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정책 수립, 고용보험, 직업능력 개발 훈련, 근로 조건 기준, 노사 관계 조정 등을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1948년 사회부 노동국으로 시작하여, 1963년 노동청으로 독립했다가, 1981년 노동부로 승격되었고, 2010년 현재의 고용노동부로 개편되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여러 실, 국, 과,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고용노동청, 중앙노동위원회 등 소속 기관과 고용보험심사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등 위원회를 운영한다. 2023년 기준 총 644명의 공무원이 근무하며, 총 수입은 29조 2041억 8800만 원, 총 지출은 34조 9505억 3900만 원 규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차관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차관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고용노동부 장관을 보좌하고 소관 사무를 처리하며 장관 유고 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은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는 직위로, 고용정책, 고용보험, 노사관계 등 고용 및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며, 1948년 사회부와 보건사회부에서 시작하여 노동청을 거쳐 1981년 노동부 장관직이 신설, 2010년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기관명 | 고용노동부 |
로마자 표기 | Goyong nodong-bu |
영어명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
한자 표기 | 雇傭勞動部 |
약칭 | 고용부, MOEL |
설립일 | 2010년 7월 5일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26①15 |
전신 | 노동부 |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22 정부세종청사 11동 |
직원 | 644명 |
모토 | 함께 일하는 나라, 행복한 국민 |
웹사이트 | 고용노동부 |
예산 | |
세입 | 29조 2041억 8800만 원 |
세출 | 34조 9505억 3900만 원 |
조직 | |
상급 기관 | 국무총리 |
산하 기관 | #조직 |
역대 기관장 | |
장관 | 김문수 |
차관 | 김민석 |
연혁 | |
1948-1963년 | 사회부 노동국 |
1963-1981년 | 노동청 |
1981-2010년 | 노동부 |
이미지 | |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 근로조건 기준, 근로자 복리후생, 노사관계 조정, 노사협력 증진,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 고용 및 노동 관련 사무를 수행한다.[7] 주요 업무에는 고용 관련 정책 수립, 산업재해보험 관련 정책 수립 및 관리, 직업능력 개발 관련 정책 수립, 일·가정 양립을 포함한 고용평등, 노동조건 관련 정책 수립 등이 있다.[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 사회부에 설치된 노동국이 고용노동부의 전신이다. 1955년 보건사회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가 1963년 9월 보건사회부 외청인 노동청으로 독립했다. 다만, 《경향신문》은 노동국이 정부 기구 가운데서 가장 무능력하고 무위한 존재였으며, 노동국이 일을 제대로 했다면 노동청으로 확대 개편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라며 정부의 노동행정을 강하게 비판하고 노동행정의 근본적 쇄신을 주장했다.[11]
3. 역사
1970년 12월 정부와 민주공화당은 확대되는 노동 문제 해결, 적정한 인력 수급 조절, 근로자 권익 개선, 노동 환경 정비 등을 위해 노동청 확대가 필요하다며 노동부 신설을 검토했다.[12][13] 이후 최규하 국무총리가 국회에 출석해 노동부 승격을 언급하기도 했지만 박정희 정부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1981년 4월 전두환 정부 출범과 함께 노동부로 승격되었는데, 이는 단순히 차관급 기구가 장관급 기구로 격상된 것뿐만 아니라 노사협의회 확장, 고용보험제와 최저임금제 도입 등을 통해 노동자의 권익을 대변하는 기구가 탄생했음을 의미한다.[14]
이명박 정부 때인 2010년 7월에는 노사분규·근로감독 등 노사관계 업무와 취업지원·직업능력개발 등 고용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만큼 기능을 명확히 나타내고 고용정책의 중요성을 보이기 위해 노동부를 고용노동부로 개편했다.
3. 1. 연혁
4. 조직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장관과 차관을 중심으로 여러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장관 소속 하부 조직으로는 대변인실과 정책보좌관실이 있다. 대변인실은 홍보기획팀[20]과 디지털소통팀[21]으로 구성되어 장관을 보좌한다.[22]
차관 소속 하부 조직으로는 기획조정실, 감사관실, 운영지원과, 고용정책실, 노동정책실, 산업안전보건본부 등이 있다. 기획조정실은 정책기획관실과 국제협력관실로 나뉜다. 정책기획관실은 기획재정, 혁신행정, 규제개혁법무, 양성평등정책[23], 비상안전 담당관 및 정보화기획팀[24]을 두고 있다. 국제협력관실은 국제협력, 외국인력 담당관 및 개발협력지원팀[24]으로 구성된다. 감사관실[23]은 감사담당관실과 고객지원팀[20]을 두고 있다.
고용정책실은 노동시장정책관실, 고용서비스정책관실, 고용지원정책관실, 통합고용정책국, 청년고용정책관실, 직업능력정책국으로 구성된다. 노동시장정책관실은 고용정책총괄, 지역산업고용정책, 기업일자리지원과를 두고 있다. 고용서비스정책관실은 고용서비스정책, 고용보험기획, 고용지원실업급여과, 자산운용팀[21], 국민취업지원기획팀[21]을 두고 있다. 고용지원정책관실은 고용서비스기반, 고용문화개선정책, 미래고용분석, 노동시장조사과로 구성된다. 통합고용정책국은 고령사회인력정책, 장애인고용[23], 여성고용정책, 사회적기업과를, 청년고용정책관실은 청년고용기획, 청년취업지원, 공정채용기반과를 두고 있다. 직업능력정책국은 직업능력정책, 직업능력평가, 인적자원개발, 기업훈련지원과로 구성된다.
노동정책실은 노사관행개선[25], 임금근로시간정책[25], 노동개혁정책관실, 노사협력정책관실, 근로기준정책관실로 구성된다. 노동개혁정책관실은 노동개혁총괄, 공공노사관계과를, 노사협력정책관실은 노사협력정책, 노사관계법제, 노사관계지원과를, 근로기준정책관실은 근로기준정책, 근로감독기획, 퇴직연금복지, 고용차별개선과를 두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본부는 산업안전보건정책관실[23]과 산재예방감독정책관실로 구성된다. 산업안전보건정책관실[23]은 산업안전보건정책, 산재보상정책, 산업안전기준, 산업보건기준과, 직업건강증진팀[26]을, 산재예방감독정책관실은 안전보건감독기획, 산재예방지원, 건설산재예방정책, 중대산업재해감독, 화학사고예방과[23]를 두고 있다.
고용보험심사위원회에는 상임위원이 있다.
고용노동부의 주요 업무는 고용 관련 정책 수립, 산업재해보험 관련 정책 수립 및 관리, 직업능력 개발 관련 정책 수립, 일·가정 양립을 포함한 고용평등, 그리고 노동조건 관련 정책 수립 등이다.[5]
4. 1. 소속기관
- 지방고용노동청
- * 지청
- 중앙노동위원회 사무처, 지방노동위원회 사무국
- 최저임금위원회 사무국
- 산업재해보상보험심사위원회 사무국
-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책임운영기관)
5. 역대 장관
대 | 성명 | 재임 기간 | 비고 | ||
---|---|---|---|---|---|
한자 표기 | 한국어 표기 | 취임 | 퇴임 | ||
노동부 장관 | |||||
초대 | 權重東 | 권중동 | 1981년 4월 8일 | 1982년 5월 21일 | |
2대 | 鄭漢株 | 정한주 | 1982년 5월 21일 | 1985년 2월 19일 | |
3대 | 趙澈權 | 조철권 | 1985년 2월 19일 | 1986년 8월 27일 | |
4대 | 李憲琦 | 이헌기 | 1986년 8월 27일 | 1988년 2월 1일 | |
5대 | 崔明憲 | 최명헌 | 1988년 2월 1일 | 1988년 12월 1일 | |
6대 | 張永喆 | 장영철 | 1988년 12월 1일 | 1989년 7월 1일 | |
7대 | 崔永喆 | 최영철 | 1989년 7월 1일 | 1990년 12월 1일 | |
8대 | 崔秉烈 | 최병렬 | 1990년 12월 1일 | 1992년 6월 1일 | |
9대 | 李衍澤 | 이연택 | 1992년 6월 1일 | 1993년 2월 1일 | |
10대 | 李仁濟 | 이인제 | 1993년 2월 1일 | 1993년 12월 1일 | |
11대 | 南載熙 | 남재희 | 1993년 12월 1일 | 1994년 12월 1일 | |
12대 | 李炯九 | 이형구 | 1994년 12월 1일 | 1995년 5월 1일 | |
13대 | 陳稔 | 진념 | 1995년 5월 1일 | 1997년 8월 5일 | |
14대 | 李起浩 | 이기호 | 1997년 8월 5일 | 1999년 5월 1일 | |
15대 | 李相龍 | 이상룡 | 1999년 5월 1일 | 2000년 2월 1일 | |
16대 | 崔善政 | 최선정 | 2000년 2월 1일 | 2000년 8월 1일 | |
17대 | 金浩鎭 | 김호진 | 2000년 8월 1일 | 2001년 9월 1일 | |
18대 | 劉容泰 | 유용태 | 2001년 9월 1일 | 2002년 1월 1일 | |
19대 | 方鏞錫 | 방용석 | 2002년 1월 1일 | 2003년 2월 1일 | |
20대 | 權奇洪 | 권기홍 | 2003년 2월 1일 | 2004년 2월 1일 | 노무현 정부 |
21대 | 金大煥 | 김대환 | 2004년 2월 1일 | 2006년 2월 10일 | 노무현 정부 |
22대 | 李相洙 | 이상수 | 2006년 2월 10일 | 2008년 2월 29일 | 노무현 정부 |
23대 | 李永熙 | 이영희 | 2008년 3월 1일 | 2009년 9월 30일 | 이명박 정부 |
24대 | 任太熙 | 임태희 | 2009년 10월 1일 | 2010년 7월 4일 | 이명박 정부 |
고용노동부 장관 | |||||
초대 | 任太熙 | 임태희 | 2010년 7월 5일 | 2010년 8월 29일 | 이명박 정부 |
2대 | 朴宰完 | 박재완 | 2010년 8월 30일 | 2011년 6월 1일 | 이명박 정부 |
3대 | 李埰弼 | 이채필 | 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 이명박 정부 |
4대 | 方河男 | 방하남 | 2013년 3월 11일 | 2014년 7월 15일 | 박근혜 정부 |
5대 | 李基權 | 이기권 | 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24일 | 박근혜 정부 |
직무대행 | 李性基 | 이성기 | 2017년 7월 25일 | 2017년 8월 13일 | 문재인 정부 |
6대 | 金榮珠 | 김영주 | 2017년 8월 14일 | 2018년 9월 21일 | 문재인 정부 |
7대 | 李載甲 | 이재갑 | 2018년 9월 21일 | 2021년 5월 5일 | 문재인 정부 |
8대 | 安庚德 | 안경덕 | 2021년 5월 6일 | 2022년 5월 9일 | 문재인 정부 |
9대 | 李正植 | 이정식 | 2022년 5월 10일 | 2024년 8월 30일 | 윤석열 정부 |
10대 | 金文洙 | 김문수 | 2024년 8월 30일 | (현직) | 윤석열 정부 |
6. 정원
2023년 기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공무원 정원은 총 644명이다.[8]
총계 | 644명 | |
---|---|---|
정무직 계 | 2명 | |
장관 | 1명 | |
차관 | 1명 | |
별정직 계 | 5명 | |
고위공무원단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1명 | |
6급 상당 이하 | 3명 | |
일반직 계 | 637명 | |
고위공무원단 | 20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306명[27] | |
6급 이하 | 307명[28] | |
전문경력관 | 4명 |
7. 재정
2023년 기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의 총수입은 29조원 2.041조원 88억원이며, 총지출은 34조원 9.505조원 39억원이다.[9][10]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2.339조원 46억원 | +78.5%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1650억원 1억원 | +65.01% |
고용보험기금 | 17조원 6.831조원 95억원 | +10.12% |
근로복지진흥기금 | 1.793조원 55억원 | +14.9% |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기금 | 9조원 6.609조원 72억원 | +6.68% |
임금채권보장기금 | 6.51조원 33억원 | +12.07% |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기금 | 7.791조원 86억원 | -0.54% |
합계 | 29조원 2.041조원 88억원 | +9.07%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일반회계 | 5조원 9.193조원 5억원 | -12.34% | ||
colspan=2 | 고용 | 5조원 1.77조원 14억원 | -14.36% | ||
colspan=2 | 노동 | 1.208조원 74억원 | +3.57% | ||
colspan=2 | 고용노동일반 | 6.214조원 17억원 | +5.12% |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고용 | 3.002조원 48억원 | +17.39% | |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 노동 | 8910억원 32억원 | -2% |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 고용 | 3.654조원 29억원 | 순증 | |
고용보험기금 | 고용 | 16조원 9.106조원 84억원 | -10.24% | |
근로복지진흥기금 | 노동 | 2.417조원 39억원 | -13.86% | |
산업재해보상보험및예방기금 | 노동 | 9조원 6.405조원 69억원 | +8.51% | |
임금채권보장기금 | 노동 | 6.356조원 50억원 | -9.3% | |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기금 | 고용 | 8.477조원 83억원 | +10.64% | |
합계 | 34조원 9.505조원 39억원 | -4.43% |
참조
[1]
간행물
노동부 노동부소개 노동부는 연혁 - 1947-1963
http://www.molab.go.[...]
Ministry of Labor
2009-12-09
[2]
간행물
노동부 노동부소개 노동부는 연혁 - 1981-현재
http://www.molab.go.[...]
Ministry of Labor
2009-12-09
[3]
웹사이트
MOEL Headquarter
http://www.moel.go.k[...]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01-01
[4]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oel.go.k[...]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01-01
[5]
웹사이트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https://terms.naver.[...]
[6]
뉴스
労働部が「雇用労働部」に、名称改め再出発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10-07-05
[7]
법률
「雇用労働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第3条
[8]
법률
「고용노동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 및 별표 5 및 별표 6제1호·제3호·제5호·제6호
[9]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1
[10]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1
[11]
뉴스
번지르르한 勞動廳의 發足
https://newslibrary.[...]
1963-09-02
[12]
뉴스
劳動庁을 勞動部로승격
https://newslibrary.[...]
1970-12-11
[13]
뉴스
내년안에,勞動部신설검토
https://newslibrary.[...]
1970-12-11
[14]
뉴스
勞動部와 勞動政策
https://newslibrary.[...]
1981-04-13
[15]
법률
대통령령 제25호
[16]
법률
대통령령 제1004호
[17]
법률
법률 제1395호
[18]
법률
법률 제3422호
[19]
법률
법률 제10339호
[20]
기타
2024년 12월 1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1]
text
[22]
text
[23]
text
[24]
text
[25]
text
[26]
text
[27]
text
[28]
tex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찬바람’만 부는 고용시장…입직·이직 줄고 빈일자리도 감소
“6개월 새 2명이 죽었다” 쿠팡 물류센터 노동자들, 특별근로감독 요구
'노란봉투법' 처리 임박…노사 막판 '총력전'
8월14일 인사
[속보] 이 대통령 "안전미비 사업장 신고 파격포상금…노동장관 직 걸라"
“또 한 명 동료를 떠나보냈습니다”···배달라이더 100여명 ‘거리 추모식’
‘감전 사고’ 포스코이앤씨 이주노동자, 8일 만에 의식 되찾아
김영훈 장관 “대통령, 산재·임금 체불·차별 문제 강조···이주 노동자는 소중한 이웃”
"산재당해도 사장님 눈치"…'주종 관계' 낳는 고용허가제
포스코이앤씨 또 사고에 노동장관 "강력 유감"…근본 대책 주문
상반기 임금체불 1조1005억원…역대 최고
반복되는 발전소 하청노동자의 죽음···김충현 대책위 “국가에 의한 연쇄 살인”
[속보]이 대통령, 노동장관에 “산재 안 줄어들면 진짜로 직 걸라”
김영훈 노동장관 “35도 이상시 야외작업 중단 적극 지도”
김영훈 노동장관 "체감온도 35도 이상시 야외작업 중단 적극 지도해야"
‘지게차 학대 피해’ 벽돌공장 스리랑카 노동자 사업장 변경 허가
지게차에 외국인 노동자 매달고…'인권유린' 영상 파문
[자막뉴스] "잘못했어 해야지!" 이주노동자 지게차에 묶고 낄낄…이재명 대통령도 "야만적 인권침해, 눈을 의심했다"
종로 주얼리 업체 노동자 ‘4대 보험 가입’ 길 열리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