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황후는 고려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원나라 순제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에게 바쳐져 그의 황후가 된 인물이다.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가 황위에 오른 후 정궁 황후가 되었으나, 1368년 원나라가 멸망하고 몽골로 쫓겨간 후 남편과 사별하였다. 이후 명나라에 포로로 잡혔다가 아들과 함께 북원으로 돌아갔으며,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2. 생애

권황후는 도첨의정승과 찬성사를 지낸 복안부원군 권겸(權謙)과 전주 최씨(全州崔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정승 권부이며, 외할아버지는 최성지(崔誠之)이다.[1] 권황후의 가문은 고려의 유력한 가문 중 하나였다. 오빠는 사인을 지낸 권화상(權和尙, ?~1356년 5월)이고, 여동생 2명과 밀직부사와 만호를 지낸 남동생 권항(權恒)이 있다.

1352년 원나라 황제 순제 토곤 테무르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에게 바쳐졌다.[2] 1368년 주원장에게 쫓겨 원나라몽골로 쫓겨갈 때 남편과 함께 북으로 이동하였다.[3]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가 곧 사망하면서, 권황후는 이후 알려지지 않은 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슬하에 이름 미상의 딸 1명과 아들 1명이 있었으나 아들은 요절했다.

1370년 음력 5월 16일, 이문충(李文忠)이 이끄는 명나라 군대에 의해 응창(應昌)이 함락되면서 9세 아들 매적리팔라(買的里八刺)와 함께 포로가 되어 북평(北平)으로 압송되었다.[4] 1374년 9월, 명 태조는 매적리팔라를 북원(北元)으로 돌려보냈으며, 권황후 역시 이때 함께 귀환한 것으로 추정된다.[4]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2. 1. 생애 초기

권황후는 도첨의정승과 찬성사를 지낸 복안부원군 권겸(權謙)과 전주 최씨(全州崔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정승 권부이며, 외할아버지는 최성지(崔誠之)이다.[1] 권황후의 가문은 고려의 유력한 가문 중 하나였다.

권황후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1352년 원나라 황제 순제 토곤 테무르의 아들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에게 바쳐졌다.[2]

오빠는 사인을 지낸 권화상(權和尙, ?~1356년 5월)이고, 여동생 2명과 밀직부사와 만호를 지낸 남동생 권항(權恒)이 있다. 바로 아래 여동생은 권침(權?)과 결혼했다가 김입견(金立堅)과 재혼했는데, 안동권씨 성화보와 문화류씨 가정보에 전부(前夫)와 후부(後夫)의 이름이 나타난다. 다른 여동생은 원주원씨 원호(元顥)와 결혼했고, 그는 판삼사사 성안부원군(成安府院君)에 봉작되었다.

2. 2. 원나라 북천 이후

1368년 주원장에게 쫓겨 원나라몽골로 쫓겨갈 때 권황후는 남편과 함께 북으로 이동하였다.[3]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가 곧 사망하면서, 권황후는 이후 알려지지 않은 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슬하에 이름 미상의 딸 1명과 아들 1명이 있었으나 아들은 요절했다. 딸은 쿠빌라이 칸의 형제 아리크부케의 5대손 이수데르에게 시집갔다.[3]

권황후는 1370년 5월 16일(음력) 이문충(李文忠)군에 의해 응창(應昌)이 함락될 때 9세의 아들 매적리팔라(買的里八刺)와 함께 포로가 되어 북평(北平)으로 이치(移置)되었다가, 1374년 9월 북원으로 귀환되었다.[4] 이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묘소와 시호는 미상이다.

2. 3. 명나라 포로 시절과 북원 귀환

1370년 음력 5월 16일, 이문충(李文忠)이 이끄는 명나라 군대에 의해 응창(應昌)이 함락되면서 권황후는 9세 아들 매적리팔라(買的里八刺)와 함께 포로가 되어 북평(北平)으로 압송되었다.[4] 1374년 9월, 명 태조는 매적리팔라를 북원(北元)으로 돌려보냈으며, 권황후 역시 이때 함께 귀환한 것으로 추정된다.[4]

3. 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권부(權溥)
아버지권겸(權謙)[5]
어머니전주 최씨(全州 崔氏)최성지(崔誠之)의 딸
오빠권화상(權和尙)? ~ 1356년 5월
여동생권침(權?)의 처, 김입견(金立堅)에게 재가
남동생권항(權恒)
여동생원주 원씨(原州 元氏) 원호(元顥)의 처판삼사사 성안부원군(成安府院君)
남편원 소종(元 昭宗)
이수데르(也速迭兒)에게 출가쿠빌라이 칸의 형제 아리크부케의 5대손
아들요절, 미상
사촌권중귀
사촌권희(權僖)양촌 권근의 아버지[6]


참조

[1] 서적 고려사절요 제26권 공민왕 원년(1352년) 8월
[2] 서적 고려사 열전 權謙
[3] 서적 高麗史 卷三十八 世家 公愍王 2年 8月
[4] 서적 《中國通史》第八卷·第五編 기록
[5] 서적 고려사절요 제26권 공민왕 원년 8월 : 權謙,如元納女于皇太子.
[6] 웹사이트 http://gsm.nricp.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