한민국, 대만,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의 여성 기사들이 참가하는 바둑 대회였다. 16명의 선수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했다. 대국은 중국 규칙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7.5점의 이 적용되었다. 각 선수에게는 기본 시간 2시간이 주어졌고, 60초 초읽기 5회가 주어졌다.

제1회부터 제3회 대회까지 우승 상금은 20만 위안, 준우승 상금은 8만 위안이었다. 제4회부터 제6회 대회까지는 각각 25만 위안과 10만 위안으로 상금이 인상되었다. 제7회부터 제10회 대회까지 우승 상금은 30만 위안으로 인상되었고, 준우승 상금은 10만 위안으로 유지되었다.

3. 역사

2010년, 궁륭산 병성배는 세계 유일의 국제 여자 개인 바둑 기전으로 창설되었다.[1] 2018년 우칭위안배가 창설되기 전까지 유일한 국제 여자 개인 바둑 기전의 지위를 유지했다.[1]

한국은 총 7회 우승(박지은 2회, 최정 4회, 오유진 1회)을 차지했고, 중국은 총 3회 우승(리허 1회, 왕천싱 1회, 위즈잉 1회)을 기록했다. 일본은 후지사와 리나 9단의 2019년 준결승 진출이 최고 성적이다.[12] 특히, 최정 9단은 2014년 제5회 대회부터 2019년 제10회 대회까지 6회 연속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달성하며, 한국 여자 바둑의 위상을 세계에 알렸다.

오세아니아 대표로 출전한 헤이자자(조안 미싱햄) 초단은 2010년 제1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비아시아권 선수로서 국제 기전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2]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2010박지은 九단 1-0헤이자자 初단
22011박지은 九단 1-0탕이 二단
32012리허 三단 1-0루이나이웨이 九단
42013왕천싱 五단 1-0위즈잉 五단
52014최정 四단 1-0루이나이웨이 九단
62015위즈잉 五단 1-0박지은 九단
72016오유진 三단 1-0왕천싱 五단
82017최정 七단 1-0왕천싱 五단
92018최정 九단 1-0오유진 六단
102019최정 九단 1-0저우훙위 五단


4. 역대 우승자 및 준우승자

wikitext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2010박지은 九단 1-0헤이자자 初단
22011박지은 九단 1-0탕이 二단
32012리허 三단 1-0루이나이웨이 九단
42013왕천싱 五단 1-0위즈잉 五단
52014최정 四단 1-0루이나이웨이 九단
62015위즈잉 五단 1-0박지은 九단
72016오유진 三단 1-0왕천싱 五단
82017최정 七단 1-0왕천싱 五단
92018최정 九단 1-0오유진 六단
102019최정 九단 1-0저우훙위 五단


4. 1. 역대 우승자

회수연도우승전적준우승
12010박지은 九단 1-0헤이자자 初단 [2][3]
22011박지은 九단 1-0탕이 二단 [4]
32012리허 三단 1-0루이나이웨이 九단 [5]
42013왕천싱 五단 1-0위즈잉 五단 [6]
52014최정 四단 1-0루이나이웨이 九단 [7]
62015위즈잉 五단 1-0박지은 九단 [8]
72016오유진 三단 1-0왕천싱 五단 [9]
82017최정 七단 1-0왕천싱 五단
92018최정 九단 1-0오유진 六단 [10]
102019최정 九단 1-0저우훙위 五단 [11][12]


5. 역대 대회 결과

회차연도우승자준우승자
제1회[2][3]2010 박지은 조앤 미싱엄
제2회[4]2011 박지은 탕이
제3회[5]2012 리허 루이 나이웨이
제4회[6]2013 왕천싱 위즈잉
제5회[7]2014 최정 루이 나이웨이
제6회[8]2015 위즈잉 박지은
제7회[9]2016 오유진 왕천싱
제8회2017 최정 왕천싱
제9회[10]2018 최정 오유진
제10회[11][12]2019 최정 저우훙위


5. 1. 제1회 (2010년)

2010년 9월 11일부터 14일까지 제1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2][3] 1회전에서는 박지은 九단이 북미의 이천석을, 쑹룽후이 五단이 지넨카오리 九단을, 탕이 二단이 루이 나이웨이 九단을, 셰이민 六단이 김혜민 五단을 이겼다. 또한 헤이자자 六단이 아오키키쿠요 八단을, 리허 三단이 장카이신 初단을, 정옌 二단이 헝가리의 리타 포차이를, 이슬아 三단이 왕천싱 五단을 이기고 2회전에 진출했다.

2회전에서는 박지은 九단이 쑹룽후이 五단을, 탕이 二단이 셰이민 六단을, 헤이자자 六단이 리허 三단을, 정옌 二단이 이슬아 三단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박지은 九단이 탕이 二단을, 헤이자자 六단이 정옌 二단을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대한민국의 박지은 九단이 오스트레일리아의 헤이자자 六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3]

5. 2. 제2회 (2011년)

2011년 10월 9일부터 13일까지 제2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4] 1회전에서는 장정평 (중화 타이베이)과 루이 나이웨이 (대한민국)의 대결에서 루이 나이웨이가 승리하였고, 왕천싱 (중국)과 무카이 치아키 (일본)의 대결에서는 무카이 치아키가, 펑윈 (미국)과 위즈잉 (중국)의 대결에서는 위즈잉이, 요시다 미카 (일본)와 박지은 (대한민국)의 대결에서는 박지은이 승리하였다. 헤이 자자 (대만)와 천이밍 (중국)의 대결에서는 천이밍이, 리허 (중국)와 박지연 (대한민국)의 대결에서는 박지연이, 나탈리아 코발레바 (러시아)와 탕이 (중국)의 대결에서는 탕이가, 차오 유인 (중국)과 셰이민 (일본)의 대결에서는 셰이민이 승리하였다.

2회전에서는 루이 나이웨이와 무카이 치아키의 대결에서 루이 나이웨이가, 위즈잉박지은의 대결에서 박지은이, 천이밍과 박지연의 대결에서 박지연이, 탕이와 셰이민의 대결에서 탕이가 승리하였다.

준결승전에서는 루이 나이웨이와 박지은의 대결에서 박지은이, 박지연과 탕이의 대결에서 탕이가 승리하였다.

결승전에서는 '''박지은'''이 탕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4]

5. 3. 제3회 (2012년)

2012년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제3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5] 1라운드에서는 최정이 이혁에게 패했으며,[5] 김혜민은 탕이에게 패했다.[5] 2라운드, 준결승을 거쳐 결승전에서는 리허가 루이 나이웨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5]

회차연도우승자준우승자
제3회[5]2012 리허 루이 나이웨이


5. 4. 제4회 (2013년)

2013년 9월 8일부터 9월 12일까지 제4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6] 1회전에서는 왕천싱셰이민에게, 루이나이웨이헤이자자에게, 리허가 천완위에게, 샤오아이린이 마누엘 마르스에게, 위즈잉이 오쿠다 아야에게, 무카이 치아키가 박지은에게, 탕이가 오정아에게, 최정이 루자에게 승리했다. 2회전에서는 왕천싱루이나이웨이를, 리허가 샤오아이린을, 위즈잉이 무카이 치아키를, 탕이가 최정을 꺾었다. 준결승전에서는 왕천싱위즈잉이 각각 리허와 탕이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왕천싱'''이 위즈잉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6]

5. 5. 제5회 (2014년)

2014년 8월 30일부터 9월 3일까지 제5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7]

1회전에서는 왕천싱(중국)이 장정핑(중화 타이베이)에게 승리하였고, 위즈잉(중국)은 오쿠다 아야(일본)에게 승리하였다. 오유진(대한민국)은 셰이민(일본)에게 패하였고, 루이나이웨이(중국)는 헤이자자(중화 타이베이)를 꺾었다. 후지사와 리나(일본)는 쑹룽후이(중국)에게 패하였고, 루자(중국)는 나탈리아 코발레바(러시아)에게 승리하였다. 헤이자자(캐나다)는 최정(대한민국)에게 패하였고, 김채영(대한민국)은 차오유인(중국)에게 패배하였다.

2회전에서는 위즈잉왕천싱을 꺾었고, 루이나이웨이셰이민에게 승리하였다. 루자후지사와 리나를 이겼고, 최정은 차오유인에게 승리하였다.

준결승전에서는 루이나이웨이위즈잉을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고, 최정이 루자를 이기고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전에서는 최정이 루이나이웨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7]

5. 6. 제6회 (2015년)

2015년 10월 17일부터 21일까지 제6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8] 1회전에서 왕천싱이 오유진을, 박지은이 루이 나이웨이를, 리허가 무카이 치아키를, 위즈잉장정핑을, 왕징이가 왕이리를, 천이밍이 리타 포차이를, 최정헤이자자를 이겼고, 우시영은 쑹룽후이에게 승리했다. 2회전에서는 박지은왕천싱을, 리허가 우시영을, 위즈잉이 왕징이를, 최정이 천이밍을 이겼다. 준결승전에서 박지은은 리허를, 위즈잉최정을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위즈잉박지은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8]

제6회 궁륭산 병성배 결과
1회전 (10/17)2회전 (10/18)준결승전 (10/19)결승전 (10/21)
왕천싱 (중국) 오유진 (대한민국)왕천싱박지은 박지은 리허박지은위즈잉
박지은 루이 나이웨이 (중국)박지은 리허 위즈잉 최정
리허 무카이 치아키 (일본)우시영리허
쑹룽후이 (중국)우시영 (일본) 위즈잉 최정
위즈잉 (중국) 장정핑 (중화 타이베이)왕징이천이밍
왕징이 (일본) 왕이리 (미국)위즈잉천이밍
천이밍 (중국) 리타 포차이 (헝가리)
최정 헤이자자 (중화 타이베이)


5. 7. 제7회 (2016년)

2016년 11월 12일부터 16일까지 제7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9] 1라운드에서는 오유진이 우에노 아사미를, 루이 나이웨이가 헤이 자자를, 리허최정을, 쑹룽후이가 인밍밍을, 왕천싱후지사와 리나를, 왕샹윈이 셰이민을, 위즈잉박지은을, 쑤성팡이 나탈리아 코왈레바를 꺾고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는 오유진이 루이 나이웨이를, 리허가 쑹룽후이를, 왕천싱이 왕샹윈을, 위즈잉이 쑤성팡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오유진이 리허를, 왕천싱이 위즈잉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오유진'''이 왕천싱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9]

5. 8. 제8회 (2017년)

2017년 11월 6일부터 10일까지 제8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 1회전에서 최정 9단(대한민국)은 리허 5단(중국)에게 승리하였고, 무카이 치아키 6단(일본)은 루민취안(중국)에게 승리했다. 위즈잉 6단(중국)은 왕잉리(북미)에게, 오정아 3단(대한민국)은 셰이민 6단(일본)에게 각각 승리했다. 왕천싱 5단(중국)은 장카이신 2단(중화 타이베이)에게, 후지사와 리나 3단(일본)은 헤이자자 7단(오세아니아)에게 승리했다. 오유진 5단(대한민국)은 가오싱 4단(중국)에게, 판양 3단(중국)은 마누엘라 마르츠(유럽)에게 승리했다.

2회전에서는 최정 9단이 무카이 치아키 6단을, 위즈잉 6단이 오정아 3단을 이겼다. 왕천싱 5단은 후지사와 리나 3단에게, 오유진 5단은 판양 3단에게 승리했다. 준결승에서 최정 9단은 위즈잉 6단을, 왕천싱 5단은 오유진 5단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최정 9단이 왕천싱 5단에게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5. 9. 제9회 (2018년)

제9회 궁륭산 병성배는 2018년 10월 31일부터 11월 4일까지 개최되었다.[10] 1회전에서 최정 9단이 위즈잉 6단을 꺾고,[10] 오유진 6단이 왕천싱 5단을 꺾는 등[10] 대한민국 선수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결국 결승전에서 최정 9단이 오유진 6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0]

회차연도우승자준우승자
제9회[10]2018 최정 오유진


5. 10. 제10회 (2019년)

2019년 10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제10회 궁륭산 병성배가 개최되었다.[11][12]

1라운드에서 최정 9단(대한민국)은 아리아나 우지에(프랑스)에게 승리하였고, 위즈잉(중국)은 오유진 7단(대한민국)에게 승리했다. 루이 나이웨이(중국)는 셰이민(일본)을, 리허(중국)는 헤이자자(오세아니아)를 이겼다. 저우훙위(중국)는 우에노 아사미(일본)에게, 왕천싱(중국)은 조승아(대한민국)에게 승리했다. 후지사와 리나(일본)는 인밍밍(북미)을, 루민취안(중국)은 양쯔쉬안(중화 타이베이)에게 승리하였다.

2라운드에서는 최정 9단이 위즈잉에게, 루이 나이웨이가 리허에게, 저우훙위가 왕천싱에게, 후지사와 리나가 루민취안에게 승리하였다.

준결승전에서 최정 9단은 루이 나이웨이를 꺾었고, 저우훙위는 후지사와 리나를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최정''' 9단이 저우훙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1][12]

참조

[1] 간행물 世界女子大赛历史盘点 吴侑珍夺兵圣杯成新女王 http://sports.sina.c[...] 2016-11-16
[2] 간행물 History of Topics 2010 http://www.nihonkiin[...] Nihon Ki-in 2010-10-26
[3] 간행물 穹窿山兵圣杯击败黑嘉嘉 朴志恩夺个人第四冠 https://sports.qq.co[...] Tencent Sports 2010-09-14
[4] 간행물 Park Jieun wins 2nd Bingsheng Cup https://web.archive.[...] 2011-10-13
[5] 간행물 Li He wins her first international title: 3rd Bingsheng Cup https://web.archive.[...] 2012-11-05
[6] 간행물 Wang Chenxing wins 4th Bingsheng Cup https://web.archive.[...] 2013-09-16
[7] 간행물 兵圣杯芮乃伟不敌崔精 韩国诞生第3位女子世界冠军 http://sports.sina.c[...] 2014-09-03
[8] 간행물 Yu Zhiying wins her first international title – 6th Bingsheng Cup https://web.archive.[...] 2015-10-22
[9] 간행물 ‘반상 미녀’ 오유진, 궁륭산에서 생애 첫 우승 http://m.baduk.or.kr[...] 2016-11-16
[10] 간행물 The Power Report: Cho U wins Meijin title; Young players share lead in Honinbo League; Choi Jeong wins Bingsheng Cup https://web.archive.[...] 2018-11-07
[11] 간행물 穹窿山兵圣杯小将周泓余憾负崔精 韩国豪取四连冠 http://sports.sina.c[...] 2019-11-03
[12] 간행물 The Power Report: Ueno wins 38th Women’s Honinbo; Choi wins Bingsheng Cup; Kono to challenge for Kisei https://web.archive.[...] 2019-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